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153A -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 Google Patents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153A
KR20210135153A KR1020200172101A KR20200172101A KR20210135153A KR 20210135153 A KR20210135153 A KR 20210135153A KR 1020200172101 A KR1020200172101 A KR 1020200172101A KR 20200172101 A KR20200172101 A KR 20200172101A KR 20210135153 A KR20210135153 A KR 2021013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t
reflector
user
compens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선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정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선 filed Critical 정보선
Priority to US17/246,83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19466B2/en
Priority to PCT/KR2021/005589 priority patent/WO2021225351A1/ko
Publication of KR2021013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는 전방과 후방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는 도트시표 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목표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투과하고,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시켜 도트시표 허상을 제공하는 오목 형상의 반사경; 및 상기 반사경과 함께 하우징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볼록 형상의 보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Dot sight aiming device with anti-shake compensation plate}
본 발명은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반사경과 함께 목표물 상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보상판을 배치함으로써,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흔들림에 따라 목표물의 상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총 또는 중기관총의 특성은 신속하게 조준 사격을 할 수 있는지와 정확하게 표적을 조준할 수 있는지에 의해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소총 또는 중기관총의 조준은 가늠자와 가늠쇠의 조준선 정렬에 의해 이루어진다. 총열의 끝단에 위치하는 가늠쇠와 총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는 가늠자의 조준선 정렬에 의한 조준은, 그 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정확한 사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가늠자와 가늠쇠만으로 조준을 하기에는 작은 진동이나 떨림에도 조준선 정렬이 어려워지고, 근거리 사격이나 급박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조준하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즉, 이러한 조준 사격방법에서는, 목표 포착 및 확인, 조준선 정렬, 조준 등의 복잡한 과정과 시간이 요구되며,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가 매우 작아서 이를 정확하게 정렬함에 있어서 작은 떨림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조준선 정렬에 신경을 쓰다 보면, 표적이나 전방 상황보다는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에 시선이 집중되어 사격 또는 긴급 상황 대처에 필요한 시야가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준선 정렬의 어려움에 대처하고 조준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망원렌즈를 장착한 조준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망원렌즈를 장착한 광학식 조준기는 망원렌즈의 배율이 올라가면 마찬가지로 작은 떨림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므로 신속한 조준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결국,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와 같이 광학식 조준기에 무배율 또는 저배율 렌즈를 사용하면서 복잡한 조준선을 없애고 간단하게 조준점만을 이용하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는, 도 1과 같이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구비한 경통형 하우징(10), 상기 경통형 하우징(10) 내에 배치되고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는 도트시표 발생부(20) 및 상기 경통형 하우징(10)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2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시켜 사용자(user)에게 도트시표 허상을 제공하는 오목한 반사경(30)을 포함하고, 상기 경통형 하우징(10)의 전방 및 후방 개구에는 보호윈도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는 도 2와 같이 사용자와 목표물(target) 사이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구비한 개방형 하우징(10'), 상기 개방형 하우징(10') 위에 배치되고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는 도트시표 발생부(20) 및 상기 개방형 하우징(10')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2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시켜 사용자에게 도트시표 허상을 제공하는 오목한 반사경(30)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하우징(10')의 전방 개구에는 보호윈도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경통형 하우징(10), 개방형 하우징(10')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두 가지를 통칭하여 하우징이라고 칭하겠다.
