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147B1 - 도트 사이트 조준기 - Google Patents

도트 사이트 조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147B1
KR102323147B1 KR1020150052970A KR20150052970A KR102323147B1 KR 102323147 B1 KR102323147 B1 KR 102323147B1 KR 1020150052970 A KR1020150052970 A KR 1020150052970A KR 20150052970 A KR20150052970 A KR 20150052970A KR 102323147 B1 KR102323147 B1 KR 10232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lock
unit
moving
light source
aim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009A (ko
Inventor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정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선 filed Critical 정보선
Priority to KR102015005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47B1/ko
Priority to US15/099,278 priority patent/US9671195B2/en
Publication of KR2016012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009A/ko
Priority to US15/582,683 priority patent/US9945638B2/en
Priority to US15/954,192 priority patent/US105984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41G1/345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for illuminating the s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54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 F41G1/545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Abstract

본 발명은 도트 사이트 조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목표물을 조준하는 조준창이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와, 상기 조준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창에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조준점 생성유닛;과,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를 이동시켜 상기 조준점을 상기 조준창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를 구비하는 제1 조준점 이동유닛; 및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를 이동시켜 상기 조준점을 상기 조준점에서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조절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는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트 사이트 조준기{A DOT S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도트 사이트 조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점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총 또는 중기관총의 성능은 신속하게 조준 사격을 할 수 있는지 여부와 표적을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해 좌우된다.
보통 소총 또는 중기관총의 조준은 가늠자와 가늠쇠의 조준선 정렬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총열의 끝단에 위치하는 가늠쇠와 총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는 가늠자의 조준선 정렬을 통해 목표물을 조준한다.
그러나 가늠자와 가늠쇠로 목표물을 조준하는 방식은, 작은 진동이나 떨림에도 조준선 정렬이 깨어지며, 급박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조준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가늠자와 가늠쇠를 이용한 조준 방식은, 목표 포착 및 확인과 조준선 정렬 및 조준 등의 복잡한 과정과 시간이 요구되며,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가 매우 작아서 이를 정확하게 정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나치게 조준선 정렬에 신경을 쓰다 보면, 표적이나 전방 상황보다는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에 시선이 집중되어 사격 또는 긴급 상황 대처에 필요한 시야가 좁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런 조준선 정렬의 어려움에 대처하고 조준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망원렌즈를 장착한 조준장치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망원렌즈를 장착한 광학식 조준기의 경우에도 망원렌즈를 사용함에 따라서, 배율이 올라가면 마찬가지로 작은 떨림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므로 신속한 조준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결국,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학식 조준기에 무배율 또는 저배율 렌즈를 사용하며, 복잡한 조준선을 없애고 간단하게 조준점만을 이용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광학식 무배율(저배율)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준이 가능하며, 긴급한 상황이나 근거리에서 조준이 매우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종래 조준선 정렬에 들던 시간을 아낄 수 있고, 조준 자체도 도트(dot) 상(像)을 표적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시야를 확보할 여유를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도트의 광원을 움직여서 영점을 조정하였는데, 도트의 광원을 움직이는 조정부들이 각각 도트 사이트 조준기의 다른 면에 배치되어(예를 들어 조정부들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상에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 다른 면에 존재하는 조정부를 작동시켜 영점을 조정하는 영점조정방식은 영점 조정이 신속하게 요구되는 상황에서 시간의 지연을 초래한다.
