KR20210057977A -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977A
KR20210057977A KR1020190144840A KR20190144840A KR20210057977A KR 20210057977 A KR20210057977 A KR 20210057977A KR 1020190144840 A KR1020190144840 A KR 1020190144840A KR 20190144840 A KR20190144840 A KR 20190144840A KR 20210057977 A KR20210057977 A KR 20210057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tone
plate portion
sleeve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복
조재완
Original Assignee
씨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977A/ko
Publication of KR2021005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lips, clamps, or like fastening or attaching devices, e.g. for electric instal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화가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망치 등의 공구류를 이용하지 않고 세트앵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Stone fixing brack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량화가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망치 등의 공구류를 이용하지 않고 세트앵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벽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도, 건축물을 보호할 수 있는 내, 외장재가 시공된다.
이러한 내, 외장재는 합성수지, 금속, 석재 등 여러 재질로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고, 시공에도 재질에 따라 다양한 부품 및 몰탈이 사용된다.
이러한 내, 외장재 중 무게가 있는 특히, 석재로 이루어진 대리석 또는 금속판넬은 벽체와 연결하고, 시공 상태를 유지시키는 앵커 및 브라켓트가 사용되며, 최근에는 건물의 외벽이나 구조체의 벽면에 마감재로서 설치되는 대리석 등의 석재를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석재 설치용 브래킷 조립체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1070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1070호의 경우, 중량품으로서, 제조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됨과 더불어 건물의 외벽이나 구조체의 벽면에 설치시 많은 힘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10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경량화가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망치 등의 공구류를 이용하지 않고 세트앵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에 석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이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는 석재 고정브라켓으로서, 전측에 상기 지지브라켓이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수용고정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수용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벽체에 매립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측에 수용되고 후단부에 상기 고정관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의 후측과 함께 벽체에 매립고정되는 확개부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볼트의 전측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앵커볼트를 상기 고정관의 전측방향으로 당겨 상기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상기 고정관의 후단부에 가압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후측에 구비되는 고정관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전측이 수용되고, 상기 고정관의 내측에 후측이 수용되며, 후단부에 상기 고정관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과 함께 벽체에 매립고정되는 확개부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볼트의 전측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앵커볼트를 상기 고정관의 전측방향으로 당겨 상기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상기 고정관의 후단부에 가압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의 하부방향의 상기 판부의 전측 상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의 후측과 상기 고정관의 전측 사이에 와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와셔의 하부방향의 상기 판부의 후측 상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판부의 후단부에 상기 판부의 전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관통구 주변의 상기 판부 부위에 상기 판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보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측에 석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이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는 석재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으로서, a)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1개의 판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b) 1개의 상기 판부의 상부를 굽힘가공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내측에 수용고정되는 슬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판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인해 상기 판부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건물의 외벽이나 구조체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망치 등의 공구류를 이용하지 않고 너트부를 이용하여 슬리브에 세트앵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고정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예의 슬리브로부터 일예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일예의 고정부재의 앵커볼트의 전측으로부터 너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일예의 고정부재의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고정관의 후단부에 가압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예의 판부에 보강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일예의 판부의 전측으로부터 지지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석재 고정브라켓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슬리브로부터 다른예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8은 판부와 슬리브의 제조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판부에 단차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판부에 보강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고정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고정브라켓은 전측에 석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이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판부(10)와 슬리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판부(10)의 경량화를 위해 상기 판부(10)의 전측부위나 후측부위 또는 중간부위에 관통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10)는 상기 판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리브(20)는 상기 판부(10)의 상부에 상기 판부(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0)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수용고정된다.
