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473A - 도트 사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도트 사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473A
KR20180017473A KR1020160101328A KR20160101328A KR20180017473A KR 20180017473 A KR20180017473 A KR 20180017473A KR 1020160101328 A KR1020160101328 A KR 1020160101328A KR 20160101328 A KR20160101328 A KR 20160101328A KR 20180017473 A KR20180017473 A KR 20180017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moving block
axis
uni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156B1 (ko
Inventor
정보선
정인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16010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156B1/ko
Priority to US15/673,371 priority patent/US10006741B2/en
Publication of KR2018001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473A/ko
Priority to US15/971,396 priority patent/US1065593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41G1/345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for illuminating the s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F41G1/2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트 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트 사이트 장치는 목표물을 조준하는 조준창이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와, 상기 조준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창에 투영되는 조준점 허상의 생성에 필요한 광원부를 구비하는 조준점 생성유닛;과, 상기 조준점 허상이 상기 조준창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상기 광원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조절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타측에서 상기 광원부에 밀착된 상태로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광원부의 제2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제2조절부가 형성된 영점조정부; 및 상기 영점조정부에 의해 광원부의 제1축 및 제2축 방향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른 탄도 보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의 이동공간 내에서 광원부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도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트 사이트 장치 {A DOT S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도트 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점 조정과 탄도 보정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도트 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총 또는 중기관총의 성능은 신속하게 조준 사격을 할 수 있는지 여부와 표적을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해 좌우된다.
보통 소총 또는 중기관총의 조준은 가늠자와 가늠쇠의 조준선 정렬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총열의 끝단에 위치하는 가늠쇠와 총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는 가늠자의 조준선 정렬을 통해 목표물을 조준한다.
그러나 가늠자와 가늠쇠로 목표물을 조준하는 방식은, 작은 진동이나 떨림에도 조준선 정렬이 깨어지며, 급박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조준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가늠자와 가늠쇠를 이용한 조준 방식은, 목표 포착 및 확인과 조준선 정렬 및 조준 등의 복잡한 과정과 시간이 요구되며,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가 매우 작아서 이를 정확하게 정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나치게 조준선 정렬에 신경을 쓰다 보면, 표적이나 전방 상황보다는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에 시선이 집중되어 사격 또는 긴급 상황 대처에 필요한 시야가 좁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런 조준선 정렬의 어려움에 대처하고 조준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망원렌즈를 장착한 조준장치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망원렌즈를 장착한 광학식 조준기의 경우에도 망원렌즈를 사용함에 따라서, 배율이 올라가면 마찬가지로 작은 떨림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므로 신속한 조준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결국,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학식 조준기에 무배율 또는 저배율 렌즈를 사용하며, 복잡한 조준선을 없애고 간단하게 조준점의 허상만을 이용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광학식 무배율(저배율) 도트 사이트 장치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준이 가능하며, 긴급한 상황이나 근거리에서 조준이 매우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종래 조준선 정렬에 들던 시간을 아낄 수 있고, 조준 자체도 도트(dot) 상(像)을 표적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시야를 확보할 여유를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도트 사이트 장치는 탄환 발사축과 도트 사이트 광축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영점 조정과 중력에 의한 탄환의 포물선 낙하운동으로 목표점에서의 탄환의 위치 변화를 보정해주는 탄도보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906159호(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도트 사이트 장치는 도트의 광원부가 부착된 몸체를 회동시켜 영점을 조정하였는데, 도트의 광원부가 부착된 몸체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회동시키는 조정부(17,45)들이 각각 도트 사이트 장치의 다른 면에 배치되므로 영점조정에 대한 신속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사용상에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도트 사이트 장치는 영점조정기구와 탄도보정기구가 분리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것과 동시에 장치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906159호 (2009년01월12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점조정과 탄도보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트 사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영점조정부와 탄도보정부를 도트 사이트 장치와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도트 사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목표물을 조준하는 조준창이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와, 상기 조준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창을 