상기와 같은 광학식 무배율 또는 저배율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조준이 가능하며, 긴급한 상황이나 근거리에서 매우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전통적인 가늠자, 가늠쇠 표적의 3점으로 이루어지는 조준선 정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조준 자체도 하우징(10, 10')의 관찰창(11)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의 상에 도트시표 허상을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시야를 확보할 여유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으며, 정황 판단에 필요한 주변 시야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는, 도 3과 같이 반사경(30)이 싱글렛(singlet) 또는 더블렛(doublet)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싱글렛 반사경(30')의 전면과 후면 또는 더블렛 반사경(30)의 전면과 후면은 사용자 쪽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게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반사경을 구성하는 렌즈의 면이 사용자 쪽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는 긴박한 상항에서 사격을 여러 군데 신속하게 해야 할 때, 또는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목표를 조준하는 과정에서 흔들릴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 쪽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는 반사경(30)을 채택한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는, 도 4의 (a)와 같이 하우징의 선단(하우징의 목표물 쪽 부분)과 하우징의 후단(하우징의 사용자쪽 부분)이 회동을 하여 반사경(30)이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생기면 도 4의 (b)와 같이 조준창(11)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의 상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도 5의 (a)와 같이 하우징의 선단(하우징의 목표물쪽 부분)과 하우징의 후단(하우징의 사용자쪽 부분)이 회동을 하여 반사경(30)이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생기면 도 5의 (b)와 같이 조준창(11)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의 상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4 및 도 5를 통해 유추해보면 반사경(30)이 좌우로 회동하는 경우에도 조준창(11) 내에 보이는 목표물의 상이 각각 우좌로 이동할 것은 자명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다수의 목표물을 번갈아 조준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 또는 흔들리는 이동수단을 타고 있는 사용자의 조준 시야에서 나타나게 된다면 사용자의 눈에는 안정피로(asthenopia)가 유발되며, 긴 시간 사격을 요구하는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피로감이 누적되어 사격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전투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7472호(2007.01.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반사경과 함께 외부 시야 흔들림 방지를 위한 보상판을 배치함으로써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흔들림에 따라 목표물의 상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격의 효율과 사용자의 눈의 안정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흔들림에 따라 목표물의 상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는 동시에, 반사경의 전면의 곡률 중심과 후면의 곡률 중심을 잇는 선과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단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방과 후방이 개구되어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는 도트시표 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목표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투과하고,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시켜 도트시표 허상을 제공하고,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과 목표물을 향하는 후면이 사용자 쪽으로 각각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반사경; 및 상기 반사경과 함께 하우징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과 목표물을 향하는 후면이 사용자 쪽으로 각각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보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상판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경과 면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상판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 상의 한 점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점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상판의 광축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상판의 전면과 후면의 곡률반경 및 두께는 상기 반사경의 후면과 전면의 곡률반경 및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경 및 보상판의 전면과 후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반사경과 상기 보상판을 투과하여 사용자의 망막에 결상되는 외부 물체의 상의 크기와 나안으로 봤을 때의 망막에 결상되는 외부 물체의 상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상판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반사경과 함께 외부 시야 흔들림 방지를 위한 보상판을 배치함으로써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흔들림에 따라 목표물의 상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격의 효율과 사용자의 눈의 안정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흔들림에 따라 목표물의 상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는 동시에, 반사경의 전면의 곡률 중심과 후면의 곡률 중심을 잇는 선과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단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반사경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종래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일반적인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에서 나타나는 외부 시야의 단차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구성도,
도 8 도 7에 도시된 보상판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작용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7은 본 발명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구성도, 도 8 도 7에 도시된 보상판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작용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는 하우징(10), 도트시표 발생부(20), 반사경(30) 및 보상판(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광경로의 중심축을 따라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를 연결하는 광경로가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사용자가 상기 광경로를 통해 전방의 목표물을 관찰할 수 있는 관찰창(11)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20)는 도트시표 형성에 필요한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LED와 같은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 전방에 위치하는 도트시표 형상의 투광부를 가지는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20)의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OLED, LCOS, micro LED 와 같은 영상소자가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반사경(30)은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2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시켜 사용자의 눈 앞 목표물 쪽에 허상으로 결상시키는 동시에 목표물로부터 제공되는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투과하는 것으로서, 싱글렛(singlet) 또는 더블렛(doubl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경(30)이 더블렛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전면과 목표물과 마주하는 후면은 사용자 쪽으로 오목하게 구성되고,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에 위치하는 접합면은 상기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광학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면의 광학 코팅은 도트시표 발생부(20)로부터 입사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하고, 목표물이 위치하는 전방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선을 투과하도록 이루어진다.
