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266B1 -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 Google Patents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266B1
KR102040266B1 KR1020180092071A KR20180092071A KR102040266B1 KR 102040266 B1 KR102040266 B1 KR 102040266B1 KR 1020180092071 A KR1020180092071 A KR 1020180092071A KR 20180092071 A KR20180092071 A KR 20180092071A KR 102040266 B1 KR102040266 B1 KR 10204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lock
block
side portion
moving
ze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혁
이송규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이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9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54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 F41G1/545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에 장착되어 조준장치로 이용되며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는, 바디, 도트 표시 발생부, 이동블록, 이 이동블록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정부, 그리고 제1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정부를 포함하며, 제1 영점조정부는 이동블록을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절부재, 그리고 이동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부재에 밀착시키는 제1 플런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Dot sight having zero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총기에 장착되어 조준장치로 이용되며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총열의 위 부분에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간단하고 빠른 조준이 가능하다. 즉,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조준선 정렬의 시간이 짧고, 도트(dot)로 표시되는 광점(光點)의 허상을 목표물에 신속하게 일치시켜 조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시야 확보에 유리하고 조준 과정에서 주변 시야 및 상황확인이 방해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도트 사이트 조준기에 설치되는 영점보정장치는 영점 조절 후에 도트 표시 발생부가 결합된 이동블록을 조정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수평방향 조절부와 수직방향 조절부의 반대측편에 압축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이동블록을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영점보정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이동블록을 조정하거나 고정하므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증대시켜야만 이동블록을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영점보정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증대되어 수평방향(좌, 우방향)과 수직방향(상, 하 방향)으로 이동블록 등의 내부 구성요소에 큰 응력이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영점보정장치는 탄성부재의 큰 탄성력으로 인해 운용자가 영점조절부재를 작동시키는데 큰 힘이 들어 장비의 운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점보정장치는 탄성부재의 큰 탄성력으로 인해 영점조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경우 구성 부품이 이동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구성부품의 마모가 증가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점보정장치는 총기를 운용할 때 발생하는 큰 충격이 도토 표시 발생부가 결합된 이동블록을 지지하고 있는 탄성부재에 직접 전달되면서 구성 부품간에 유동이 발생되어 구성 부품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영점보정장치에 적용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최소화시켜 구성부품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시켜 운용자가 영점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점보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도 구성 부품들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총기를 운용할 때 발생하는 큰 충격에 의해 부품간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의 변형을 방지하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트 사이트 렌즈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트 사이트 렌즈에 광을 조사하는 도트 표시 발생부, 상기 도트 표시발생부가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정부,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점조정부는
상기 이동블록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절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부재에 밀착시키는 제1 플런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블록은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일측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에서 상기 저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턱부, 상기 저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부에서 연장되는 제2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영점조정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운데 부분에 나사공을 구비한 가이드블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블록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절부재,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이동블록에 밀착시키는 제2 플런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플런저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에 접촉되는 플런저 블록, 그리고 상기 플런저 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루는 가공오차로 인한 간격을 줄이는 수평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플런저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수직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동블록의 제2 측면부에 대응하는 제3 측면부, 상기 제3 측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4 측면부, 상기 제3 측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4 측면부와 간격을 이루면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5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제4 측면부와 상기 제5 측면부의 선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3 측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제1 측면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의 내부에서 이동블록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면서 영점이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블록을 제1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수평스프링이 이동블록과 가이드부재 사이의 가공오차로 인한 간격 정도만을 지지할 수 있게 최소의 탄성력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블록을 제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수직스프링이 이동블록과 그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의 가공오차로 인한 간격 정도만을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게 최소의 탄성력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점보정장치에 적용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줄여 구성부품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시켜 운용자가 영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를 통해 영점보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도 구성 부품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줄여 구성 부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재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블록이 각각 제1 영점조절부재와 제2 영점조절부재에 의해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총기를 운용할 때 발생하는 큰 충격으로 인한 부품의 유동을 최소화시켜 부품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트 사이트에 적용되는 영점보정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트 표시 발생부와 이동블록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방향은 수평방향으로, 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은 수직방향으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로,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는, 바디(1), 도트 표시 발생부(3), 영점조정부(5), 그리고 탄도보정 노브(7)를 포함한다.
바디(1)는 총기의 총열 위쪽 부분 측에 설치되는 피카티니 레일(도시생략) 또는 마운트 장치 등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1)는 총기에 결합되는 광학 망원경(도시생략)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디(1)는 내부에 도트 표시 발생부(3)와 영점조정부(5)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바디(1)는 도트 사이트 렌즈(1a)를 구비한다. 바디(1)에 설치된 도트 사이트 렌즈(1a)는 도트 표시 발생부(3)에서 조사된 도트(Dot) 형태의 광을 반사시키는 부분이며, 십자(+)모양의 가상의 정렬선이 표시될 수 도 있다.
