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315B1 -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315B1
KR102323315B1 KR1020190170123A KR20190170123A KR102323315B1 KR 102323315 B1 KR102323315 B1 KR 102323315B1 KR 1020190170123 A KR1020190170123 A KR 1020190170123A KR 20190170123 A KR20190170123 A KR 20190170123A KR 102323315 B1 KR102323315 B1 KR 102323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ntilever
razor
lock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265A (ko
Inventor
이영진
한다운
정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9017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315B1/ko
Priority to US17/109,065 priority patent/US11446837B2/en
Priority to EP20212139.8A priority patent/EP3848167A3/en
Publication of KR2021007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cartridge);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핸들(handle); 및 헤드부(head unit)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측 연결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제1 캔틸레버부(first cantilever unit)를 가지는 핸들 측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캔틸레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하고,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헤드부의 삽입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Razor}
본 개시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환경 파괴에 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나라 및 각종 국제기구는 환경 규제 관련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예컨대, 캐나다와 유럽연합은 2021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거나 감축의무를 부과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이에, 각종 일회용품 제조업자들은 일회용품의 적어도 일부를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 하에, 한국특허 제10-1612431호와 같이 핸들과 헤드가 일체형이면서 친환경 소재로 구성된 일회용 면도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일회용 면도기는 핸들과 헤드를 한 번 분리하면 재결합이 불가능하기에, 면도날 교체가 필요하면 헤드뿐 아니라 핸들까지 폐기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폐기물의 양이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핸들은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면도날을 포함하는 헤드부만 교체할 수 있는 착탈 식 친환경 면도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면도기의 핸들 부분은 자연분해 가능한 소재, 예를 들어 나무, 종이 등의 친환경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나무 또는 종이는 재료의 특성상 사출 성형 등이 어렵기 때문에 일정한 규격의 홈 등을 갖도록 제작하는데 기술적 난점이 있다. 따라서, 친환경 핸들은 별도의 체결 구조가 없는 단순한 형태의 중공 기둥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요인은, 사용자가 면도기의 헤드와 핸들을 손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데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나아가, 친환경 핸들에 체결 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충분한 고정력이 제공되지 않기에, 스트로크 시 핸들이 요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개시는 핸들과 헤드부의 조립이 용이한 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가 핸들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면도기를 이용하여 스트로크할 때, 불필요한 요동이 없는 안정된 면도 기능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cartridge);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핸들(handle); 및 헤드부(head unit)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측 연결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제1 캔틸레버부(first cantilever unit)를 가지는 핸들 측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캔틸레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하고,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헤드부의 삽입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측 연결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면도기를 Ⅳ-Ⅳ'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측 연결부가 핸들에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측 연결부가 핸들에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는 핸들(20) 및 핸들 측 연결부(300)의 종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된 것을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단면이 다각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방(upward)은 사용자가 면도기(1)를 스트로크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10)가 얼굴 등의 면도 대상체로부터 받는 힘의 수직성분 방향을 의미한다. 하방(downward)은 사용자가 면도기(1)를 스트로크할 때, 면도 대상체가 면도기 카트리지(10)로부터 받는 힘의 수직성분 방향을 의미한다. 측방(sideward)은 상방과 하방 사이의 중간 지점, 예를 들어 좌방 혹은 우방을 가리키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면도기(1)는 면도기 카트리지(10), 핸들(20) 및 헤드부(30)를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1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12)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수염이나 체모를 쉐이빙하는 부분이다.