통해서 관찰자의 눈앞 먼 거리에 투영되는 조준점 허상의 생성에 필요한 광원부를 구비하는 조준점 생성유닛;과, 상기 조준점 허상이 상기 조준창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상기 광원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조절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타측에서 상기 광원부에 밀착된 상태로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광원부의 제2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제2조절부가 형성된 영점조정부; 및 상기 영점조정부에 의해 광원부의 제1축 및 제2축 방향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른 탄도 보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의 이동공간 내에서 광원부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도보정부;를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이동블록의 제2조절부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의 양측을 감싸는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1이동블록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광원부가 연결되는 제3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2샤프트와 제3이동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제2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블록과 제3이동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2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2이동블록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도보정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샤프트와, 상기 제3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광원부의 제2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제4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이동블록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블록의 측면에 밀착되어 제3이동블록의 제2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도보정부는 상기 제4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4이동블록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점조정과 탄도보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트 사이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영점조정부와 탄도보정부를 도트 사이트 장치와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도트 사이트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 도트 사이트 장치에 따른 영점조정부와 탄도보정부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제1조절부의 동작상태도,
도 7은 도 4의 제2조절부의 동작상태도,
도 8은 도 4의 탄도보정부의 동작상태도,
도 9는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10은 영점조정부에 의해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이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탄도보정부에 의해 탄도보정축이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도트 사이트 장치에 따른 영점조정부와 탄도보정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1조절부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제2조절부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8은 도 4의 탄도보정부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9는 도 4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영점조정부에 의해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이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탄도보정부에 의해 탄도보정축이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축은 X축, 제2축은 Y축, 제3축은 Z축으로 도면에 표시하고, 도 1을 제외한 나머지 도 2 내지 도 13에서는 조준기 몸체(110)의 일부만을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축(x)이 총열과 수평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설정되고, 제2축(y)이 총열과 나란한 전후 방향으로 설정되며, 제3축(z)이 제1축(x) 및 제2축(y)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장치는, 목표물을 조준하는 조준창(111)이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110)와, 조준기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준창(111) 앞 목표물 방향의 먼 거리에 허상으로 투영되는 조준점을 출사하는 광원부(121)를 구비하는 조준점 생성유닛(120)과, 상기 광원부(121)에 연결되며 광원부(121)를 이동시키면서 조준점의 투영된 허상을 조준창(111)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켜 영점을 조절하는 영점조정부와, 상기 영점조정부에 의해 영점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원부(121)를 이동시키면서 조준점의 투영된 허상을 조준창(111)에서 상하로 회동시켜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른 탄도를 보정하는 탄도보정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조준기 몸체(110)는 목표물을 조준하기 위한 조준창(111)이 마련되어 총기(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준창(111)을 통해 관찰자는 투영된 조준점의 허상을 볼 수 있으며, 후술할 빔 스플리터(123)의 관찰자 쪽 면이 상기 조준창(111)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조준점 생성유닛(120)은 조준창(111)을 통해서 관찰자의 눈앞 먼 거리에 투영되는 조준점의 허상을 출사하는 광원부(121)를 포함하며, 도 10과 같이 광원부(121)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반사경(122)과, 상기 광원부(121)와 반사경(122)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121)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반사경(122)을 향해 투과하고, 반사경(122)에서 반사된 광선을 조준창(111)을 향해 반사하는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1)는, 광선을 발광(發光)하는 발광부와, 발광부가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는 LED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발광소자가 본 실시예의 발광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21)는 조준기 몸체(110)의 중앙 하측에 배치되어 광원부(121)의 상측에 배치되는 빔 스플리터(123)를 향해 광선을 출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경(122)은 광축이 상기 광원부(121)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조준기 몸체(110)의 중앙 상측에서 상기 광원부(121)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반사경(122)에서 반사되는 조준점 광선이 사용자에게 허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반사면을 갖는 플러스 굴절력의 메니스커스 렌즈가 적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빔 스플리터(123)는 광원부(121)와 반사경(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121)로부터 반사경(122)을 향해 제공되는 광선들 중 일부를 투과시키고 반사경(122)에서 되반사되는 광선들 중 일부를 조준창(111)을 향해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빔 스플리터(123)는 직각 프리즘 2개를 합한 빔 분리 프리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두 직각프리즘의 경계면이 되는 두 경사면 중 하나에 A% 반사 코팅을 하면 빔 스플리터(123)에 제공되는 입사광의 (100-A)%를 투과하고 A%를 반사하는 빔 스플리터(123)가 된다. 