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866B1 -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866B1
KR102321866B1 KR1020207007075A KR20207007075A KR102321866B1 KR 102321866 B1 KR102321866 B1 KR 102321866B1 KR 1020207007075 A KR1020207007075 A KR 1020207007075A KR 20207007075 A KR20207007075 A KR 20207007075A KR 102321866 B1 KR102321866 B1 KR 10232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ample
base member
display
suppor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728A (ko
Inventor
사토루 가츠라야마
요시카즈 사이토
히로아키 우스키
야스오 나카자토
야스히로 야마자키
다카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대의 제조 작업을 번잡화하는 일없이 상품 견본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후면이 개구되고, 하단부에 접촉면(11a) 및 장착부(12)를 가지며, 장착부(12)의 하단이 바닥판부(13)에 의해 덮인 하프 상품 견본(10)을 유지 대상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대(7)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있어서, 하프 상품 견본(10)의 장착부(12)가 삽입되는 장착 구멍(33)이 마련되며, 접촉면(11a)에 접촉하는 스테이지부(31b)가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30)와, 지지 플레이트(30)와는 별개로 구성되고, 바닥판부(13)를 통해 하프 상품 견본(10)의 접촉면(11a)을 스테이지부(31b)에 압박시키는 걸림편(27)이 마련된 베이스 부재(20)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대(7)가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에 상품 견본을 전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 캔, 보틀 등의 용기에 든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서는, 기기 케이스의 전면에 디스플레이실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실은, 상품 견본을 전시함으로써 상품의 판매 촉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품 견본으로서는, 판매 상품과 동등한 외형 형상을 갖는 수지제의 것으로, 특히 전후로 2분할한 경우의 전반 부분만을 포함하고, 후면이 개구된 것이 많이 적용되어 있다. 상품 견본의 하단면에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는, 상품 견본의 하단부보다 한층 외경이 작고, 또한 하단의 개구가 바닥판부에 의해 덮인 대략 반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품 견본을 전시하는 디스플레이실에는, 디스플레이대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대는, 장착부를 통해 상품 견본을 유지하는 것으로, 장착 구멍 및 걸림편을 가지고 있다. 장착 구멍은, 상품 견본의 장착부가 장착되는 부분이고, 장착부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편은, 장착 구멍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폭이 작은 판형 부분이며, 전단부가 점차 상방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디스플레이대에 대해서는, 상품 견본의 바닥판부가 걸림편보다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장착부를 장착 구멍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대의 상면에 상품 견본이 선 자세로 유지되게 된다. 통상, 디스플레이대에는, 복수의 장착 구멍이 가로 일렬로 마련되어 있어, 디스플레이실에 복수의 상품 견본을 정렬한 상태로 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73025호 공보
전술한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의하면, 바닥판부에 접촉하는 걸림편에 의해 상품 견본이 하방으로 밀어붙여지기 때문에, 상품 견본의 하단면이 디스플레이대의 상면에 압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실에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품 견본의 방향이 뜻하지 않게 변경될 우려가 없다.
그러나, 장착 구멍 및 걸림편이 마련된 디스플레이대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을 수 없어, 제조 작업의 번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디스플레이대의 제조 작업을 번잡화하는 일없이 상품 견본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는, 후면이 개구되고, 하단부에 접촉면 및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부의 하단이 바닥판부에 의해 덮인 상품 견본을 유지 대상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대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견본의 장착부가 삽입되는 장착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접촉면에 접촉하는 스테이지부가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판부를 통해 상기 상품 견본의 접촉면을 상기 스테이지부에 압박시키는 걸림편이 마련된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유지시키는 유지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하는 걸림 클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상품 견본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상품 견본에 대응한 표시를 행하는 표시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표시 부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대에는, 상기 상품 견본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재에 의해 구성되어, 적어도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투과광을 난반사시키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장착 구멍보다 내경이 큰 수용 구멍을 갖고, 상기 수용 구멍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걸림편이 돌출한 것으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수용 구멍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일단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굴곡하여, 상기 수용 구멍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대를 지지 플레이트 및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또한 지지 플레이트에 장착 구멍을 마련하며, 베이스 부재에 걸림편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 플레이트 및 베이스 부재 쌍방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상품 견본 전시 장치를 적용한 자동 판매기를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동 판매기에 적용하는 배면판, 디스플레이대 및 상품 견본을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배면판, 디스플레이대 및 상품 견본을 전면측 경사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배면판, 디스플레이대 및 상품 견본의 일부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상품 견본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전면측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후면측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대 및 광원, 표시 부재를 전면측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대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의 중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대를 전면측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대의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대를 후면측에서 본 중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상품 견본 전시 장치를 적용한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병, 캔, 보틀 등의 용기에 든 음료를 상품으로서 판매하는 것으로, 상품을 수납하는 기기 케이스(1)의 전면에 전면 도어(2)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 도어(2)는, 한쪽의 측가장자리부를 통해 기기 케이스(1)에 지지시킨 것으로, 기기 케이스(1)의 전면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전면 도어(2)에는, 디스플레이실(3)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실(3)은, 그 내부에 복수의 상품 견본(10)을 전시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된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실(3)의 전면 개구는, 투명한 수지 패널(4)에 의해 덮여 있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이 저지되고 있는 한편, 수지 패널(4)을 통해 내부를 시인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수지 패널(4)에는, 상품 견본(10)의 각각에 대응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 견본(10)에 의해 구입 상품을 선택할 수 있어, 대응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5)를 누름으로써 선택 상품의 구입이 가능해진다.