상기 판부(10)와 슬리브(20)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일예의 슬리브로부터 일예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30)는 일예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관(310)과 앵커볼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트앵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관(310)은 상기 슬리브(2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 연장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20)의 내측에 수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관(310)의 후측이 상기 슬리브(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외부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관(310)의 전후길이는 상기 슬리브(20)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320)는 상기 고정관(3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320)의 전측은 상기 슬리브(20)의 전측 외부 및 상기 고정관(310)의 전측 외부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320)의 후단부에는 상기 고정관(310)의 전단부의 반대측인 후단부에 가압고정되는 확개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예의 고정부재의 앵커볼트의 전측으로부터 너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특히,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320)의 전측에 너트부(4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일예의 고정부재의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고정관의 후단부에 가압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너트부(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앵커볼트(320)는 상기 고정관(310)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당겨지면서 상기 앵커볼트(320)의 확개부(321)가 상기 고정관(310)의 후단부에 점차 강하게 가압고정될 수 있다.
이로서,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망치 등의 공구류를 이용하여 상기 확개부(321)를 타격할 필요없이 상기 너트부(40)를 이용하여 상기 슬리브(20)에 슬리브에 세트앵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부재(3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부(10)의 전측 상부에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단차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40)의 하부방향의 상기 판부(10)의 전측 상부에 상기 단차홈(120)이 위치 및 상기 너트부(40)의 전면과 상기 판부(10)의 전면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리브(20)의 전측은 상기 단차홈(120)의 전후폭만큼 절단될 수 있다.
상기 판부(10)의 전측 상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홈(120)을 통해 상기 너트부(40)가 상기 판부(10)의 전측 상부에 간섭될 우려없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일예의 판부에 보강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건물의 벽체의 외벽이나 구조체의 벽면에 설치된 상기 판부(10)가 상기 판부(10)의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110) 주변의 상기 판부(10) 부위에 상기 판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보강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10) 주변의 상기 판부(10) 부위에 1개의 상기 보강홈(130)이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관통구(110) 주변의 상기 판부(10) 부위에 복수의 상기 보강홈(130)이 상기 판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상기 보강홈(130) 사이의 상기 판부(10) 부위마다 상기 관통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일예의 판부의 전측으로부터 지지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브라켓(50)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앵커볼트(320)의 전측에 수직부가 결합되는 '┗'형태의 제 1지지브라켓(510)과; 상기 제 1지지브라켓(510)의 수평부에 결합되는 판상의 제 2지지브라켓(520)과; 상기 제 1지지브라켓(510)의 수직부를 상기 앵커볼트(320)의 전측에 견고하게 체결하는 와셔(530) 및 너트(540)와; 상기 제 1지지브라켓(510)의 수평부에 상기 제 2지지브라켓(52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볼트(550), 너트(560) 및 와셔(5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지지브라켓(510)의 수직부를 상기 앵커볼트(320)의 전측에 체결시키는 너트(540)와, 전면이 상기 판부(10)의 전면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너트부(40)는 각각 상기 제 1지지브라켓(510)의 수직부의 전면 및 후면에 밀착고정된 상태로 면접촉되어 상기 제 1지지브라켓(510)의 수직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부(10)의 전단부 또한 상기 제 1지지브라켓(510)의 수직부의 후면에 들뜸현상없이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고정되어 상기 제 1지지브라켓(510)의 수직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인 석재 고정브라켓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의 앵커볼트(320)의 확개부(321)와 함께 상기 고정관(310)의 후측은 건물 등의 벽체(5)에 매립고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50)의 판상의 제 2지지브라켓(520)의 전측에는 상기 제 2지지브라켓(5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521)에는 상기 가이드슬릿(521)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고정판(580)이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580)의 상부와 하부에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리석 등 다양한 종류의 석재(3)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판부(10)에 형성된 관통구(110)로 인해 상기 판부(110)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상기 