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624A - 온도 안정화 홀로그램 조준기 - Google Patents

온도 안정화 홀로그램 조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624A
KR20220102624A KR1020227017724A KR20227017724A KR20220102624A KR 20220102624 A KR20220102624 A KR 20220102624A KR 1020227017724 A KR1020227017724 A KR 1020227017724A KR 20227017724 A KR20227017724 A KR 20227017724A KR 20220102624 A KR20220102624 A KR 2022010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llar
laser diode
mirror
optic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소니 히스
디애나 케이 맥밀렌
스티븐 브라운
존 호턴
Original Assignee
이오테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테크, 엘엘씨 filed Critical 이오테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10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8Aiming or laying mean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speed, direction,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of the atmosphe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Lens Barrel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홀로그램 조준기는 광학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리셉터클을 갖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를 포함한다. 시준 광학계는 제 1 리셉터클의 표면과 접한다. 미러는 제 2 리셉터클의 표면과 접한다. 칼라는 제 3 리셉터클에 포지셔닝되고 레이저 다이오드는 칼라 내에 포지셔닝된다. 칼라의 제 1 부분은 제 3 리셉터클의 제 1 부분에 대해 부착되고 칼라의 제 2 부분은 제 3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팽창 및 수축한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 2 부분에 근접한 칼라에 부착되고 제 2 부분의 팽창 및 수축과 함께 제 3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미러 및 시준 광학계는 광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로 상대적으로 포지셔닝된다. 칼라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를 보상한다.

Description

온도 안정화 홀로그램 조준기
먼 곳에 위치된 물체를 식별하고 초점을 맞추는 것은 조준기의 사용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조준기는 예를 들어 활, 소총, 산탄총, 권총, 탑재 기관총 및 유탄 발사기 등과 같은 소형 무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조작자가 표적을 찾고 초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조준기는 많은 상이한 형태와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조작자가 물체를 찾고 초점을 맞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홀로그램을 조작자에게 제공하는 조준기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것은 온도 안정화 홀로그램 조준기이다. 홀로그램 조준기는 광학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갖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시준 광학계는 제 1 리셉터클에 포지셔닝(positioning)될 수 있다. 미러(mirror)는 제 2 리셉터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칼라(collar)는 제 3 리셉터클에 포지셔닝될 수 있고 레이저 다이오드는 칼라 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미러는 레이저 다이오드 반대편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칼라의 제 1 부분은 제 3 리셉터클의 제 1 부분에 대해 부착될 수 있고 칼라의 제 2 부분은 제 3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 예를 들어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 2 부분에 근접한 칼라에 고정될 수 있고 제 2 부분의 팽창 및 수축과 함께 제 3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 미러, 및 시준 광학계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미러로, 그리고 미러로부터 시준 광학계로 광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 포지셔닝될 수 있다. 광학 경로의 길이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칼라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를 보상하기 위해서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온도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함으로써 제 1 리셉터클이 미러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칼라는 온도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함으로써 칼라의 제 2 부분과 레이저 다이오드가 미러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함으로써 제 1 리셉터클이 미러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칼라는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함으로써 칼라의 제 2 부분과 레이저 다이오드가 미러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칼라 및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의 열팽창 계수는 상이할 수 있고 칼라의 길이는 온도 변화 동안 광학 경로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로 개념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개요는 청구된 요지의 핵심 기능 또는 필수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요지의 범주를 제한하는데 사용되지도 않는다. 다른 기능은 본 발명에 설명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술한 개요 및 다음의 추가 설명은 첨부된 예시적인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개시된 시스템의 잠재적인 실시예와 구현예는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예시적인 조립된 홀로그램 조준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홀로그램 조준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부분적으로 조립된 홀로그램 조준기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예시적인 베이스에 부착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베이스에 부착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베이스에 부착되고 광학 부품이 부착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베이스에 부착되고 광학 부품이 분해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광학 부품이 부착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광학 부품이 분해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베이스에 부착되고 광학 부품이 부착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광학 부품이 부착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의 단면도이다.
홀로그램 조준기는 일련의 광학 부품을 사용하여 조작자에게 표시할 홀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조준기는 광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광 빔을 편향시키는 미러, 편향된 광 빔을 수신하고 시준 광을 반사하는 시준 광학계, 시준 광을 수신하고 이미지와 함께 기록하고 조준기 조작자에게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홀로그램 쪽으로 광을 반사하는 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의 작동에는 광학 부품이 서로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포함한 의도한 위치에 있을 것을 요구한다. 광학 부품 중 하나라도 의도한 위치에서의 아주 작은 편차라도 조준기의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는 홀로그램 조준기 내측의 구조물에 부착함으로써 서로에 대해 광학 부품을 포지셔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준 광학계 및 홀로그램 이미지와 같은 광학 부품은 홀로그램 조준기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미러는 조준기 하우징이 부착된 베이스에서 연장된 연단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격자는 조준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광학 부품이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이한 구성요소에 부착되기 때문에, 제어된 제조 환경에서도 광학 부품을 그들의 의도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광학 부품이 부착되는 임의의 구조물의 이동은 광학 부품을 의도된 위치로부터 이동시켜 홀로그램의 재구성에서 열화를 일으킬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는 광범위한 환경과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의 구성요소는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 및/또는 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감소에 따라 홀로그램 조준기의 하우징과 베이스가 수축하거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유사하게, 온도 증가에 응답하여, 하우징과 베이스는 팽창하거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광학 부품이 하우징과 베이스에 부착되는 홀로그램 조준기에서, 하우징과 베이스의 팽창 및 수축은 부착된 광학 부품의 의도된 상대적인 위치로부터의 이동 또는 변위를 초래할 수 있다. 