카트리지(10)와 헤드부(30)는 서로 피벗(pivot) 작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트로크 시 사용자의 피부 표면을 따라 카트리지(10)가 헤드부(30)에 대하여 피벗이 가능하게 되어, 피부 표면의 굴곡과 밀착될 수 있는 각도로 스트로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핸들(20)의 각도를 스트로크 방향 또는 피부 표면의 굴곡에 따라 인위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면도기(1)의 사용감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트리지(10)와 헤드부(30)는 견고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수용공간에는 헤드부(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핸들(20)은 친환경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핸들(20)은 종이 또는 나무, 예를 들어, 대나무 등의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30)는 일측에 면도기 카트리지(10)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측 연결부(300') 및 타측에 핸들(20)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핸들 측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핸들 측 연결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핸들(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핸들 측 연결부(300)와 핸들(20)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핸들(20)과 핸들 측 연결부(300)가 억지끼움될 때, 암(female) 부분에 해당하는 핸들(20)이 탄성재로 구성되는 한편, 수(male) 부분에 해당하는 핸들 측 연결부(300)가 비탄성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와 같이 핸들(20)이 나무 혹은 종이로 구성되는 경우, 핸들(20)이 갖는 탄성이 억지끼움 결합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라도, 핸들 측 연결부(300)는 적정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핸들 측 연결부(300)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핸들 측 연결부(300)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사출 성형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핸들 측 연결부(300)로는 탄성을 갖는 다른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핸들 측 연결부(300)는 카트리지 측 연결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핸들 측 연결부(300)는 제1 걸림턱(322)을 포함하는 제1 캔틸레버부(320), 제2 걸림턱(342)을 포함하는 제2 캔틸레버부(340), 지지부(360) 및 제3 걸림턱(3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캔틸레버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핸들(2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핸들 측 연결부(300)가 핸들(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제1 캔틸레버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캔틸레버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핸들 측 연결부(300)의 삽입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들(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무 등의 탄성이 충분하지 않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핸들 측 연결부(300)와 억지끼움 결합되기 위해 핸들 측 연결부(300)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캔틸레버부(320)의 일 단부, 즉 자유단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핸들 측 연결부(300) 삽입 시 자유단은 핸들(2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며 핸들 측 연결부(300)의 삽입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캔틸레버부(320)는 복수의 팔(ar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2개의 팔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복수의 팔(321a 및 321b, 도 3 참조)은 핸들(20)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20)의 폭 방향으로 크기가 같고 방향은 대칭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 캔틸레버부(320)가 복수의 팔을 포함하는 경우, 이웃하는 팔 사이에는 제1 간격(d1,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제2 캔틸레버부(340)는 제1 캔틸레버부(320)의 제1 간격(d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캔틸레버부(340)의 길이는 제1 캔틸레버부(320)의 길이와 상이하게, 예를 들어 제 1 캔틸레버부의 길이보다 짧게, 또는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핸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작용점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20)과 핸들 측 연결부(300)간의 체결력이 향상되고, 스트로크 시 면도기 카트리지(10)와 핸들(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작용점이 하나만 존재하게 될 경우, 일 지점에만 마찰력 및 지지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친환경 소재의 핸들(20)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작용점이 핸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개 이상 존재하게 될 경우, 힘의 작용 지점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핸들(20)이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제2 캔틸레버부(340)의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360)는 대략 핸들(20)의 형상에 상응하기 위하여 대략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제1 캔틸레버부(320)와 카트리지 측 연결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각 캔틸레버부(320, 34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핸들(20)이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핸들(20)과 지지부(360)의 단면의 형상은 다각 기둥 등으로 각각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캔틸레버부(320) 및 제2 캔틸레버부(340)는 자유단 및 고정단을 갖는다. 이때, 제1 캔틸레버부(320) 및 제2 캔틸레버부(340)의 고정단은 카트리지 측 연결부(300')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각 캔틸레버부(320, 340)의 고정단과 카트리지 측 연결부(300') 사이에는 별도의 체결 또는 지지 구조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걸림턱(380)이 각 캔틸레버부(320, 340)의 팔에 배치된다. 이때, 핸들 측 연결부(300)가 핸들(20)에 삽입되면, 각 캔틸레버부(320, 340)의 팔에는 팔이 가압되는 방향에 따라 핸들(20)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20)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3 걸림턱(380)이 캔틸레버부 팔의 휨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3 걸림턱(380)의 목적 및 효과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걸림턱(380)이 대략 기둥형으로 구성된 지지부(360)의 외주면을 따라 부착될 경우, 핸들 측 연결부(300)가 핸들(20)에 삽입될 때 제3 걸림턱(380)은 반경 내측으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걸림턱(380)의 목적 및 효과가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핸들 측 연결부(300)가 지지부(360)를 포함하지 않게 된다면 캔틸레버부(320, 340)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 나아가 절단되는 경우에 핸들 측 연결부(300)와 핸들(20)은 안정된 결합을 유지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나, 핸들 측 연결부(300)가 지지부(360)를 포함하는 경우, 캔틸레버부(320, 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팔이 파손될 경우에라도, 지지부(360)를 통해 핸들(20)과 헤드부(3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각 캔틸레버부(320, 340)의 고정단이 지지부(36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핸들(20)에 외력, 예컨대 핸들(20)의 반경 내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각 캔틸레버부(320, 340)가 휘어지거나 부러질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
제3 걸림턱(380)은 지지부(360)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제3 걸림턱(380)은 적어도 일부가 핸들(20)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걸림턱(380)은 핸들 측 연결부(300)의 삽입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도록 구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핸들 측 연결부(300)가 제3 걸림턱(380)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핸들(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핸들(20)과 핸들 측 연결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2 걸림턱(342)은 핸들(20)의 결합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60)의 직경은 핸들(20)의 내경과 같거나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면도기(1)의 사용시, 가압되는 방향에 따라 핸들(20)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제3 걸림턱(380)은 이러한 요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걸림턱(380)은 지지부(36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20)과 핸들 측 연결부(3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측 연결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면도기를 Ⅳ-Ⅳ'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캔틸레버부(320)는 복수의 팔(321), 하나 이상의 제1 걸림턱(322) 및 내측 돌출부(323)를 포함한다.
