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205B1 - 야간 조준경 - Google Patents

야간 조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205B1
KR101569205B1 KR1020130150953A KR20130150953A KR101569205B1 KR 101569205 B1 KR101569205 B1 KR 101569205B1 KR 1020130150953 A KR1020130150953 A KR 1020130150953A KR 20130150953 A KR20130150953 A KR 20130150953A KR 101569205 B1 KR101569205 B1 KR 10156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guide
zero point
optical system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530A (ko
Inventor
김권
정종수
Original Assignee
(주)이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15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2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사용 화기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영상 증폭관을 이용한 관측 및 조준용 광학장비로 조준 망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야간 조준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야간 조준경은 바디에 제공되며 피사체를 향해 배치되는 대물광학계, 대물광학계를 통해 전달된 미광을 증폭하는 영상증폭관, 영상증폭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조준 망선을 표시하고 조준 망선의 영점을 조절하는 망선 조립체, 그리고 망선 조립체에 연결되는 접안광학계를 포함하며, 대물광학계, 영상증폭관, 망선 조립체, 그리고 접안광학계는 피사체의 반대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바디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야간 조준경{Night sight}
본 발명은 군사용 화기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영상 증폭관을 이용한 관측 및 조준용 광학장비로 조준 망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야간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 조준경은 미세한 빛을 증폭시켜 야간에도 물체를 육안으로 볼 수 있으며 군사용 화기에 주로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야간 조준경은 피사체를 기준으로 대물 광학계, 조준 망선, 릴레이 광학계, 영상 증폭관, 그리고 접안 광학계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술한 야간 조준경은 영상 증폭관의 입사면 앞에 발광 망선과 릴레이 광학계가 배치되어 영상 증폭관에 출사된 영상과 조준 망선(발광 망선)이 동일한 색상으로 투사된다. 따라서 조준 망선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야간 조준경은 릴레이 광학계(또는 투사 광학계)가 배치되어 야간 조준경의 길이가 길어지고, 부품의 수가 많아져 생산비용이 증가될 뿐 만 아니라 무게도 증가하여 야간 조준경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57664호(1999. 07. 15.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영상과 조준 망선이 서로 다른 색상(또는 보색)으로 투사되도록 하여 조준 망선의 시인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야간 조준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축 방향의 길이, 무게, 그리고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성능을 향상시키는 야간 조준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에 제공되며 피사체를 향해 배치되는 대물광학계, 상기 대물광학계를 통해 전달된 미광을 증폭하는 영상증폭관, 상기 영상증폭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조준 망선을 표시하고 조준 망선의 영점을 조절하는 망선 조립체, 그리고 상기 망선 조립체에 연결되는 접안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물광학계, 상기 영상증폭관, 상기 망선 조립체, 그리고 상기 접안광학계는 상기 피사체의 반대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야간 조준경을 제공한다.
상기 망선 조립체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프리즘과 상기 프리즘의 외주에 제공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광속 분리기,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점조정기, 상기 제1 영점조정기의 중심선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영점조정기,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영점조정기와 상기 제2 영점조정기 측으로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스프링 플런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망선 광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즘은 상기 망선 광원모듈에서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반사면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영점조정기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제공된 제1 고정부재,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제1 이동부재, 상기 제1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1 노브, 그리고 상기 상기 제1 이동부재에 끼워져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하는 제1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광축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 핀 가이드홈이 제공되고, 상기 제1 핀가이드는 선단부가 상기 제1 핀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핀 가이드홈은 단면이 V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영점조정기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제공된 제2 고정부재,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제2 이동부재, 상기 제2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 노브,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부재에 끼워져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하는 제2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광축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핀 가이드홈이 제공되고, 상기 제2 핀가이드는 선단부가 상기 제2 핀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핀 가이드홈은 단면이 V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플런저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플런저 케이스, 상기 플런저 케이스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출력 영상과 조준 망선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보색으로 투사되어 조준 망선의 시인성을 극대화시켜 야간 조준경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물 광학계와 영상 증폭관 사이에 릴레이 광학계를 생략하여 야간 조준경의 크기와 중량을 줄임으로써 야간 조준경의 제조 비용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조준 망선의 영점 조정이 용이하고 조준 망선의 영점 조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망선 조립체가 야간 조준경의 바디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의 충격과 진동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야간 조준경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야간 조준경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야간 조준경에 설치된 망선 조립체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부를 잘라서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야간 조준경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야간 조준경은 바디(1), 대물광학계(3), 영상증폭관(5), 망선 조립체(7), 그리고 접안 광학계(9)를 포함한다.
