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488B1 -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488B1
KR102319488B1 KR1020200125448A KR20200125448A KR102319488B1 KR 102319488 B1 KR102319488 B1 KR 102319488B1 KR 1020200125448 A KR1020200125448 A KR 1020200125448A KR 20200125448 A KR20200125448 A KR 20200125448A KR 102319488 B1 KR102319488 B1 KR 102319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copper tube
pipe
tube
fasten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테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테크원
Priority to KR102020012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6Bending into helical or spiral form; Forming a succession of return bends, e.g. serpentin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424Means comprising outside portions integral with inside portions
    • F28F1/426Means comprising outside portions integral with inside portions the outside portions and the inside portions forming parts of complementary shape, e.g. concave and conv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6Arrangements for coupling connectors with flow lines
    • F28F9/0258Arrangements for coupling connectors with flow lines of quick acting type, e.g.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동관에 대해 스파이럴 성형기를 이용하여 나사선형태로 이루게 하여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 또는 물의 흐름을 와류현상으로 일으켜 신속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동배관에 대해 작업자가 신속하게 설치 또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별도로 용접과 같은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에어컨에 구비된 열교환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일체화된 동배관을 제조할 수 있어 별도의 부속관을 부가 설치하지 않는 등의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열교환기의 배관과 조립하기 전에 별도의 캡으로 동배관의 확관부를 막도록 함으로서 동배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이물질을 미연에 방지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확관부의 파손 등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COPPER PIPE MANUFACTURING METHOD FOR SYSTEM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동관에 대해 스파이럴 성형기를 이용하여 나사선형태로 이루게 하여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 또는 물의 흐름을 와류현상으로 일으켜 신속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동배관에 대해 작업자가 신속하게 설치 또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별도로 용접과 같은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에어컨에 구비된 열교환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일체화된 동배관을 제조할 수 있어 별도의 부속관을 부가 설치하지 않는 등의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열교환기의 배관과 조립하기 전에 별도의 캡으로 동배관의 입구를 막도록 함으로서 동배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이물질을 미연에 방지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입구 부분의 파손 등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에어컨은 실내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저온상태로 만들고 흡수된 열을 외부에 방출하는 공기조화장치이고, 사이클을 구성하도록 냉매(refrigeran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어컨 시스템에 냉매가 순환할 수 있게 각종 배관과 이음새가 필요하다.
만일, 설치되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개별기능을 가지는 부품을 배관에 대하여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배관으로부터 냉매가 공급될 수 있는 다수의 동배관을 사용하게 된다.
특히, 에어컨 설치공사의 신속을 기하고 하자를 줄이기 위하여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기보다는 기성 단품으로 출고되는 동배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할 때는 얇은 고압관과 굵은 저압관의 두 개의 동관을 사용하게 되고, 이때 얇은 고압관은 잘 휘어지기 때문에 별 어려움 없이 원하는 모양으로 휘어 모양을 만들 수 있으나, 굵은 고압관은 그 직경이 클 뿐만 아니라 관의 두께도 굵어 마음먹은 데로 휘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동관을 휘는 과정에서 휘는 힘이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경우, 동관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동관의 특성상 파손된 동관은 다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배관 공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85109호(공개일 : 2014. 07. 07.)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92071호(공개일 : 2009. 08. 31.)