디스플레이실(3)에는, 배면판(6)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대(7)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대(7)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품 견본(10)을 좌우 방향을 따라 정렬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배면판(6)의 전면에 상하 4단의 디스플레이대(7)가 거의 등간격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중, 상 3단의 디스플레이대(7)는, 각각 12개의 상품 견본(10)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면판(6)의 거의 전체폭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최하단의 디스플레이대(7)는, 6개의 상품 견본(10)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면판(6)의 거의 1/2이 되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대(7)는, 서로를 향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일치시킨 상태로 배면판(6)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실(3)에 마련하는 디스플레이대(7)의 수나, 디스플레이대(7)에 유지할 수 있는 상품 견본(10)의 수는 반드시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대(7)가 유지 대상으로 하는 상품 견본(10)은, 판매 상품과 동등한 외형 형상을 갖는 수지제의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을 이루는 상품 견본[이하, 구별하는 경우에 원통 상품 견본(도시하지 않음)이라고 함]뿐만 아니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로 2분할한 경우의 전반 부분만을 포함하고, 후면이 개구된 상품 견본[이하, 구별하는 경우에 하프 상품 견본(10)이라고 함]도 유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대(7)가 구성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하프 상품 견본(10)에는, 하단부에 접촉대부(11) 및 장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대부(11)는, 횡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인 중공 직방체형을 이루도록 구성한 부분이다. 장착부(12)는, 접촉대부(1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한 대략 반원통형의 부분이고, 그 하단이 바닥판부(13)에 의해 덮여 있다. 접촉대부(11)는, 장착부(12)의 외경보다 큰 외형 치수로 구성되어 있고, 그 하면에 있어서 장착부(12)의 주위로서, 후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위에 접촉면(11a)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하프 상품 견본(10)의 외표면에는, 상품과 동일한 색채가 입혀져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대(7)는, 베이스 부재(20) 및 지지 플레이트(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0)는, 상면판부(21), 전면판부(22) 및 좌우의 측면판부(23)를 갖는 것으로, 투광성을 갖는 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베이스 부재(20)의 상면판부(21), 전면판부(22) 및 좌우의 측면판부(23)에는, 각각 투과광을 난반사시킬 목적으로, 다수의 미세한 요철을 마련하는 가공(주름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 주름 가공은, 베이스 부재(20)의 외표면측에만 실시하여도 좋고, 내표면측에만 실시하거나, 내외 쌍방의 표면에 실시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상면판부(21)는, 하프 상품 견본(10)의 접촉대부(11)를 탑재할 수 있는 전후폭을 갖는 평판형 부분이다. 이 상면판부(21)에는,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상품 견본(10)의 유지수에 대응한 수의 수용 구멍(24)이 마련되어 있으며, 복수 부위에 후크편(유지 기구)(25) 및 삽입 관통 구멍(유지 기구)(26)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 구멍(24)은, 하프 상품 견본(10)의 장착부(12)보다 큰 내경의 대략 원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접촉대부(11)의 좌우폭과 동일 또는 약간 큰 피치로 일직선상에 병설되어 있다. 후크편(25)은, 지지 플레이트(30)를 상면판부(21)에 유지시켜 두기 위한 것으로, 상면판부(21)의 상면에 있어서 후측 가장자리측이 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크편(25)은, 상면판부(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후, 후방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한 것으로, 상면판부(21)의 양단부에 있어서 2개의 수용 구멍(24)의 상호간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 3단의 디스플레이대(7)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0)에 대해서는, 중앙 부분의 2부위에도 후크편(25)이 추가하여 마련되어 있다. 