복수의 팔(321)은 탄성변형 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팔(321)은 일부에서 제1 간격(d1)을, 그리고 다른 일부에서 제1 간격(d1)보다 작은 제2 간격(d2)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복수의 팔(321a 및 321b)이 두 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팔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걸림턱(322)은 복수의 팔(321) 모두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팔(321)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팔(321a 및 321b)이 두 개이며 각 복수의 팔(321a 및 321b)에 제1 걸림턱(322)이 배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걸림턱(322)은 적어도 일부가 핸들(2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제1 걸림턱(322)은 복수의 팔(321)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한 쌍의 제1 걸림턱(도 3에서는 322a 및 322d)은 핸들(20)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일 종단면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측 연결부(300)가 핸들(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걸림턱(322)은 일 종단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내측 돌출부(323)는 복수의 팔(321)의 각 일단에서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복수의 팔(321)의 내측 돌출부(323)들 사이에는 제1 간격(d1)보다 작은 제2 간격(d2)이 형성된다. 내측 돌출부(323)는 복수의 팔(321)이 내측으로 과도하게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측 돌출부(323)로 인하여, 제1 캔틸레버부(320)의 최소 외경이 제한되게 된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내측 돌출부(323a 및 323b)가 두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팔(321)의 개수에 따라 내측 돌출부의 개수 및 형상은 달리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측 연결부가 핸들에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는 제1 캔틸레버부(320)가 핸들(20)에 삽입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핸들 측 연결부(300)와 핸들(20)의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제1 걸림턱(322)을 포함하는 제1 캔틸레버부(320)의 최대 직경은 핸들(2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도 5의 (b)는 제1 캔틸레버부(320)가 삽입되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걸림턱(322)의 경사면은 핸들 측 연결부(3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높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구배된다. 따라서, 핸들 측 연결부(300)는 핸들(2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때 제1 걸림턱(322)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 되며 삽입될 수 있다.
도 5의 (c)는 제1 캔틸레버부(320)가 핸들(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후기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핸들(20)의 내주면은 제1 걸림턱(322)이 형성된 복수의 팔(321)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핸들(20)의 내주면과 제1 걸림턱(322)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핸들 측 연결부(300)는 핸들(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며, 핸들(2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팔(321)은 적어도 그 일부로부터 복수의 팔(321)이 탄성 변형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돌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측 연결부(300)가 핸들(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복수의 내측 돌출부(323)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캔틸레버부(320)의 팔의 탄성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내측 돌출부(323)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하게 되며, 캔틸레버부(320)의 최소 외경이 더 이상 감소하지 않게 되는, 최소 외경이 한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내측 돌출부(323)가 접촉하여 서로 가압됨으로써, 제1 캔틸레버부(320)의 수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더 큰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캔틸레버부(320)와 핸들(20) 간의 체결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측 연결부가 핸들에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제2 캔틸레버부(340)의 적어도 일부가 핸들(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2 캔틸레버부(340)는 하나 이상의 제2 걸림턱(342)을 포함한다. 제2 걸림턱(342)은 적어도 일부가 핸들(2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걸림턱(342)의 돌출부에 의하여, 제2 캔틸레버부(340)의 최대 직경은 핸들(2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걸림턱(342)의 경사면은 핸들 측 연결부(3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높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구배된다. 따라서, 핸들 측 연결부(300)는, 핸들(2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때 제2 걸림턱(342)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 되며 삽입된다.
