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552B1 -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552B1
KR102319552B1 KR1020190141626A KR20190141626A KR102319552B1 KR 102319552 B1 KR102319552 B1 KR 102319552B1 KR 1020190141626 A KR1020190141626 A KR 1020190141626A KR 20190141626 A KR20190141626 A KR 20190141626A KR 102319552 B1 KR102319552 B1 KR 10231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lastic
fixing
spiral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320A (ko
Inventor
고현선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Priority to KR102019014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5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6Scalp evaluation or scalp disorder diagnosis, e.g. dandru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뷰티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헤어 스타일링 장치와, 모발이나 두피를 측정하는 모발 두피 측정 장치와,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 장치와,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 모발 두피 측정 장치 그리고 피부 측정 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는 초음파에 의해 헤어를 건조하는 음파 건조 장치를 포함하여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다수 개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특히 상기 음파 건조장치에 의해 고열로 인한 모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이다.

Description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MULTI SMART BEAUTY DEVICE WITH CONTROLLER}
본 발명은 뷰티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헤어 스타일링 장치와, 모발이나 두피를 측정하는 모발 두피 측정 장치와,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 장치와,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 모발 두피 측정 장치 그리고 피부 측정 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는 초음파에 의해 헤어를 건조하는 음파 건조 장치를 포함하여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다수 개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특히 상기 음파 건조장치에 의해 고열로 인한 모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뷰티 케어 제품을 이용하되 사용자의 피부 상태 등에 따라 자율적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의 피부나 모발 등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해주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고주파에 의해 피부 탄력을 높이는 한편 모발을 최적의 상태로 건조하는 제품 등이 결합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는 각각의 장치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각각의 장치마다 이루어져 사용상의 불편함이 증대되고 특히 모발 건조 장치의 경우 고열로 인헤 모발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어 스타일링 장치와, 모발이나 두피를 측정하는 모발 두피 측정 장치와,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 장치와,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 모발 두피 측정 장치 그리고 피부 측정 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는 초음파에 의해 헤어를 건조하는 음파 건조 장치를 포함하여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다수 개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특히 상기 음파 건조장치에 의해 고열로 인한 모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 장치(10)와, 모발이나 두피를 측정하는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와,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 장치(30)와,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10),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 그리고 피부 측정 장치(30)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10)는 초음파에 의해 헤어를 건조하는 음파 건조 장치(100)를 포함하되, 상기 음파 건조 장치(100)는 아음속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초음속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초음속 노즐(110)과, 내부는 빈공간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지는 공진관(120)과,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삽입되는 조절 피스톤(130); 및 상기 공진관(120)과 초음속 노즐(110)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빈공간을 형성하며 나팔모양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음파 에너지를 반사시켜 건조대상으로 집속시켜 주기 위한 전향셀(140)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속 노즐(110)과 공진관(120)은 상기 전향셀(140) 내부의 중심축 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며, 금속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구성된 로드(150)가 상기 공진관(120)과 초음속 노즐(110) 상호 간에 걸쳐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절 피스톤(130)은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 피스톤 본체(131)와, 상기 조절 피스톤 본체(131)에서 로드(15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바아(132)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돌출 바아(132)는 상기 공진관(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 바아(132)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밀착되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상기 돌출 바아(1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돌출 바아(132)가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돌출 바아(132)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되고,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2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4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4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4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4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다수 개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특히 상기 음파 건조장치에 의해 고열로 인한 모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의 음파 건조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의 음파 건조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의 음파 건조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과 돌출 바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일반적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 중 지지 디스크와 가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리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1흡수부와 제2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상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하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1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2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관련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 스타일링 장치(10)와, 모발이나 두피를 측정하는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와,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 장치(30)를 포함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로서 제어부(CON)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와 제어부(CON)에 의해 사용자의 모발 상태에 따라 헤어 스타일링 장치(10)를 제어하여 최적의 