예를 들어 50%반사 코팅을 한 후 접합하면 50%를 투과하고 50%를 반사한다. 즉, 빔 스플리터(123)의 경사면의 반사코팅에 의해 광원부(121)에서 출사된 광선이 반사경(122)의 반사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조준창(111)을 향해 나가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목표물에 반사된 광선은 빔 스플리터(123)를 통과하여 조준창(111)을 거쳐 사용자 눈의 망막에 도달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21)로부터 제공되는 광선을 사용자에게 반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직각 프리즘 형태의 빔 스플리터(123)를 적용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일면에 필요한 광선의 투과량에 따라 투과 및 반사 코팅된 평판 형태의 빔 스플리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영점조정부는 조준점의 허상을 조준창(111)에서 좌우로 회동시키기 위해 광원부(121)를 제1축(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조절부(130)와, 조준점의 허상을 조준창(111)에서 상하로 회동시키기 위해 광원부(121)를 제2축(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절부(130)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제1축(x) 방향으로 배치되어 조준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샤프트(131)와, 상기 제1샤프트(131)에 나사결합되며 제1샤프트(131)의 회전에 의해 제1축(x)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제1이동블록(132)과, 상기 제1이동블록(132)과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이동블록(132)을 제1축(x)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샤프트(131)의 일단부에는 조준기 몸체(110)의 일측면으로 노출되어 제1샤프트(131)를 회전시키는 조절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블록(132)은 조준기 몸체(110)의 내벽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샤프트(131)의 회전운동시 제1샤프트(131)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샤프트(131)의 회전에 의해 제1이동블록(132)이 제1축(x)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이동블록(132)의 가이드(132a)에 결합된 광원부(121)가 제1이동블록(132)과 함께 제1축(x)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조절부(130)에 의한 광원부(121)의 제1축(x) 방향의 이동은, 도 10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제1축(x)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광원부(121)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0의 (b)와 같이 조준점의 허상이 조준창(111)에서 -x축 방향으로 회동하고, 광원부(121)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0의 (c)와 같이 조준점의 허상이 조준창(111)에서 +x축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도 10의 (c)에서는 광원부(121)의 -x축 방향 이동에 따라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이 조준창(111)에서 +x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압부(133)는 제1샤프트(131) 상에 삽입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블록(132)은 제1샤프트(131)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므로, 수나사와 암나사의 치합을 위한 조립공차 내에서 제1축(x)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조준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때, 제1이동블록(132)이 제1가압부(133)에 의해 제1축(x) 상에서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됨에 따라, 수나사와 암나사가 일측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나사와 암나사의 치합을 위한 조립 공차에 의해 조준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140)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제1축(x) 방향으로 배치되어 조준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샤프트(141)와, 상기 제2샤프트(141)에 나사결합되며 제2샤프트(141)의 회전에 의해 제1축(x)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제2이동블록(142)과, 상기 제2이동블록(142)과 광원부(121) 사이에 개재되어 제2이동블록(142)의 이동에 의해 제2축(y)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블록(143)과, 상기 제2이동블록(142)과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2이동블록(142)을 제1축(x)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샤프트(141)는 영점 조정의 편의를 위해 제1샤프트(131)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샤프트(141)의 일단부에는 조준기 몸체(110)의 일측면으로 노출되어 제2샤프트(141)를 회전시키는 조절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블록(142)은 조준기 몸체(110)의 내벽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샤프트(141)의 회전운동시 제2샤프트(141)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하며, 상기 제2이동블록(142)의 제1축(x)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3이동블록(143)이 제2축(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이동블록(142)과 제3이동블록(143)의 접촉면은 제1축(x) 방향과 제2축(y) 방향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면(142a)과 제2경사면(143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3이동블록(143)은 대략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각삼각형의 단면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경사면(143a)의 일측에 연결되어 광원부(121)와 마주하는 면에는 제1축(x) 방향과 나란한 제1안내면(143b)이 형성되고, 제2경사면(143a)의 타측에 연결되어 후술할 탄도보정부(150)의 제4이동블록(152)과 마주하는 면에는 제2축(y) 방향과 나란한 제2안내면(143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블록(132)에는 광원부(121)의 제2축(y)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ㄷ'자 형태의 안내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부(121)의 양측을 감싸는 