도 6의 (b)는 제2 캔틸레버부(340)가 핸들(20)의 수용공간에 전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핸들(20)의 내주면은 제2 걸림턱(342)이 형성된 제2 캔틸레버부(34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핸들(20)의 내주면과 제2 걸림턱(342)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핸들 측 연결부(300)가 핸들(2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턱(322)과 제2 걸림턱(342) 각각은 핸들(20)의 중심축을 포함하느느 일 단면에 대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20)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제2 걸림턱(342)과 한 쌍의 제1 걸림턱(322)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제1 걸림턱(322)에 의해서는 상방으로, 한쌍의 제2 걸림턱(342)에 의해서는 하방으로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나아가, 각 걸림턱의 작용 지점은 핸들(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분산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면도기(1)에 강한 체결력이 제공되어, 스트로크 시 면도기(1)가 요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1)의 결합력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핸들(20) 및 헤드부(30)를 상호 체결한 후, 이탈 시 요구되는 최대 힘을 측정한다. 실험에 따른 평균 결합력은 대략 1,015 g·f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때, 결합력은 대략 830 g·f 내지 1,480 g·f, 바람직하게는 860 g·f 내지 1,170 g·f 일 수 있다.
일반적인 휴대용 면도기 스트로크 시 면도기에 가해지는 평균 힘이 약 43 g·f 인 것을 고려하였을 때, 본 개시에 따른 면도기는 약 23배 이상의 결합력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1)를 이용하여 스트로크 시, 면도기 카트리지(10)가 핸들로부터 이탈하거나 요동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제3 걸림턱(380)은 불연속적인 복수개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30)가 핸들(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제3 걸림턱(380)의 사이를 통해 쉐이빙폼, 물 및 각종 오염물 등이 핸들(20)의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핸들(20)은 친환경 소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물 또는 습기에 노출될 경우 부패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제3 걸림턱(780)은 불연속적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지 않고 연속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3 걸림턱(780)은 지지부(36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원뿔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걸림턱(780)은 핸들(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적어도 일 종단면을 실링(sealing)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핸들(20)의 수용공간으로의 물 또는 이물질의 유입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걸림턱(780)의 경사면은 핸들 측 연결부(300)의 삽입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핸들 측 연결부(300)가 핸들(2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때,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 되며 삽입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제3 걸림턱(880)은 오링(o-ring)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오링은 핸들 측 연결부(300)와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로 체결되는 고무링이거나, 이중사출된 고무링일 수 있다.
오링 형태의 제3 걸림턱(830)은 쉐이빙 폼, 물 등이 핸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핸들(20)은 내주면에 오링(880)을 수용하기 위한 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면도기 10: 면도기 카트리지
20: 핸들 30: 헤드부
300: 핸들 측 연결부 300': 카트리지 측 연결부
320: 제1 캔틸레버부 340: 제2 캔틸레버부
360: 지지부 380: 제3 걸림턱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cartridge);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핸들(handle); 및
    헤드부(head unit)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측 연결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제1 캔틸레버부(first cantilever unit)를 가지는 핸들 측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캔틸레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하고,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헤드부의 삽입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들 측 연결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접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삽입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된 제2 캔틸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부는,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일 종단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캔틸레버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캔틸레버부의 길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캔틸레버부는 일단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삽입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캔틸레버부는, 상기 면도기의 스트로크 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가 가압되는 방향에 대해 반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걸림턱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걸림턱과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일 종단면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팔은 서로에 대해 제1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캔틸레버부는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내측 돌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캔틸레버부가 상기 핸들에 삽입될 때, 상기 복수의 내측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측 연결부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 및 상기 제1 캔틸레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핸들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3 걸림턱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림턱은 상기 헤드부의 삽입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림턱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림턱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림턱은 오링(o-ring)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5.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핸들(handle); 및
    면도기 카트리지(cartridge); 및
