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399B1 - 분리형 조준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조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399B1
KR101396399B1 KR1020140022819A KR20140022819A KR101396399B1 KR 101396399 B1 KR101396399 B1 KR 101396399B1 KR 1020140022819 A KR1020140022819 A KR 1020140022819A KR 20140022819 A KR20140022819 A KR 20140022819A KR 101396399 B1 KR101396399 B1 KR 10139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lens
upper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도현
Original Assignee
임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도현 filed Critical 임도현
Priority to KR102014002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5/00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준기는, 총기에 탈부착되게 구비되고 목표물이 투영되는 렌즈부가 구비되는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부의 기설정된 일점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기설정된 일점에 광점이 형성되도록 하는 광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의 후방에 상기 렌즈모듈과 가변간격을 형성하며 분리되어 배치되는 광원모듈, 및 상기 가변간격이 고정되도록, 상기 광원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을 고정시키는 연결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조준기{sight having divisible body}
본 발명은 분리형 조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트사이트 타입의 조준기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분리형 조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준기(sight)은 목표물의 조준을 위해 총기에 부착하는 광학장치를 총칭한다. 전통적인 조준기로서 가늠자 및 가늠쇠를 사용하였으나, 이 전통적인 조준기는 진동이나 떨림에 따른 오차가 크고 근거리 및 신속한 조준에 불리하며, 멀티포커스(multi-focus)가 불가능한 육안의 특성상 가늠쇠와 가늠자에 시선을 뺏겨 오히려 목표물을 뿌옇게 흐리는 단점을 내포한다.
따라서, 조준선 정렬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광학식 스코프(optical scope)가 개발되었다. 광학식 스코프는 크게 프리즘 방식과 릴레이렌즈 방식으로 구분되며, 양자 모두 대물 및 대안렌즈와 레티클(reticle)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확대와 레티클에 의한 정조준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광학식 스코프 역시 진동이나 떨림에 따른 오차가 존재하고 신속한 조준에 한계를 나타내는바, 광점(light point)으로 레티클을 대체한 도트사이트(dot sight) 등의 광학식 조준기가 소개되어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트사이트 조준기(dot sight)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인 도트사이트 조준기는 총기에 부착되는 하우징(2), 외부로 노출되며 하우징(2)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호 윈도우(4), 하우징(2)의 내부에 장착되어 보호 윈도우(4) 방향으로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6), 보호 윈도우(4)의 내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발광소자에서 조사되는 특정 파장대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투명렌즈(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발광소자(6)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는 투명렌즈(8)에서 반사되어 사격자의 눈으로 조사되어 사격자가 투명렌즈(8)에 맺힌 빛이 형성하는 광점을 바라볼 수 있게 되고, 나머지 빛의 일부는 탄환이 발사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직진한다. 이때, 사격자의 눈과 광점이 이루는 가상직선과, 총기의 탄환이 발사되는 탄도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도트사이트 조준기가 총기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격자는 목표물에 시선을 집중한 상태로 투명렌즈(8)에 맺힌 고휘도의 광점을 목표물에 오버랩시키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목표물을 정조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트사이트 조준기 중에서, 투명렌즈(8)가 외부로 노출된 오픈형 도트사이트 조준기는 발광소자(6)나 투명렌즈(8)등 일부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노출된 구성요소에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부 구성요소만 교체하기 어려우므로, 조준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오픈형 도트사이트 조준기의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따라서, 유리 관리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도트사이트 조준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8684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트사이트 타입의 조준기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감시키는 분리형 조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준기는, 총기에 탈부착되게 구비되고, 목표물이 투영되는 렌즈부가 구비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부의 기설정된 일점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기설정된 일점에 광점이 형성되도록 하는 광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의 후방에 상기 