가이드(132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32a)에 삽입된 광원부(121)는 제1이동블록(132)과 광원부(12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60)에 의해 가이드(132a)의 이동공간 내에서 제3이동블록(143)을 향해 탄성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60)는 가이드(132a)내에서 일단부가 제1이동블록(132)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광원부(121)에 지지되어 상기 광원부(121)를 제3이동블록(143)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60)는 광원부(121)를 제3이동블록(143)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즉, 제1이동블록(132)의 가이드(132a)에 제2축(y)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광원부(121)는, 가이드(132a)의 이동공간 내에서 일측이 탄성부재(160)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타측이 제3이동블록(143)에 밀착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샤프트(141)의 회전에 의해 제2이동블록(142)이 제1축(x)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이동블록(143)과 광원부(121)는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축(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조절부(140)에 의한 광원부(121)의 제2축(y) 방향의 이동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제3축(z)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한편, 상기 제2가압부(144)는 제2샤프트(141)상에 삽입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압부(133)와 마찬가지로 제2이동블록(142)과 제2샤프트(141)의 조립공차에 의해 조준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탄도보정부(150)는 상기 영점조정부에 의해 영점이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원부(121)를 이동시키면서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을 상하로 이동시켜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른 탄도를 보정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제1축(x) 방향으로 배치되어 조준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샤프트(151)와, 상기 제3샤프트(151)에 나사결합되며 제3샤프트(151)의 회전에 의해 제1축(x)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제3이동블록(143)의 제1축(x)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제4이동블록(152)과, 상기 제4이동블록(152)과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4이동블록(152)을 제1축(x)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부(1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샤프트(151)의 일단부에는 조준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3샤프트(151)를 회전시키는 조절노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4이동블록(152)은 조준기 몸체(110)의 내벽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3샤프트(151)의 회전운동시 제3샤프트(151)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4이동블록(152)은 제3이동블록(143)을 사이에 두고 제2이동블록(142)의 제1경사면(142a)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즉, 제3이동블록(143)은 일측의 제2경사면(143a)이 제2이동블록(142)의 제1경사면(142a)과 밀착된 상태에서 타측의 제2안내면(143c)이 제4이동블록(152)과 접촉하게 되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샤프트(151)의 회전에 의해 제4이동블록(152)이 제1축(x)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이동블록(143)은 제2이동블록(142)의 제1경사면(142a)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며, 가이드(132a) 내에서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제3이동블록(143)에 밀착 지지된 광원부(121)는 제3이동블록(143)의 제2축(y) 방향에 대한 변위량 만큼 제2축(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탄도보정부(150)에 의한 광원부(121)의 제2축(y) 방향의 이동은, 도 10의 (a)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기 몸체(110)의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제3축(z)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추가 회동시키면서 목표물의 거리(D1,D2)에 따라 총기의 조준각을 보정할 수 있다. 즉,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라 제3축(z) 방향으로 이동한 탄도보정축 상의 조준점의 허상을 이용해 목표물을 조준하면, 총기의 탄도곡선이 목표물에서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가압부(153)는 제3샤프트(151)상에 삽입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압부(133)와 마찬가지로 제4이동블록(152)과 제3샤프트(151)의 조립공차에 의해 조준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제3샤프트(151)의 조절노브에는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라 신속하게 탄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이동블록(132)과 광원부(121)의 접촉면과, 광원부(121)와 제3이동블록(143)의 접촉면, 그리고 제3이동블록(143)과 제2이동블록(142)의 접촉면에는 제3축(z)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리는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제3축(z)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블록(142)의 걸림턱(142b)은 제3이동블록(143)의 걸림턱(143d)에 맞물리고, 제3이동블록(143)의 걸림턱(143e)은 광원부(121)의 걸림턱(121a)에 맞물리고, 광원부(121)의 걸림턱(121b)은 제1이동블록(132)의 걸림턱(132b)에 맞물린다. 즉, 제2이동블록(142)과 제3이동블록(143)과 광원부(121) 및 제1이동블록(132)은 순차적으로 제3축(z)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블록(170)과 조준기 몸체(110) 사이에 개재된 상태가 되므로, 제3축(z) 방향에 대한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블록(132)과 제2이동블록(142)과 제3이동블록(143) 및 제4이동블록(152)은 상기 조준기 몸체(110)와 고정블록(17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각각 제1축(x) 방향 또는 제2축(y) 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광학계는 한국공개특허 10-2015-0069245 "빔 스플리터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장치"와 같은 조준점 생성유닛과 반사경 및 빔 스플리터의 배치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따른 광선 추적결과의 그림이 도 10의 (c)에 나타나 있다. 이 그림에 따르면 조준점의 광원부(121)를 -x축으로 이동하면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은 +x축으로 회동하고, 조준점의 광원부(121)를 -y축으로 이동하면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은 +z축으로 회동함을 알 수 있다.