모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피부 측정 장치(30)에 의해 광 테라피 등을 이용하는 미용 장치를 제어하여 최적의 피부 처치를 할 수 있는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단일한 제어부(CON)에 의해 다수 개의 뷰티 디바이스를 제어 및 구동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는 널리 알려진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국 등록 특허 제10-0916153호에 기재된 "피부 각질층의 두께를 정량적 및 시각적으로 측정하여 두피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부 측정 장치(30) 역시 널리 알려진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국 등록 특허 제10-0862274호에 기재된 "피부 표면의 갈라짐 정도를 정량적 및 시각적으로 측정하여피부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피부 측정 장치에 의해 확보된 데이터를 근거하여 광 테라피 등을 이용하는 미용 장치를 제어하여 최적의 피부 처치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ON)는 상술된 헤어 스타일링 장치(10)와, 모발이나 두피를 측정하는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 및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CON)는 널리 알려진 PC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타블렛 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10)는 초음파에 의해 헤어를 건조하는 음파 건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파 건조 장치(100)에 의해 헤어를 건조하는 경우 고온의 열풍을 이용하지 않아 헤어의 손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음파 건조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음속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초음속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초음속 노즐(110)과, 내부는 빈공간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지는 공진관(120)과,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삽입되는 조절 피스톤(130); 및 상기 공진관(120)과 초음속 노즐(110)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빈공간을 형성하며 나발모양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음파 에너지를 반사시켜 건조대상으로 집속시켜 주기 위한 전향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음속 노즐(110)과 공진관(120)은 상기 전향셀(140) 내부의 중심축 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며, 금속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구성된 로드(150)가 상기 공진관(120)과 초음속 노즐(110) 상호 간에 걸쳐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 피스톤(130)은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 피스톤 본체(131)와, 상기 조절 피스톤 본체(131)에서 로드(15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바아(1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절 피스톤(130)은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진관(120)은 전향셀(140)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향셀(140)의 개방된 부분에는 특정 방향으로 걸쳐져 배치되는 판형 부재(145)가 구비되고, 상기 판형 부재(145)의 개방부(134a)를 통해 상기 공진관(12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된 공진관(120) 내부에 상술된 조절 피스톤(130)이 설치된다.
이러한 음파 건조 장치(100)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9408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음파 건조 장치(100)의 돌출 바아(132)는 상기 공진관(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 바아(132)의 외주면에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가 구비되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바아(132)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밀착되어 돌출 바아(1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본 발명의 음파 건조 장치(100)의 경우 조절 피스톤(130)의 조절 피스톤(131)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 피스톤(130)을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공진관(120) 내부에서 전후진 한다. 이때, 상기 조절 피스톤(130)이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돌출 바아(132)가 정확한 직선 운동을 하지 못하고 진동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나사산의 공차로 인해 정확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주위의 진동 발생이 전달되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이 돌출 바아(132)가 정확한 직선 운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돌출 바아(132)에 접하는 로드(15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못하여 원하는 음파를 발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돌출 바아(132) 외주연에 설치하고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공진관(120) 내부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동압 베어링 장치(400)에 의해 돌출 바아(132)가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어 로드(15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도 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밀착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돌출 바아(132)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다.
즉,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의 크기가 증감하여 압전 소자부(430)가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돌출 바아(132)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혹은 후퇴한다. 이때,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공기 등과 같은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는 탄력적으로 돌출 바아(132)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돌출 바아(132)가 회전에 따른 진동을 하는 경우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는 상술된 배터리와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에 의해 샤프트의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기술은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압전 소자부가 패드를 전후진하여 샤프트(스핀들)의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상술된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과 달리 압축 유체가 충진된 탄성 패드(460)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상술된 돌출 바아의 진동을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압력 변동으로 측정하거나 혹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센서에 의해 감지한다. 이러한 돌출 바아의 진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은 압전 소자부의 작용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돌출 바아의 진동 감지와 압전 소자부 작용 자체는 상술된 종래 기술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도 7는 도 5에서 돌출 바아(132) 및 동적 베어링(400)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기술 내용을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돌출 바아(132)와 탄성 패드(460)를 직선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배선은 제어부(CON)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를 제어한다. 즉, 발생되는 진동이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430)를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돌출 바아(132)를 가압하여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는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디스크(470)은 판체 형상이고 개방부(472)가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 본체(471)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72)에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한다.