또한 도트 사이트 장치의 기구설계에 있어서 영점 조정을 위한 조정부들이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므로, 도트 사이트 조준기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6365호 (정보선), 2014.04.1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점 조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목표물을 조준하는 조준창이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와, 상기 조준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창에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조준점 생성유닛;과,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를 이동시켜 상기 조준점을 상기 조준창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를 구비하는 제1 조준점 이동유닛; 및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를 이동시켜 상기 조준점을 상기 조준점에서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조절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는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함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1 조절부에 치합되며, 상기 제1 조절부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제1 이동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광원부가 연결되는 제2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를 상기 제2 이동블록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광원부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제2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제1 이동블록이 제1 조절부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조절부를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이동블록과 제2 이동블록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제1 이동블록과 제2 이동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블록과 제2 이동블록의 결합면과, 상기 제2 이동블록과 조준점 생성유닛의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축 방향과 상기 제3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1축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1 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이동블록을 제2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이동블록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2 조절부에 치합되고 상기 제2 조절부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광원부를 지지하는 제3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축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점 생성유닛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제3축 방향으로 반사하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이동블록의 제2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제3 이동블록이 제2 조절부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3 이동블록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조절부를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이동블록과 조준점 생성유닛의 결합면에는 상기 제2축 방향과 상기 제3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1축 방향에 대해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3 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3 이동블록을 제2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3 이동블록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1 조절부에 치합되고 상기 광원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4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4 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4 이동블록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4 이동블록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2 조절부에 치합되고 상기 제2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광원부를 상기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광원부가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5 이동블록에는, 상기 광원부의 상기 제1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2축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점 생성유닛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제3축 방향으로 반사하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이동블록과 조준점 생성유닛의 결합면에는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3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5 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5 이동블록을 제3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5 이동블록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이동블록의 제1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제4 이동블록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4 이동블록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준창에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를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가 이웃하게 배치됨으로써, 조준점을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어 영점조정이 간편하고 신속한 도트 사이트 조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조준점 이동유닛과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조준점 이동유닛에 의한 조준점의 영점조정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조준점 이동유닛과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6은 제1 및 제2 조준점 이동유닛에 의한 조준점의 영점조정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C-C'선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조준점 이동유닛과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7은 제1 및 제2 조준점 이동유닛에 의한 조준점의 영점조정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고, 도 8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축은 Z축, 제2축은 Y축, 제3축은 X축으로 도면에 표시하고, 도 1을 제외한 나머지 도 2 내지 도 9에서는 조준기 몸체(110)의 일부만을 표시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목표물을 조준하는 조준창(111)이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110)와, 조준기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준창(111)에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121)를 구비하는 조준점 생성유닛(120)과, 광원부(121)에 연결되며 광원부(121)를 이동시켜 조준점을 조준창(111)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131)를 구비하는 제1 조준점 이동유닛(130)과, 광원부(121)에 연결되며 광원부(121)를 이동시켜 조준점을 조준점에서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 조절부(131)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조절부(141)를 구비하는 제2 조준점 이동유닛(140)을 포함한다.
제1 조준점 이동유닛(130)과 제2 조준점 이동유닛(140)은 본 실시예의 도트 사이트 조준기의 영점 조정에 사용된다. 사용자의 영점 조정의 편의를 위해 제1 조절부(131)와 제2 조절부(141)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조절부(131)와 제2 조절부(141)는 조준기 몸체(110)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함께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조절부(131)와 제2 조절부(141)가 조준기 몸체(110)의 중앙영역에 대하여 제2축 방향(제2축 방향)에 함께 배치된 경우로 설명한다.
한편 조준기 몸체(110)는 총기(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조준기 몸체(110)는 내부에 배치된 조준점 생성유닛(120)을 차폐하고 사용자의 영점 조정을 위해 제1 조절부(131) 및 제2 조절부(141)를 외부에 노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준창(111)에는, 조준점이 투영되며 후술할 빔 스플리터(126)를 보호하는 보호 글라스(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조준점 생성유닛(120)은 조준기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준점 생성유닛(120)은 조준창(111)에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121)와, 광원부(121)에서 출사된 빛을 조준창(111)으로 반사하는 빔 스플리터(126)를 포함한다.
광원부(121)는, 빛을 발광(發光)하는 발광부(122)와, 발광부(122)가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1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22)는 LED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발광소자가 본 실시예의 발광부(122)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21)는 조준기 몸체(110)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제1축 방향에 배치되어 빛을 빔 스플리터(126) 방향으로 출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121)는 조준기 몸체(110)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아래쪽에 배치되어 광원부(121)의 상측에 배치된 빔 스플리터(126)를 향해 빛을 출사한다.
빔 스플리터(126)는, 광원부(12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광원부(121)에서 출사된 빛을 조준창(111)으로 반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126)는 직각프리즘 2개를 합한 빔 분리 프리즘(127)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빔 스플리터(126)는, 두 빔 분리 프리즘(127)의 경계면이 되는 두 경사면(S) 중 어느 하나에 반사 코팅(예를 들어 50%반사 코팅)을 한 후 접합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빔 스플리터(126)는, 광원부(121)에서 출사된 빛을 일부(예를 들어 50%)를 조준창(111)으로 반사한다. 즉, 빔 스플리터(126)의 경사면(S)에 의해 광원부(121)에서 출사된 빛이 제3축 방향으로 반사된다.
