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265B1 -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 Google Patents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265B1
KR102040265B1 KR1020180092070A KR20180092070A KR102040265B1 KR 102040265 B1 KR102040265 B1 KR 102040265B1 KR 1020180092070 A KR1020180092070 A KR 1020180092070A KR 20180092070 A KR20180092070 A KR 20180092070A KR 102040265 B1 KR102040265 B1 KR 10204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ballistic correction
zero
unit
zero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혁
안응식
오동근
Original Assignee
(주)이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9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54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 F41G1/545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리별 탄도를 선택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와 같이 서로 다른 사거리에 맞게 탄도를 보정할 수 있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는, 도트 사이트 렌즈를 구비한 바디, 이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트 사이트 렌즈에 광을 조사하는 도트 표시 발생부,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켜 영점을 조정하는 영점조정부, 그리고 바디의 외부에 설치되어 영점조정부에 연결되며 영점조정부를 이동시켜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거리에 맞게 탄도를 보정하는 탄도보정 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Dot sight having device for correcting the trajectory}
본 발명은 총기에 장착되는 도트 사이트에 관한 것으로, 거리별 탄도를 선택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와 같이 서로 다른 사거리에 적합하게 탄도를 보정할 수 있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총열의 위 부분에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간단하고 빠른 조준이 가능하다. 즉,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조준선 정렬의 시간이 짧고, 도트(dot)로 표시되는 광점(光點)의 허상을 목표물에 신속하게 일치시켜 조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시야 확보에 유리하고 조준 과정에서 주변 시야 및 상황확인이 방해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근거리와 원거리를 번갈아 조준하여 사격을 할 때 탄도를 보정할 수 있는 탄도 보정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탄도보정장치는 도트 사이트 조준기와 총열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탄도보정장치는 도트 사이트와 총열의 간격이 멀어져 조준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탄도보정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부품의 수가 많아지고 중량이 증대되어 도트 사이트의 전체 중량이 증가로 인해 총기의 운용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총열과 도트 사이트의 간격을 최소화시켜 조준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도보정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도트 사이트 전체 무게를 줄여 운용자가 쉽게 운용할 수 있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용자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 사격을 바꾸어가며 할 때, 간단한 동작으로 사거리에 맞는 탄도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트 사이트 렌즈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트 사이트 렌즈에 광을 조사하는 도트 표시 발생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켜 영점을 조정하는 영점조정부, 그리고 상기 바디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영점조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영점조정부를 이동시켜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거리에 맞게 탄도를 보정하는 탄도보정 노브를 포함하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제공한다.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상기 바디가 총기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볼 때, 반대측 부분의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점조정부는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정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상기 제2 영점조정부에 결합되어 제2 방향으로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거리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탄도보정 노브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영점조정부의 제2 조절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그의 중앙부에 걸림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점조정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점조절부재는 상기 탄도보정 노브의 걸림대응부에 치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근거리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 표시부에서 간격을 이루어 원거리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상기 바디를 향하는 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일정한 구간에서만 상기 탄도보정 노브가 회전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바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상기 바디를 향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영점조정부는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점조정부는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영점조절부재와 상기 제2 영점조절부재는 외주면에 각각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1 영점조절부재의 걸림부와 상기 제2 영점조절부재의 걸림부에 각각 대응하는 볼 플런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도보정 노브가 상기 영점조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볼 플런저의 볼이 상기 탄도보정 노브의 걸림부의 외주면 측을 가압하는 상태로 상기 제2 볼 플런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탄도보정장치를 도트 사이트의 위쪽에 설치하여 총기의 총열과 도트 사이트의 간격을 최소화시켜 조준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도보정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도트 사이트 전체 무게를 줄여 운용자가 쉽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트 사이트 위쪽에서 설치된 탄도보정 노브를 돌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운용자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와 같은 사거리에 적합한 탄도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 플런저가 탄성보정 노브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탄도보정 노브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2 영점조절부재의 걸림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트 사이트에 적용되는 영점보정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트 표시 발생부와 이동블록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탄도보정 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근거리 조준을 할 때 도트 사이트 렌즈에 표시되는 도트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원거리 조준을 할 때 도트 사이트 렌즈에 표시되는 도트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방향은 수평방향으로, 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은 수직방향으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로,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는, 바디(1), 도트 표시 발생부(3), 영점조정부(5), 그리고 탄도보정 노브(7)를 포함한다.