렌즈모듈과 가변간격을 형성하며 분리되어 배치되는 광원모듈; 및 상기 가변간격이 고정되도록, 상기 광원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을 고정시키는 연결가이드;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와 내측에 갭을 형성하며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총기에 탈부착되는 하부바디;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를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의 갭을 조절시키는 상하조절부; 및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에서 상대 회전시키는 수평조절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하조절부는, 상기 가변간격이 변경되어 상기 렌즈부에 맺힌 빛이 상기 기설정된 일점에서 벗어나면, 상기 광원부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부의 기설정된 일점에 상기 빛이 조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가변간격이 변경되어 상기 렌즈부에 맺힌 빛이 상기 기설정된 일점에서 벗어나면, 상기 광원부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부의 기설정된 일점에 상기 빛이 조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수평조절부가 형성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측과 후방측이 시소운동하여,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가 조절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분리형 조준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광원모듈과 렌즈모듈이 분리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교체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광원모듈 또는 렌즈모듈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및 관리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광원모듈과 렌즈모듈 사이의 가변간격이 변화되어 렌즈부의 기설정된 일점에 광점이 형성되지 않을 때, 상하조절부를 조작하여 광원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시켜 렌즈부의 기설정된 일점에 다시 광점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셋째, 정확한 조준을 위해 광원부를 수평방향을 기준으로도 재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광원모듈에 수평조절부가 구비됨에 따라, 수평조절부를 조작하여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기설정된 일점에 정확히 조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트사이트 조준기(dot sight)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준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준기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준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준기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준기는, 총기에 탈부착되게 구비되는 렌즈모듈(100)과, 렌즈모듈(100)의 후방에 렌즈모듈(100)과 가변간격(D)을 형성하며 분리되어 배치되는 광원모듈(200), 및 가변간격(D)이 고정되도록 광원모듈(200) 및 렌즈모듈(100)을 고정시키는 연결가이드(310)를 포함한다.
렌즈모듈(100)은 총기에 탈부착되게 구비된다. 렌즈모듈(100)은 총기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총기의 상측에는 일반적인 조준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조준기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며, 렌즈모듈(100)은 총기의 조준기 결합부에 결합된다.
렌즈모듈(100)은 렌즈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렌즈모듈 하우징(110)과, 렌즈모듈 하우징(110)에 구비되고 목표물이 투영되는 렌즈부(120)와, 렌즈모듈 하우징(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렌즈모듈 탈착부(140)를 포함한다.
렌즈모듈 하우징(110)은 렌즈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된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키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렌즈모듈 탈착부(140)는 총기의 조준기 결합부에 탈부착된다. 렌즈모듈 탈착부(140)는 조준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렌즈모듈 탈착지그(142)와 렌즈모듈 탈착지그(142)를 가압하는 렌즈모듈 고정핸들(144)을 포함한다.
렌즈모듈 탈착지그(142)는 조준기 결합부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렌즈모듈 고정핸들(144)에 의해 압박되어, 조준기 결합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렌즈모듈 탈착부(140)의 일측에는 렌즈모듈 고정핸들(14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절스프링(146)이 구비될 수 있다.
렌즈부(120)에는 목표물이 투영된다. 사격자는 목표물이 투영된 렌즈부(120)를 통해 사격하고자 하는 목표물을 확인할 수 있다. 렌즈부(120)에는 후술하는 광원부(210)에서 조사된 빛이 맺혀, 렌즈부(120)의 일점(P)에 광점을 형성한다. 이 일점(P)은, 렌즈부(120)의 기설정된 위치에 형성된다. 광점은 렌즈부(120)의 중앙부에 일점(P)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격자가 광점을 주시하는 시선(L2)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총열로부터 발사된 탄환이 그리는 일직선의 탄도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광점은 목표물과 일직선을 형성한다. 이하에서, 총열로부터 발사된 탄환의 그리는 일직선의 탄도를 발사축(L1)으로 정의한다. 사격자가 광점을 주시하는 시선(L2)은 목표물까지 연장되고, 이 시선(L2)과 발사축(L1)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사격자는 광점과 목표물을 일치시키는 것만으로 목표물을 쉽게 조준할 수 있게 된다.
