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631B1 -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631B1
KR102320631B1 KR1020170029897A KR20170029897A KR102320631B1 KR 102320631 B1 KR102320631 B1 KR 102320631B1 KR 1020170029897 A KR1020170029897 A KR 1020170029897A KR 20170029897 A KR20170029897 A KR 20170029897A KR 102320631 B1 KR102320631 B1 KR 10232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mechanism
combine
driven pulley
transport mechanism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252A (ko
Inventor
서신원
최병달
양동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63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콤바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 풀리,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운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종동 풀리 및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운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종동 풀리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Grain Transfer Control Unit of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부 중 곡물을 운반하는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 기구와 상기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 기구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탈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운반 기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벼, 보리 등의 곡립을 수확하여, 곡립과 볏짚을 선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콤바인은, 수확장치, 탈곡장치, 선별장치, 곡물탱크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하나의 기체에 탑재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콤바인의 예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3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1)은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부(2) 상기 예취부(2)로부터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4), 상기 탈곡부(4)가 농작물을 탈곡함에 따른 결과물인 곡물을 저장하는 곡물탱크(7) 및 상기 예취부(2)와 상기 탈곡부(4)가 작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3)을 포함한다.
상기 탈곡부(4)는 곡물을 상기 곡물탱크(7)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운반기구(5) 및 제2 운반기구(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운반기구(5)는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를 의미하고, 상기 제2 운반기구(6)는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를 의미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제1 운반기구(5)와 상기 제2 운반기구(6)가 벨트와 같은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제1 운반기구(5)와 상기 제2 운반기구(6)는 서로에 대해 종속적으로 속도 제어를 받게 되었다.
다만, 상기 제1 운반기구(5)에는 탈곡된 곡물만이 이송되므로 막힘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에 비해, 상기 제2 운반기구(6)에는 곡물과 줄기 등의 검불이 함께 이송되므로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운반기구(6) 내의 막힘 현상에 의해 상기 제1 운반기구(5)와 상기 제2 운반기구(6)의 동작 속도가 함께 느려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탈곡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2 운반기구(6)의 막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전체 콤바인(1)의 작동을 정지하여야만 하므로, 전체 곡물에 대한 수확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3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 기구와 상기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 기구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운반 기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콤바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 풀리,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운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종동 풀리 및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운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종동 풀리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 기구의 동작은 복수의 풀리와 복수의 전달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동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 기구의 동작은 구동 모터에 의해 수행되므로, 상기 제1 운반 기구와 상기 제2 운반 기구가 독립적으로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탈곡 효율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상기 운반 기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콤바인 중 탈곡부의 전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탈곡부의 후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탈곡부 중 제2 운반 기구의 단부에 설치되는 토크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운반 기구와 제2 운반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콤바인 중 탈곡부의 전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로서, 상기 콤바인은 곡물이 탈곡부(50)로 이동하도록 동력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구동장치(30)와 구동모터(70), 상기 구동장치(30)와 구동모터(7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20),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예취부(10) 및 상기 탈곡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결과물인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탱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곡부(50)는 상기 구동장치(30)와 구동모터(70)가 설치되는 탈곡부 본체(25) 및 곡물을 상기 곡물탱크(60)로 이송하기 위한 운반기구(100, 2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30)와 구동모터(70)는 상기 구동원(2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운반기구(100, 20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곡물은 상기 탈곡부(50)에서 상기 곡물탱크(60)로 이송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장치(30)는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 기구(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고, 상기 구동모터(70)는 상기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 기구(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구동장치(30)에 의해 상기 제1 운반 기구(100)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 모터(70)에 의해 상기 제2 운반 기구(200)가 작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운반 기구(100)와 상기 제2 운반 기구(200)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먼저, 상기 제1 운반 기구(100)를 작동하기 위한 상기 구동장치(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장치(30)는 상기 탈곡부 본체(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31), 상기 제1 운반기구(100)에 연결되는 제1 종동풀리(32), 상기 탈곡부 본체(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종동풀리(33), 상기 구동풀리(31)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상기 제1 종동풀리(32)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재(34) 및 상기 제1 종동풀리(32)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상기 제2 종동풀리(33)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재(3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풀리(31)는 상기 구동원(2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전달부재(34)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원(20)은 상기 콤바인에 설치된 엔진(미도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31)는 벨트(Belt) 또는 체인(Chain)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원(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원(20)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으로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풀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풀리(31)는 상기 탈곡부 본체(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31)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동원(2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전달부재(34)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달부재(34)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 종동풀리(32)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종동풀리(32)는 상기 제1 전달부재(34)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31)와 연동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 종동풀리(32)는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기구(100)와 연결된다. 