상기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480)가 구비되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 연결부(480)는 상기 개방부(472)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제1지지부(481)와, 상기 가압부(500)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며 원호 형상인 제2지지부(4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481)에는 제1판 스프링(483)이 설치되고, 제2지지부(482)에는 제2판 스프링(484)이 설치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은 상기 제2지지부(48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제2판 스프링(484)는 제1지지부(48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 중 제2판 스프링(484) 방향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제1홀더(485)가 형성되고, 제2판 스프링(484) 중 제1판 스프링(483) 방향 측면에는 제1홀더(485)와 대칭 형상인 제2홀더(48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홀더(485)와 제2홀더(486)사이에 탄성볼(487)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가 근접되어도 상기 제1판 스프링(483)과 제2판 스프링(484)의 탄성 변형에 의해 1차 흡수되고, 상기 탄성볼(487)에 압축 변형에 의해 2차 흡수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한다.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베이스(420)와 요홈부(490) 사이에 지지 블록(450)이 설치되어 상기 압전 소자부(43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 블록(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490) 벽면과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지지 블록(452)과, 한 쌍의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지지 블록(451)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블록(451)의 양 측면은 돌출되어 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제2지지 블록(452)의 일 측은 요홈부(490)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 측 일부는 돌출되어 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도 5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도 5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압부(5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압부(510)는 탄성 패드(460) 방향에 배치되고, 제2가압부(520)는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 사이에 제1흡수부(530)가 구비되어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1단턱부(5113)가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단턱부(5114)가 돌출된다.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평탄부(52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볼(531)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연결 바아(5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홀더(532)는 사각형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532)사이에 연결 바아(53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바아(533)는 사각형 형상의 각 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 즉,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된다.
이러한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view 3)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540)와 제1가압부 본체(51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된 제2상부 흡수부(600A)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540)와 제2가압부 본체(52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는 반 시계 방향으로 김긴 형상을 가지고,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형상을 가지며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동일한 형상이나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이하 도 13에 도시된 제2 상부 흡수부(600A)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나선부(620)는 유사하게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된다.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2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즉, 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A)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A)는 제1가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A)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A)는 제1가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A)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A)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B)는 제1가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B)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B)는 제2가압부(520)의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B)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1(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제11고정 바아(611) 역시 방향1(반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1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탄성 바아(613)가 감기게 된다. 또한,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 바아(623)가 감기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기게 되고 제1가압부(510)가 일정 각도 회전하더라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2(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방향2(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 2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 고정 바아(621)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풀려지게 된다.
다만, 베이스(540)의 저면에 설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그루브(543)에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540)의 회전에 따라 걸림되어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겨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가압부(5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상부 흡수부(600A)가 감겨져서 제1가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제1가압부(5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하부 흡수부(600B)가 감져져서 결국 제1가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 하게 된다.
한편, 도 12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회전하여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탄성볼(633)이 변형된다. 이때, 상기 탄성볼(633)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고정판(631) 역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12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4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4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4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4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이동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ON)에는 배터리(BAT)와 압전 소자부(430)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의 단속에 의해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에는 탄성 패드(460) 내부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가 연결되어 돌출 바아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에는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10),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 그리고 피부 측정 장치(30)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10),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 그리고 피부 측정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상기 각 구성요소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음파 건조 장치 110 : 노즐