목표물에서 관측자의 눈에 이르는 광경로 상의 광선이 투과하는 굴절면들의 곡률반경은, 상기 반사경(30)을 투과하여 관측자의 망막에 결상되는 상의 크기와 나안으로 봤을 때의 망막에 결상되는 상의 크기의 비(ratio)인 배율이 거의 없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반사경(30)의 설계조건은 아래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여기서, D1은 전면의 굴절력, D2는 후면의 굴절력, t는 반사경의 두께, R1은 전면의 곡률반경, R3은 후면의 곡률반경, n은 더블렛 반사경 초자의 굴절률 임)
한편, 상기 반사경(30)이 싱글렛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반사경(30)의 전면과 후면은 사용자 쪽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은 상기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광학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반사경(30)이 싱글렛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더블렛 반사경(30)과 같이 실질적으로 배율이 없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상판(40)은 상기 반사경(30)과 함께 하우징(10)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고 목표물로부터 제공되는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투과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과 목표물을 향하는 후면은 사용자 쪽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게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을 "보상판을 구성하는 렌즈의 면이 사용자 쪽으로 볼록하게 구성되어 있다"라고 한다. 또한, 상기 보상판(40)의 전면과 후면의 곡률반경, 전면과 후면의 곡률 중심사이의 두께 및 굴절력 등은 상기 반사경(30)과 실질적으로 면대칭 또는 점대칭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상판(40)은 상기 반사경(30)의 광축이 상기 하우징(10)의 광경로의 중심축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을 때에는 도 7과 같이 보상판(40)을 상기 하우징(10)의 광경로의 중심축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는 Y축 방향의 특정한 면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경(30)과 면대칭 형태로 배치하거나, 도 10과 같이 보상판(40)을 상기 하우징(10)의 광경로의 중심축 상의 한 점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점대칭 형태로 배치하거나, 도 11과 같이 보상판(40)의 광축을 하우징(10)의 광경로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상판(40)의 굴절 특성을 살펴보면, 도 8의 (a)와 같이 투명한 보상판(40)의 상하 측이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 도 8의 (b)와 같이 조준창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의 상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8을 통해 유추해보면 보상판(40)의 상하 측이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가는 경우에는 조준창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의 상이 위쪽으로 이동하고, 보상판(40)이 좌우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목표물의 상이 좌우로 이동하게 될 것은 자명하다.
즉, 종래와 같이 반사경(30)이 하우징(10) 내에 단독으로 배치되었을 때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하우징(10)의 흔들림에 대하여 조준창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의 상이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도 9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광경로 상에 반사경(30)과 보상판(40)이 함께 배치되는 경우에는, 하우징(10)의 흔들림에 대하여 반사경(30)이 기울어지면서 목표물의 상이 움직이는 방향과 보상판(40)이 기울어지면서 목표물의 상이 움직이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상쇄되므로,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가 흔들리더라도 관찰창(11) 내의 시야에 보이는 목표물의 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의 광경로 내에 반사경(30)과 함께 보상판(4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0)이 요동하는 경우에도 관찰창(11)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의 상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사용자 눈의 안정피로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반사경(30)을 하우징(10)의 목표물 측 단부에 배치하고 보상판(40)을 하우징(10)의 사용자 측 단부에 배치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상판(40)을 반사경(30)과 사용자의 사이에 배치하는 구성이 아니라 반사경(30)과 목표물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하우징(10)의 길이가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경(30)의 굴절에 대한 보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 취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일반적인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에서 나타나는 외부 시야의 단차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찰창(11)을 통하여 목표물을 볼 때의 목표물 부근의 수평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6의 (a)와 같이 관찰창(11)을 통하지 않고 보이는 목표물 부근의 수평선(H1)과 관찰창(11)을 통하여 보이는 목표물 부근의 수평선(H2)이 연결이 되어 있으면 "관찰창 시야에 단차가 없다"라고 한다. 그러나 도 6의 (b) 및 (c)와 같이 관찰창(11)을 통하지 않고 보이는 목표물 부근의 수평선(H1)과 관찰창(11)을 통하여 보이는 목표물 부근의 수평선(H2)이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관찰창 시야에 단차가 발생한다"라고 한다.