또한, 외부 목표물에 반사된 광선은 빔 스플리터(126)를 통과하여 조준창(111)을 거쳐 사용자 눈의 망막에 도달된다.
한편, 제1 조준점 이동유닛(130)은 조준점을 조준창(111)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조준점 이동유닛(130)에는 광원부(121)를 이동시켜 조준점을 조준창(111)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131)가 구비된다.
제1 조절부(131)는 조준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조절부(131)는, 조준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조절부용 회전축(131a)과, 제1 조절부용 회전축(131a)에 마련되며 후술할 제1 이동블록(132)이 치합되는 제1 조절부용 나사부(131b)와, 제1 조절부용 회전축(131a)에 연결되며 제1 조절부용 회전축(131a)을 회전시키는 제1 조절부용 조절노브(131c)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조준점 이동유닛(130)은, 제1 조절부(131)에 치합되며 제1 조절부(131)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블록(132)과, 제1 이동블록(132)에 연결되고 제1 이동블록(132)의 이동에 의해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광원부(121)가 연결되는 제2 이동블록(133)을 포함한다.
제1 이동블록(132)은, 제1 조절부용 나사부(131b)에 치합되어 제1 조절부(131)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이러한 제1 이동블록(132)은 조준기 몸체(110)의 내벽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조절부(131)의 회전운동 시 제1 조절부(131)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한다.
제2 이동블록(133)은, 고정용 브라켓(123)과 제1 이동블록(132) 사이에 배치되며 고정용 브라켓(123)과 제1 이동블록(132)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이동블록(133)은, 제1 이동블록(132)의 이동에 의해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2 이동블록(133)에 연결된 광원부(121)를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6 참조)
제1 이동블록(132)의 제2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2 이동블록(133)이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이동블록(132)과 제2 이동블록(133)의 접촉면은 제2축 방향과 제3축 방향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조준점 이동유닛(130)은, 제2 조준점 이동유닛(140)에 연결되며 광원부(121)를 제2 이동블록(133)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광원부용 가압부재(134)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용 가압부재(134)는 후술할 제3 이동블록(142)에 지지되며 고정용 브라켓(123)을 제2 이동블록(133)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용 가압부재(134)는 광원부(121)를 제2 이동블록(133)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광원부용 가압부재(134)는 광원부(121)를 제2 이동블록(133)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광원부(121)가 제3축 방향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광원부(121)의 제3축 방향의 이동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을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2 조준점 이동유닛(140)은, 조준점을 조준창(111)에서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2 조준점 이동유닛(140)에는 광원부(121)를 이동시켜 조준점을 조준창(111)에서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조절부(141)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조절부(141)는 조준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조절부(141)는, 조준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조절부용 회전축(141a)과, 제2 조절부용 회전축(141a)에 마련되며 후술할 제3 이동블록(142)이 치합되는 제2 조절부용 나사부(141b)와, 제2 조절부용 회전축(141a)에 연결되며 제2 조절부용 회전축(141a)을 회전시키는 제2 조절부용 조절노브(141c)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조준점 이동유닛(140)은, 제2 조절부(141)에 치합되고 제2 조절부(141)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광원부(121)를 지지하는 제3 이동블록(142)을 포함한다.
제3 이동블록(142)은, 제2 조절부용 나사부(141b)에 치합되어 제2 조절부(141)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이러한 제3 이동블록(142)은 조준기 몸체(110)의 내벽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조절부(141)의 회전운동 시 제2 조절부(141)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한다.