바디(1)는 총기의 총열 위쪽 부분 측에 설치되는 피카티니 레일(도시생략) 또는 마운트 장치 등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1)는 총기에 결합되는 광학 망원경(도시생략)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디(1)는 내부에 도트 표시 발생부(3)와 영점조정부(5)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바디(1)는 도트 사이트 렌즈(1a)를 구비한다. 바디(1)에 설치된 도트 사이트 렌즈(1a)는 도트 표시 발생부(3)에서 조사된 도트(Dot) 형태의 광을 반사시키는 부분이며, 십자(+)모양의 가상의 정렬선이 표시될 수 도 있다.
바디(1)는 양측면 및 전, 후에서 연장되거나 또는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b)는 저면과 나란한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디(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1b)는 측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1b)는 총기의 위쪽 부분에 설치되는 피카티니 레일 또는 별도의 마운드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b)는 총기에 장착되면서도 총열(또는 탄환발사축)과 도트 사이트의 광축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시켜 총기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랜지부(1b)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의 조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디(1)는 도트 표시 발생부(3)와 영점조정부(5)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도트 표시 발생부(3)와 영점조정부(5)가 수용되는 공간의 위쪽 부분(도 1 기준)은 막혀있는 구조를 이루고, 아래쪽 부분(도 1 기준)은 커버(1c)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트 표시 발생부(3)는 바디(1)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트 표시 발생부(3)는 광원을 발생시켜 도트 사이트 렌즈(1a)에 점과 같은 형태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도트 표시 발생부(3)에서 발생된 광은 도트 사이트 렌즈(1a)에서 반사되어 총기의 운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영점조정부(5)도 바디(1)의 내부에 설치된다. 영점조정부(5)는 이동블록(9), 제1 영점조정부(11), 그리고 제2 영점조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블록(9)은 설명의 편의상 제1 영점조정부(11) 또는 제2 영점조정부(13)와 구분하였으나, 이동블록(9)이 기능상 제1 영점조정부(11)와 제2 영점조정부(13)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동블록(9)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9a), 제1 측면부(9b), 제1 걸림턱부(9c), 제2 측면부(9d), 그리고 제2 걸림턱부(9e)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블록(9)의 하부측에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가 배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6 참조).
저면부(9a)는 y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저면부(9a)는 가운데 부분에 y축 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장공부(9h)를 구비한다. 제1 측면부(9b)는 저면부(9a)에서 x축을 향하는 부분에서 z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 측면부(9b)는 상술한 도트 표시 발생부(3)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걸림턱부(9c)는 제1 측면부(9b)에서 -x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측면부(9d)는 저면부(9a)에서 -x축을 향하는 부분에서 z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걸림턱부(9e)는 제2 측면부(9d)에서 x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는 저면부(9a)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는 그의 외주측에 z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수직스프링(15)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점조정부(11)는 가이드부재(17), 제1 영점조절부재(19), 그리고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블록(9)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7)는 그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동블록(9)과 함께 제1 방향(y축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7)는 제3 측면부(17a), 제4 측면부(17b), 그리고 제5 측면부(17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부(17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측면부(17b)는 제3 측면부(17a)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측면부(17b)는 y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나사홈을 구비한 나사공(17d)을 구비한다. 제5 측면부(17c)는 제3 측면부(17a)에서 x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측면부(17b)와 제5 측면부(17c)는 서로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면부(17a), 제4 측면부(17b), 그리고 제5 측면부(17c)는 서로 벽을 이루며 z축 방향이 관통되는 공간을 이루고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5 측면부(17c)는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부(17e)가 제공된다. 제5 측면부(17c)의 가이드홈부(17e)는 y축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제4 측면부(17b)와 제5 측면부(17c)는 선단부에 가이드턱부(17f, 17g)를 구비한다. 