이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기구적인 구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영점 조정을 위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좌우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부(130)의 제1샤프트(131)를 회전시키면, 제1샤프트(131)의 회전에 의해 제1이동블록(132)이 제1축(x)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이동블록(132)의 가이드(132a)에 결합된 광원부(121)가 제1축(x)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광원부(121)가 제1축(x)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 10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이 제1축(x)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광원부(121)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0의 (b)와 같이 조준점의 허상이 조준창(111)에서 -x축 방향으로 회동하고, 광원부(121)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0의 (c)와 같이 조준점의 허상이 조준창(111)에서 +x축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영점 조정을 위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상하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조절부(140)의 제2샤프트(141)를 회전시키면, 제2샤프트(141)의 회전에 의해 제2이동블록(142)이 제1축(x)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이동블록(143)과 광원부가 함께 제2축(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광원부(121)가 제2축(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이 제3축(z)과 나란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광원부(121)의 -y축 방향의 이동은, 도 10의 (a)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z축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탄도 보정을 위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상하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도보정부(150)의 제3샤프트(151)를 회전시키면, 제3샤프트(151)의 회전에 의해 제4이동블록(152)이 제1축(x)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4이동블록(152)의 이동에 의해 제3이동블록(143)이 제2이동블록(142)의 제1경사면(142a)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광원부(121)는 제1이동블록(132)의 가이드(132a) 내에서 탄성부재(16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제3이동블록(143)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제3이동블록(143)의 제2축(y) 방향 변위량만큼 광원부(121)가 제2축(y)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탄도보정부(150)에 의해 광원부(121)가 제2축(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창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이 상하 방향으로 추가로 회동된다. 즉 탄도보정을 위한 광원부(121)의 -y축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이동은, 도 10의 (a)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창(111)에서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추가적으로 +z축 방향으로 더욱 회동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상기 탄도보정부(150)를 이용한 탄도 보정과정은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1이동블록(132)과 제2이동블록(142)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4이동블록(152)을 이용해 제3이동블록(143)을 이동하면서 광원부(121)의 제2축(y)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영점조정부와 탄도보정부(150)가 함께 연동하도록 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면서도, 탄도 보정에 의해 영점 설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 사이트 장치는, 조준점 생성유닛(120)의 광원부(121)를 제1축(x) 방향 및 제2축(y)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제1조절부(130)와 제2조절부(140)가 이웃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준점의 허상의 광축을 상하, 좌우로 빠르게 회동시킬 수 있어 영점조정이 간편하고 신속한 이점이 있다.
또한, 광원부(121)의 제2축(y)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제3이동블록(143)이 영점조정부의 제2이동블록(142)과 탄도보정부(150)의 제4이동블록(152)에 의해 각각 조절되도록 하면서, 탄도 보정과정에서 제2이동블록(142)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탄도 보정 과정에서 영점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영점조정부와 탄도보정부(150)가 조준기 몸체(110) 내에 함께 배치되어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총기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조준기 몸체, 111:조준창, 120:조준점 생성유닛,
121:광원부, 122:반사경, 123:빔 스플리터,
130:제1조절부, 131:제1샤프트, 132:제1이동블록,
132a:가이드, 133:탄성부재, 134:제1가압부,
140:제2조절부, 141:제2샤프트, 142:제2이동블록,
142a:제1경사면, 143:제3이동블록, 143a:제2경사면,
143b:제1안내면, 143c:제2안내면, 144:제2가압부,
150:탄도보정부, 151:제3샤프트, 152:제4이동블록,
153:제3가압부, 160:고정블록

Claims (10)

  1. 목표물을 조준하는 조준창이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
    상기 조준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준창에 투영되는 조준점 허상의 생성에 필요한 광원부를 구비하는 조준점 생성유닛;
    상기 조준점 허상이 상기 조준창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상기 광원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조절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타측에서 상기 광원부에 밀착된 상태로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광원부의 제2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제2조절부가 형성된 영점조정부;