광학 부품의 이동 또는 변위는 조준기에 의해 생성되는 홀로그램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출원인은 온도가 안정화되는 홀로그램 조준기를 개시한다. 온도 변화로 인해 광학 부품이 의도한 상대적인 위치에서 변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조준기에 의해 생성된 홀로그램이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는 제 1 리셉터클에 포지셔닝된 시준 광학계, 제 2 리셉터클에 포지셔닝된 미러, 및 칼라 내에 포지셔닝된 레이저 다이오드와 함께 제 3 리셉터클에 포지셔닝된 칼라를 갖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는 레이저 다이오드 반대편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칼라의 제 1 부분은 제 3 리셉터클의 제 1 부분에 대해 고정될 수 있고 칼라의 제 2 부분은 제 3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 예를 들어 길이가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 2 부분에 근접한 칼라에 고정될 수 있고 칼라의 팽창 및 수축과 함께 제 3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칼라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를 보상하기 위해서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온도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함으로써 제 1 리셉터클이 미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칼라는 온도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함으로써 칼라의 제 2 부분과 레이저 다이오드가 미러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함으로써 제 1 리셉터클이 미러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칼라는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함으로써 칼라의 제 2 부분과 레이저 다이오드가 미러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칼라와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의 열 팽창 계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칼라의 길이는 광학 부품 사이의 광 경로의 누적 길이가 온도 변화 동안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예시적인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전면도 및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1c 및 도 1d는 예시적인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홀로그램 조준기(100)는 예를 들어, 총기와 같은 적합한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100)는 화기에 홀로그램 조준기(100)를 고정하기 위해서 화기 상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베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100)는 전방 단부(112) 및 후방 단부(114)를 포함한다.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조작자는 후방 단부(114)에 포지셔닝한 후방 창(116) 및 전방 단부(112)에 포지셔닝한 정렬된 전방 창(118)을 통해 볼 수 있다. 후방 창(116) 및 정렬된 전방 창(118)을 통해 조작자가 볼 수 있는 영역은 시야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100)는 후면 창(116) 및 전면 창(118)에 의해 한정된 시야 영역에 홀로그램 이미지를 부과하도록 구성된다.
높이 조정 제어기(120)는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하우징(122)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방위각 조정 제어기(124)는 베이스(11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조작자는 후면 창(116)에서 볼 때 홀로그램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높이 조정 제어기(120)를 돌릴 수 있다. 조작자는 후방 창(116)에서 볼 때 홀로그램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방위각 조정 제어기(124)를 돌릴 수 있다. 배터리 캡(128)은 홀로그램 조준기(10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거될 수 있다.
야간 투시 버튼(162) 및 상하 버튼(164)은 베이스(11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의 조작자는 야간 투시 버튼(162) 및/또는 상하 버튼(164)을 눌러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작동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면 홀로그램 조준기(100)가 켜짐/꺼짐 상태를 변경하고, 홀로그램의 밝기를 변경하고/하거나 일반 모드와 야간 투시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100)는 후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170)는 하우징(122)의 일부분 위에 그리고 그 주위에 포지셔닝될 수 있고 베이스(110)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후드(170)는 하우징(122)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하우징(122)은 베이스(11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그 사이에 포지셔닝된 시일(130)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22)은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구성요소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22)은 베이스(11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는 광학 섀시(132)를 둘러쌀 수 있다. 광학 섀시(132)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광학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리셉터클를 갖는 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섀시(132)는 레이저 다이오드(134), 미러(136), 시준 광학계(138), 격자(140), 및 이미지 홀로그램(142)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34)는 미러(136)를 향해 지향되고 미러(136)에서 수신되는 가시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러(136)는 레이저 다이오드(134)로부터 수신된 광을 시준 광학계(138)를 향해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준 광학계(138)는 미러(136)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시준된 광을 격자(140)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준 광학계(138)는 예를 들어, 투과형 또는 반사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격자일 수 있는 격자(140)는 시준 광학계(138)로부터 시준 광을 수신하고 회절 광을 이미지 홀로그램(142)을 향해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홀로그램(142)은 격자(140)로부터 광을 수신하고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시야 영역에서 볼 수 있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100)는 후방 창(116)이 제공하는 시야 영역을 통해 보는 조작자에게 홀로그램을 표시한다. 홀로그램 이미지는 조작자가 물체를 찾고 표적화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은 레티클(reticle)일 수 있지만, 다른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이오드 슈(diode shoe)로 지칭될 수 있는 칼라(146)는 연관된 내경을 갖는 내부 표면 및 연관된 외경을 갖는 외부 표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34)는 칼라(146) 내에 포지셔닝될 수 있고 칼라(146)의 내부 표면과 마찰 끼워 맞춤을 형성할 수 있다. 링(148)은 칼라(146)의 외부 표면 주위에 포지셔닝될 수 있고 칼라(146)의 외부 표면과 마찰 끼워 맞춤을 형성할 수 있다. 링(148)은 광학 섀시(132)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다. 링은 광학 섀시(132)의 대응하는 리셉터클에 포함된 대향 벽과 마찰 끼워 맞춤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34), 칼라(146) 및 링(148)을 광학 섀시(132)의 대응하는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동안 칼라(146)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레이저 다이오드 홀드 프레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22)은 베이스(11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는 브리지(152)를 추가로 둘러싼다. 브리지(152)는 광학 섀시(132)의 제 1 리셉터클의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하는 개구(190)를 형성할 수 있다. 높이 조절기 조립체(154) 및 방위각 조절기 조립체(156)는 광학 섀시(132)의 제 1 리셉터클의 부분과 맞물리기 위해 브리지(152)에 형성된 개구(159)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높이 조절 제어기(120)는 하우징(122)에 형성된 개구 또는 구멍(155)을 통해 높이 조절기 조립체(154)와 맞물릴 수 있다. 하우징(122)의 개구 또는 구멍(155)은 높이 조절 제어기(120)가 하우징(122)에 의한 간섭 없이 높이 조절기 조립체(154)와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조작자는 높이 조정 제어기(120)를 돌릴 수 있으며, 이는 높이 조절기 조립체(154)가 브리지(152)에 의해 형성된 개구(190) 내로 연장하는 조립체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광학 섀시(132)의 제 1 소켓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한다.