이러한 제3 이동블록(142)의 제2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광원부(121)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5 참조)
또한 광원부(121)의 제2축 방향의 이동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을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130)은, 제1 조절부(1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블록(132)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1 이동블록(132)의 상측에 배치되어 조준기 몸체(110)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135)와, 상기 제1 이동블록(132)과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이동블록(132)을 제2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이동블록용 가압부재(1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135)는 조준기 몸체(110)와의 사이에 제1 이동블록(132)이 개재되도록 조준기 몸체(1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제1 지지부재(135)와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된 제1 이동블록(132)은 제2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제2축과 제3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제1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1 이동블록(132)은 제1 조절부(131)의 회전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1 이동블록(132)이 제1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135)에는 제1 조절부(131)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제1 고정편(135a)이 일체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재(135)는 제1 이동블록(132)과 제2 이동블록(13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블록(132)과 제2 이동블록(133)의 제1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동시에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블록용 가압부재(136)는 제1 조절부용 회전축(131a)상에 삽입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블록(132)은 제1 조절부용 나사부(131b)와 치합되는 것이므로 수나사와 암나사의 치합을 위한 조립 공차 내에서 제2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조준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때, 제1 이동블록(132)이 제1 이동블록용 가압부재(136)에 의해 제2축 상에서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됨에 따라, 수나사와 암나사가 일측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나사와 암나사의 치합을 위한 조립 공차에 의해 조준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고정편(135a)을 제1 조절부용 회전축(131a)의 일단부에 배치하고, 상기 제1 이동블록용 가압부재(136)를 제1 조절부용 회전축(131a)의 제1 이동블록(132)을 관통하는 타단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140)은, 상기 제3 이동블록(142)이 제2 조절부(141)의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3 이동블록(142)의 상측에 배치되어 조준기 몸체(10)에 고정되는 제2 지지부재(143)와, 상기 제3 이동블록(142)과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3 이동블록(142)을 제2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3 이동블록용 가압부재(14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부재(143)는 조준기 몸체(110)와의 사이에 제3 이동블록(142)이 개재되도록 조준기 몸체(1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2 지지부재(143)와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된 제3 이동블록(142)은 제2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제2축과 제3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제1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3 이동블록(142)은 제2 조절부(141)의 회전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3 이동블록(142)이 제1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143)에는 제2 조절부(141)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제2 고정편(143a)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동블록용 가압부재(144)는 제2 조절부용 회전축(141a)상에 삽입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블록용 가압부재(136)와 마찬가지로 제3 이동블록(142)과 제2 조절부(140)의 조립공차에 의해 조준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조립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2 고정편(143a)을 제2 조절부용 회전축(141a)의 일단부에 배치하고, 상기 제3 이동블록용 가압부재(144)를 제2 조절부용 회전축(141a)의 제3 이동블록(142)을 관통하는 타단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이동블록(132)과 제2 이동블록(133)의 접촉면과, 상기 제2 이동블록(133)과 고정용 브라켓(123)의 접촉면, 그리고 고정용 브라켓(123)과 제3 이동블록(142)의 접촉면에는 제1축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제1축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과 걸림홈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블록(132)의 걸림 턱(132a)은 제2 이동블록(13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 홈(133b)에 삽입되고, 제2 이동블록(133)의 걸림 턱(133a)은 고정용 브라켓(12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 홈(123b)에 삽입되고, 고정용 브라켓(123)의 걸림 턱(123a)은 제3 이동블록(142)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 홈(142b)에 삽입된다. 즉, 제1 이동블록(132)과 제2 이동블록(133)과 고정용 브라켓(123) 및 제3 이동블록(142)은 순차적으로 제1축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린 다음, 제1 지지부재(135)와 제2 지지부재(143)에 의해 조준기 몸체(110)와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가 되므로, 제1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된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의 작동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영점 조정을 위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을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절부(141)를 회전시키면, 제2 조절부(141)의 회전에 의해 제3 이동블록(142)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3 이동블록(142)의 이동에 의해 제3 이동블록(142)에 지지되는 광원부(121)가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광원부(121)가 제2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도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영점 조정을 위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을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부(131)를 회전시키면, 제2 조절부(141)의 회전에 의해 제1 이동블록(132)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1 이동블록(132)의 제2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2 이동블록(133)이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 이동블록(133)의 이동에 의해 광원부(121)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광원부(121)의 제3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이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조준창(111)에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121)를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131)와 제2 조절부(141)가 이웃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준점을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어 영점조정이 간편하고 신속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130)과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140)이 상기 조준기 몸체(110)의 일측면(도 1의 X-Y평면과 나란한 면)에 함께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절부(131)와 제2 조절부(141)가 상기 일측면과 나란한 평면(도 1의 X-Y평면과 나란한 면)상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제1 조준점 이동유닛과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16은 제1 및 제2 조준점 이동유닛에 의한 조준점의 영점조정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C-C'선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0을 제외한 나머지 도 11 내지 도 17에서는 조준기 몸체(110)의 일부만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221)는 조준기 몸체(210)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측방향(제2축 방향)에 배치되어 빛을 빔 스플리터(226) 방향으로 출사한다.