바디(1)는 양측면 및 전, 후에서 연장되거나 또는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b)는 저면과 나란한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디(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1b)는 측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1b)는 총기의 위쪽 부분에 설치되는 피카티니 레일 또는 별도의 마운드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1)는 도트 표시 발생부(3)와 영점조정부(5)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도트 표시 발생부(3)와 영점조정부(5)가 수용되는 공간의 위쪽 부분(도 1 기준)은 막혀있는 구조를 이루고, 아래쪽 부분(도 1 기준)은 커버(1c)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트 표시 발생부(3)는 바디(1)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트 표시 발생부(3)는 광원을 발생시켜 도트 사이트 렌즈(1a)에 점과 같은 형태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도트 표시 발생부(3)에서 발생된 광은 도트 사이트 렌즈(1a)에서 반사되어 총기의 운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점조정부(5)도 바디(1)의 내부에 설치된다. 영점조정부(5)는 이동블록(9), 제1 영점조정부(11), 그리고 제2 영점조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블록(9)은 설명의 편의상 제1 영점조정부(11) 또는 제2 영점조정부(13)와 구분하였으나, 이동블록(9)이 기능상 제1 영점조정부(11)와 제2 영점조정부(13)에 모두 포함될 수 도 있다.
이동블록(9)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9a), 제1 측면부(9b), 제1 걸림턱부(9c), 제2 측면부(9d), 그리고 제2 걸림턱부(9e)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블록(9)의 하부측에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가 배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6 참조).
저면부(9a)는 y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저면부(9a)는 가운데 부분에 y축 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장공부(9h)를 구비한다. 제1 측면부(9b)는 저면부(9a)에서 x축을 향하는 부분에서 z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 측면부(9b)는 상술한 도트 표시 발생부(3)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걸림턱부(9c)는 제1 측면부(9b)에서 -x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측면부(9d)는 저면부(9a)에서 -x축을 향하는 부분에서 z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걸림턱부(9e)는 제2 측면부(9d)에서 x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는 저면부(9a)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는 그의 외주측에 z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수직스프링(15)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점조정부(11)는 가이드부재(17), 제1 영점조절부재(19), 그리고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블록(9)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7)는 그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이동블록(9)과 함께 제1 방향(y축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7)는 제3 측면부(17a), 제4 측면부(17b), 그리고 제5 측면부(17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부(17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측면부(17b)는 제3 측면부(17a)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측면부(17b)는 y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나사홈을 구비한 나사공(17d)을 구비한다. 제5 측면부(17c)는 제3 측면부(17a)에서 x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측면부(17b)와 제5 측면부(17c)는 서로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면부(17a), 제4 측면부(17b), 그리고 제5 측면부(17c)는 서로 벽을 이루며 z축 방향이 관통되는 공간을 이루고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5 측면부(17c)는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부(17e)가 제공된다. 제5 측면부(17c)의 가이드홈부(17e)는 y축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제4 측면부(17b)와 제5 측면부(17c)는 선단부에 가이드턱부(17f, 17g)를 구비한다. 가이드턱부(17f, 17g)는 이동블록(9)을 z 축 방향(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의 제3 측면부(17a), 제4 측면부(17b), 그리고 제5 측면부(17c)가 벽을 이루어 만들어지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가 제1 방향인 y축 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4 측면부(17b) 또는 제5 측면부(17c)에 접촉되면서 가이드부재(17)가 이동하는 방향과 같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의 제3 측면부(17a), 제4 측면부(17b), 제5 측면부(17c) 그리고 가이드턱부(17f, 17g)에 안내되어 제1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제2 방향인 z축 방향(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영점조절부재(19)는 볼트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림부(19a)와 나사산부(19b)를 포함한다.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걸림부(19a)는 가상의 회전축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기어치와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나사산부(19b)는 가이드부재(17)의 제4 측면부(17b)에 제공된 나사공(17d)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점조절부재(19)는 상술한 바디(1)의 측면에 결합되어 바디(1)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영점조절부재(19)가 회전하면, 제1 영점조절부재(19)는 바디(1)에서 상대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가이드부재(17)를 제1 방향(y 축 방향,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는 플런저 블록(21a), 수평스프링(21b), 그리고 플런저 지지부재(21c)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블록(21a)은 가이드부재(17)의 제5 측면부(17c)에 제공된 가이드 홈부(17e)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스프링(21b)은 플런저 블록(21a)을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플런저 블록(21a)을 이동블록(9)의 일측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플런저 지지부재(21c)는 바디(1)에 결합되어 수평스프링(21b)의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탄성력에 의해 이동블록(9)을 가이드부재(17)의 제4 측면부(17b)로 밀착시킬 수 있다. 즉,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제1 방향(-y 축 방향, 수평방향)으로 이동블록(9)를 이동시켜 이동블록(9)과 가이드부재(17)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이동블록(9)과 가이드부재(17) 사이의 가공 오차가 이루는 간격 정도만을 줄이는 힘이 필요하므로 그의 탄성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탄성력의 값을 낮출 수 있어 내부의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영점조정부(13)는 가이드 블록(25), 제2 영점조절부재(27), 그리고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를 포함한다.