방위각 조정 제어기(124)는 베이스(110)에 형성된 개구(157)를 통해 방위각 조정기 조립체(156)와 맞물린다. 베이스(110)의 개구(157)는 방위각 조정 제어기(124)가 베이스(110)에 의한 간섭 없이 방위각 조정기 조립체(156)와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조작자는 방위각 조정 제어기(124)를 돌릴 수 있으며, 이는 방위각 조정기 조립체(156)가 브리지(152)에 의해 형성된 개구(190) 내로 연장하는 조립체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광학 섀시(132)의 제 1 소켓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한다.
하우징(122)은 홀로그램 조준기(1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160)를 추가로 둘러쌀 수 있다. 야간 투시 버튼(162) 및 업-다운 버튼(164)은 스페이서(166)를 통해 연장하여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160)와 맞물릴 수 있다. 야간 투시 버튼(162) 및 업-다운 버튼(164)은 베이스(110)의 대응하는 개구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조작자가 야간 투시 버튼(162) 및/또는 업-다운 버튼(164)을 누를 때, 버튼은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160)와 접속하여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작동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버튼 또는 버튼들의 조합을 누르는 것은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160)가 온/오프 상태를 변경하고, 홀로그램의 밝기를 변경하고/하거나 정상 및 야간 투시 모드 사이를 토글(toggle)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122), 후드(170), 및 다른 요소가 제거된 상태로 부분적으로 조립된 예시적인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광학 섀시(132)는 예를 들어, 나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적합한 체결 기술을 사용하여 베이스(11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34), 미러(136), 시준 광학계(38), 격자(140), 및 이미지 홀로그램(142)을 포함하는 광학 부품은 광학 섀시(132)의 리셉터클에 수용될 수 있다. 브리지(152)는 예를 들어, 나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적합한 체결 기술을 사용하여 베이스(11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광학 섀시(132)의 일부분은 브리지 및 베이스(110)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190) 내로 연장할 수 있다. 높이 조정 제어기(120)는 광학 섀시(132)의 일부분에 힘을 가함으로써 광학 섀시(13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높이 조정기 조립체(154)와 접속할 수 있다. 방위각 조정 제어기(124)는 방위각 조정기 조립체(156)와 접속하여 광학 섀시(132)의 일부분에 힘을 가함으로써 광학 섀시(132)의 적어도 일부분의 수평 방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a는 베이스(110)에 부착되고 광학 부품이 제거된 예시적인 광학 섀시(132)의 분리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예시적인 광학 섀시(132)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베이스(110)에 부착된 광학 섀시(132)의 역 사시도를 도시한다. 광학 섀시(132)는 부착 플랜지(220), 부착 플랜지(2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부착 플랜지(2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지지 부재(222), 및 지지 부재(222)와 일체로 형성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플랜지(220)는 예를 들어, 부착 플랜지(220)의 개구를 통해 베이스(110)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내로 연장하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는 적합한 방식을 사용하여 베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222) 및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부착 플랜지(220)에 의해 베이스(110)에 대해 현수될 수 있다.
광학 섀시(132)의 지지 부재(222)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가 부착 플랜지(220) 및 베이스(110)에 대해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각도 이동 가능하도록 가요성인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2)는 부착 플랜지(220) 및 베이스(110)에 대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순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조작자의 시야에서 생성된 홀로그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지지 부재(222)는 부착 플랜지(220)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하고 부착 플랜지(220)와 일체로 형성된 제 1 벽(2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2)는 제 2 벽(244) 및 제 1 벽(240)과 제 2 벽(244) 사이에 커플링된 가요성 부재(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벽(244) 및 가요성 부재(246)는 제 1 벽(2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벽(244)은 부착 플랜지(220) 및 베이스(110)에 대해 받침점으로서 가요성 부재(246)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각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가요성 부재(246)는 제 1 벽(240)의 중심 부근에서 제 1 벽(240)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2 벽(244)의 중심 부근에서 제 2 벽(24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수평 힘이 제 2 벽(244)에 가해질 때, 가요성 부재(246)는 제 2 벽(244)이 이동하거나 이동의 받침점이 되는 가요성 부재(246)와 함께 제 1 벽(240)에 대해 수평으로 각도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부러지거나 비틀릴 수 있다. 광학 부품 캐리어(224)에 가해진 수평력은 제 2 벽(244)에 전달될 수 있고 제 1 벽(240) 및 부착물 플랜지(220)에 대해 제 2 벽(244) 및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가요성 부재(246) 주위에 또는 그 부근에서 각도 수평 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2)는 제 2 벽(244)과 일체로 형성되고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제 1 수평 부재(247),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를 향해 연장하는 제 2 수평 부재(248), 그리고 제 1 수평 부재(247) 및 제 2 수평 부재(248)로 일체로 형성되는 조인트 부재(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평 부재(247), 조인트 부재(249) 및 제 2 수평 부재(24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부착 플랜지(220) 및 베이스(110)에 대해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에 수직 가요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 2 수평 부재(248)는 제 1 수평 부재(24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요성일 수 있다. 조인트 부재(249)는 가요성일 수 있고 제 1 수평 부재(246)에 대한 제 2 수평 부재(248)의 수직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 2 수평 부재(248)에 수직 압력이 가해지면, 제 1 수평 부재(247), 부착 플랜지(220) 및 베이스(1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또는 변위될 수 있다. 