이러한 단차 현상은 관찰창(11) 밖의 시야와 관찰창(11) 이내의 목표물 부근의 시야를 양안으로 사용하여 동시에 보게 될 경우, 양안의 시야를 융합하여 양안단일시를 할 때 복시 현상을 유발하여 사용자의 눈에 안정피로를 초래하며 사격자의 집중도를 떨어뜨린다. 이는 사용자의 사격 명중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단차 현상은 일반적으로 반사경(30)의 전면의 곡률 중심과 후면의 곡률 중심을 잇는 선과 하우징(10)의 광경로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는 경우 발생한다. 도 6의 (b)와 같은 단차 현상은 반사경(30)의 전면의 곡률 중심이 후면의 곡률 중심보다 낮은 경우에 발생하고, 반사경(30)의 전면의 곡률 중심이 후면의 곡률 중심보다 높은 경우에는 도 6의 (c)와 같은 단차 현상이 발생한다.
하나의 실시예로, 도 10과 같이 보상판(40)을 상기 하우징(10)의 광경로의 중심축 상의 한 점에서 Z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점대칭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 보상판(40)과 반사경(30)의 곡면 형상이 서로 반대가 됨에 따라, 하우징(10)이 흔들리더라도 오목한 반사경(30)과 볼록한 보상판(40)에 의한 목표물 상의 이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면서 상쇄되어 관찰창(11) 내의 목표물 상의 흔들림이 억제 또는 최소화된다. 여기에 만약, 반사경(30)의 전면의 곡률 중심과 후면의 곡률 중심을 잇는 선과 하우징(10)의 광경로의 중심축이 나란하지 않아서 도 6의 (b)와 같은 하방향 단차를 유발시켰다면, 보상판(40)이 도 6의 (c)와 같은 상방향 단차를 유발함으로써 상기 반사경(30)이 유발하는 단차를 상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보상판(40)은 상기와 같은 반사경(30)의 단차 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반사경(3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상판(40)의 후면의 곡률반경(R5)은 반사경(30)의 전면의 곡률반경(R1)과 동일하게 설정(|R1|=|R5|)되고, 보상판(40)의 전면의 곡률반경(R4)은 반사경(30)의 후면의 곡률반경(R3)과 동일하게 설정(|R3|=|R4|)되고, 보상판(40)의 두께는 반사경(30)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보상판(40)을 반사경(30)에 대하여 180도 회전한 점대칭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반사경(30)의 단차 현상을 보상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10)이 요동하더라도 조준창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 상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관찰창(11)을 통해 보이는 목표물을 1배의 배율 또는 무배율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상판(40)의 전면의 곡률반경(R4)과 후면의 곡률반경(R5)은 |R4|>|R5|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반사경(30)의 전면의 곡률반경(R1) 및 후면의 곡률반경(R3)은 |R1|<|R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상판(40)에는 상기 반사경(30)의 R2면(도 10 참조)과 같은 반사코팅층이 필요하지 않아 싱글렛으로 구성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시차 개선, 보상판(40) 제작의 편리성과 경제성 등을 위하여 더블렛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보상판(40) 제작의 편리성과 경제성은 상기 반사경(30)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3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더블렛 2개를 연마가공하여 하나는 R2면이 반사코팅층을 가지도록 하여 반사경(30)으로 사용하고, 또 다른 하나는 R2면이 반사코팅층을 갖지 않도록 하여 보상판(40)이 되도록 하면, 더블렛과 싱글렛을 각각 만들어 반사경(30)과 보상판(40)으로 사용하게 하는 번거로움을 초래하지 않는 것과, 제작 공정이 늘어남으로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제작 경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이 경통의 형상을 갖는 도트사이트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하우징(10)의 형태를 경통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와 같은 개방형 하우징(10')을 가지는 개방형 도트사이트(Open dot sight)의 경우에도, 도 12와 같이 반사경(30)을 감싸고 있는 경통부(50)의 깊이를 충분히 확보한 다음, 반사경 경통부(50) 내부에 사용자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반사경(30)과 사용자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보상판(40)을 광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흔들림에 의해 목표물의 상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판(40)은 도트사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보상판(40)은 도 13의 (a), (b)와 같이 어댑터(60)를 통해 도트사이트의 하우징(10)에 탈착식 또는 부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보상판이 반사경에 대하여 대칭 형태가 되거나 상기 보상판의 광축이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과 나란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대한 조립 위치가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판(40)을 도 13의 (a), (b)와 같이 어댑터(60)를 통해 하우징(10)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하고, 이를 도 13의 (c)와 같이 기존의 보상판이 없는 일반적인 도트사이트의 하우징(10)에 조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일반적인 도트사이트에서도 반사경(30)의 굴절에 대한 보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 취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3의 (c)에서는 보상판(40)을 반사경(30)과 사용자 사이에 배치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사경(30)과 목표물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10':하우징, 11:관찰창, 20:도트시표 발생부,