후크편(25)의 하면과 상면판부(21)의 상면 사이에는, 지지 플레이트(30)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후크편(25)의 연장 단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걸림 돌기(25a)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돌기(25a)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판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걸림 돌기(25a)의 전단 부분에는, 상하 방향을 따른 걸림면(25b)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 돌기(25a)의 가장 돌출한 부분과, 상면판부(21)의 상면 사이의 간극은, 지지 플레이트(30)의 판두께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26)은, 상면판부(21)를 관통하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이고, 수용 구멍(24)의 상호간이 되는 부위에 하나 걸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면판부(21)에는, 개개의 수용 구멍(24)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림편(27)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단부에 지지대부(28)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편(27)은, 수용 구멍(24)에 있어서 후방측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폭이 작은 판형 부분이고, 전단부가 수용 구멍(24)의 중심을 넘어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걸림편(27)의 후단부는, 상면판부(21)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걸림편(27)의 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을 향하여 만곡하여, 전방을 향하여 점차 상방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도 9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걸림편(27)은, 수용 구멍(24)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일단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전방을 향하여 굴곡하고 있어, 원통 상품 견본(도시하지 않음)의 수용 구멍(24)에의 삽입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지지대부(28)는, 상면판부(2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대(臺)형 부분이고, 돌출 단부에 지지면(28a)를 가지고 있다. 지지면(28a)은, 전방을 향하여 점차 하방이 되도록 경사진 하향의 평면이고, 걸림편(27)보다 하방이 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상 3단의 디스플레이대(7)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0)에는, 상면판부(21)의 중앙 부분에도 지지대부(28)가 추가하여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0)의 전면판부(22)는,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판부(21)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이 전면판부(22)의 후측 가장자리부는, 전방을 향하여 굴곡한 후, 더욱 상방을 향하여 굴곡하고 있어, 베이스 부재(20)의 전면에 상방으로 개구되는 수용홈(표시 부착부)(22a)을 구성하고 있다.
측면판부(23)는, 상면판부(21)의 양측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고, 광폭부(23a) 및 가이드부(23b)를 가지고 있다. 광폭부(23a)는, 하방으로의 연장 길이가 전면판부(22)보다 큰 평판형 부분이고, 상면판부(21) 및 전면판부(22)에 대하여 거의 직각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가이드부(23b)는, 하방으로의 연장 길이가 전면판부(22)와 거의 동일하고, 상면판부(21)의 전방측 코너부가 되는 부위에 있어서 광폭부(23a)의 상단부로부터 전면판부(22)를 향하여 만곡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9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3b)는, 내주측 표면이 전면판부(22)의 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대(7)의 지지 플레이트(30)는,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커버부(31) 및 후방 커버부(32)를 갖는 것으로, 철 등의 금속판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방 커버부(31)는,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상면판부(21)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부분이고, 직선형을 이루는 후측 가장자리판부(31a)의 전방에 복수의 스테이지부(31b)를 병설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스테이지부(31b)는, 하프 상품 견본(10)의 접촉대부(11)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또한 개개의 중심부에 장착 구멍(33)을 갖는 원환의 평판형을 이루는 것으로, 장착 구멍(33)의 중심이 수용 구멍(24)과 동일한 피치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장착 구멍(33)은, 하프 상품 견본(10)의 장착부(12)보다 약간 크고, 수용 구멍(24)보다 작은 내경의 대략 원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개개의 장착 구멍(33)에는, 서로 대향하는 내주부에 걸림용 노치(34)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용 노치(34)는, 복수의 장착 구멍(3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형성한 대략 직사각형의 노치이다. 