이동은 받침점 역할을 하는 조인트 부재(249)와 각을 이룰 수 있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에 가해진 수직력은 제 2 수평 부재(248)에 전달될 수 있고, 제 1 수평 부재(247) 및 부착 플랜지(220)에 대해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조인트 부재(249) 및 제 2 수평 부재(248)의 주위에 또는 그 부근에서 수직 각도 이동 또는 변위를 초래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평 부재(247) 및 제 2 수평 부재(248)의 다중 사례가 지지 부재(222)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부착 플랜지(220)를 통해 베이스(110)에 커플링되고 광학 부품(134, 136, 138, 140, 142)이 부착된 예시적인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광학 부품(134, 136, 138, 140, 142)이 분해된 예시적인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를 도시한다. 도 8은 베이스(110)가 없고 광학 부품이 부착된 예시적인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베이스(110)가 없고 광학 부품(134, 136, 138, 140, 142)이 분해된 예시적인 광학 부품 캐리어를 도시한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광학 부품이 부착되는 벤치 또는 랙(rack)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본체를 포함한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부착 플랜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지지 부재(2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강체를 포함할 수 있고 광학 부품 사이의 상대 거리의 변화에 실질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이 높이 조정기 조립체(154) 및/또는 방위각 조정기 조립체(156)에 의해 제 1 리셉터클(230)에 가해지는 시나리오에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왜곡에 저항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광학 부품(134, 136, 138, 140, 142) 사이의 상대 거리와 실질적으로 일치하여 이동할 수 있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상대적으로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 결과, 광학 부품 사이의 상대 거리는 광범위한 온도 환경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티타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광학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리셉터클(230, 232, 234, 236, 238)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230, 232, 234, 236, 238) 각각은 적절한 광학 부품의 대응하는 표면을 수용 또는 인접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230)은 칼라(146) 및 칼라(146)에 포지셔닝된 레이저 다이오드(134)를 내부에 보유하는 링(148)을 수용하여 그와 마찰 끼워 맞춤을 형성할 수 있다. 리셉터클(232)은 미러(222)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수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234)은 시준 광학계(138)의 대략 하나 이상의 표면을 수용 또는 인접할 수 있다. 리셉터클(236)은 홀로그램 격자(140)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수용 또는 인접할 수 있다. 리셉터클(238)은 이미지 홀로그램(142)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수용 또는 인접할 수 있다. 표면 대 표면 장착은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광학 부품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한다. 리셉터클(230, 232, 234, 236, 238)은 대응하는 광학 부품이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외부로부터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외부로부터 광학 부품의 장착은 예를 들어, 로봇 핸들링과 같은 자동화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광학 부품은 광학 부품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사이의 마찰을 통해 및/또는 접착제의 적용에 의해 리셉터클(230, 232, 234, 236, 238)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대응하는 리셉터클(230, 232, 234, 236, 238)에 포지셔닝된 베이스(110) 및 광학 부품(134, 136, 138, 140, 142)을 갖춘 부착된 광학 섀시(132)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베이스(110)가 없는 광학 섀시(13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레이저 다이오드(134)는 미러(136)를 향하여 지향되고 미러(136)에서 수신되는 가시 광선 빔을 생성 및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러(136)는 레이저 다이오드 반대편에 포지셔닝될 수 있고 레이저 다이오드(134)로부터 수신된 가시 광선 빔을 수신 및 반사하거나 시준 광학계(138) 쪽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준 광학계(138)는 미러(136)로부터 반사되거나 재지향된 광 빔을 수신하고, 재지향된 가시 광선을 시준하고, 시준된 가시광선 빔을 격자(140)로 지향시키도록 포지셔닝되고 구성될 수 있다. 격자(140)는 시준된 광 빔을 수신하고, 시준된 가시 광선을 회절시키고, 회절된 시준 가시광선을 이미지 홀로그램(142)을 향하도록 포지셔닝되고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홀로그램(142)은 격자(140)로부터 회절된 시준 가시 광선 빔을 수신하고 홀로그램 조준기(100)의 시야 영역에서 볼 수 있는 홀로그램을 투사하도록 포지셔닝되고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34), 미러(136), 및 시준 광학계(138)는 레이저 다이오드(134)로부터 미러(136)로, 그리고 미러(134)로부터 시준 광학계(138)로 방출된 광에 대한 광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 포지셔닝될 수 있다. 광학 경로는 시준 광학계(138)로부터 격자(140)로, 그리고 격자(140)로부터 이미지 홀로그램(142)으로 계속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34)는 칼라(146) 내에 포지셔닝될 수 있고, 칼라(146)는 링(148) 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링(148), 칼라(146), 및 레이저 다이오드(134)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제 1 리셉터클(230) 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제 1 리셉터클(230)은 두 세트의 대향 측벽(250A,B 및 252A,B)에 의해 설정된 개구 또는 리셉터클을 형성할 수 있다. 링(148)은 두 세트의 대향 측벽(250A,B 및 252A,B)과 인접하고 마찰 끼워 맞춤을 형성할 수 있다. 환언하면, 링(148)은 링(148)과 제 1 리셉터클(230)의 표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제 1 리셉터클(230)의 내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링(148)에 대응하는 칼라(146)의 제 1 부분(310)은 제 1 리셉터클(230) 및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칼라(146)의 제 1 부분(310)은 팽창 및 수축함에 따라서 제 1 리셉터클(230)과 실질적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링(148)에 대응하지 않는 칼라(146)의 제 2 부분(312)은 제 1 리셉터클(230) 내에 현수될 수 있고 제 1 리셉터클(230)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146)가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또는 수축함에 따라서, 칼라(146)의 제 2 부분(312)의 위치는 제 1 리셉터클(230)에 대해 변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34)는 제 2 부분(312)에 근접한 칼라(146)에 부착될 수 있고, 따라서 제 2 부분(312)이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또는 수축함에 따라 제 1 리셉터클(230)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34), 미러(136), 및 시준 광학계(138)는 레이저 다이오드(134)로부터 미러(136)로, 그리고 미러(136)로부터 시준 광학계(138)로의 광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 포지셔닝될 수 있다. 