가이드턱부(17f, 17g)는 이동블록(9)을 z 축 방향(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의 제3 측면부(17a), 제4 측면부(17b), 그리고 제5 측면부(17c)가 벽을 이루어 만들어지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가 제1 방향인 y축 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4 측면부(17b) 또는 제5 측면부(17c)에 접촉되면서 가이드부재(17)가 이동하는 방향과 같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의 제3 측면부(17a), 제4 측면부(17b), 제5 측면부(17c) 그리고 가이드턱부(17f, 17g)에 안내되어 제1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제2 방향인 z축 방향(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영점조절부재(19)는 볼트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림부(19a)와 나사산부(19b)를 포함한다.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걸림부(19a)는 가상의 회전축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기어치와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나사산부(19b)는 가이드부재(17)의 제4 측면부(17b)에 제공된 나사공(17d)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점조절부재(19)는 상술한 바디(1)의 측면에 결합되어 바디(1)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영점조절부재(19)가 회전하면, 제1 영점조절부재(19)는 바디(1)에서 상대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가이드부재(17)를 제1 방향(y 축 방향,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는 플런저 블록(21a), 수평스프링(21b), 그리고 플런저 지지부재(21c)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블록(21a)은 가이드부재(17)의 제5 측면부(17c)에 제공된 가이드 홈부(17e)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스프링(21b)은 플런저 블록(21a)을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플런저 블록(21a)을 이동블록(9)의 일측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플런저 지지부재(21c)는 바디(1)에 결합되어 수평스프링(21b)의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탄성력에 의해 이동블록(9)을 가이드부재(17)의 제4 측면부(17b)로 밀착시킬 수 있다. 즉,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제1 방향(-y 축 방향, 수평방향)으로 이동블록(9)를 이동시켜 이동블록(9)과 가이드부재(17)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이동블록(9)과 가이드부재(17) 사이의 가공 오차가 이루는 간격 정도만을 줄이는 힘이 필요하므로 그의 탄성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탄성력의 값을 낮출 수 있어 내부의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걸림부(19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볼플런저(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볼플런저(23)는 스프링(23a), 볼(23b), 그리고 스프링 지지부재(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플런저(23)의 스프링(23a)은 볼(23b)과 스프링 지지부재(23c) 사이에 배치되어 볼(23b)을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걸림부(19a)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1 볼플런저(23)의 볼(23b)은 제1 볼플런저(23)의 스프링(23a)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걸림부(19a)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볼플런저(23)의 스프링 지지부재(23c)는 바디(1)에 결합되어 제1 볼플런저(23)의 스프링(23a)의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볼플런저(23)의 스프링 지지부재(23c)는 바디(1)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제1 볼플런저(23)의 스프링(23a)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플런저(23)의 스프링 지지부재(23c)는 제1 볼플런저(23)의 스프링(23a)의 탄성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제2 영점조정부(13)는 가이드 블록(25), 제2 영점조절부재(27), 그리고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를 포함한다.
가이드 블록(25)은 대략 사각형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이동블럭(9)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가이드 블록(25)은 가운데 부분에 나사홈이 제공된 나사공(25a)이 제공된다. 가이드 블록(25)의 나사공(25a)은 제2 방향(z 방향,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25)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블록(9)의 제1 걸림턱부(9c)와 제2 걸림턱부(9e)에 걸려 이동블록(9)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볼트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영점조절부재(19)와 마찬가지로 걸림부(27a)와 나사산부(27b)를 포함한다(도 8 참조).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는 가상의 회전축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기어치와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나사산부(27b)는 가이드블록(25)에 제공된 나사공(25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상술한 바디(1)에 결합되어 바디(1)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영점조절부재(27)가 회전하면,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바디(1)에서 회전하면서 가이드블록(25)을 제2 방향(z축 방향,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는 바디(1) 또는 커버(1c)에 지지되는 수직스프링(15)과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런저 어셈블리의 수직스프링(15)은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의 외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일측이 바디(1) 또는 커버(1c)의 내측을 탄성력으로 지지하고 타측이 이동블럭(9)의 저면부(9a)의 일면을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이동블록(9)을 제2 방향(z축 방향,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한다.