    상기 영점조정부에 의해 광원부의 제1축 및 제2축 방향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른 탄도 보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의 이동공간 내에서 광원부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도보정부;를 포함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이동블록의 제2조절부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의 양측을 감싸는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1이동블록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광원부가 연결되는 제3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2샤프트와 제3이동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제2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블록과 제3이동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2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2이동블록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도보정부는 상기 조준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샤프트와, 상기 제3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광원부의 제2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제4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이동블록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블록의 측면에 밀착되어 제3이동블록의 제2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도보정부는 상기 제4이동블록과 조준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4이동블록을 제1축과 나란한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
KR1020160101328A 2016-08-09 2016-08-09 도트 사이트 장치 KR102541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328A KR102541156B1 (ko) 2016-08-09 2016-08-09 도트 사이트 장치
US15/673,371 US10006741B2 (en) 2016-08-09 2017-08-09 Dot sight device
US15/971,396 US10655933B2 (en) 2016-08-09 2018-05-04 Dot sigh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328A KR102541156B1 (ko) 2016-08-09 2016-08-09 도트 사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73A true KR20180017473A (ko) 2018-02-21
KR102541156B1 KR102541156B1 (ko) 2023-06-07

Family

ID=6115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328A KR102541156B1 (ko) 2016-08-09 2016-08-09 도트 사이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006741B2 (ko)
KR (1) KR102541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5875S1 (en) * 2017-12-05 2020-02-18 Dong In Optical Co., Ltd Sight device
US11604344B2 (en) 2018-09-03 2023-03-14 Light Optical Works, Ltd. Dot sight
USD898157S1 (en) * 2019-05-29 2020-10-06 Core-Arms, LLC Sight mount
JP7237211B2 (ja) * 2019-12-31 2023-03-10 西安華科光電有限公司 オープン微調整サイ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664A (ko) * 2006-12-28 2008-07-03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100906159B1 (ko) 2007-07-06 2009-07-03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KR101059035B1 (ko) * 2008-09-11 2011-08-24 정인 탄도 보정 장치
US20110219659A1 (en) * 2008-10-02 2011-09-15 Trijicon, Inc. Optical sight
KR101344981B1 (ko) * 2011-03-25 2013-12-24 정보선 다중 탄도보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584A (en) * 1994-12-29 1997-01-14 Kay; Ira M. Dot sighting device
US8393109B2 (en) * 2005-06-03 2013-03-12 Gilmore Sports Concepts, Inc. Combination red dot sight and range indicator apparatus
US7234265B1 (en) * 2005-12-07 2007-06-26 Li-Der Cheng Internal red dot sight
US9146076B2 (en) * 2012-02-08 2015-09-29 In Jung Dot sight device having power saving functions,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9574853B2 (en) * 2014-01-13 2017-02-21 Leupold & Stevens, Inc. Removable aiming sight and sight mounting shoe with pitch and yaw adjustment for pistols and other weapons
CN106907956A (zh) * 2015-12-23 2017-06-30 西安华科光电有限公司 一种具有内红点瞄具的校枪器
US10162147B2 (en) * 2017-05-09 2018-12-25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Red dot windage and elevation adjustment
US10352654B2 (en) * 2017-08-14 2019-07-16 F.N. Herstal, S.A. Firearm with interchangeable sighting device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664A (ko) * 2006-12-28 2008-07-03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100906159B1 (ko) 2007-07-06 2009-07-03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KR101059035B1 (ko) * 2008-09-11 2011-08-24 정인 탄도 보정 장치
US20110219659A1 (en) * 2008-10-02 2011-09-15 Trijicon, Inc. Optical sight
KR101344981B1 (ko) * 2011-03-25 2013-12-24 정보선 다중 탄도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5486A1 (en) 2018-02-15
US20180252497A1 (en) 2018-09-06
US10655933B2 (en) 2020-05-19
US10006741B2 (en) 2018-06-26
KR102541156B1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9494A (en) Gun sighting and ranging mechanism
US11788815B2 (en) Open frame reflex pivot mechanics
KR101068290B1 (ko) 도트사이트 모드 및 스코프 모드 겸용 광학식 조준경
JP4932519B2 (ja) 改良型「移動式赤ドット」照準デバイス
USRE47336E1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KR100906159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US9033231B2 (en) Automatic correction apparatus for trajectory of a projectile and cor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541156B1 (ko) 도트 사이트 장치
KR101375396B1 (ko) 편광수단을 갖춘 도트 사이트 장치
KR102323147B1 (ko)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20190039508A (ko) 이동가능 레드 도트와 조명기를 갖는 뷰파인더
US8867129B2 (en) Sighting telescope
WO2024093769A1 (zh) 一种变分划内红点与倍率镜的组合瞄准镜
US11047646B2 (en) Telescopic sight
KR20100092377A (ko) 무빙 레드 도트형 조준 장치
KR101375373B1 (ko) 도트사이트 장착용 권총 슬라이드
EA031779B1 (ru) Оптический прицел
RU2313756C2 (ru) Оптический прицел для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