칼라(146)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또는 수축하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를 보상하기 위해서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또는 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가 온도의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하는 시나리오에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제 1 리셉터클(230)과 마찰적으로 커플링되는 칼라(146)의 제 1 부분(310)은 제 1 리셉터클(230)이 팽창함에 따라서 제 1 리셉터클(230)을 갖는 미러(136)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다. 칼라(146)는 칼라(146)의 제 2 부분(312) 및 칼라(146)에 부착된 레이저 다이오드(134)가 미러(136)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온도의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될 수 있다. 칼라(146)의 팽창 및 미러(136)를 향한 레이저 다이오드(134)의 대응하는 이동은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팽창 및 미러(136)로부터 멀어지는 칼라(146)의 제 1 부분(310)의 대응하는 이동을 상쇄(offset)하거나 보상한다.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미러로, 그리고 미러로부터 시준 광학계로의 광학 경로의 길이는 온도 변화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변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레이저 다이오드(134)로부터 미러(232)로, 미러(232)로부터 시준 광학계(138)로, 시준 광학계(138)로부터 격자(140)로, 격자(140)로부터 이미지 홀로그램(142)으로의 광학 경로도 또한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변하지 않는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가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하는 시나리오에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제 1 리셉터클(230)과 마찰적으로 커플링된 칼라(146)의 제 1 부분(310)은 제 1 리셉터클이 수축함에 따라서 제 1 리셉터클(230)과 함께 미러(136)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칼라(146)는 칼라(146)의 제 2 부분(312)과 칼라(146)에 부착된 레이저 다이오드(134)가 미러(136)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하는 온도의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할 수 있다. 칼라(146)의 수축 및 미러(136)로부터 멀어지는 레이저 다이오드(134)의 대응하는 이동은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의 수축 및 미러(136)를 향한 칼라(146)의 제 1 부분(310)의 대응하는 이동을 상쇄하거나 보상한다. 레이저 다이오드(134)로부터 미러(136)로, 그리고 미러(136)로부터 시준 광학계(138)로의 광 경로의 길이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거나 일정하게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레이저 다이오드(134)로부터 미러(232)로, 미러(232)로부터 시준 광학계(138)로, 시준 광학계(138)로부터 격자(140)로, 격자(140)로부터 이미지 홀로그램(142)으로의 광학 경로도 또한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변하지 않는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제 1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고 칼라(146)는 제 2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 1 열 팽창 계수 및 제 2 열 팽창 계수는 상이할 수 있고 칼라(146)의 길이는 광학 경로의 길이가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224)는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레이저 다이오드 슈(146)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148)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원인은 광학 부품의 상대적인 위치가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홀로그램 조준기를 개시했다.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의 팽창 및 수축은 레이저 다이오드가 안착되는 칼라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보상된다. 레이저 다이오드와 다른 광학 부품 사이의 광학 경로 길이는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홀로그램 조준기는 온도에 따라 안정적이다.
예시적인 예들이 개시되었지만, 잠재적인 실시예의 범주는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홀로그램 조준기가 특정 수의 광학 부품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개시와 일치하는 홀로그램 조준기에는 상이한 수의 광학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예와는 다른 형태로 배열된 광학 부품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본 발명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과 상이하게 구성된 지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특징 및 요소가 특정 조합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각각의 특징 또는 요소는 다른 특징 및 요소 없이 단독으로, 및/또는 다른 특징 및 요소와 함께 또는 다른 특징 및 요소 없이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홀로그램 조준기(holographic sight)로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unitary optical component carrier)로서, 광학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는, 광학 부품 캐리어;
    복수의 리셉터클의 제 1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시준 광학계(collimating optic);
    복수의 리셉터클의 제 2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미러(mirror);
    복수의 리셉터클의 제 3 리셉터클에 포지셔닝(positioning)된 칼라(collar); 및
    제 3 리셉터클 내의 칼라 내부에 포지셔닝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로서, 미러는 레이저 다이오드 반대편에 포지셔닝되고, 칼라의 제 1 부분은 제 3 리셉터클의 제 1 부분에 대해 부착되고 칼라의 제 2 부분은 제 3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팽창 및 수축하고,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 2 부분에 근접한 칼라에 부착되고 제 2 부분의 팽창 및 수축으로 제 3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레이저 다이오드, 미러 및 시준 광학계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미러로, 그리고 미러로부터 시준 광학계로의 광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 포지셔닝되며,
    광학 경로의 길이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칼라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를 보상하기 위해서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온도 상승에 응답하여 팽창하여, 제 1 리셉터클이 미러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고, 그리고