가이드 블록(25)은 대략 사각형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이동블럭(9)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가이드 블록(25)은 가운데 부분에 나사홈이 제공된 나사공(25a)이 제공된다. 가이드 블록(25)의 나사공(25a)은 제2 방향(z 방향,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25)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블록(9)의 제1 걸림턱부(9c)와 제2 걸림턱부(9e)에 걸려 이동블록(9)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볼트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영점조절부재(19)와 마찬가지로 걸림부(27a)와 나사산부(27b)를 포함한다(도 8 참조).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걸림부(27a)는 가상의 회전축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기어치와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2 영점조절부재(27)의 나사산부(27b)는 가이드블록(25)에 제공된 나사공(25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상술한 바디(1)에 결합되어 바디(1)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영점조절부재(27)가 회전하면,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바디(1)에서 회전하면서 가이드블록(25)을 제2 방향(z축 방향,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는 바디(1) 또는 커버(1c)에 지지되는 수직스프링(15)과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 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런저 어셈블리의 수직스프링(15)은 높이조절 플런저부재(10a, 10b) 의 외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일측이 바디(1) 또는 커버(1c)의 내측을 탄성력으로 지지하고 타측이 이동블럭(9)의 저면부(9a)의 일면을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이동블록(9)을 제2 방향(z축 방향,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한다.
즉,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이동블록(9)과 가이드블록(25) 사이의 가공 오차가 이루는 간격 정도만을 줄이는 힘이 필요하므로 탄성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그의 탄성력의 값을 낮출 수 있어 내부의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영점조절부재(27)는 가운데 부분에 나사결합공(27c)이 형성될 수 있다(도2 및 도5 참조). 탄도보정 노브(7)는 바디(1)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2 영점조정부(13)의 제2 영점조절부재(27)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탄도보정 노브(7)는 볼트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33)에 의해 제2 영점조절부재(27)에 결합될 수 있다. 총기 운용자가 영점을 조정할 때는 결합부재(33)를 돌려 탄도보정 노브(7)를 분리한 후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 영점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점조정은 제1 영점조정부(11)와 제2 영점조정부(13)로 영점을 조정한다.
제1 영점조정부(11)의 제1 영점조절부재(19)를 회전시키면 제1 영점조절부재(19)가 바디(1)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그러면 제1 영점조절부재(19)의 회전에 따라 제1 영점조절부재(19)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재(17)가 제1 방향(y축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부재(17)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블록(9)도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의 제4 측면부(17b) 또는 제5 측면부(17c)에 의해 밀착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는 수평스프링(21b)이 플런저 블록(21a)을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그러면 플런저 블록(21a)은 가이드부재(17)의 제5 측면부(17c)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7e)에 삽입되어 이동블록(9)의 일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는 이동블록(9)과 가이드부재(17) 사이의 제1 방향의 가공오차가 이루는 간격(도 3에서 간격 A로 표시함) 정도만큼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이동블록(9)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런저 어셈블리(21)의 수평스프링(21b)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은 탄성력으로도 이동블록(9)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충분하여 내부 구성요소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점조정부(13)의 제2 영점조절부재(27)을 회전시키면 제2 영점조절부재(27)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블록(25)이 제2 방향(z축 방향,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블록(25)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블록(9)도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2 영점조정부(13)의 제2 영점조절부재(2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블록(3)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블록(25)은 이동블록(9)의 저면부(9a) 또는 이동블록(9)의 제1 걸림턱부(9c)와 제2 걸림턱부(9e)에 밀착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블록(9)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는 수직스프링(15)이 이동블록(9)의 저면부(9a)를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그러면 이동블록(9)은 가이드부재(17)에 안내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재(17)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블록(25)이 이동블록(9)의 저면부(9a)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는 이동블록(9)과 가이드블록(25) 사이의 제2 방향의 가공오차 가 이루는 간격(도 4에서 B로 표시함) 정도만큼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이동블록(9)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런저 어셈블리(29)의 수직스프링(15)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은 탄성력으로도 이동블록(9)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충분하여 내부 구성요소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총기의 운용자는 영점조정부(5)를 통해 영점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영점조절부재(19)가 가이드부재(17)에 나사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영점조절부재(27)가 가이드블록(25)에 나사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영점조절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용자가 영점을 조절할 때 수직스프링(15)과 수평스프링(21b)의 탄성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적은 힘으로도 영점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운용이 편리하며, 동시에 총기의 운영시 발생하는 큰 충격에도 이동블록(9)과 같은 주요 부품의 유동을 최소화시켜 장비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바디, 1a. 도트 사이트 렌즈,