판부(10)를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5)의 외벽이나 구조체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50)의 제 1지지브라켓(510)과 상기 벽체(5) 사이에 단열재(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7)내에 상기 판부(10) 및 상기 슬리브(20)가 매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판부(10)의 전단부의 반대측인 후단부 중간부에 상기 판부(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된 상태로 연장되는 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40)을 통해 상기 판부(10)의 경량화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부(10) 홈(140)내에는 상기 벽체(5)의 표면에 형성된 굴곡부(51)가 수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표면에 상기 굴곡부(도 13의 51)가 형성된 상기 벽체(5)에도 상기 판부(10)가 상기 벽체(5)와 직교를 이룬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수평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슬리브로부터 다른예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고정부재(30)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310)과 상기 앵커볼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관(310)이 상기 슬리브(20)의 후측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20)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관(310)의 전후길이는 상기 슬리브(20)의 전후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서 상기 고정관(31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볼트(320)의 전측은 상기 슬리브(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앵커볼트(320)의 후측은 상기 슬리브(20)의 후측 외부에 노출된 상기 고정관(3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32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확개부(321)는 상기 슬리브(20)의 후측 외부에 노출된 상기 고정관(310)의 후단부에 가압고정되어 상기 고정관(310)과 함께 상기 벽체(5)에 매립고정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40)가 작업자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앵커볼트(320)는 상기 고정관(310)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당겨지면서 상기 앵커볼트(320)의 확개부(321)가 상기 고정관(310)의 후단부에 점차 강하게 가압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310)의 전단부는 상기 슬리브(20)의 후단부에 점차 강하게 가압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관(310)의 전단부가 벌어지며 훼손되는 것을 방지 및 상기 앵커볼트(320)의 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60)는 상기 슬리브(20)의 후측과 상기 고정관(310)의 전측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부(10)의 후측 상부에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단차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셔(60)의 하부방향의 상기 판부(10)의 후측 상부에 상기 단차홈(150)이 위치 및 상기 와셔(6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과 상기 판부(10)의 후면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리브(20)의 후측은 상기 단차홈(150)의 전후폭만큼 절단될 수 있다.
상기 판부(10)의 후측 상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홈(150)을 통해 상기 와셔(60)의 하부가 상기 판부(10)의 후측 상부에 간섭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과 더불어 상기 판부(10)의 후측과 상기 벽체(5)의 표면 사이에 들뜸현상 없이 상기 판부(10)의 후측과 상기 와셔(60)의 후면이 안정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판부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와 b) 슬리브 형성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먼저, 상기 a)단계는 상기 관통구(110)가 형성된 1개의 상기 판부(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도 18은 판부와 슬리브의 제조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예로, 상기 a)단계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1) 사각형 형상의 1개의 판부 준비단계(이하, 'a1)'단계'라 한다.), a2) 관통구 형성단계(이하, 'a2)'단계'라 한다.), a3) 경사면 형성단계(이하, 'a3)'단계'라 한다.) 및 a4) 홈 형성단계(이하, 'a4)'단계'라 한다.)
상기 a1)단계는 상기 벽체(5)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1개의 상기 판부(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a2)단계는 일예로, 프레스 가공 방법 중 피어싱 가공 등을 통해 1개의 상기 판부(10)에 상기 관통구(11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a3)단계는 프레스 가공 방법 중 전단 가공 등을 통해 1개의 상기 판부(10)의 하부에 상기 판부(1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판부(1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16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경사면(160)으로 인해 상기 판부(10)가 건물의 벽체(5)의 외벽에 설치된 상기 판부(10)가 상기 판부(10)의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a4)단계는 프레스 가공 방법 중 노칭 가공 등을 통해 1개의 상기 판부(10)의 후측에 상기 홈(1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1개의 상기 판부(10)의 관통구(110)와 홈(14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판부(10)의 상부부위를 프레스 가공 중 굽힘가공을 통해 'C'형상 등으로 굽힘가공하여 상기 슬리브(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b)단계에서 일예의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관(31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2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20)의 내측에 수용고정될 수 있다.