    칼라는 온도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하여, 칼라의 제 2 부분과 레이저 다이오드가 미러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하여, 제 1 리셉터클이 미러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그리고
    칼라는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하여, 칼라의 제 2 부분과 레이저 다이오드가 미러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칼라 주위에 포지셔닝되고 제 3 리셉터클과 접하는 링(ring)을 더 포함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3 리셉터클은 구멍을 포함하고, 링은 구멍의 표면에 접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링은 링과 구멍의 표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구멍의 표면에 대해 고정되는,
    홀로그램 조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티타늄으로 제작되고, 칼라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으로 제작되는,
    홀로그램 조준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링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는,
    홀로그램 조준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제 1 열팽창 계수를 갖고, 칼라는 제 2 열팽창 계수를 가지며,
    칼라는 온도 변화 중에 팽창 및 수축하여 광학 경로의 길이가 온도 변화 동안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홀로그램 조준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홀로그래픽 격자(holographic grating); 및
    제 5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이미지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11. 홀로그램 조준기로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로서, 광학 부품은 광학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
    복수의 리셉터클의 제 1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이미지 홀로그램;
    복수의 리셉터클의 제 2 리셉터클에 포지셔닝된 칼라; 및
    제 2 리셉터클 내의 칼라 내부에 포지셔닝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로서, 칼라의 제 1 부분은 제 2 리셉터클의 제 1 부분에 대해 부착되고 칼라의 제 2 부분은 제 2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팽창 및 수축하고,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 2 부분에 근접한 칼라에 부착되고 제 2 부분의 팽창 및 수축으로 제 2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레이저 다이오드와 이미지 홀로그램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시준 광학계로의 광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 포지셔닝되며,
    광학 경로의 길이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칼라는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를 보상하기 위해서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온도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되며, 그리고
    칼라는 온도 증가에 응답하여 팽창하여, 칼라 및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 2 부분이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의 팽창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광학 경로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하며, 그리고
    칼라는 온도 감소에 응답하여 수축하여, 칼라의 제 2 부분 및 레이저 다이오드가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의 수축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광학 경로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제 1 열팽창 계수를 갖고 칼라는 제 2 열팽창 계수를 가지며,
    칼라는 온도 변화 중에 팽창 및 수축하여 광학 경로의 길이가 온도 변화 동안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홀로그램 조준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셉터클의 제 3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미러;
    복수의 리셉터클의 제 4 리셉터클 표면과 접하는 시준 광학계; 및
    복수의 리셉터클의 제 5 리셉터클의 표면과 접하는 격자를 더 포함하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이미지 홀로그램으로의 광학 경로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미러로의 경로, 미러로부터 시준 광학계로의 경로, 시준 광학계로부터 격자로의 경로, 및 격자로부터 이미지 홀로그램으로의 경로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16. 홀로그램 조준기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1 리셉터클, 미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2 리셉터클, 시준 광학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3 리셉터클, 홀로그램 격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4 리셉터클, 및 이미지 홀로그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5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
    제 2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미러;
    제 3 리셉터클의 표면과 접하는 시준 광학계;
    제 4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격자;
    제 5 리셉터클의 표면에 접하는 이미지 홀로그램;
    제 1 리셉터클 내에 포지셔닝된 칼라; 및
    칼라 내에 포지셔닝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미러는 제 1 리셉터클과 레이저 다이오드 반대편에 포지셔닝되며,
    칼라의 제 1 부분은 제 1 리셉터클의 제 1 부분에 대해 부착되고 칼라의 제 2 부분은 제 1 리셉터클에 대해 자유롭게 팽창 및 수축하며,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 2 부분에 근접한 칼라에 부착되며,
    온도 증가로 인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의 연장은 제 1 리셉터클의 제 1 부분이 미러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고 온도 증가로 인한 칼라의 연장은 칼라의 제 2 부분 및 레이저 다이오드가 미러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미러로부터 멀어지는 제 1 리셉터클의 제 1 부분의 이동은 미러를 향한 칼라의 제 2 부분 및 레이저 다이오드의 이동에 의해 상쇄(offset)되는,
    홀로그램 조준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단일 광학 부품 캐리어는 제 1 열팽창 계수(CTE)를 갖고 칼라는 제 2 CTE를 가지며, 제 1 CTE 및 제 2 CTE는 증가된 온도로 인해 미러로부터 멀어지는 제 1 리셉터클의 연장이 칼라의 연장 및 미러를 향한 칼라의 제 2 부분의 이동에 의해 상쇄되도록 크기가 관련되어 있는,
    홀로그램 조준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칼라 주위에 포지셔닝되고 제 1 리셉터클과 접하는 링을 더 포함하는,
    홀로그램 조준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1 리셉터클은 구멍을 포함하며, 링은 구멍의 표면과 접하고 링과 구멍의 표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구멍의 표면에 대해 고정되는,
    홀로그램 조준기.