렌즈부(120)는 보호 윈도우(122)와 투명렌즈(124)를 포함한다. 보호 윈도우(122)는 투명렌즈(124)를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보호 윈도우(122)는 투명렌즈(124)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보호 윈도우(122)는 고강도 투명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렌즈(124)는 대물렌즈로 형성되어 목표물이 확대되어 사격자에게 보이게끔 할 수 있다. 투명렌즈(124)에는 후술하는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이 기설정된 일점(P)에 맺혀 광점이 형성된다. 광점은 투명렌즈(124)의 중앙부에 일점(P)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렌즈(124)는 광원부(2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를 광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사격자에게 반사시키고, 나머지 빛을 투영시켜 목표뮬이 있는 보호 윈도우(122)의 외측으로 조사한다. 보호 윈도우(122)에서 목표물을 향해 외측으로 조사되는 빛은 위에서 정의한 발사축(L1)과 평행하게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모듈(200)은 총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광원모듈(200)은 총기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총기의 상측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조준기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며, 광원모듈(200)은 총기의 조준기 결합부에 결합된다.
광원모듈(200)은 외관을 형성하며 총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모듈 탈착부(240)가 구비되는 하부바디(230), 하부바디(230)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바디(220), 상부바디(220)에 구비되어 렌즈부(120)의 기설정된 일점(P)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210),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하조절부(270),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를 상대회전 시키는 수평조절부(280)를 포함한다.
하부바디(230)는 광원모듈(2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광원모듈 탈착부(240)는 총기의 조준기 결합부에 탈부착된다. 광원모듈 탈착부(240)는 조준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광원모듈 탈착지그(242)와, 광원모듈 탈착지그(242)를 가압하는 광원모듈 고정핸들(244)을 포함한다. 광원모듈 탈착지그(242)는 조준기 결합부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광원모듈 고정핸들(244)에 의해 압박되어, 조준기 결합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광원모듈 탈착부(240)의 일측에는 광원모듈 고정핸들(24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절스프링(246)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바디(220)는 하부바디(230)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의 상세구성에 대하여는 도 5이하에서 후술한다.
광원부(210)는 상부바디(220)에 구비된다. 광원부(210)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광원부(210)는 일직선으로 조사되는 빛을 생성한다. 광원부(210)는 상부바디(220)에 구비되는 배터리부(2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한다. 광원부(210)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212)을 포함하며, 광원(212)은 LED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광원(212)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부(210)는 렌즈모듈(100)의 렌즈부(120)의 기설정된 일점(P)에 빛을 조사한다. 기설정된 일점(P)에 맺힌 빛은 광점을 형성한다. 렌즈부(120)의 기설정된 일점(P)으로 조사된 빛과 발사축(L1)은 기설정된 각도를 형성한다.
이 기설정된 각도는 렌즈부(120)의 곡률, 렌즈부(120)의 크기, 광원(212)과 렌즈부(120) 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조준의 정확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약 8°로 설정된다. 이하에서, 광원부(210)에서 렌즈부(120)의 일점(P)으로 조사되는 빛과 발사축(L1)이 이루는 기설정된 각도는, 8°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기설정된 각도의 크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모듈(200)에는 전자모듈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자모듈부(260)는 광원(212)의 광량, 광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모듈부(260)는 배터리부(2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광원모듈(200)과 렌즈모듈(100)은 분리된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광원모듈(200)과 렌즈모듈(100)은 서로 분리되어, 상호 간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는 가변간격(D)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광원모듈(200)과 렌즈모듈(100)은 발사축(L1)과 평행한 일직선 상에서 가변간격(D)을 가질 수 있다.
연결가이드(310)는 렌즈모듈(100)과 광원모듈(200)을 고정시킨다. 연결가이드(310)에 렌즈모듈(100)의 일측과 광원모듈(200)의 일측에 결합되면, 렌즈모듈(100)과 광원모듈(200)은 가변간격(D)이 변화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연결가이드(310)에 고정된다.
연결가이드(310)에는 결합홀(33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결합홀(330)에는 연결볼트(320)가 삽입되어, 렌즈모듈(100) 또는 광원모듈(200)을 연결가이드(310)에 고정시킨다.