바디(1)는 야간 조준경의 외형을 이룬다. 그리고 바디(1)에는 대물광학계(3), 영상증폭관(5), 망선 조립체(7), 그리고 접안 광학계(9)가 피사체 반대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대물광학계(3)는 피사체를 향해 배치되며 피사체의 상과 미광(微光)이 통과된다.
영상증폭관(5)은 바디(1)에 설치되어 대물광학계(3)를 통해 전달된 미광을 증폭할 수 있다.
접안 광학계(9)는 사용자의 눈쪽에 배치되어 영상증폭관(5)을 통과한 영상을 볼 수 있다.
망선 조립체(7)는 영상증폭관(5)의 일측에 배치되어 조준 망선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조준 망선의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망선 조립체(7)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속 분리기(11), 제1 영점조정기(13), 제2 영점조정기(15), 스프링 플런저(17), 그리고 망선 광원모듈(19)을 포함한다.
광속 분리기(11)는 프리즘(11a)과 이 프리즘(11a)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하우징(11b)을 포함한다.
프리즘(11a)에는 망선 광원모듈(19)에서 조사되는 광원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반사면(11c, 도 4 참조)이 제공된다. 이러한 반사면(11c)은 망선 광원모듈(19)에서 조사된 광원을 접안 광학계(9) 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바디(1)에는 하우징(11b)의 상부(도 2 기준 Y축 방향)측에 제1 영점조정기(13)가 배치된다.
제1 영점조정기(13)는 제1 고정부재(21), 제1 이동부재(23), 제1 노브(25), 그리고 제1 핀가이드(27)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21)는 바디(1)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내주면에 나사홈(21a)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1 이동부재(23)는 외주면에 나사산(23a)이 제공된다. 제1 이동부재(23)의 나사산(23a)은 제1 고정부재(21)의 나사홈(21a)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23)는 제1 고정부재(21)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Y축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5 기준).
제1 이동부재(23)에는 제1 노브(25)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노브(25)는 제1 이동부재(23)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생략할 수 도 있다.
제1 핀가이드(27)는 제1 이동부재(23)의 하부(도 5 기준)에 삽입되어 하우징(11b)과 제1 이동부재(2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핀가이드(27)는 하부에 단면이 V자 모양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7a)가 제공된다.
한편, 하우징(11b)에는 광축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 핀 가이드홈(11d)이 제공된다. 제1 핀 가이드홈(11d)은 선형으로 이루어지며 단면이 V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제1 핀가이드(27)의 돌출부(27a)는 제1 핀 가이드홈(11d)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제1 핀 가이드홈(11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점조정기(15)는 제1 영점조정기(13)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도 2에서 -X축 방향)으로 바디(1)에 결합된다.
제2 영점조정기(15)는 제2 고정부재(29), 제2 이동부재(31), 제2 노브(33), 그리고 제2 핀가이드(35)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재(29)는 바디(1)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내주면에 또 다른 나사홈(29a)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2 이동부재(31)는 외주면에 나사산(31a)이 제공된다. 제2 이동부재(31)의 나사산(31a)은 제2 고정부재(29)의 나사홈(29a)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제2 이동부재(31)는 제2 고정부재(29)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X축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5 기준).
제2 이동부재(31)에는 제2 노브(33)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노브(33)는 제2 이동부재(31)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생략할 수 도 있다.
제2 핀가이드(35)는 제2 이동부재(31)의 일측(도 5 기준)에 삽입되어 하우징(11b)과 제2 이동부재(3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핀가이드(35)는 하우징(11b)을 향하는 선단부에 단면이 V자 모양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5a)가 제공된다.
한편, 하우징(11b)에는 광축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또 다른 제2 핀 가이드홈(11e)이 제공된다. 제2 핀 가이드홈(11e)은 선형으로 이루어지며 단면이 V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제2 핀가이드(35)의 돌출부(35a)는 제2 핀 가이드홈(11e)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제2 핀 가이드홈(11e)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 플런저(17)는 바디(1)에 설치된다. 스프링 플런저(17)는 제1 영점조정기(13) 또는 제2 영점조정기(15)에서 대략 135ㅀ의 각도(광축을 기준으로 함)가 떨어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플런저(17)는 플런저 케이스(37), 지지부재(39), 그리고 스프링(41)을 포함한다.