또한 빔 스플리터(226)는 광원부(221)에서 출사된 빛을 조준창(211)으로 반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빔 스플리터(226)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각프리즘 2개를 합한 빔 분리 프리즘(227)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빔 스플리터(226)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원부(221)에서 출사된 빛을 총열과 나란한 제3축 방향으로 반사하는 경사면(S)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221)는, 빛을 발광(發光)하는 발광부(222)와 발광부(222)가 결합된 고정용 브라켓(2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조준점 이동유닛(230)은, 조준점을 조준창(211)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조준점 이동유닛(230)은 조준기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조절부(231)와, 제1 조절부(231)에 치합되고 광원부(221)를 지지하며 제1 조절부(231)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4 이동블록(232)을 포함한다.
제1 조절부(231)는 조준기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제1 조절부(231)는, 조준기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조절부용 회전축(231a)과, 제1 조절부용 회전축(231a)에 마련되며 후술할 제4 이동블록(232)이 치합되는 제1 조절부용 나사부(231b)와, 제1 조절부용 회전축(231a)에 연결되며 제1 조절부용 회전축(231a)을 회전시키는 제1 조절부용 조절노브(231c)를 포함한다.
제4 이동블록(232)은 제1 조절부용 나사부(231b)에 치합되어 제1 조절부용 조절노브(231c)의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4 이동블록(232)은 광원부(221)를 지지하므로, 제4 이동블록(232)의 제1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광원부(221)도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13 참조)
광원부(221)의 제1축 방향의 이동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창(211)에서 조준점을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광원부(221)는 제4 이동블록(232)에 제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4 이동블록(232)에는 상술한 고정용 브라켓(223)의 가이드 홈(223b)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아(232a)가 마련된다.
제4 이동블록(232)의 가이드 바아(232a)는, 가이드 홈(223b)에 삽입되어 제4 이동블록(232)의 제1축 방향의 이동에 광원부(221)의 이동을 동기화하며, 광원부(221)의 제3축 방향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조준점 이동유닛(240)은, 조준점을 조준창(211)에서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2 조준점 이동유닛(240)은, 조준기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조절부(241)와, 제2 조절부(241)에 치합되고 제2 조절부(241)에 의해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광원부(221)를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광원부(221)가 제1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이동블록(242)을 포함한다.
제2 조절부(241)는 조준기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에 의해 광원부(221)를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2 조절부(241)는, 조준기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조절부용 회전축(241a)과, 제2 조절부용 회전축(241a)에 마련되며 후술할 제5 이동블록(242)이 치합되는 제2 조절부용 나사부(241b)와, 제2 조절부용 회전축(241a)에 연결되며 제2 조절부용 회전축(241a)을 회전시키는 제2 조절부용 조절노브(241c)를 포함한다.