본 발명은 별도로 용접과 같은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에어컨에 구비된 열교환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일체화된 동배관을 제조할 수 있어 별도의 부속관을 부가 설치하지 않는 등의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게 하고,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동배관에 대해 작업자가 신속하게 설치 또는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동관에 대해 스파이럴 성형기를 이용하여 나사선형태로 이루게 하여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 또는 물의 흐름을 와류현상으로 일으켜 신속한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의 배관과 조립하기 전에 별도의 캡으로 동배관의 입구를 막도록 함으로서 동배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이물질을 미연에 방지시키게 하는 동시에 입구 부분의 파손 등의 훼손을 방지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며, 동으로 이루어진 동관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동관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너트와, 상기 동관의 일측 끝단 개구에 끼워지는 제1캡과,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하기 위한 제2캡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준비된 동관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동관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의 중앙부에 나사선형태로 만들기 위해 스파이럴 성형기를 이용하여 스파이럴 형성 단계와,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의 일측 끝단을 준비된 동관의 지름보다 넓히도록 하기 위한 제1확관 단계와,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의 타측 부분을 'ㄴ'형태로 형성시키기 위해 성형기를 통해 밴딩처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밴딩처리된 동관의 타측 끝단 부분에 상기에서 준비된 체결너트를 끼워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체결너트가 끼워진 동관의 타측 끝단 부분에 대해 준비된 동관의 지름보다 넓혀주기 위한 제2확관 단계와, 상기에서 확관 성형이 완료되면 동관의 외부에 묻어 있는 이물질과 동관 내부에 위치한 이물질 각각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단계와, 상기에서 세척이 완료되면 제조된 동관에 대해 규격에 맞는지와 훼손이 발생했는지를 검사기를 통해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사가 완료되면, 동관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확관된 부분의 훼손을 각각 방지하기 위해 상기에서 준비된 제2캡을 체결너트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제1확관된 부분에 동관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확관된 부분의 훼손을 각각 방지하기 위해 상기에서 준비된 제1캡을 확관 부분에 끼워 동배관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형성되는 동관의 성형 상태 및 규격에 맞는지를 각각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검사기에 센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로 용접과 같은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에어컨에 구비된 열교환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일체화된 동배관이 제조되어 별도의 부속관이 부가 설치되지 않는 등의 재료의 낭비가 최소화되는 효과와,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동배관에 대해 작업자가 신속하게 설치 또는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동관에 대해 스파이럴 성형기를 이용하여 나사선형태로 이루게 하여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 또는 물의 흐름에 대해 와류현상을 일으켜 신속한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배관과 조립하기 전에 별도의 제1캡과 제2캡 각각으로 동배관의 확관부를 막도록 함으로서 동배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이물질이 미연에 방지되는 동시에 확관부에 대한 파손 등의 훼손이 방지되어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재료 동관과, 체결너트, 제1캡과, 제2캡을 각각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간기를 통해 동관의 절단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을 스파이럴 성형기를 통해 나사선형태로 성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관의 일측 끝단부가 주입성형기를 통해 확관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관이 밴딩성행기를 통해 밴딩처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의 타측 끝단 부분에 도 1에 나타난 체결너트를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의 체결너트가 끼워진 부분이 주입성형기를 통해 확관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체결너트가 끼워지고 확관이 완료된 동관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는 세척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이 완료된 동관에 대해 규격에 맞는지와 훼손된 부분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검사가 완료된 동관에 끼워진 체결너트에 제2캡이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체결너트에 제2캡이 체결된 동관의 제1확관부에 제1캡이 끼워진 상태로서 완성된 제품인 동배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은 하나의 제품인 동배관을 제조하는데 있어 별도의 용접과 같은 접합 작업 없이 일체화된 동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관(10)을 준비하게 되는데, 이 동관(10)은 동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은 상태에서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별도로 체결너트(20). 제1캡(30) 및 제2캡(40)을 각각 준비하게 되는데, 상기 체결너트(20)는 동관(10)의 끝단의 일측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캡(30)은 동관(10)의 일측 끝단 개구에 끼워지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캡(40)은 체결너트(20)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첨부도면 도 1 참조).
여기서, 상기 체결너트(20)는 시스템 에어컨에 구비된 열교환기의 배관과 결합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1캡(30)은 동관(1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동관(10)의 입구 부분에 대한 훼손을 방지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캡(40) 또한 동관(1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동관(10)의 입구 부분에 대한 훼손을 방지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준비된 동관(10)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동관(10)을 절단하게 되고(첨부도면 도 2 참조),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10)의 중앙 부분에 스파이럴 성형기를 이용하여 나사선형태(11)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게 된다(첨부도면 도 3 참조).
이때, 상기 스파이럴 성형기를 이용한 나사선형태(11)의 성형은 동관 내부를 통해 열교환기에 투입되는 냉매 또는 물에 대해서 좀 더 빠르게 흐를 수 있도록 와류(渦流)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10)의 일측 끝단을 준비된 동관의 지름보다 넓혀주는 제1확관부(12)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 제1확관부(12)는 준비된 동관의 일측 끝단 개구에 주입성형기를 투입하여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첨부도면 도 4 참조).
그리고,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10)의 타측 부분을 밴딩성형기를 이용하여 'ㄴ'형태로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첨부도면 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제1확관부(12)를 성형하는 과정과 'ㄴ'형태로 형성하는 과정은 순서에 관계없이 실시할 수가 있는 것으로, 즉 상기 제1확관부(12)를 성형한 다음 'ㄴ'형태로 형성하는 밴딩처리로 이룰 수가 있고, 반대로 'ㄴ'형태로 형성하는 밴딩처리를 실시한 다음 제1확관부(12)를 성형하는 과정을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밴딩처리된 동관(10)의 타측 끝단 부분에 상기에서 준비된 체결너트(20)를 끼워준 다음 상기 체결너트(20)가 끼워진 동관(10)의 타측 끝단 부분에 대해 준비된 동관(10)의 지름보다 넓혀주는 제2확관부(13)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 또한 제2확관부(13)는 준비된 동관의 타측 끝단 개구(체결너트가 위치한 부분)에 주입성형기를 투입하여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첨부도면 도 7 참조).