상기 제1 운반기구(100)는 탈곡된 곡물을 상기 곡물탱크(60)로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종동풀리(23)는 상기 탈곡부 본체(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풀리(31)의 회전 구동에 따른 상기 제1 전달부재(3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종동풀리(23)가 1번구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운반기구(100)가 작동하여 탈곡된 곡물이 상기 곡물 탱크(6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종동풀리(32)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운반기구(10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종동풀리(32)는 제2 전달부재(35)에 의해 제2 종동풀리(33)와 연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달부재(35)는 상기 제1 전달부재(34)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일측이 상기 제1 종동풀리(32)를 외감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종동풀리(33)를 외감하여 상기 제1 종동풀리(32)와 상기 제2 종동풀리(33)를 서로 연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 전달부재(35)는 상기 1번구 회전축(110)에 직접 외감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원(2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풀리(31), 제1 전달부재(34), 제1 종동풀리(32) 및 1번구 회전축(110)이 서로 연동되게 회전하고, 상기 1번구 회전축(110)을 외감하는 제2 전달부재(35) 및 제2 종동풀리(33) 역시 함께 회전함으로써 제1 운반기구(100)의 안정적인 회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종동풀리(33)는 상기 탈곡부 본체(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종동풀리(33)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로, 상기 제1 종동풀리(32)와 상기 제2 종동풀리(33) 사이에는 가이드 풀리(3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풀리(36)는 상기 제2 전달부재(35)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 전달부재(35)가 상기 가이드 풀리(36)를 추가로 외감함으로써 상기 제2 전달부재(35)에 추가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상기 제1 운반 기구(100)의 구동 방식과 별개로, 상기 제2 운반 기구(200)는 구동 모터(70)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모터(70)는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기구(20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운반기구(2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탈곡부 본체(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모터(70)는 상기 제1 종동풀리(32)와 상기 제2 종동풀리(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70)는 상기 제2 전달 부재(35)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 운반기구(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 모터(70)는 상기 제1 운반기구(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30)와 독립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운반기구(100)와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동작이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운반기구(100, 200)의 작동 방식 및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탈곡부의 후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탈곡부 중 제2 운반 기구의 단부에 설치되는 토크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더를 통해 인입된 곡립과 줄기의 혼합물은 탈곡 실린더(51)로 이동된다. 상기 탈곡 실린더(51)는 망 형상을 가지는 부품으로서 상기 탈곡 실린더(51)를 통해 혼합물의 일부가 걸러지게 된다. 상기 탈곡 실린더(51)로부터 걸러진 부피가 작은 혼합물은 선별판(52)으로 하강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선별판(52)에 놓인 혼합물 중 줄기 등의 짚은 송풍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그 외의 물질은 상기 선별판(52)의 요동에 의해 이송 판(53)으로 하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선별이 이루어진 곡립은 제1 운반기구(100)를 통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레인 탱크(102)를 거쳐서 상기 곡물 탱크(60)로 이동하게 되고, 이물이 섞인 곡립은 제2 운반기구(200)를 통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시 상기 선별판(52) 위로 이동하게 되어 재 선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제1 운반기구(100)와 상기 제2 운반기구(200)가 벨트 등의 연결부재로 연동되어서 종속적으로 속도 제어를 받게 되었다. 다만, 상기 제2 운반기구(200)는 줄기와 낱알이 곡물과 함께 이송되기 때문에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상기 제1 운반기구(100) 역시 속도가 저하되어 전체 작업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운반기구(100)는 구동 장치(30)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2 운반기구(200)는 상기 구동 장치(30)와는 별개의 구성인 구동 모터(70)에 의해 구동되므로 위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운반기구(200)는 상기 제1 운반기구(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하므로, 상기 제2 운반기구(200)에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 센서(21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 운반 기구의 회전 축(205)의 작동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막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토크 센서(210)가 설치된다. 상기 토크 센서(210)는 상기 제2 운반기구(200)를 따라 이동하는 곡물의 토크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크 센서(210)에서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운반기구의 회전 축(205)의 작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운반기구(200) 내의 토크가 적정 토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반기구의 회전 축(205)의 작동 속도를 증가시켜서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운반 기구와 제2 운반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탈곡 시작 시점에서, 제어부는 상기 제1 운반기구(100)와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를 표준 속도 범위 내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운반기구(100)와 상기 제2 운반기구(200)를 작동시킨다(S10). 상기 표준 속도 범위란 상기 제1 운반기구(100)와 상기 제2 운반기구(200)가 곡물을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초기 예상 속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토크 센서(210)는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S20). 이러한 작업을 실시하는 이유는 상기 제2 운반기구(200)가 상기 제1 운반기구(100)에 비해 막힘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와 표준 속도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크 센서(210)에서 감지된 정보와 상기 표준 속도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 모터(70)로부터 상기 제2 운반기구(200)로 전달되는 동력의 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만약,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 미만이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70)에서의 동력 출력량이 상기 표준 속도 시의 표준 출력량을 초과하도록 제어한다(S40). 