도면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부(31b)를 병설한 상방 커버부(31)의 전측 가장자리부는, 스테이지부(31b)의 외주를 따라 복수의 원호가 병설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스테이지부(31b)와 후측 가장자리판부(31a) 사이에는, 각각 대략 삼각 형상의 관통 홀(유지 기구)(35)이 확보되어 있다. 관통 홀(35)은, 베이스 부재(20)의 상면판부(21)에 마련한 후크편(25)을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방 커버부(31)에는, 걸어 맞춤 구멍(유지 기구)(36) 및 걸어 맞춤 클로편(유지 기구)(37)이 마련되어 있다. 걸어 맞춤 구멍(36)은, 후측 가장자리판부(31a)에 있어서 관통 홀(35)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한 직사각 형상의 개구이다. 이 걸어 맞춤 구멍(36)은, 베이스 부재(20)의 후크편(25)에 대응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걸어 맞춤 클로편(37)은, 인접하는 스테이지부(31b)의 상호간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20)의 삽입 관통 구멍(26)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것이다. 개개의 걸어 맞춤 클로편(37)은, 상방 커버부(31)로부터 일단 하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하여 굴곡하고 있다. 걸어 맞춤 클로편(37)의 굴곡한 전단부와 상방 커버부(31) 사이에는, 베이스 부재(20)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이 확보되어 있다. 걸어 맞춤 클로편(37)은, 상방 커버부(31)에 의해 베이스 부재(20)의 상면판부(21)를 덮은 경우에 굴곡한 전단부가 삽입 관통 구멍(26)을 통과하여, 상면판부(21)의 이면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플레이트(30)의 후방 커버부(32)는, 베이스 부재(20)의 후방을 덮도록 배치되는 부분이고, 상방 커버부(31)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 하단 가장자리부가 전방을 향하여 점차 상방이 되도록 굴곡하고 있다. 후방 커버부(32)의 연장 길이는, 베이스 부재(20)의 전면판부(22)와 거의 동일하다. 이 후방 커버부(32)에는, 걸림 클로(38)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클로(38)는, 배면판(6)에 마련한 걸림 구멍(6a)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30)를 배면판(6)에 걸기 위한 것으로, 후방 커버부(32)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베이스 부재(20) 및 지지 플레이트(30)는, 지지 플레이트(30)의 관통 홀(35)에 베이스 부재(20)의 후크편(25)을 배치하며, 걸어 맞춤 클로편(37)의 전단부를 삽입 관통 구멍(26)에 배치한 상태로,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지지 플레이트(3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양자가 일체화되게 된다. 즉, 후크편(25)의 걸림 돌기(25a)가 걸어 맞춤 구멍(36)에 위치함으로써, 후크편(25)과 상면판부(21) 사이에 지지 플레이트(30)의 후측 가장자리판부(31a)가 끼워져 장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걸어 맞춤 클로편(37)의 전단부가 삽입 관통 구멍(26)을 통해 베이스 부재(20)의 이면에 걸어 맞춰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20)에 대한 지지 플레이트(30)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금속제의 지지 플레이트(30)와 수지제의 베이스 부재(20)가 일체화된 디스플레이대(7)가 구성된다.
이 디스플레이대(7)를 배면판(6)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지지 플레이트(30)에 마련한 걸림 클로(38)를 배면판(6)의 걸림 구멍(6a)에 삽입 관통시키면 좋다. 이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0)의 걸림 클로(38)를 통해 배면판(6)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대(7)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등에 있어서 뜻하지 않게 디스플레이대(7)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금속제의 걸림 클로(38)에 손상을 초래하는 일이 없고, 배면판(6)으로부터 디스플레이대(7)가 탈락하는 사태를 초래할 우려도 없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대(7)에는, 베이스 부재(20)에 광원(40), 냉온 표시띠(표시 부재)(50), 가격 표시판(표시 부재)(60)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40)은,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복수의 LED를 직선형으로 병설함으로써 로드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양단부 및 중앙부에 부착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원(4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부(41)를 지지면(28a)에 접촉시킨 상태로 지지대부(28)에 나사를 나사식 결합함으로써, 베이스 부재(20)의 지지대부(28)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대부(28)의 지지면(28a)에 부착한 광원(40)은, 지지면(28a)에 의해 LED의 조사 방향이 규정되어 있고, 점등한 경우에 상면판부(21)의 하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 상방에 광을 조사하게 된다. 