상기에서와 같이, 동관(10)을 통해 나사선형태(11)의 성형, 체결너트(20)의 장착, 제1확관부(12) 형성 및 제2확관부(13) 형성이 완료되면 전체적으로 동관(10)의 외부에 묻어 있는 이물질과 동관 내부에 위치한 이물질 각각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첨부도면 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동관(10)의 세척이 완료되면 제조된 동관에 대해 규격에 맞는지와 훼손이 발생했는지를 검사하게 되는데(첨부도면 도 9 참조), 이 검사는 검사기에 센서가 설치 및 구비되어 있어 상기에서 형성 및 제조되는 동관의 성형 상태와 규격에 맞는지를 각각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는 비젼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하고, 제조된 동관의 성형 상태와 규격에 적합한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불량된 동관을 미리 체크하여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검사기를 통해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제2확관부(13)를 통해 동관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제2확관부(13)에 대한 훼손을 미연에 방지시키기 위해 상기에서 준비된 제2캡(40)을 체결너트(20)에 결합시키게 된다(첨부도면 도 10 참조).
또한,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확관부(12)를 통해 동관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제1확관부(12)에 대한 훼손을 미연에 방지시키기 위해 상기에서 준비된 제1캡(30)을 제1확관부(12)에 끼우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캡(30)과 제2캡(40)이 확관부에 각각 끼워지거나 체결이 되면 제조가 완료되는 것으로, 이는 동배관의 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의 배관과 조립하기 전에 별도의 제1캡(30)과 제2캡(40)으로 동배관의 확관부 각각을 막아 줌으로써, 완성된 제품인 동배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이물질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동시에 확간부의 파손 등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기에,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제품으로 완성된 동배관을 열교환기의 배관과 체결하거나 연결하기 위해서는 동배관에 체결되거나 끼워져 있는 제1캡(30)과 제2캡(40) 각각을 확관부에서 분리시킨 다음 열교환기의 배관과 체결 또는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라 동배관을 형성시키기 위해 별도의 동관을 부가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동시에 용접하지 않더라도 일체화하여 형성시킬 수가 있기에 재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동관
11 : 나사선형태
12 : 제1확관부
13 : 제2확관부
20 : 체결너트
30 : 제1캡
40 : 제2캡

Claims (3)

  1. 일정한 길이를 갖고,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며, 동으로 이루어진 동관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동관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너트와, 상기 동관의 일측 끝단 개구에 끼워지는 제1캡과,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하기 위한 제2캡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준비된 동관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동관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의 중앙부에 나사선형태로 만들기 위해 스파이럴 성형기를 이용하여 스파이럴 형성 단계와,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의 일측 끝단을 준비된 동관의 지름보다 넓히도록 하기 위한 제1확관 단계와, 상기에서 절단된 동관의 타측 부분을 'ㄴ'형태로 형성시키기 위해 성형기를 통해 밴딩처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밴딩처리된 동관의 타측 끝단 부분에 상기에서 준비된 체결너트를 끼워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체결너트가 끼워진 동관의 타측 끝단 부분에 대해 준비된 동관의 지름보다 넓혀주기 위한 제2확관 단계와, 상기에서 확관 성형이 완료되면 동관의 외부에 묻어 있는 이물질과 동관 내부에 위치한 이물질 각각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단계와, 상기에서 세척이 완료되면 제조된 동관에 대해 규격에 맞는지와 훼손이 발생했는지를 검사기를 통해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사가 완료되면, 동관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확관된 부분의 훼손을 각각 방지하기 위해 상기에서 준비된 제2캡을 체결너트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제1확관된 부분에 동관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확관된 부분의 훼손을 각각 방지하기 위해 상기에서 준비된 제1캡을 확관 부분에 끼워 동배관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의 제조된 동관에 대해 규격에 맞는지와 훼손이 발생했는지를 검사기를 통해 검사하는 단계에서, 상기에서 형성되는 동관의 성형 상태 및 규격에 적합한지를 각각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불량된 동관을 미리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검사기에 비젼 센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125448A 2020-09-28 2020-09-28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KR10231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48A KR102319488B1 (ko) 2020-09-28 2020-09-28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48A KR102319488B1 (ko) 2020-09-28 2020-09-28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488B1 true KR102319488B1 (ko) 2021-10-29