1b. 플랜지부, 1c. 커버,
3. 도트 표시 발생부, 5. 영점조정부,
7. 탄도보정 노브,
9. 이동블록, 9a. 저면부,
9b. 제1 측면부, 9c. 제1 걸림턱부,
9d. 제2 측면부, 9e. 제2 걸림턱부,
9h. 장공부,
10a, 10b. 높이조절 플런저부재,
11. 제1 영점조정부, 13. 제2 영점조정부,
15. 수직스프링,
17. 가이드부재, 17a. 제3 측면부,
17b. 제4 측면부, 17c. 제5 측면부,
17d. 나사공, 17e. 가이드홈부,
19. 제1 영점조절부재, 19a. 걸림부,
19b. 나사산부,
21. 제1 플런저 어셈블리, 21a. 플런저 블록,
21b. 수평스프링, 21c. 플런저 지지부재,
25. 가이드 블록, 25a. 나사공,
27. 제2 영점조절부재, 27a. 걸림부,
27b. 나사산부, 27c. 나사결합공,
29. 제2 플런저 어셈블리,
33. 결합부재,

Claims (6)

  1. 도트 사이트 렌즈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트 사이트 렌즈에 광을 조사하는 도트 표시 발생부,
    상기 도트 표시발생부가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정부,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점조정부는
    상기 이동블록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영점조절부재,
    상기 이동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부재에 밀착시키는 제1 플런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동블록의 제2 측면부에 대응하는 제3 측면부,
    상기 제3 측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4 측면부,
    상기 제3 측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4 측면부와 간격을 이루면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5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제4 측면부와 상기 제5 측면부의 선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3 측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제1 측면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턱부
    를 포함하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일측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에서 상기 저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턱부,
    상기 저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부에서 연장되는 제2 걸림턱부
    를 포함하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점조정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운데 부분에 나사공을 구비한 가이드블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블록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영점조절부재,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이동블록에 밀착시키는 제2 플런저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에 접촉되는 플런저 블록, 그리고
    상기 플런저 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루는 가공오차로 인한 간격을 줄이는 수평스프링
    을 포함하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런저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블록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수직스프링을 포함하는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6. 삭제
KR1020180092071A 2018-08-07 2018-08-07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KR10204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071A KR102040266B1 (ko) 2018-08-07 2018-08-07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071A KR102040266B1 (ko) 2018-08-07 2018-08-07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266B1 true KR102040266B1 (ko) 2019-11-04

Family

ID=6857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071A KR102040266B1 (ko) 2018-08-07 2018-08-07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2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009A (ko) * 2015-04-15 2016-10-25 정보선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101732248B1 (ko) * 2015-03-05 2017-05-04 정보선 링형 마운트용 도트사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248B1 (ko) * 2015-03-05 2017-05-04 정보선 링형 마운트용 도트사이트 장치
KR20160123009A (ko) * 2015-04-15 2016-10-25 정보선 도트 사이트 조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738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EP3692323B1 (en) Open frame reflex pivot mechanics
USRE46734E1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US7634866B2 (en) Gun site having removable adjustable modules
US8407925B2 (en) Firearm receiver cover having an accessory mount
US4408842A (en) Telescopic sight having lens holder tube with half socket pivot mount
KR20220102624A (ko) 온도 안정화 홀로그램 조준기
US2189766A (en) Telescope reticule adjustment
US20150292837A1 (en) Sight Module for Firearm
KR101732248B1 (ko) 링형 마운트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2323147B1 (ko)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102040266B1 (ko) 영점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KR101999680B1 (ko) 도트 사이트 장치
KR102541156B1 (ko) 도트 사이트 장치
KR102040265B1 (ko) 탄도보정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KR102040267B1 (ko) 초점조절장치를 구비한 도트 사이트
KR101396399B1 (ko) 분리형 조준기
KR101929282B1 (ko) 도트 사이트 조준경
US1950790A (en) Gunsight reticule adjustment means
KR101375373B1 (ko) 도트사이트 장착용 권총 슬라이드
KR20150065530A (ko) 야간 조준경
RU201312878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ложения линии визирования прицелов на стрелковом оружии
RU2003101559A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араметров прицела системы телеориентирования с излучающими каналами на инжекционных лазерах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9488825B2 (en) Long-range opt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