KR1020227017724A 2019-11-21 2020-11-16 온도 안정화 홀로그램 조준기 KR20220102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91,192 2019-11-21
US16/691,192 US11391904B2 (en) 2019-11-21 2019-11-21 Temperature stabilized holographic sight
PCT/US2020/060714 WO2021141671A1 (en) 2019-11-21 2020-11-16 Temperature stabilized holographic s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624A true KR20220102624A (ko) 2022-07-20

Family

ID=7597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724A KR20220102624A (ko) 2019-11-21 2020-11-16 온도 안정화 홀로그램 조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91904B2 (ko)
EP (1) EP4042091A4 (ko)
JP (1) JP7355938B2 (ko)
KR (1) KR20220102624A (ko)
CA (1) CA3155581A1 (ko)
WO (1) WO2021141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1714S1 (en) * 2019-11-21 2022-08-23 Eotech, Llc Weapon sight
US11391904B2 (en) * 2019-11-21 2022-07-19 Eotech, Llc Temperature stabilized holographic sight
US11449003B2 (en) 2019-11-21 2022-09-20 Eotech, Llc Position adjustment in holographic sight
US11486675B2 (en) * 2019-11-21 2022-11-01 Eotech, Llc Weapon sight with tapered housing
US11467391B2 (en) 2019-11-21 2022-10-11 Eotech, Llc Unitary carrier for holographic components
US11098980B2 (en) 2019-11-21 2021-08-24 Eotech, Llc Modular weapon sight assembly
USD975818S1 (en) * 2020-03-10 2023-01-17 Sheltered Wings, Inc. Gun sight device
USD1001227S1 (en) * 2020-09-30 2023-10-10 Huanic Corporation Red dot sight
USD992073S1 (en) * 2021-02-08 2023-07-11 Huanic Corporation Inner red dot sight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1471A (en) 1972-05-24 1980-03-04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Aircraft armament alignment
US3994597A (en) 1974-12-26 1976-11-30 Calder William E Optical sight with variable illumination
JPS58168024A (ja) * 1982-03-29 1983-10-04 Hitachi Ltd 光源装置
FR2533684B1 (fr) 1982-09-24 1986-12-19 Thomson Csf Viseur de pointage tete haute utilisable comme viseur de tir
JPS61150394A (ja) * 1984-12-25 1986-07-09 Ricoh Co Ltd 半導体レ−ザ−光源装置
JPH0685233B2 (ja) * 1986-06-27 1994-10-26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レ−ザ−光源装置
US4940324A (en) 1988-05-25 1990-07-10 American Advantage Company Electronic sight having a larger horizontal viewing field than a vertical viewing field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3176843A (ja) * 1989-12-04 1991-07-31 Ricoh Co Ltd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消去用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再生用光ピックアップ
US5090805A (en) 1990-08-15 1992-02-25 Blount, Inc. Bow sight with projected reticle aiming spot
US5134798A (en) 1991-02-22 1992-08-04 Lee Roberto R Two sight mount
US5369888A (en) 1993-01-13 1994-12-06 Kay; Ira M. Wide field of view reflex gunsight
JPH0783599A (ja) 1993-09-14 1995-03-28 Asia Opt Kk 照準スコープ
US5483362A (en) 1994-05-17 1996-01-09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Michigan Compact holographic sight
JP2861862B2 (ja) * 1995-05-18 1999-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コリメートレンズを有するコリメート装置
US6000667A (en) 1996-10-30 1999-12-14 Litton Systems, Inc. Mounting assembly for optical sight
US6490060B1 (en) 1999-10-14 2002-12-03 Eotech, Inc. Lightweight holographic sight
JP2002014269A (ja) * 2000-06-29 2002-01-18 Sony Corp 光学装置
JP2002329916A (ja) * 2001-04-27 2002-11-15 Ricoh Co Ltd 光学装置、光ピックアップ及び情報記録装置
US20030074824A1 (en) 2001-10-18 2003-04-24 Sarl Patrick Arachequesne Mount for a sighting device on a firearm
US7181882B2 (en) 2003-02-03 2007-02-27 Martin Woodbury Dual-zero sight for a firearm
JP4019995B2 (ja) 2003-03-31 2007-12-12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イン表示器
US7225578B2 (en) 2005-01-06 2007-06-05 Eotech Acquisition Corp. Aiming sight having fixed light emitting diode (LED) array and rotatable collimator
US7145703B2 (en) 2005-01-27 2006-12-05 Eotech Acquisition Corp. Low profile holographic sigh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8090257A (ja) 2006-06-30 2008-04-17 Konica Minolta Opto Inc 投射ユニット
US20080020355A1 (en) 2006-07-18 2008-01-2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Variable beam boresight device
US8033670B2 (en) * 2006-12-29 2011-10-11 Cognex Corporation Manually adjustable ruggedized focus mechanism
US7784192B2 (en) 2007-01-18 2010-08-31 L-3 Insight Technology Incorporated SWIR vision and illumination devices
US7634866B2 (en) 2007-03-09 2009-12-22 Meopta optika s.r.o. Gun site having removable adjustable modules
US8056245B2 (en) 2007-04-03 2011-11-15 L-3 Insight Technology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collimated light beams
KR100906159B1 (ko) 2007-07-06 2009-07-03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CA2697253C (en) 2007-08-22 2017-07-04 Quantum Leap Research Inc. Lighting assembly featur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with a windage and elevation control mechanism therefor
DE102007063407A1 (de) 2007-12-31 2009-07-02 Schmidt & Bender Gmbh & Co. Kg Reflexvisier
US20090193705A1 (en) 2008-02-06 2009-08-06 Truglo, Inc. Sighting Device with Trajectory Compensation
US20100162611A1 (en) 2008-12-31 2010-07-01 Machining Technologies, Inc. Adjustable base for an optic
US8156679B1 (en) 2009-01-14 2012-04-17 Swan Richard E Accessory module with integrated electronic devices
WO2011075028A1 (en) 2009-12-18 2011-06-23 Vidderna Jakt & Utbildning Ab Optical aiming device with light sensor for adjusting reticle light intensity
US20110228366A1 (en) 2010-03-22 2011-09-22 Shou LIU Hoe optical system for holographic sight