제5 이동블록(242)은, 제2 조절부용 나사부(241b)에 치합되어 제2 조절부용 조절노브(241c)의 회전에 따라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12 참조)
이러한 제5 이동블록(242)은 광원부(221)와 결합되어 제3축 방향으로의 이동 시 광원부(221)를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광원부(221)의 제3축 방향의 이동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창(211)에서 조준점을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5 이동블록(242)에는 광원부(221)가 제1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5 이동블록(242)에는 광원부(221)의 제1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24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공(242a)은 장홀 형태로 마련되어 제1 조준점 이동유닛(230)에 의한 광원부(221)의 제1축 방향 이동 시 광원부(22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광원부(221)는, 제5 이동블록(242)의 제3축 방향 이동에 구속되어 제5 이동블록(242)의 제3축 방향 이동 시 제5 이동블록(242)과 함께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4 이동블록(232)의 제1축 방향의 이동 시 제5 이동블록(242)의 가이드공(242a)을 따라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230)은, 상기 제4 이동블록(232)과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4 이동블록(232)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4 이동블록용 가압부재(2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4 이동블록용 가압부재(233)는 제1 조절부용 회전축(231a)상에 삽입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이동블록(232)은 제1 조절부용 나사부(231b)와 치합되는 것이므로 수나사와 암나사의 치합을 위한 조립 공차 내에서 제1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조준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때, 상기 제4 이동블록(232)이 제4 이동블록용 가압부재(233)에 의해 제1축 상에서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됨에 따라, 수나사와 암나사가 일측방향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영점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수나사와 암나사의 치합을 위한 조립공차에 의해 조준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조준점 이동유닛(230)은, 제2 조준점 이동유닛(240)에 연결되며 광원부(221)를 제4 이동블록(232)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광원부용 가압부재(2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부용 가압부재(234)의 탄성력은 상기 제4 이동블록용 가압부재(23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게 설정되어, 상기 제4 이동블록(232)이 제1 조절부(231)의 축방향에 대해 일측방향으로만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용 가압부재(234)는 후술할 제5 이동블록(242)에 지지되며 고정용 브라켓(223)을 제4 이동블록(232)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용 가압부재(234)는 광원부(221)를 제4 이동블록(232)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광원부용 가압부재(234)는 광원부(221)를 제4 이동블록(232)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광원부(221)가 제1축 방향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230)은 상기 제4 이동블록(232)이 제1 조절부(231)의 회전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4 이동블록(232)의 상측에 배치되어 조준기 몸체(110)에 고정되는 제3 지지부재(235)를 더 포함한다.
특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이동블록(232)과 제5 이동블록(242)은 조준기 몸체(110)와 제3 지지부재(235) 사이에 중첩된 상태로 개재된 상태에서, 제4 이동블록(232)과 제5 이동블록(242)은 각각 제1축 또는 제3축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제1축과 제3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5 이동블록(242)과 고정용 브라켓(223)의 접촉면에는 제2축 방향으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과 걸림홈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브라켓(223)의 걸림 턱(223a)이 제5 이동블록(242)의 걸림 홈(242b)에 맞물려 고정용 브라켓(223)의 제2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제5 이동블록(242)은 제4 이동블록(232)의 가이드블록(232a)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4 이동블록(232)은 제3 지지부재(235)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고정용 브라켓(223)과 제5 이동블록(242)과 제4 이동블록(232)가 조준기 몸체(110)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4 이동블록(232)은 제3 지지부재(235)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고정용 브라켓(223)과 제5 이동블록(242)과 제4 이동블록(232)의 제2축 방향에 대한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240)은, 상기 제5 이동블록(242)과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5 이동블록(242)을 제3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5 이동블록용 가압부재(2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이동블록용 가압부재(243)는 제2 조절부용 회전축(241a)상에 삽입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이동블록용 가압부재(233)와 마찬가지로 제5 이동블록(242)과 제2 조절부(240)의 조립공차에 의해 조준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의 작동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6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영점 조정을 위해 조준창(211)에서 조준점을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절부(241)를 회전시키면, 제2 조절부(241)의 회전에 의해 제5 이동블록(242)이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5 이동블록(242)의 이동에 의해 제5 이동블록(242)에 지지되는 광원부(221)가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광원부(221)가 제3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도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영점 조정을 위해 조준창(211)에서 조준점을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부(231)가 회전되고 제1 조절부(231)의 회전에 의해 제4 이동블록(232)이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4 이동블록(232)의 제1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4 이동블록(232)이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4 이동블록(232)의 이동에 의해 광원부(221)는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광원부(221)의 제1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이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조준창(211)에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221)를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231)와 제2 조절부(241)가 이웃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준점을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어 영점조정이 간편하고 신속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230)과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240)이 상기 조준기 몸체(110)의 일측면(도 10의 X-Z평면과 나란한 면)에 함께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절부(231)와 제2 조절부(241)가 상기 일측면과 나란한 평면(도 10의 X-Z평면과 나란한 면)상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210: 조준기 몸체 111, 211: 조준창