오픈형 도트사이트 조준기의 경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광원부(210)와 렌즈부(120)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므로, 외부의 충격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파손될 수 있고,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이 발생될 수 있어, 문제되는 구성요소를 교체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분리형 조준기에 의하면, 교체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광원모듈(200) 또는 렌즈모듈(10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 제품을 교체해야 하는 기존의 도트사이트 조준기에 비해, 유지 및 관리비용이 훨씬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20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200)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200)은 광원부(210)가 설치되는 상부바디(220)와, 상부바디(220)와 갭(G)을 형성하며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가 총기에 탈부착되는 하부바디(230),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를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 사이의 갭(G)을 조절시키는 상하조절부(270), 및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바디(220)를 하부바디(230)에서 상대 회전시키는 수평조절부(280)를 포함한다.
상부바디(220)는 광원모듈(2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부바디(220)에는 상술한 광원부(210)가 설치된다. 광원부(210)는 상부바디(220)의 내측에 수용되고, 광원부(210)에서 조사된 빛이 통과되도록 수용된다. 광원(212)은 상술한 것과 같이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바디(220)에는 광원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250)와 광원(212)의 광량 등을 제어하는 전자모듈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바디(230)는 상부바디(220)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며, 상술한 것과 같이 조준기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광원모듈 탈착부(240)가 구비된다.
하부바디(230)는 상부바디(220)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부바디(230)는 상부바디(220)와 내측에 갭(G)을 형성하며, 상부바디(220)의 하방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는 중앙핀(232)에 의해 결합된다. 중앙핀(232)은 하부바디(230)를 관통하여 상부바디(220)에 결합될 수 있다. 중앙핀(232)이 관통하는 하부바디(230)의 결합부(234) 주변에는 유격이 일부 존재하여, 중앙핀(232)이 하부바디(230)로부터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상부바디(220) 및 하부바디(230)의 일측에는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를 상하로 관통하는 상하조절부(270)가 구비된다. 상하조절부(270)는 상부바디(220)의 전방측 및 하부바디(230)의 후방측을 일체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하조절부(270)의 끝단부(272)는 상부바디(220)를 관통한 후 하부바디(2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하부바디(230)에는 상하조절부(270)의 끝단부(272)를 수용하는 수용나사(2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하조절부(270)가 회전되면, 나사 결합된 상하조절부(270)가 하부바디(230)로부터 이격되거나 접근되어,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가 형성하는 갭(G)의 크기가 변화된다. 이 경우, 중앙핀(232)과 중앙핀(232)이 관통하는 하부바디(230) 결합부(234) 사이에 형성된 유격에 의해, 상부바디(220)와 함께 중앙핀(232)이 하부바디(230)로부터 미세하게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부바디(220)에는 상하조절부(270)가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여유(279)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평조절부(280)가 상부바디(220)를 회전시킬 때, 상하조절부(270)에 간섭되지 않고 상부바디(220)가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하조절부(270)의 외주면에는 높이조절스프링(276)이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스프링(276)은 상하조절부(270)의 외주면 중,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 사이의 갭(G)에 위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스프링(276)은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갭(G)을 유지시킨다.
상하조절부(270)의 일측에는 상하조절부(270)를 조작할 때, 조작량을 사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딸깍거리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상부 디텐트(2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바디(220) 및 하부바디(230)의 일측에는 상부바디(220)와 하부바디(23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조절부(280)가 구비된다. 수평조절부(280)는 수평방향에서 상부바디(220) 및 하부바디(230)를 일체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수평조절부(280)는 하부바디(230)로부터 상부바디(220)를 상대 회전시킨다. 수평조절부(280)를 회전시키면 고정된 하부바디(230)를 기준으로, 중앙핀(232)을 회전축(X2)으로 하여 상부바디(22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하조절부(270)가 결합되는 상부바디(220)의 일측에는 결합여유(279)가 형성되어, 상하조절부(270)에 간섭되지 않게 상부바디(220)가 중앙핀(232)을 회전축(X2)으로 하여 회전된다.