즉,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이동블록(9)과 가이드블록(25) 사이의 가공 오차가 이루는 간격 정도만을 줄이는 힘이 필요하므로 탄성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그의 탄성력의 값을 낮출 수 있어 내부의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볼플런저(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도보정 노브(7)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 볼플런저(31)가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에 직접 지지되지 않고 탄도보정 노브(7)의 일측을 지지한다(도 4 참조). 따라서 탄도보정 노브(7)가 제2 영점조절부재(27)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볼플런저(31)는 제1 볼플런저(23)와 마찬가지로 스프링(31a), 볼(31b), 그리고 스프링 지지부재(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플런저(31)의 스프링(31a)은 볼(31b)과 스프링 지지부재(31c) 사이에 배치되어 볼(31b)을 탄도보정 노브(7)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2 볼플런저(31)의 볼(31b)은 제2 볼플런저(31)의 스프링(31a)의 탄성력에 의해 탄도보정 노브(7)의 일측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볼플런저(31)의 스프링 지지부재(31c)는 바디(1)에 결합되어 제2 볼플런저(31)의 스프링(31a)의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볼플런저(31)의 스프링 지지부재(31c)는 바디(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제2 볼플런저(31)의 스프링(31a)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플런저(31)의 스프링 지지부재(31c)는 제2 볼플런저(31)의 스프링(31a)의 탄성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가운데 부분에 나사결합공(27c)이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탄도보정 노브(7)는 바디(1)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2 영점조정부(13)의 제2 영점조절부재(27)에 연결될 수 있다. 탄도보정 노브(7)는 제2 영점조정부(13)를 제2 방향(z축 방향,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거리에 맞게 탄도를 보정할 수 있다. 즉, 탄도보정 노브(7)는 바디(1)가 결합되는 총열의 반대측 부분인 위쪽 부분(바디(1)의 상면 부분을 의미함)의 바디(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도보정 노브(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된 구멍으로 이루어진 걸림대응부(7a)가 형성된다. 탄도보정 노브(7)의 걸림대응부(7a)는 기어치와 같은 모양을 가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에 대응되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탄도보정 노브(7)는 탄도보정 노브 결합부재(33)에 의해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나사결합공(27c)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탄도보정 노브 결합부재(33)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탄도보정 노브(7)를 제2 영점조절부재(27)에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탄도보정 노브(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를 향하는 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에서 가이드 홈(7b)이 형성된다. 탄도보정 노브(7)에 형성된 가이드 홈(7b)은 탄도보정 노브(7)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도보정 노브(7)의 가이드 홈(7b)은 반원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의 크기는 탄도보정 노브(7)의 사거리 조건에 따라 그의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탄도보정 노브(7)의 가이드 홈(7b)은 가이드 바(32)에 의해 회전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가이드 바(32)는 바디(1)에 결합되며 선단부 일측이 탄도보정 노브(7)의 가이드 홈(7b)에 끼워진다. 따라서 탄도보정 노브(7)는 가이드 바(32)와 가이드 홈(7b)에 의해 일정한 구간 만을 회전할 수 있다.
탄도보정 노브(7)는 바디(1)를 향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7c, 7d)이 형성될 수 있다. 탄도보정 노브(7)에 형성되는 걸림홈(7c, 7d)은 대략 반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 이상이 있는 경우, 탄도보정 노브(7)의 회전중심에서 같은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도보정 노브(7)의 걸림홈(7c, 7d)에는 스토퍼(35)의 일부가 접촉될 수 있다.
스토퍼(35)는 바디(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볼(35a)과 같은 구름부재와 볼 지지부재(3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35a)은 구형태로 이루어져 일부는 탄도보정 노브(7)의 걸림홈(7c, 7d) 중의 하나에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으며, 다른 일부는 볼 지지부재(35b)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35)는 경우에 따라서 볼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도시생략)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탄도보정 노브(7)는 스토퍼(35)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그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 후에도 스토퍼(35)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그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탄도보정 노브(7)는 외부에서 보이는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근거리 표시부(35c)와 원거리 표시부(35d)를 구비할 수 있다(도 1 참조). 근거리 표시부(35c)는 예를 들면 사거리 250M를 표시할 수 있고, 원거리 표시부(35d)는 예를들면 400M의 사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표시부(35c)와 원거리 표시부(35d) 2개 만이 탄도보정 노브(7)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조건에 따라 다수의 사거리 표시부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표시부(35c)와 원거리 표시부(35d)는 바디(1)에 표시된 기준표시부(1d)와 일치시켜 운용할 수 있다.