120, 220: 조준점 생성유닛 121, 221: 광원부
122, 222: 발광부 123, 223: 고정용 브라켓
126, 226: 빔 스플리터 127, 227: 빔 분리 프리즘
130, 230: 제1 조준점 이동유닛 131, 231: 제1 조절부
131a, 231a: 제1 조절부용 회전축 131b, 231b: 제1 조절부용 나사부
131c, 231c: 제1 조절부용 조절노브 132: 제1 이동블록
133: 제2 이동블록 134, 234: 광원부용 가압부재
135:제1 지지부재 135a:제1 고정편
136:제1 이동블록용 가압부재 140, 240: 제2 조준점 이동유닛
141, 241: 제2 조절부 141a, 241a: 제2 조절부용 회전축
141b, 241b: 제2 조절부용 나사부 141c, 241c: 제2 조절부용 조절노브
142: 제3 이동블록 143:제2 지지부재
143a:제2 고정편 144:제3 이동블록용 가압부재
132a,133a,123a,223a:걸림 턱 133b,123b,142b,242b:걸림 홈
223b: 가이드 홈 232: 제4 이동블록
232a: 가이드 바아 233:제4 이동블록용 가압부재
235:제3 지지부재 242: 제5 이동블록
242a: 가이드공 243:제5 이동블록용 가압부재
S: 경사면

Claims (23)

  1. 목표물을 조준하는 조준창이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
    상기 조준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창에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조준점 생성유닛;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를 이동시켜 상기 조준점을 상기 조준창에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를 구비하는 제1 조준점 이동유닛; 및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를 이동시켜 상기 조준점을 상기 조준점에서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조절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는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과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조준기 몸체의 일측면에 함께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는 상기 일측면과 나란한 평면상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함께 배치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1 조절부에 치합되며, 상기 제1 조절부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제1 이동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광원부가 연결되는 제2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를 상기 제2 이동블록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광원부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제2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제1 이동블록이 제1 조절부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조절부를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고정편을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이동블록과 제2 이동블록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제1 이동블록과 제2 이동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블록과 제2 이동블록의 결합면과, 상기 제2 이동블록과 조준점 생성유닛의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1 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이동블록을 제2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이동블록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2 조절부에 치합되고 상기 제2 조절부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광원부를 지지하는 제3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축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점 생성유닛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제3축 방향으로 반사하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블록의 제2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제3 이동블록이 제2 조절부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3 이동블록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조절부를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고정편을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블록과 조준점 생성유닛의 결합면에는 상기 제2축 방향과 상기 제3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1축 방향에 대해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3 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3 이동블록을 제2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3 이동블록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1 조절부에 치합되고 상기 광원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4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4 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4 이동블록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4 이동블록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2 조절부에 치합되고 상기 제2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광원부를 상기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광원부가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이동블록에는, 상기 광원부의 상기 제1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2축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점 생성유닛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되는 제3축 방향으로 반사하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동블록과 조준점 생성유닛의 결합면에는 상기 제2축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준점 이동유닛은,
    상기 제5 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5 이동블록을 제3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5 이동블록용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동블록의 제1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제4 이동블록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4 이동블록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1020150052970A 2015-04-15 2015-04-15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10232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70A KR102323147B1 (ko) 2015-04-15 2015-04-15 도트 사이트 조준기