상기 표준 출력량이란, 상기 토크 센서(210)에서 감지된 제2 운반기구(200)의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에 속할 때에 상기 구동 모터(70)에서의 동력 출력량을 의미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는 탈곡 작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S70), 작업 완료 시 상기 운반 기구(100, 200)들의 작동을 종료하고, 작업 미완료시 다시 상기 S20 단계 이하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 미만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만약,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를 초과한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70)에서의 동력 출력량이 상기 표준 속도 시의 표준 출력량 미만이 되도록 제어한다(S60). 그 다음, 상기 제어부는 탈곡 작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S70), 작업 완료 시 상기 운반 기구(100, 200)들의 작동을 종료하고, 작업 미완료시 다시 상기 S20 단계 이하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S50 단계에서, 상기 제2 운반기구(200)의 작동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를 초과한 것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는 탈곡 작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S70), 작업 완료 시 상기 운반 기구(100, 200)들의 작동을 종료하고, 작업 미완료시 다시 상기 S20 단계 이하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 기구(100)와 상기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 기구(200)의 동작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탈곡 효율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운반 기구(20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 제1 운반기구 구동장치 31: 구동 풀리
32: 제1 종동 풀리 33: 제2 종동 풀리
34: 제1 전달 부재 35: 제2 전달 부재
70: 구동 모터 100: 제1 운반 기구
200: 제2 운반 기구 210: 토크 센서

Claims (9)

  1. 콤바인의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콤바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 풀리;
    탈곡된 곡물의 이송 경로인 제1 운반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운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종동 풀리; 및
    곡물과 검불이 함께 이송되는 경로인 제2 운반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운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종동 풀리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 운반 기구의 작동과는 별개로 상기 제2 운반 기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운반 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모터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탈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종동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종동 풀리는 제1 전달 부재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1 종동 풀리와 상기 제2 종동 풀리는 상기 제1 전달 부재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전달 부재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 부재는,
    상기 제1 종동 풀리와 상기 제2 종동 풀리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풀리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와 비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종동 풀리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 운반 기구를 작동시키는 제1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반 기구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 운반 기구의 회전 축의 작동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2 운반 기구의 막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토크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반 기구의 작동 속도와 상기 제2 운반 기구의 작동 속도를 표준 속도 범위 내로 설정하여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크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와 상기 표준 속도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상기 제2 운반 기구로 전달되는 동력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센서에서 감지된 제2 운반 기구의 회전 축의 회전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에서의 동력 출력량이 표준 출력량을 초과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토크 센서에서 감지된 제2 운반 기구의 회전 축의 회전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에서의 동력 출력량이 표준 출력량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출력량은,
    상기 토크 센서에서 감지된 제2 운반 기구의 회전 축의 회전 속도가 상기 표준 속도 범위에 속할 때에 상기 구동 모터에서의 동력 출력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KR1020170029897A 2017-03-09 2017-03-09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KR10232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97A KR102320631B1 (ko) 2017-03-09 2017-03-09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97A KR102320631B1 (ko) 2017-03-09 2017-03-09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52A KR20180103252A (ko) 2018-09-19
KR102320631B1 true KR102320631B1 (ko) 2021-11-02

Family

ID=6371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897A KR102320631B1 (ko) 2017-03-09 2017-03-09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6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716A (ja) * 2000-05-01 2001-11-0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004633A (ja) * 2009-06-24 2011-01-13 Iseki & Co Ltd ハイブリッド方式のコンバイン
KR101593279B1 (ko) * 2013-12-30 2016-02-15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콤바인의 선별 자동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1024D0 (en) * 1998-05-22 1998-07-22 Ford New Holland Nv Harvester with crop flow rate sensor
KR20090006330U (ko) 2007-12-21 2009-06-25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콤바인의 곡물 배출용 스크류
KR101669332B1 (ko) * 2014-09-01 2016-11-1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예취 및 탈곡장치의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716A (ja) * 2000-05-01 2001-11-0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004633A (ja) * 2009-06-24 2011-01-13 Iseki & Co Ltd ハイブリッド方式のコンバイン
KR101593279B1 (ko) * 2013-12-30 2016-02-15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콤바인의 선별 자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52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10909A (ja) コンバイン
KR102320631B1 (ko) 콤바인의 곡물이송 제어장치
JP2009072068A (ja) コンバイン
KR102114675B1 (ko) 콤바인의 탈곡부 구동장치
JP5818712B2 (ja) 汎用コンバイン
KR102207898B1 (ko) 콤바인용 예취부 정역회전장치
JP2016059288A (ja) 汎用コンバイン
JP6334345B2 (ja) 脱穀装置
JP4413002B2 (ja) コンバインの扱深さ制御装置
JP2554200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制御装置
JP3918756B2 (ja) エアー式穀粒搬送装置
JP2018000036A (ja) コンバイン
KR200151826Y1 (ko) 분쇄목 이송장치
KR20210049371A (ko) 콤바인
JP3726407B2 (ja) コンバイン
JP4073566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部の穀粒飛散防止装置
JPH02145127A (ja) グレンタンクの穀粒排出装置
JP2017023085A (ja) コンバイン
JPH1056871A (ja)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6020636B2 (ja) コンバイン
JP2554199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制御装置
JPH09149724A (ja) 排出オーガの無線操縦操作装置
JP2002253041A (ja) 脱穀部における駆動力伝動機構
JPH033160Y2 (ko)
JP2020068691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