탄도보정 노브(7)는 근거리 표시부(35c)와 원거리 표시부(35d)가 표시된 것 이외에 다른 사거리가 표시된 것을 총기의 운용자가 바꾸어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탄도 사거리를 조정하는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탄도보정 노브(7)는 근거리 표시부(35c)가 기준표시부(1d)와 일치되어 있는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태는 근거리 표시부(35c)에 영점조정부(5)의 영점이 맞추어져 있는 상태이다. 영점조정은 제1 영점조정부(11)와 제2 영점조정부(13)로 영점을 조정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영점조정부(11)의 제1 영점조절부재(19)를 회전시키면 제1 영점조절부재(19)가 바디(1)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그러면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회전에 따라 제1 영점조절부재(19)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재(17)가 제1 방향(y축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부재(17)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블록(9)도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의 제4 측면부(17b) 또는 제5 측면부(17c)에 의해 밀착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는 수평스프링(21b)이 플런저 블록(21a)을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그러면 플런저 블록(21a)은 가이드부재(17)의 제5 측면부(17c)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7e)에 삽입되어 이동블록(9)의 일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는 이동블록(9)과 가이드부재(17) 사이의 제1 방향의 가공오차 정도만큼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이동블록(9)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은 탄성력으로도 이동블록(9)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충분하여 내부 구성요소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점조정부(13)의 제2 영점조절부재(27)을 회전시키면 제2 영점조절부재(27)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블록(25)이 제2 방향(z축 방향,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블록(25)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블록(9)도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2 영점조정부(13)의 제2 영점조절부재(2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블록(3)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블록(25)은 이동블록(9)의 저면부(9a) 또는 이동블록(9)의 제1 걸림턱부(9c)와 제2 걸림턱부(9e)에 밀착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블록(9)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는 수직스프링(15)이 이동블록(9)의 저면부(9a)를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그러면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에 안내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재(17)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블록(25)이 이동블록(9)의 저면부(9a)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는 이동블록(9)과 가이드블록(25) 사이의 제2 방향의 가공오차 정도만큼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이동블록(9)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은 탄성력으로도 이동블록(9)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충분하여 내부 구성요소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점조정부(5)를 통해 영점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근거리 사거리(예를 들면 250M 사거리)에 영점이 맞추어져 있는 상태이다. 즉, 근거리 사거리의 영점은 도트 표시 발생부(3)에서 조사된 광이 도트 사이트 렌즈(1a)에 가운데 부분에서 반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10에서 A로 표시함). 총기(G)의 운용자는 근거리 사격을 할 경우에 탄도보정 노브(7)를 근거리 표시부(35c)와 기준표시부(1d)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도트 사이트 렌즈(1a)에서 반사된 광(A)에 목표물을 일치시키고 근거리 사격을 할 수 있다. 도 9에서 탄환발사축(A1)은 근거리 사거리의 영점이 세팅된 상태에서 탄환이 발사되는 가상의 축을 표시한 것이다.