냉온 표시띠(50)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재에 의해 무단(無端)의 띠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용의 색상(예컨대, 청색)과, 가온용의 색상(예컨대, 적색)의 2색으로 나누어 칠해져 있다. 이 냉온 표시띠(50)는,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전면판부(22)보다 전방이 되는 부분을 통과한 후, 가이드부(23b)를 지나 측면판부(23)의 내측을 통과하고, 지지 플레이트(30)의 후방 커버부(32)보다 전방이 되는 부분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대(7)를 권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냉온 표시띠(50)를 적절하게 슬라이드시키면, 전면판부(22)에 위치하는 색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격 표시판(60)은, 투광성을 갖는 평판형을 이루는 것으로, 전면판부(22)의 수용홈(22a)에 있어서서 냉온 표시띠(50)보다 전방이 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이 가격 표시판(60)에는, 비투광성의 도료에 의해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이 기재되어 있다. 도 2 중 부호 61은, 가격 표시판(60)의 중간부를 전면판부(22)에 협지시키기 위한 클립 부재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대(7)에 마련한 가격 표시판(60) 및 냉온 표시띠(50)는, 수지 패널(4)에 마련한 누름 버튼 스위치(5)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5)에 대하여 상품의 가격 및 냉온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디스플레이대(7)에 대해서는, 걸림편(27)과 지지 플레이트(30)의 상방 커버부(31) 사이에 바닥판부(13)를 삽입하는 상태로 전방측으로부터 장착부(12)를 장착 구멍(33)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대(7)의 상면에 하프 상품 견본(10)이 선 자세로 유지되게 된다. 즉, 장착부(12)가 장착 구멍(33)에 감합되며, 바닥판부(13)에 접촉하는 걸림편(27)에 의해 하프 상품 견본(10)이 하방으로 밀어붙여지기 때문에, 접촉대부(11)의 접촉면(11a)이 스테이지부(31b)의 상면에 압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실(3)에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하프 상품 견본(10)의 방향이 뜻하지 않게 변경될 우려가 없고, 하프 상품 견본(10)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디스플레이대(7)는, 걸림편(27)을 갖는 베이스 부재(20)와, 장착 구멍(33)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30)가 별개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20)의 형상 및 지지 플레이트(30)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각각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걸림 클로(38)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30)를 금속에 의해 성형하는 한편, 투광성을 갖는 수지재에 의해 베이스 부재(20)를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배면판(6)에 대한 디스플레이대(7)의 부착 강도를 확보하면서, 투과하는 광원(40)의 광에 의해 디스플레이대(7)나 하프 상품 견본(10)을 효과적으로 조명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40)의 광이 투과하는 베이스 부재(20)에는, 주름 가공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 대하여는 난반사한 광이 닿게 되어, 필요 이상으로 눈부시다고 하는 인상을 부여할 우려가 없다. 이에 더하여, 디스플레이대(7)의 지지 플레이트(30)는, 하프 상품 견본(10)에 의해 덮여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는, 디스플레이대(7)를 시인하기 어려워져, 바꾸어 말하면, 하프 상품 견본(10)이 더욱 주목되게 되어, 상품의 판매 촉진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여기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대(7)의 전부에 하프 상품 견본(10)을 유지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대(7)의 걸림편(27)이 수용 구멍(24)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일단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전방을 향하여 굴곡한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의 상태로 원통 상품 견본(도시하지 않음)을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20)에 가격 표시판(60), 냉온 표시띠(50) 및 광원(40)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지만, 반드시 가격 표시판(60), 냉온 표시띠(50), 광원(40)을 베이스 부재(20)에 마련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이들의 일부를 디스플레이실(3)의 전면을 덮는 수지 패널(4)에 누름 버튼 스위치(5)와 함께 마련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배면판(6)에 걸기 위한 걸림 클로(38)를 지지 플레이트(30)에 마련하도록 하고 있지만, 베이스 부재(20)에 걸림 클로(38)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냉온 표시띠(50)로서 무단의 띠형을 이루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가격 표시판과 마찬가지로, 평판형을 이루는 것을 적용하여도 좋다.