플런저 케이스(37)는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바디(1)에 결합된다. 지지부재(39)는 플런저 케이스(37)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일단이 하우징(11b)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41)은 플런저 케이스(37)의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부재(39)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지지부재(39)를 하우징(11b)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41)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링 플런저(17)는 광축(대물광학계로 입력되는 광의 축을 기준으로 함)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프링 플런저(17)는 하우징(11b)을 가압하여 하우징(11b)을 제1 영점조정기(13)와 제2 영점조정기(15)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망선 광원모듈(19)은 하우징(11b)에 설치되어 프리즘(11a)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십자와 표시와 같은 조준 망선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사체의 영상은 대물광학계(3)를 통해 영상증폭관(5)으로 들어온다. 그리고 영상증폭관(5)을 통해 들어온 영상은 광속 분리기(11)를 통과하여 접안 광학계(9)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안 광학계(9)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망선 광원모듈(19)에서 조준 망선의 형상으로 광원이 프리즘(11a)으로 조사된다. 이때 망선 광원모듈(19)에서 조사되는 조준 망선의 형상의 광원 색상은 영상증폭관(5)을 통해 광속 분리기(11)로 전달되는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망선 광원모듈(19)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색상은 영상증폭관(5)을 통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색상과 보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리즘(11a)으로 조사된 조준 망선 형상의 광원은 반사면(11a)를 통해 접안 광학계(9)로 전달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접안 광학계(9)로 볼 때 피사체의 영상과 조준 망선의 색상이 다른 색으로 보여 조준 망선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피사체의 영상과 조준 망선의 색상이 보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조준 망선의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영점조정기(13)와 제2 영점조정기(15)를 이용하여 조준 망선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해 광속 분리기(11)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제1 영점조정기(13)의 제1 노브(25)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노브(25)의 회전에 의해 제1 이동부재(23)도 회전한다. 제1 이동부재(23)의 나사산(23a)은 제1 고정부재(21)의 나사홈(21a)을 타고 제1 이동부재(23)가 회전한다. 그러면 제1 이동부재(23)가 Y방향 또는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23)가 이동함에 따라 제1 핀가이드(27)도 함께 이동한다.
이때 스프링 플런저(17)의 지지부재(39)가 하우징(11b)을 지지하고 있고, 지지부재(39)는 스프링(4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에 있으므로 지지부재(39)는 하우징(11b)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지지부재(39)가 하우징(11b)에 가압하는 힘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분력이 생기면서 제1 영점조정기(13)의 제1 핀가이드(27)를 Y축 방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제2 영점조정기(15)의 제2 핀가이드(27)를 -X축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제1 핀가이드(27)의 돌출부(27a)는 제1 핀 가이드홈(111d)에 안내되어 이동된 후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광속분리기(11)를 이동시킬 수 있어 조준 망선의 영점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영점조정기(15)의 제2 노브(33)를 회전시키는 경우의 설명은 상술한 제1 영점조정기(13)의 작동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영점조정기(15)를 통해 광속분리기(11)를 제1 영점조정기(13)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조준 망선의 영점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바디, 3. 대물광학계,
5. 영상증폭관, 7. 망선 조립체,
9. 접안 광학계, 11. 광속 분리기,
11a. 프리즘, 11b. 하우징,
11c. 반사면, 11d. 제1 핀 가이드홈,
11e. 제2 핀 가이드홈, 13. 제1 영점조정기,
15. 제2 영점조정기, 17. 스프링 플런저,
19. 망선 광원모듈, 21. 제1 고정부재,
21a. 나사홈, 23. 제1 이동부재,
23a. 나사산, 25. 제1 노브,
27. 제1 핀가이드, 27a. 돌출부,
29. 제2 고정부재, 29a. 나사홈,
31. 제2 이동부재, 31a. 나사산,
33. 제2 노브, 35. 제2 핀가이드,
35a. 돌출부, 37. 플런저 케이스,
39. 지지부재, 41. 스프링

Claims (8)

  1. 바디,
    상기 바디에 제공되며 피사체를 향해 배치되는 대물광학계,
    상기 대물광학계를 통해 전달된 미광을 증폭하는 영상증폭관,
    상기 영상증폭관과 인접하여 상기 영상증폭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조준 망선을 표시하고 조준 망선의 영점을 조절하는 망선 조립체, 그리고
    상기 망선 조립체에 연결되는 접안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물광학계, 상기 영상증폭관, 상기 망선 조립체, 그리고 상기 접안광학계는 상기 피사체의 반대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망선 조립체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프리즘과 상기 프리즘의 외주에 제공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광속 분리기,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제1 영점조정기,
    상기 제1 영점조정기의 중심선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영점조정기,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영점조정기와 상기 제2 영점조정기 측으로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스프링 플런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망선 광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점조정기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제공된 제1 고정부재,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제1 이동부재,