US15/099,278 US9671195B2 (en) 2015-04-15 2016-04-14 Dot sighting device
US15/582,683 US9945638B2 (en) 2015-04-15 2017-04-29 Dot sighting device
US15/954,192 US10598463B2 (en) 2015-04-15 2018-04-16 Dot s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70A KR102323147B1 (ko) 2015-04-15 2015-04-15 도트 사이트 조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09A KR20160123009A (ko) 2016-10-25
KR102323147B1 true KR102323147B1 (ko) 2021-11-05

Family

ID=5712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970A KR102323147B1 (ko) 2015-04-15 2015-04-15 도트 사이트 조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9671195B2 (ko)
KR (1) KR102323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3821B (en) * 2018-05-18 2022-08-17 Shield Corporation Ltd An adjustment assembly in a firearm sight
KR102040266B1 (ko) * 2018-08-07 2019-11-04 (주)이오시스템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KR102040267B1 (ko) * 2018-08-07 2019-11-04 (주)이오시스템 초점조절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KR102040265B1 (ko) * 2018-08-07 2019-11-04 (주)이오시스템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US10663254B1 (en) * 2019-06-12 2020-05-26 Haim Refael Molcho Illumination module for a handgu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9659A1 (en) * 2008-10-02 2011-09-15 Trijicon, Inc. Optical sight
US20140075820A1 (en) * 2011-04-03 2014-03-20 Ipu Industries Ltd Firearm gun-sigh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9980A1 (de) * 1971-10-07 1973-04-12 Rheinmetall Gmbh Visiergeraet fuer feuerwaffen
US3867764A (en) * 1973-04-24 1975-02-25 Us Army Aiming light and aiming light adapter for use on a weapon
US4168588A (en) * 1977-10-31 1979-09-25 Snyder Wesley L Aiming system for weapons
US4417814A (en) * 1980-09-23 1983-11-29 Litton Systems, Inc. Night sight with illuminated aiming point
US5351429A (en) * 1993-02-26 1994-10-04 Ford Wilson H Laser sighting device for firearms
US5653034A (en) * 1995-05-24 1997-08-05 Trijicon, Inc. Reflex sighting device for day and night sighting
US7472830B2 (en) * 2005-01-25 2009-01-06 Crimson Trace Corporation Compact laser aiming assembly for a firearm
US8695267B2 (en) * 2006-02-04 2014-04-15 Lasermax, Inc. Firearm mount with embedded sight
US7634866B2 (en) * 2007-03-09 2009-12-22 Meopta optika s.r.o. Gun site having removable adjustable modules
KR100906159B1 (ko) * 2007-07-06 2009-07-03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TWI356156B (en) * 2008-03-10 2012-01-11 Asia Optical Co Inc Laser sight
SE533391C2 (sv) * 2008-05-09 2010-09-14 Gs Dev Ab Kombinationssikte
US7997023B2 (en) * 2008-09-05 2011-08-16 Moore Larry E Gun with mounted sighting device
US20100077646A1 (en) * 2008-09-30 2010-04-01 Leonid Gaber Quick-acquisition optical sight with red-dot-indication function
US20120151816A1 (en) * 2009-01-23 2012-06-21 Jeffrey Kleck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ing an electronic weapon sight
US8336776B2 (en) * 2010-06-30 2012-12-25 Trijicon, Inc. Aiming system for weapon
US8151510B2 (en) * 2010-08-24 2012-04-10 Ronnie Rex Capson Partial optical sighting device
KR101394738B1 (ko) * 2012-10-09 2014-05-15 정보선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1511420B1 (ko) 2012-10-10 2015-04-10 정보선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PL3019812T3 (pl) * 2013-07-09 2019-04-30 Zieger Cory Modułowy holograficzny system celowniczy
US9423212B2 (en) * 2014-01-13 2016-08-23 Leupold & Stevens, Inc. Reflex sight adjust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9659A1 (en) * 2008-10-02 2011-09-15 Trijicon, Inc. Optical sight
US20140075820A1 (en) * 2011-04-03 2014-03-20 Ipu Industries Ltd Firearm gun-s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5638B2 (en) 2018-04-17
US9671195B2 (en) 2017-06-06
US20160305741A1 (en) 2016-10-20
US10598463B2 (en) 2020-03-24
KR20160123009A (ko) 2016-10-25
US20170234649A1 (en) 2017-08-17
US20180231351A1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147B1 (ko)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101068290B1 (ko) 도트사이트 모드 및 스코프 모드 겸용 광학식 조준경
EP3692323B1 (en) Open frame reflex pivot mechanics
US8984795B2 (en) Small arm dot sight device
US10655933B2 (en) Dot sight device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US9389046B2 (en) Sight module for firearm
US8867129B2 (en) Sighting telescope
WO2024027245A1 (zh) 红点瞄准镜
KR20190039508A (ko) 이동가능 레드 도트와 조명기를 갖는 뷰파인더
KR101999680B1 (ko) 도트 사이트 장치
KR101569205B1 (ko) 야간 조준경
KR20190039510A (ko) 망원 조준기
KR101375373B1 (ko) 도트사이트 장착용 권총 슬라이드
KR102522514B1 (ko) 접이식 도트사이트 장치
RU2073821C1 (ru) Юстировочный механизм прицела
KR101929282B1 (ko)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20210043477A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JP2010249895A (ja) 照準望遠鏡の変倍装置
JP2010071683A (ja) 照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