120 : 공진관 130 : 조절 피스톤
140 : 전향셀 150 : 로드
400 : 동압 베어링 410 : 베어링 본체
420 : 베이스 430 : 압전 소자부
460 : 탄성 패드 490 : 요홈부
500 : 가압부 510 : 제1가압부
520 : 제2가압부 530 : 제1흡수부
600 : 제2흡수부

Claims (5)

  1. 헤어 스타일링 장치(10)와, 모발이나 두피를 측정하는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와,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 장치(30)와,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10), 모발 두피 측정 장치(20) 그리고 피부 측정 장치(30)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헤어 스타일링 장치(10)는 초음파에 의해 헤어를 건조하는 음파 건조 장치(100)를 포함하되,
    상기 음파 건조 장치(100)는 아음속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초음속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초음속 노즐(110)과, 내부는 빈공간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지는 공진관(120)과,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삽입되는 조절 피스톤(130); 및 상기 공진관(120)과 초음속 노즐(110)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빈공간을 형성하며 나팔모양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음파 에너지를 반사시켜 건조대상으로 집속시켜 주기 위한 전향셀(140)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속 노즐(110)과 공진관(120)은 상기 전향셀(140) 내부의 중심축 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며, 금속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구성된 로드(150)가 상기 공진관(120)과 초음속 노즐(110) 상호 간에 걸쳐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절 피스톤(130)은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 피스톤 본체(131)와, 상기 조절 피스톤 본체(131)에서 로드(15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바아(132)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 바아(132)는 상기 공진관(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 바아(132)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진관(120) 내부에 밀착되며 상기 돌출 바아(1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구비하며,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돌출 바아(132)가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돌출 바아(132)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되고,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2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4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4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4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4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KR1020190141626A 2019-11-07 2019-11-07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KR10231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26A KR102319552B1 (ko) 2019-11-07 2019-11-07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26A KR102319552B1 (ko) 2019-11-07 2019-11-07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20A KR20210055320A (ko) 2021-05-17
KR102319552B1 true KR102319552B1 (ko) 2021-10-28

Family

ID=7615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626A KR102319552B1 (ko) 2019-11-07 2019-11-07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942A (ko) * 2022-01-26 2023-08-02 신동혁 초음파 헤어 드라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74B1 (ko) 2007-04-24 2008-10-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표면의 갈라짐 정도를 정량적 및 시각적으로 측정하여피부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JP2010051780A (ja) 2009-02-24 2010-03-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髪ケア送風装置
JP5121047B2 (ja) * 2007-11-02 2013-01-16 株式会社不二越 動圧軸受及びラジアル動圧軸受を用いたスピ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305A (ja) * 2001-09-13 2003-06-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肌ケア装置
KR20100024165A (ko) * 2008-08-25 2010-03-05 주식회사 두손 초음파 모발 건조기
KR20100049408A (ko) * 2008-11-03 2010-05-12 주식회사 두손 음파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74B1 (ko) 2007-04-24 2008-10-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표면의 갈라짐 정도를 정량적 및 시각적으로 측정하여피부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JP5121047B2 (ja) * 2007-11-02 2013-01-16 株式会社不二越 動圧軸受及びラジアル動圧軸受を用いたスピンドル装置
JP2010051780A (ja) 2009-02-24 2010-03-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髪ケア送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20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552B1 (ko)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AU20242014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JP6808345B2 (ja) 振動波モータおよび振動波モータが搭載された電子機器、レンズ鏡筒、撮像装置
EP3225127A1 (en) Tubular container comprising applicator
JPH11505335A (ja) レンズの赤道直径の微少な変化による可変焦点レンズ
EP1933660A2 (en) Ultrasonic hair treatment device
KR20200109496A (ko) 마이크로머시닝된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테라피 장치
WO2003020070A1 (en) Ultrasonic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air and other fibers
JP2007116757A (ja) 超音波モータ
JP2021043247A5 (ko)
JP3633089B2 (ja) ヘアセット装置
US20150316741A1 (en) Apparatus for fixing solid immersion lens
US20160103296A1 (en) Driving apparatus, lens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imaging apparatus
JP6257224B2 (ja) モータ及びレンズ装置
JP2015065809A (ja) リニア超音波モータ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装置
US20160142811A1 (en) Headphone unit and ear muff unit
JP5971274B2 (ja) 超音波振動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4064A (ja) 詰め物製品の造形方法および装置
KR102074870B1 (ko) 분체 도장 장치
KR102114664B1 (ko) 오링부가 구비된 알루미늄 가스켓 제조 장치
WO2017119186A1 (ja) 圧脈波測定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
KR102303733B1 (ko) 파동기어장치
JP7272317B2 (ja) ステータコア支持装置、及びステータコアの支持方法
SU1650397A1 (ru) Рабоча емкость устройства дл объемной обработки деталей
JP2009089945A (ja) 超音波毛髪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