수평조절부(280)의 일측에는, 수평조절부(280)를 조작할 때, 조절량을 사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딸깍거리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하부 디텐트(282)가 구비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과 광원모듈(200) 사이의 가변간격(D)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렌즈부(120)에서 맺힌 빛이 기설정된 일점(P)에서 벗어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격자가 상하조절부(270)와 수평조절부(280)를 조작하여,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이 기설정된 일점(P)에 다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하조절부(270)를 조작하면, 상부바디(220)는 수평조절부(280)를 회전축(X1)으로 하여 시소(seesaw)운동 하게 된다. 즉, 상부바디(220)와 시소 결합된 하부바디(230)가 수평조절부(280)를 회전축(X1)으로 하여, 상부바디(220)의 전방측과 상부바디(220)의 후방측이 시소 운동하게 되고, 상부바디(220)의 전방측과 상부바디(220)의 전방측 사이의 갭(G)이 변화된다. 이 경우, 중앙핀(232)과 중앙핀(232)이 관통하는 하부바디(230) 결합부(234) 사이에 형성된 유격에 의해, 상부바디(220)와 함께 중앙핀(232)이 하부바디(230)로부터 미세하게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하조절부(270)를 조작하면 상부바디(220)가 회동되고, 상부바디(220)에 수용된 광원부(210)의 상하위치가 조절된다. 상하조절부(270)를 조여 상부바디(22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시소운동 하게 되면, 상부바디(220)의 전방과 하부바디(230)의 전방 사이의 갭(G)이 가까워지게 된다. 이 경우, 상부바디(220) 내에 구비된 광원부(210)의 위치가 미세하게 하방으로 조절되어,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가 조절된다. 반대로, 상하조절부(270)를 풀어 상부바디(220)가 시계방향(cw)으로 시소운동 하게 되면, 상부바디(220)의 전방측과 하부바디(230)의 전방측 사이의 갭(G)이 멀어지고, 광원부(210)가 상방으로 조절되어, 빛의 조사각도가 조절된다. 사격자는 가변간격(D) 변화되었을 때 이와 같이 상하조절부(270)를 조작하여, 광원부(21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렌즈부(120)의 기설정된 일점(P)에 광점이 형성되게 한다.
수평조절부(280)를 조작하면, 상부바디(220)가 회동되고 상부바디(220)에 구비된 광원부(210)의 수평위치가 조절된다. 수평조절부(28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된 하부바디(230)로부터 상부바디(220)가 중앙핀(232)을 회전축(X2)으로 하여 수평방향 내에서 회전된다.
가변간격(D)이 변화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하조절부(270)를 조작하여 광원부(210)의 상하위치를 변화시켜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이 조사되는 각도를 변화하면 되지만, 보다 정확한 조준을 위해 광원부(210)를 수평방향을 기준으로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수평조절부(280)를 조절하여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이 기설정된 일점(P)에 정확히 조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렌즈모듈 200 : 광원모듈
300 : 연결가이드 210 : 광원부
110 : 렌즈부

Claims (5)

  1. 총기에 탈부착되게 구비되고, 목표물이 투영되는 렌즈부(120)가 구비되는 렌즈모듈(100);
    상기 렌즈부(120)의 기설정된 일점(P)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기설정된 일점(P)에 광점이 형성되도록 하는 광원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100)의 후방에 상기 렌즈모듈(100)과 가변간격(D)을 형성하며 분리되어 배치되는 광원모듈(200); 및
    상기 가변간격(D)이 고정되도록, 상기 광원모듈(200) 및 상기 렌즈모듈(100)을 고정시키는 연결가이드(310);
    를 포함하는 분리형 조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200)은,
    상기 광원부(210)가 설치되는 상부바디(220);
    상기 상부바디(220)와 내측에 갭(G)을 형성하며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총기에 탈부착되는 하부바디(230);
    상기 상부바디(220) 및 상기 하부바디(230)를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바디(220)와 상기 하부바디(230) 사이의 갭(G)을 조절시키는 상하조절부(270); 및
    상기 상부바디(220)와 상기 하부바디(230)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바디(220)를 상기 하부바디(230)에서 상대 회전시키는 수평조절부(280);
    를 포함하는 분리형 조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부(270)는, 상기 가변간격(D)이 변경되어 상기 렌즈부(120)에 맺힌 빛이 상기 기설정된 일점(P)에서 벗어나면, 상기 광원부(210)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부(120)의 기설정된 일점(P)에 상기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분리형 조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280)는, 상기 가변간격(D)이 변경되어 상기 렌즈부(120)에 맺힌 빛이 상기 기설정된 일점(P)에서 벗어나면, 상기 광원부(210)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부(120)의 기설정된 일점(P)에 상기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분리형 조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220)는 상기 수평조절부(280)가 형성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측과 후방측이 시소 운동하여, 상기 광원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가 조절되는 분리형 조준기.