도 19는 판부에 단차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a)단계는 a5) 단차홈 형성단계(이하, 'a5)단계'라 한다.)와 a6) 보강홈 형성단계(이하, 'a6)단계'라 한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5)단계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판부(10)의 관통구(110)와 홈(14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판부(10)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프레스 가공 방법 중 노칭 가공 등을 통해 상기 단차홈(120, 150)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20은 판부에 보강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a6)단계는 프레스 가공 방법 중 엠보싱 가공 등을 통해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110) 주변의 상기 판부(10) 부위에 상기 보강홈(1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a)단계가 상기 a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경우, 상기 b)단계에서 다른예의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관(310)은 전후길이가 상기 슬리브(20)의 전후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20)의 후측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20)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예와 다른예의 상기 고정부재(30)의 앵커볼트(320)의 전측에 상기 너트부(40)를 결합시키는 너트부 결합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너트부(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예와 다른예의 상기 고정부재(30)의 앵커볼트(320)를 상기 고정관(310)의 전측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앵커볼트(320)의 확개부(321)를 일예와 다른예의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관(310)의 후단부에 가압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a)단계가 상기 a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경우, d) 와셔구비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슬리브(20)의 후측과 다른예의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관(310) 사이에 상기 와셔(60)를 구비시키는 단계이다.
1개의 상기 판부(10)를 통해 석재 고정브라켓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10; 판부, 20; 슬리브.

Claims (10)

  1. 전측에 석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이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는 석재 고정브라켓으로서,
    전측에 상기 지지브라켓이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수용고정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수용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벽체에 매립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측에 수용되고 후단부에 상기 고정관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의 후측과 함께 벽체에 매립고정되는 확개부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볼트의 전측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앵커볼트를 상기 고정관의 전측방향으로 당겨 상기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상기 고정관의 후단부에 가압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후측에 구비되는 고정관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전측이 수용되고, 상기 고정관의 내측에 후측이 수용되며, 후단부에 상기 고정관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과 함께 벽체에 매립고정되는 확개부가 형성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볼트의 전측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앵커볼트를 상기 고정관의 전측방향으로 당겨 상기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상기 고정관의 후단부에 가압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의 하부방향의 상기 판부의 전측 상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후측과 상기 고정관의 전측 사이에 와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하부방향의 상기 판부의 후측 상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후단부에 상기 판부의 전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주변의 상기 판부 부위에 상기 판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보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
  9. 전측에 석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이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는 석재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으로서,
    a)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1개의 판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b) 1개의 상기 판부의 상부를 굽힘가공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내측에 수용고정되는 슬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1개의 판부 준비단계와;
    1개의 상기 판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
KR1020190144840A 2019-11-13 2019-11-13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7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40A KR20210057977A (ko) 2019-11-13 2019-11-13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40A KR20210057977A (ko) 2019-11-13 2019-11-13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77A true KR20210057977A (ko) 2021-05-24

Family

ID=7615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840A KR20210057977A (ko) 2019-11-13 2019-11-13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9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679B1 (ko) 2021-09-17 2022-07-08 주식회사 진도건설 석재 패널 고정용 일체형 앵커 및 일체형 앵커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070B1 (ko) 2015-08-05 2016-05-13 지현오 석재 설치용 브래킷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070B1 (ko) 2015-08-05 2016-05-13 지현오 석재 설치용 브래킷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679B1 (ko) 2021-09-17 2022-07-08 주식회사 진도건설 석재 패널 고정용 일체형 앵커 및 일체형 앵커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937B1 (ko)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KR101257364B1 (ko)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KR101652008B1 (ko) 판넬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판넬 고정용 어셈블리 및 시공방법
KR101669597B1 (ko) 건축용 세트 앵커형 지지구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1815825B1 (ko) 처짐방지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KR20210057977A (ko)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9383A (ko) 건축용 석재판넬 지지부재
KR102052336B1 (ko) 가동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보강 절토지반 전면의 마감패널 설치 공법
KR101866750B1 (ko)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KR101849094B1 (ko)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JP4545179B2 (ja) 建築物の外断熱工法及びボルト用補強金具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226420Y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트
KR20230003704A (ko)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200490659Y1 (ko) 철근 볼트 고정 복합 너트
CN209941880U (zh) 装配式外墙板安装系统及其所用的快装结构件
JP4711864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901261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KR101997401B1 (ko) 연결부재로 결속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20200039333A (ko)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를 포함한 외장재 설치를 위한 앵커 볼트
KR102183615B1 (ko) 결합력과 지지력이 상승된 앙카플레이트
JP4986039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135318B1 (ko) 개선된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KR101787246B1 (ko) 외장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