Family

ID=7823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48A KR102319488B1 (ko) 2020-09-28 2020-09-28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1382A (zh) * 2021-11-24 2022-03-01 河南华灏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与室外机用连接管生产设备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024U (ko) * 1999-01-22 2000-08-16 이광원 관 연결구조
JP2007322121A (ja) * 2006-06-01 2007-12-13 Nobel Plastiques コイル形状で波形のチューブを有する熱交換器、該熱交換器を備える冷却回路、燃料回路および車両
KR20080012614A (ko) * 2006-08-04 2008-02-12 김도영 자동차 강철림의 불량검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2071A (ko) 2008-02-26 2009-08-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배관 굽힘부 고정장치
KR20100134980A (ko) * 2009-06-16 2010-12-24 이은우 열전도판 조립식 냉난방장치
KR20110134186A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서원기술 관 이음구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20130084837A (ko) * 2012-01-18 2013-07-26 희성정밀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5109A (ko) 2012-12-27 2014-07-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KR101813630B1 (ko) * 2017-08-21 2017-12-29 주식회사 대동씨앤씨 스파이럴 튜브의 성형 장치 및 스파이럴 튜브의 제조 방법
KR20180034725A (ko) * 2016-09-26 2018-04-05 창운건설 주식회사 중,대구경 관로 주변 그라우트 겸 내면 보수 및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024U (ko) * 1999-01-22 2000-08-16 이광원 관 연결구조
JP2007322121A (ja) * 2006-06-01 2007-12-13 Nobel Plastiques コイル形状で波形のチューブを有する熱交換器、該熱交換器を備える冷却回路、燃料回路および車両
KR20080012614A (ko) * 2006-08-04 2008-02-12 김도영 자동차 강철림의 불량검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2071A (ko) 2008-02-26 2009-08-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배관 굽힘부 고정장치
KR20100134980A (ko) * 2009-06-16 2010-12-24 이은우 열전도판 조립식 냉난방장치
KR20110134186A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서원기술 관 이음구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20130084837A (ko) * 2012-01-18 2013-07-26 희성정밀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5109A (ko) 2012-12-27 2014-07-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KR20180034725A (ko) * 2016-09-26 2018-04-05 창운건설 주식회사 중,대구경 관로 주변 그라우트 겸 내면 보수 및 보강공법
KR101813630B1 (ko) * 2017-08-21 2017-12-29 주식회사 대동씨앤씨 스파이럴 튜브의 성형 장치 및 스파이럴 튜브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1382A (zh) * 2021-11-24 2022-03-01 河南华灏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与室外机用连接管生产设备
CN114101382B (zh) * 2021-11-24 2023-11-10 河南华灏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与室外机用连接管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488B1 (ko)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CN207316481U (zh) 智能管道
WO2015115127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RU2007107405A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KR100611330B1 (ko) 시스템에어컨용 와이 분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 와이 분지관
EP3015588B1 (de) Bodenmodul für eine in einem gehäuse angeordnete wärmepumpeneinrichtung eines haushaltsgerätes
KR20100036553A (ko)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에어컨용 와이분지관 및 그 제조방법
JP6120016B2 (ja) ストランド材を製織するための装置
KR101767897B1 (ko) 인발을 통한 시스템 에어컨용 와이 분지관 제조 방법
KR102576032B1 (ko) 차량 공조기용 배관연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5278341B2 (ja) 空調室内機
CN114673212A (zh) 一种水表房管道模块化施工方法
CN220551647U (zh) 一种直管表前弯结构及应用其结构的燃气通路系统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CN102635739B (zh) 一种建筑用复合管道的制作方法
KR102297742B1 (ko) 분기 배관 및 주름 배관에 의한 배관 모듈화 시스템
CN105157085A (zh) 暖通管路分段方法
CN215568615U (zh) 室内外空调机快速活动连接机构
KR20120119268A (ko) 공기조화기용 알루미늄 서비스밸브 및 그 제조방법
RU2757742C2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фитинга
KR200347069Y1 (ko) 에어컨 동관 고정대
KR200280017Y1 (ko) 부분 주름진 동 파이프
CN112368527B (zh) 截止阀
KR20100000913U (ko) 에어컨용 냉매순환관 연결장치
KR200256974Y1 (ko) 배관용 배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