30:반사경, 40:보상판, 50:반사경 경통부,
60:어댑터

Claims (9)

  1. 전방과 후방이 개구되어 사용자와 목표물 사이를 연결하는 광경로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는 도트시표 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목표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투과하고,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사용자를 향해 반사시켜 도트시표 허상을 제공하고,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과 목표물을 향하는 후면이 사용자 쪽으로 각각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반사경; 및
    상기 반사경과 함께 하우징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과 목표물을 향하는 후면이 사용자 쪽으로 각각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보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판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경과 면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판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 상의 한 점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점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판의 광축은 상기 하우징의 광경로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판의 전면과 후면의 곡률반경 및 두께는 상기 반사경의 후면과 전면의 곡률반경 및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판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및 보상판의 전면과 후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반사경과 상기 보상판을 투과하여 사용자의 망막에 결상되는 외부 물체의 상의 크기와 나안으로 봤을 때의 망막에 결상되는 외부 물체의 상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판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판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KR1020200172101A 2020-05-04 2020-12-10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KR20210135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46,830 US11619466B2 (en) 2020-05-04 2021-05-03 Dot sight device
PCT/KR2021/005589 WO2021225351A1 (ko) 2020-05-04 2021-05-04 도트 사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3100 2020-05-04
KR1020200053100 2020-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53A true KR20210135153A (ko) 2021-11-12

Family

ID=7849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101A KR20210135153A (ko) 2020-05-04 2020-12-10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1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7805A1 (zh) * 2022-07-05 2024-01-11 台州观宇科技有限公司 瞄准设备及智能电子分划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72B1 (ko) 2006-02-23 2007-01-10 정인 도트 사이트 조준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72B1 (ko) 2006-02-23 2007-01-10 정인 도트 사이트 조준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7805A1 (zh) * 2022-07-05 2024-01-11 台州观宇科技有限公司 瞄准设备及智能电子分划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7742B2 (ja) 大口径ドットサイト装置
KR101345028B1 (ko) 디스플레이형 광학식 조준경
KR101375396B1 (ko) 편광수단을 갖춘 도트 사이트 장치
US11619466B2 (en) Dot sight device
KR101511420B1 (ko)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KR20210135153A (ko) 흔들림 방지 보상판을 갖는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
KR20200038678A (ko) 복합 광학 조준장치
KR102055059B1 (ko) 도트사이트 겸용 외부 목표물 관측 장치
KR101440057B1 (ko) 주야조준경 체계용 분리형 도트 사이트
RU2487377C2 (ru) Прицел,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работы с двумя открытыми глазами
US11543209B2 (en) Sighting arrangement comprising a prism system with a flat top surface
KR102449588B1 (ko) 2개의 조준점을 갖는 조준경
WO2018216176A1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S6324214A (ja) 光学装置
UA64284A (en) Optical s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