이때 탄도보정 노브(7)는 그의 가이드홈(7b)의 일측 끝부분에 가이드 바(32)가 위치해 있다. 또한, 탄도보정 노브(7)는 스토퍼(35)의 볼(35a)의 일부가 탄도보정 노브(7)의 걸림홈(7c, 7d)중의 하나에 밀착되어 그의 자세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총기의 운용자가 원거리(예를 들면, 400M) 사격을 하고자 할 때, 탄도보정 노브(7)를 회전시켜 기준표시부(1d)에 원거리 표시부(35d)를 일치시킨다. 이때 탄도보정 노브(7)는 탄도보정 노브(7)의 가이드바(32)가 탄도보정 노브(7)의 가이드홈(7b)에 안내되어 일정한 거리를 회전하고 멈춘다. 이때 스토퍼(35)는 스토퍼(35a)의 볼(35a)이 탄도보정 노브(7)의 걸림홈(7c, 7d)의 다른 하나에 밀착된다. 따라서 탄도보정 노브(7)는 원거리 사거리를 사격할 수 있는 상태로 멈춘다. 이때 탄도보정 노브(7)의 걸림대응부(7a)와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가 치합되어 있어 제2 영점조절부재(27)도 함께 회전한다. 이때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가이드블록(25)을 제2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블록(25)이 -z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블록(9)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이동블록(9)에 결합된 도트 표시 발생부(3)도 함께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트 사이트 렌즈(1a)에 반사되어 표시되는 원거리 사거리(예를 들면 400M)의 영점표시용 광은, 도11에 표시된 상태와 같이, 근거리 사거리 영점표시용 광(A)이 표시되어 있던 가운데 부분에서 거리 d 만큼 아래로 내려간 상태로 반사된다(도 11에서 B'로 표시함). 이러한 상태에서 총기 운영자는 도트 사이트 렌즈(1a)에서 반사되는 광(B')이 아래로 내려간 거리(d)만큼 총기(G)의 총구를 들면 도 11의 원거리 보정후의 그림에 표시된 것과 같이 도트 사이트 렌즈(1a)의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한다(도 11에서 B로 표시함). 다시 말하면, 총기(G)의 운용자가 총구를 드는 동작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탄환 발사축(A1)에서 원거리 탄환 발사축(B1)과 같이 각도 d 만큼 들어 올려진다. 그러면 도트 표시 발생부(3)에서 조사된 광(B)은 도트 사이트 렌즈(1a)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다(도 11에서 B'에서 B로 이동된 상태로 표시). 그리고 총기 운영자의 총구는 원거리 탄환 발사축(B1)으로 향하면서 원거리 사격을 위한 탄도의 보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총기 운영자는 간단한 동작으로 근거리 사거리와 원거리 사거리가 보정된 상태로 사격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탄도보정장치가 영점조정부(5)와 연동하여 작동됨과 동시에 도트 사이트의 위쪽에 설치하여 총열과 도트 사이트의 간격을 최소화시켜 조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탄도보정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도트 사이트 전체 무게를 줄여 운용자가 쉽게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탄도보정 노브(7)를 제2 영점조절부재(27)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에 볼 플런저(31)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탄도보정 노브(7)의 일측에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도보정 노브(7)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바디, 1a. 도트 사이트 렌즈,
1b. 플랜지부, 1c. 커버,
1d. 기준표시부,
3. 도트 표시 발생부, 5. 영점조정부,
7. 탄도보정 노브, 7a. 걸림대응부,
7b. 가이드홈, 7c, 7d. 걸림홈,
9. 이동블록, 9a. 저면부,
9b. 제1 측면부, 9c. 제1 걸림턱부,
9d. 제2 측면부, 9e. 제2 걸림턱부,
9h. 장공부,
10a, 10b. 높이조절 플런저부재,
11. 제1 영점조정부, 13. 제2 영점조정부,
15. 수직스프링,
17. 가이드부재, 17a. 제3 측면부,
17b. 제4 측면부, 17c. 제5 측면부,
17d. 나사공, 17e. 가이드홈부,
19. 제1 영점조절부재, 19a. 걸림부,
19b. 나사산부,
21. 제1 플런저 어셈블리, 21a. 플런저 블록,
21b. 수평스프링, 21c. 플런저 지지부재,
23. 제1 볼플런저, 23a. 스프링,
23b. 볼, 23c. 스프링 지지부재,
25. 가이드 블록, 25a. 나사공,
27. 제2 영점조절부재, 27a. 걸림부,
27b. 나사산부, 27c. 나사결합공,
29. 제2 플런저 어셈블리,
31. 제2 볼플런저, 31a. 스프링,
31b. 볼, 31c. 스프링 지지부재,
32. 가이드 바,
33. 탄도보정 노브 결합부재,
35. 스토퍼, 35a. 볼,
35b. 볼 지지부재, 35c. 근거리 표시부
35d. 원거리 표시부,

Claims (10)

  1. 도트 사이트 렌즈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트 사이트 렌즈에 광을 조사하는 도트 표시 발생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켜 영점을 조정하는 영점조정부, 그리고
    상기 바디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영점조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영점조정부를 이동시켜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거리에 맞게 탄도를 보정하는 탄도보정 노브
    를 포함하며,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상기 바디를 향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상기 바디가 총기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볼 때, 반대측 부분의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점조정부는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정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상기 제2 영점조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거리를 보정하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탄도보정 노브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영점조정부의 제2 영점조절부재에 결합되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그의 중앙부에 걸림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점조정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점조절부재는
    상기 탄도보정 노브의 걸림대응부에 치합되는 걸림부를 구비한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근거리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 표시부에서 간격을 이루어 원거리 표시부를 구비한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도보정 노브는