3 : 디스플레이실 6 : 배면판
6a : 걸림 구멍 7 : 디스플레이대
10 : 하프 상품 견본 11a : 접촉면
12 : 장착부 13 : 바닥판부
20 : 베이스 부재 22a : 수용홈
24 : 수용 구멍 25 : 후크편
26 : 삽입 관통 구멍 27 : 걸림편
28 : 지지대부 28a : 지지면
30 : 지지 플레이트 31b : 스테이지부
33 : 장착 구멍 35 : 관통 홀
36 : 걸어 맞춤 구멍 37 : 걸어 맞춤 클로편
38 : 걸림 클로 40 : 광원
50 : 냉온 표시띠 60 : 가격 표시판

Claims (6)

  1. 후면이 개구되고, 하단부에 접촉면 및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부의 하단이 바닥판부에 의해 덮인 상품 견본을 유지 대상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대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대는,
    상기 상품 견본의 장착부가 삽입되는 장착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접촉면에 접촉하는 스테이지부가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는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부를 통해 상기 상품 견본의 접촉면을 상기 스테이지부에 압박시키는 걸림편이 마련된 베이스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유지시키는 유지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하는 걸림 클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상품 견본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상품 견본에 대응한 표시를 행하는 표시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표시 부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대에는, 상기 상품 견본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재에 의해 구성되고, 적어도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투과광을 난반사시키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장착 구멍보다 내경이 큰 수용 구멍을 갖고, 상기 수용 구멍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걸림편이 돌출한 것으로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수용 구멍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일단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굴곡하여, 상기 수용 구멍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KR1020207007075A 2017-09-21 2018-07-24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KR102321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1409 2017-09-21
JP2017181409 2017-09-21
PCT/JP2018/027664 WO2019058746A1 (ja) 2017-09-21 2018-07-24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728A KR20200085728A (ko) 2020-07-15
KR102321866B1 true KR102321866B1 (ko) 2021-11-05

Family

ID=6581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075A KR102321866B1 (ko) 2017-09-21 2018-07-24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82850B2 (ko)
KR (1) KR102321866B1 (ko)
CN (1) CN111448593B (ko)
WO (1) WO2019058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0531B2 (ja) * 2018-08-08 2023-01-1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JP7365162B2 (ja) * 2019-08-26 2023-10-19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商品サンプル展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566A (ja) 2008-07-15 2010-02-0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2014099153A (ja) 2012-10-18 2014-05-29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JP2014197280A (ja) 2013-03-29 2014-10-16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2017073025A (ja) 2015-10-08 2017-04-13 中井銘鈑株式会社 商品見本展示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736A (ja) * 1994-01-11 1995-08-11 Shigeo Chino 自動販売機用ダミー缶の展示取付構造
JP2001067537A (ja) * 1999-08-31 2001-03-16 Higashiyama Film Kk ダミー缶における見本表示板ホルダー、およびダミー缶
JP2002074480A (ja) * 2000-08-29 2002-03-15 Tsuchiya Kogyo Kk 自動販売機におけるダミー容器の取付構造
JP3621057B2 (ja) * 2001-07-03 2005-02-16 第一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におけるディスプレー用ダミーの取り付け構造
JP3099143U (ja) * 2003-07-09 2004-03-25 株式会社ゴーキ 自動販売機のハーフダミー体用アダプター
JP2005157548A (ja) * 2003-11-21 2005-06-16 Asahi Soft Drinks Co Ltd 自動販売機用の缶見本の取付け用アダプタ
JP5729214B2 (ja) * 2011-07-04 2015-06-03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見本展示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CN104240396B (zh) * 2013-06-17 2016-08-17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样品展示装置
CN104778786B (zh) * 2014-01-13 2019-05-10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样品展示装置
JP3195074U (ja) * 2014-10-14 2014-12-25 株式会社協同制作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装着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566A (ja) 2008-07-15 2010-02-0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2014099153A (ja) 2012-10-18 2014-05-29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JP2014197280A (ja) 2013-03-29 2014-10-16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2017073025A (ja) 2015-10-08 2017-04-13 中井銘鈑株式会社 商品見本展示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058746A1 (ja) 2020-07-27
JP6782850B2 (ja) 2020-11-11
CN111448593A (zh) 2020-07-24
WO2019058746A1 (ja) 2019-03-28
KR20200085728A (ko) 2020-07-15
CN111448593B (zh)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868B1 (ko) 상품 진열 겸 상품 광고 장치
KR102321866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견본 전시 장치
JP3125239U (ja) ショーケースへの照明装置の取付構造
JP5006583B2 (ja) 自動販売機
JP3195074U (ja)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装着台
KR101268941B1 (ko) 상품 진열 겸용 상품 광고 패널
KR20060056857A (ko) 오픈 쇼케이스
JP2014197280A (ja) 自動販売機
CN112509218B (zh) 自动售货机的商品样品展示装置
JP720053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JP595411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JP614614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KR20150142978A (ko) 상품가격표시판의 조명을 겸하는 상품조명장치
JP7365162B2 (ja) 商品サンプル展示装置
US11462136B2 (en) Sales or test display with light guide
KR101080653B1 (ko) 판지형 전선 및 이를 이용한 상품조명기능이 있는 광고장치
JP5567857B2 (ja) 物品陳列構造
JP3152967U (ja) 自動販売機用商品見本展示装置
JP2949173B1 (ja) 自動販売機用見本展示装置
JP202316200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JP2003187310A (ja) 自動販売機用商品見本
KR0120475Y1 (ko) 진열선반 받침형재
CN115690982A (zh) 自动售货机的商品样品展示装置
JP2013161147A (ja) 自動販売機の照明装置
JP2023038761A (ja) 商品見本取付け構造及び商品見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