    헤드부(head unit)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측 연결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핸들 측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측 연결부는;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캔틸레버부;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걸림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2 캔틸레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캔틸레버부 및 상기 제2 캔틸레버부의 자유단은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걸림턱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3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 상기 제2 걸림턱 및 상기 제3 걸림턱은, 상기 헤드부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KR1020190170123A 2019-12-18 2019-12-18 면도기 KR102323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23A KR102323315B1 (ko) 2019-12-18 2019-12-18 면도기
US17/109,065 US11446837B2 (en) 2019-12-18 2020-12-01 Razor
EP20212139.8A EP3848167A3 (en) 2019-12-18 2020-12-07 Raz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23A KR102323315B1 (ko) 2019-12-18 2019-12-18 면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265A KR20210078265A (ko) 2021-06-28
KR102323315B1 true KR102323315B1 (ko) 2021-11-08

Family

ID=7374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123A KR102323315B1 (ko) 2019-12-18 2019-12-18 면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46837B2 (ko)
EP (1) EP3848167A3 (ko)
KR (1) KR102323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3963B1 (en) * 2018-07-12 2022-08-31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connectors
EP3771530A1 (en) * 2019-07-31 2021-02-03 Bic Violex S.A. Mechanical assembly of a skin care device, skin care devic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323315B1 (ko) * 2019-12-18 2021-11-08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EP3842196B1 (en) * 2019-12-23 2023-09-13 BIC Violex Single Member S.A. Coupling mechanism
EP4311638A1 (en) * 2022-07-29 2024-01-31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compon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0Y1 (ko) * 2005-08-29 2005-11-08 강현주 비닐하우스용 클립의 개선구조
JP2006291554A (ja) * 2005-04-11 2006-10-26 Eidai Kako Kk 管体用ジョイン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9793A (en) * 1984-05-23 1986-07-15 American Safety Razor Company Razor connector
DE69233729T2 (de) 1991-11-27 2009-03-12 The Gillette Co., Boston Rasierapparate
US6212777B1 (en) 1993-09-29 2001-04-10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s
US6026577A (en) * 1993-10-15 2000-02-22 Warner-Lambert Company Disposable razor with removable razor head
CN1114521C (zh) 1994-10-03 2003-07-16 吉莱特公司 剃刀组件
US5584105A (en) * 1996-01-11 1996-12-17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Quick disconnect buckle
US6516518B1 (en) 1996-01-12 2003-02-11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unit
US5956851A (en) 1996-04-10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including handle and replaceable cartridges
US6041926A (en) 1996-04-10 2000-03-28 The Gillette Company Dispensing razor blade cartridges used with a handle
US5687485A (en) 1996-05-15 1997-11-18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US5956848A (en) 1997-02-27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US6684513B1 (en) 2000-02-29 2004-02-03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technology
US20090100679A1 (en) * 2007-10-18 2009-04-23 Greg'jon Llc Shaving apparatus and methods
ES2370364T3 (es) * 2008-05-23 2011-12-14 Feintechnik Gmbh Eisfeld Unidad de cuchillas de afeitar con gozne de membrana.
US20170136638A1 (en) * 2010-01-21 2017-05-18 Preston Hage,Llc Safety razor
EP2875919A1 (en) * 2013-11-22 2015-05-27 Koninklijke Philips N.V. Hair cutting appliance, receptacle and connector plug
US9873206B2 (en) * 2014-03-13 2018-01-23 Karl O. Gulledge Interchangeable shaver
US9259846B1 (en) * 2014-10-07 2016-02-16 Ruairidh Robertson Shaving device
KR101612431B1 (ko) 2015-04-03 2016-04-15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친환경 면도기
BR112018002413B1 (pt) 2015-08-05 2021-09-14 Ruairidh Robertson Dispositivo de barbeamento ou depilação
CA2928818A1 (en) 2016-05-04 2017-11-04 Demetrius J. Bazos Razors
WO2018007844A1 (en) * 2016-07-08 2018-01-11 Bic Violex S.A. Reconfigurable shaving razors
KR101876233B1 (ko) 2017-09-29 2018-07-10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KR102323315B1 (ko) * 2019-12-18 2021-11-08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1554A (ja) * 2005-04-11 2006-10-26 Eidai Kako Kk 管体用ジョイント
KR200400540Y1 (ko) * 2005-08-29 2005-11-08 강현주 비닐하우스용 클립의 개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46837B2 (en) 2022-09-20
EP3848167A2 (en) 2021-07-14
US20210187768A1 (en) 2021-06-24
KR20210078265A (ko) 2021-06-28
EP3848167A3 (en)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15B1 (ko) 면도기
AU2021202083B2 (en) Electric toothbrush
US5029358A (en) Interproximal brush
JPH05269022A (ja) 歯ブラシ
JP7004676B2 (ja) カミソリシステム
JP2006271477A (ja) 塗布具
AU2017278128B2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JP2007050183A (ja) コーム付きマスカラブラシ
JPS581452A (ja) おしやぶり
US20150366326A1 (en) Applicator with a slotted tube and notches
KR100522095B1 (ko) 화장용 솔
KR102149975B1 (ko) 개선된 화장용 브러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7460B1 (ko) 원 터치 오픈 마스카라
KR20180021668A (ko) 칫솔
US20230053468A1 (en) Cosmetic brush
US20170231367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adjacent bristles which are connected together by flat elements
JP5274681B1 (ja) 化粧用ブラシ
JP2016198488A (ja) 扇形ブラシ化粧品アプリケータ
US20210170614A1 (en) Razor cartridge
JP5486296B2 (ja) 塗布具
KR200414855Y1 (ko) 마스카라의 구조
KR101014766B1 (ko) 인조손톱
EP1032289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artridge spacing element
JP4679979B2 (ja) 塗布具
CN110693169B (zh) 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