    상기 바디를 향하는 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일정한 구간에서만 상기 탄도보정 노브가 회전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바가 설치되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8. 삭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점조정부는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점조정부는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영점조절부재와 상기 제2 영점조절부재는
    외주면에 각각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1 영점조절부재의 걸림부와 상기 제2 영점조절부재의 걸림부에 각각 대응하는 볼 플런저가 설치되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10. 도트 사이트 렌즈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트 사이트 렌즈에 광을 조사하는 도트 표시 발생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트 표시 발생부를 이동시켜 영점을 조정하는 영점조정부, 그리고
    상기 바디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영점조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영점조정부를 이동시켜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거리에 맞게 탄도를 보정하는 탄도보정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탄도보정 노브가
    상기 영점조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볼 플런저의 볼이 상기 탄도보정 노브의 걸림부의 외주면 측을 가압하는 상태로 상기 제2 볼 플런저가 배치되는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KR1020180092070A 2018-08-07 2018-08-07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KR102040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070A KR102040265B1 (ko) 2018-08-07 2018-08-07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070A KR102040265B1 (ko) 2018-08-07 2018-08-07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265B1 true KR102040265B1 (ko) 2019-11-04

Family

ID=6857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070A KR102040265B1 (ko) 2018-08-07 2018-08-07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5351A (zh) * 2019-12-05 2020-04-17 中国人民解放军63620部队 运载火箭导航计算与外测系统时间零点差实时估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009A (ko) * 2015-04-15 2016-10-25 정보선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20180048393A (ko) * 2016-11-02 2018-05-10 버리스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가변 저항 회전을 가지는 광학 장치 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009A (ko) * 2015-04-15 2016-10-25 정보선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20180048393A (ko) * 2016-11-02 2018-05-10 버리스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가변 저항 회전을 가지는 광학 장치 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5351A (zh) * 2019-12-05 2020-04-17 中国人民解放军63620部队 运载火箭导航计算与外测系统时间零点差实时估算方法
CN111025351B (zh) * 2019-12-05 2021-11-30 中国人民解放军63620部队 运载火箭导航计算与外测系统时间零点差实时估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336E1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US10288378B2 (en) Self-leveling scope mount and method
US8763299B2 (en) Vertically adjustable scope base
US4212109A (en) Windage and elevation mechanism for laser aimed weapons
US9033231B2 (en) Automatic correction apparatus for trajectory of a projectile and cor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0254080B2 (en) Trajectory correcting device and sight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US20190285386A1 (en) Firearm scope mount
KR102040265B1 (ko)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US20200400405A1 (en) Rear sight assembly
US7764434B2 (en) Weapon sight
US9052163B2 (en) Adjustable scope mount for a projectile weapon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thereof
KR20180017473A (ko) 도트 사이트 장치
US9103632B1 (en) Archery sight
KR101396399B1 (ko) 분리형 조준기
KR20160107703A (ko) 링형 마운트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2040266B1 (ko)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US11162761B2 (en) Adjustable rifle laser sight
CN210952515U (zh) 外接跟踪式激光收发机
KR102040267B1 (ko) 초점조절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CN102494556B (zh) 稳像发射机
KR101394326B1 (ko) 총기용 조준장치
RU2674632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угла прицеливания и поправки на деривацию фокусировкой цели и компенсацией параллакса прицела, а также прицел с этим способом
CN202432918U (zh) 稳像发射机
RU81794U1 (ru) Целеуказ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