    상기 제1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1 노브,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부재에 끼워져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하는 제1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광축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 핀 가이드홈이 제공되고,
    상기 제1 핀가이드는 선단부가 상기 제1 핀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영점조정기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제공된 제2 고정부재,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제2 이동부재,
    상기 제2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 노브,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부재에 끼워져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하는 제2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광축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핀 가이드홈이 제공되고,
    상기 제2 핀가이드는 선단부가 상기 제2 핀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야간 조준경.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망선 광원모듈에서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반사면이 제공되는 야간 조준경.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핀 가이드홈은
    단면이 V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선형으로 이루어진 야간 조준경.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핀 가이드홈은
    단면이 V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선형으로 이루어진 야간 조준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플런저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플런저 케이스,
    상기 플런저 케이스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야간 조준경.
KR1020130150953A 2013-12-05 2013-12-05 야간 조준경 KR10156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953A KR101569205B1 (ko) 2013-12-05 2013-12-05 야간 조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953A KR101569205B1 (ko) 2013-12-05 2013-12-05 야간 조준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530A KR20150065530A (ko) 2015-06-15
KR101569205B1 true KR101569205B1 (ko) 2015-11-13

Family

ID=5350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953A KR101569205B1 (ko) 2013-12-05 2013-12-05 야간 조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2993A (zh) * 2018-08-14 2020-02-21 昆明环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斑可调的红外数码夜视瞄准观察镜
KR102554615B1 (ko) * 2022-10-14 2023-07-12 주식회사 셀리코 영상 공유 야간투시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6137B2 (en) * 2007-05-22 2010-03-09 Trijicon, Inc. Optical sight
US7961381B2 (en) * 2005-06-24 2011-06-14 Omnitech Partners Combined day and night weapon sight
KR101296340B1 (ko) * 2013-01-17 2013-08-14 임도현 조준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1381B2 (en) * 2005-06-24 2011-06-14 Omnitech Partners Combined day and night weapon sight
US7676137B2 (en) * 2007-05-22 2010-03-09 Trijicon, Inc. Optical sight
KR101296340B1 (ko) * 2013-01-17 2013-08-14 임도현 조준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530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290B1 (ko) 도트사이트 모드 및 스코프 모드 겸용 광학식 조준경
US7784192B2 (en) SWIR vision and illumination devices
US9335124B2 (en) Compact riflescope display adapter
KR101345028B1 (ko) 디스플레이형 광학식 조준경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JPH033206B2 (ko)
US20120206799A1 (en) Binoculars with integrated laser designator/illuminator for illuminating an optical field of view
US8867129B2 (en) Sighting telescope
KR102323147B1 (ko) 도트 사이트 조준기
CN107111119B (zh) 显微镜
KR101569205B1 (ko) 야간 조준경
US10006741B2 (en) Dot sight device
KR101999680B1 (ko) 도트 사이트 장치
CN209979927U (zh) 一种全息瞄准光学元件的加工装置及瞄准装置
JP7231256B2 (ja) レチクルユニット及び光学照準器
US20120287639A1 (en) Universal mounting bracket with optical functions for use with auxiliary optical devices
US8783568B2 (en) Telescopic sight
RU2560355C2 (ru) Голографический коллиматорный прицел
GB2595811A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N113325390B (zh) 一种固定结构中三光调轴方法及系统
US8331021B2 (en) Optical sight having a coaxial illumination function
CN209894041U (zh) 一种棱镜分光式红点枪用瞄准镜
KR20210135153A (ko)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CN103529546A (zh) 准直式瞄准器
RU2567445C1 (ru) Окуля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