US8240075B1 (en) 2011-01-13 2012-08-14 Mullin James K Adjustable bases for sighting devices
US20130008072A1 (en) 2011-07-08 2013-01-10 Sung Giu Chung Dot sight device
US8186093B1 (en) 2011-07-08 2012-05-29 International Trade and Technologies, Inc. Dot sight device of plurality of calibers
US8296991B1 (en) 2011-07-08 2012-10-30 International Trade and Technologies, Inc. Digital machinegun optic with bullet drop compensation mount
US8966805B2 (en) 2011-09-02 2015-03-03 Trijicon, Inc. Reflex sight
US20140317988A1 (en) 2011-12-06 2014-10-30 Laser Energetics, Inc. Weapon-mountable non-lethal optical security device
US10061069B2 (en) 2012-06-22 2018-08-28 Luminit Llc Method for design and manufacturing of optics for holographic sight
KR101375457B1 (ko) 2012-09-27 2014-03-17 정보선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WO2014120404A2 (en) 2013-01-11 2014-08-07 Surefire, Llc Gun sight
JP6264734B2 (ja) * 2013-03-13 2018-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US9057584B2 (en) 2013-04-12 2015-06-16 International Trade and Technologies, Inc. Modular universal machinegun sight with bullet drop compensation device
PL3019812T3 (pl) 2013-07-09 2019-04-30 Zieger Cory Modułowy holograficzny system celowniczy
US20160327365A1 (en) 2013-07-15 2016-11-10 OptiFlow, Inc. Holographic weapon sight with laser management system
WO2015009720A2 (en) 2013-07-15 2015-01-22 OptiFlow, Inc. Gun sight
US9423212B2 (en) 2014-01-13 2016-08-23 Leupold & Stevens, Inc. Reflex sight adjustments
US9482803B2 (en) 2014-05-09 2016-11-01 L-3 Communications, Warrior Systems Division, Eo Tech, Inc. Integrated filter and grating in an aiming sight
US9316460B2 (en) 2014-07-30 2016-04-19 Ncstar, Inc. One hand operational combo sight device
WO2016061061A2 (en) 2014-10-13 2016-04-21 Wilcox Industries Corp. Combined refelex and laser sight with elevation macro-adjustment mechanism
RU2582900C1 (ru) 2014-12-31 2016-04-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ЭЛАРА" имени Г.А. Ильенко (ОАО "ЭЛАРА") Лазерный гироскоп
US20160313089A1 (en) 2015-04-21 2016-10-27 OptiFlow, Inc. Externally adjustable gun sight
EP3314314A4 (en) 2015-06-26 2018-06-20 Ziel Optics, Inc. Holographic weapon sight with optimized beam angles
US10254532B2 (en) * 2015-06-26 2019-04-09 Ziel Optics, Inc. Hybrid holographic sight
US10591249B2 (en) 2015-11-16 2020-03-17 Hookshottactical, Llc Camera sight device for a weapon
US10175029B2 (en) 2016-01-15 2019-01-08 Wilcox Industries Corp. Combined reflex and laser sight with co-aligned iron sights
US10267597B2 (en) 2016-01-21 2019-04-23 Lasermax Inc Compact dynamic head up display
US10095089B2 (en) 2016-05-17 2018-10-09 Raytheon Company Lens mount assembly
CN109716189A (zh) 2016-09-15 2019-05-03 株式会社岛津制作所 激光装置
IL249353B (en) 2016-12-01 2022-07-01 Felix Sidelkovsky METHODS, SYSTEMS, CIRCUITS, COMPONENTS, DEVICES, INSTRUMENTS, ASSEMBLIES AND COMPUTER OPERATING CODE, FOR FIREARMS
US10732399B2 (en) * 2017-02-06 2020-08-04 Sheltered Wings, Inc. Viewing optic with an integrated display system
US10921091B2 (en) 2017-04-07 2021-02-16 James Borrico Holographic weapon sight
US11022403B2 (en) * 2017-06-06 2021-06-01 Garmin Switzerland Gmbh Targeting system
US11150051B2 (en) 2017-10-06 2021-10-19 Raytheon Canada Limited Open frame reflex pivot mechanics
US10704862B2 (en) 2017-11-14 2020-07-07 International Trade and Technologies, Inc. Next generation machine gun sight (NexGen MGS)
SE542668C2 (en) 2018-03-07 2020-06-23 Aimpoint Ab Reflex sight
US10345077B1 (en) 2018-06-19 2019-07-09 Hel Technologies, Llc Holographic optical element with edge lighting
US10345587B1 (en) 2018-06-19 2019-07-09 Hel Technologies, Llc Technique for selectively projecting different holograms using a singl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US11079202B2 (en) 2018-07-07 2021-08-03 Sensors Unlimited, Inc. Boresighting peripherals to digital weapon sights
US10801813B2 (en) 2018-11-07 2020-10-13 N2 Imaging Systems, LLC Adjustable-power data rail on a digital weapon sight
US11249383B2 (en) 2019-02-24 2022-02-15 Drew Nolle Walker First person shooting camera mount
JP7438209B2 (ja) 2019-06-10 2024-02-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学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US11467391B2 (en) 2019-11-21 2022-10-11 Eotech, Llc Unitary carrier for holographic components
US11449003B2 (en) 2019-11-21 2022-09-20 Eotech, Llc Position adjustment in holographic sight
US11391904B2 (en) 2019-11-21 2022-07-19 Eotech, Llc Temperature stabilized holographic sight
US11098980B2 (en) 2019-11-21 2021-08-24 Eotech, Llc Modular weapon sight assembly
US11486675B2 (en) 2019-11-21 2022-11-01 Eotech, Llc Weapon sight with tapered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9333B2 (en) 2023-07-25
US20210157086A1 (en) 2021-05-27
US11391904B2 (en) 2022-07-19
EP4042091A4 (en) 2023-12-27
US20220334340A1 (en) 2022-10-20
JP2023502440A (ja) 2023-01-24
EP4042091A1 (en) 2022-08-17
JP7355938B2 (ja) 2023-10-03
WO2021141671A1 (en) 2021-07-15
CA3155581A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2624A (ko) 온도 안정화 홀로그램 조준기
US11449003B2 (en) Position adjustment in holographic sight
US11467391B2 (en) Unitary carrier for holographic components
US11435162B2 (en) Modular weapon sight assembly
US20230054268A1 (en) Weapon sight with tapered housing
EP3314196B1 (en) Hybrid holographic sight
JP2008090257A (ja) 投射ユニット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1999680B1 (ko) 도트 사이트 장치
JP4019995B2 (ja) ライン表示器
KR20230020546A (ko) 조정 가능한 광학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