KR1020140022819A 2014-02-26 2014-02-26 분리형 조준기 KR10139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819A KR101396399B1 (ko) 2014-02-26 2014-02-26 분리형 조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819A KR101396399B1 (ko) 2014-02-26 2014-02-26 분리형 조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399B1 true KR101396399B1 (ko) 2014-05-19

Family

ID=5089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819A KR101396399B1 (ko) 2014-02-26 2014-02-26 분리형 조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3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961A (ko) * 2015-03-03 2016-09-13 한국광기술원 광학식 조준경
KR101895055B1 (ko) * 2017-11-23 2018-09-04 주식회사 아이펙 유탄발사기의 조준장치
KR200495053Y1 (ko) * 2020-09-02 2022-02-23 이형주 사냥용 전자 확대장치
EP4042092A4 (en) * 2019-11-21 2023-11-22 Eotech, LLC POSITION ADJUSTMENT IN A HOLOGRAPHIC VI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278A (en) 1993-01-13 1995-01-24 Kay; Ira M. Wide field of view reflex sight for a bow
KR20090003999A (ko) * 2007-07-06 2009-01-12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US7634866B2 (en) 2007-03-09 2009-12-22 Meopta optika s.r.o. Gun site having removable adjustable modules
KR20110127467A (ko) * 2010-05-19 2011-11-25 정인 원격조정 사격시스템용 조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준 정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278A (en) 1993-01-13 1995-01-24 Kay; Ira M. Wide field of view reflex sight for a bow
US7634866B2 (en) 2007-03-09 2009-12-22 Meopta optika s.r.o. Gun site having removable adjustable modules
KR20090003999A (ko) * 2007-07-06 2009-01-12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KR20110127467A (ko) * 2010-05-19 2011-11-25 정인 원격조정 사격시스템용 조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준 정렬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961A (ko) * 2015-03-03 2016-09-13 한국광기술원 광학식 조준경
KR101712720B1 (ko) 2015-03-03 2017-03-07 한국광기술원 광학식 조준경
KR101895055B1 (ko) * 2017-11-23 2018-09-04 주식회사 아이펙 유탄발사기의 조준장치
EP4042092A4 (en) * 2019-11-21 2023-11-22 Eotech, LLC POSITION ADJUSTMENT IN A HOLOGRAPHIC VISOR
KR200495053Y1 (ko) * 2020-09-02 2022-02-23 이형주 사냥용 전자 확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7742B2 (ja) 大口径ドットサイト装置
US11150051B2 (en) Open frame reflex pivot mechanics
USRE46734E1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KR101396399B1 (ko) 분리형 조준기
US20190120594A1 (en) Combined reflex and laser sight with co-aligned iron sights
KR101375396B1 (ko) 편광수단을 갖춘 도트 사이트 장치
US20110314720A1 (en) Rubber armored rifle scope with integrated external laser sight
US76928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lly zeroing a sight
US6887079B1 (en) Firing simulator
US20080020355A1 (en) Variable beam boresight device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US10655933B2 (en) Dot sight device
ATE557254T1 (de) Zwei ausrichtungsvorrichtungen und ein ausrichtungsverfahren für einen schiessübungssimulator
KR200398487Y1 (ko) 주야 겸용 조준경
US8867129B2 (en) Sighting telescope
JP2010117090A (ja) レーザ送信器の照準調整装置
KR100669859B1 (ko) 소총에 장탈착되는 도트 사이트 장치
WO2005015285A2 (en) System for projecting a reticle for an aiming device
WO2021171630A1 (ja) 視準校正装置および視準校正方法
JPWO2019030912A1 (ja) ドットサイト
KR101569205B1 (ko) 야간 조준경
KR102040265B1 (ko)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JP2010071593A (ja) レーザ送信器の照準調整装置
KR101177611B1 (ko) 화기의 통합조준장치
CN102494556B (zh) 稳像发射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