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109A -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109A
KR20140085109A KR1020120155315A KR20120155315A KR20140085109A KR 20140085109 A KR20140085109 A KR 20140085109A KR 1020120155315 A KR1020120155315 A KR 1020120155315A KR 20120155315 A KR20120155315 A KR 20120155315A KR 20140085109 A KR20140085109 A KR 20140085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ipe
tube
tube portion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근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5109A/ko
Publication of KR2014008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5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copper or copper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Abstract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이 함유되어 열교환을 위한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에 권취되는 벤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PIPE FOR HEAT EXCHANGER PIPING}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사용과 반복 벤딩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할 때는 얇은 고압관과 굵은 저압관의 두 개의 동관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얇은 고압관은 잘 휘어지기 때문에 별 어려움 없이 원하는 모양으로 휘어 모양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굵은 고압관은 그 직경이 클 뿐만 아니라 관의 두께도 굵어 마음먹은 데로 휘기가 힘들다.
또한 동관을 휘는 과정에서 휘는 힘이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경우, 동관이 꺾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에어컨 동관의 특성상 한번 꺾인 동관은 다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배관 공사가 어려워 진다.
이에 따라 동관의 휘어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름관을 이용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2071호 (2009. 08. 31. 공개, 발명의 명칭 : 배관 굽힘부 고정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사용과 반복 벤딩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이 함유되어 열교환을 위한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에 권취되는 벤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부는, 상기 벤딩부가 권취되는 벤딩영역과, 상기 벤딩부가 권취되지 않는 직선영역이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관부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벤딩코일부; 와, 상기 관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벤딩링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벤딩부의 단부를 상기 관부에 고정시키는 벤딩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부와 상기 벤딩부를 상호 부착 고정시키는 용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관부의 재사용과 반복 벤딩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이전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이전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의 벤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는 에어컨의 냉매 배관에 사용되는 동관을 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의 벤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는 관부(10)와, 벤딩부(20)를 포함한다.
관부(10)는 열교환을 위한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일예로, 관부(10)는 에어컨에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여 냉매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관부(1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이 함유된 동관 또는 알루미늄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부(10)에는 벤딩부(20)의 권취에 따라 벤딩부(20)가 삽입되도록 변형부(1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11)는 관부(10)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관부(10)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11)는 벤딩부(2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관부(10)의 벤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벤딩부(20)는 관부(10)에 권취된다. 벤딩부(20)는 관부(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벤딩부(20)는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벤딩부(20)는 벤딩코일부(21)와 벤딩링부(23)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벤딩코일부(21)는 관부(10)에 나선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벤딩코일부(21)는 권취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벤딩코일부(21)가 형성되는 경우, 벤딩부(20)의 단부를 관부(10)에 고정시키는 벤딩고정부(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벤딩코일부(21)는 공지된 벤딩기를 통해 관부(10)에 나선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벤딩고정부(30)는 벤딩부(20)의 단부를 관부(10)에 고정시킴으로써, 벤딩부(20)가 관부(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부(10)를 벤딩하는 경우, 벤딩부(20)를 통해 관부(10)의 꺾임 없이 안정되게 관부(10)를 벤딩할 수 있다.
벤딩고정부(30)가 형성됨에 따라 벤딩코일부(2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벤딩코일부(21)의 유동을 더욱 안정되게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벤딩코일부(21)가 관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벤딩링부(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10)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 개가 배열된다. 벤딩링부(23)는 관부(10)의 벤딩 작업에서 관부(10)의 벤딩 부위를 보강하여 관부(10)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벤딩부(20)는 연결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4)는 인접한 두 벤딩링부(23)를 상호 연결한다. 연결부(24)는 벤딩링부(23)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4)가 더 포함됨에 따라 관부(10)의 반복 벤딩 작업에서 연결부(24)의 변형 상태를 통해 관부(10)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일예로, 관부(10)의 반복 벤딩 작업에서 벤딩링부(23)에서 연결부(24)가 분리되거나 연결부(24)가 파손되는 경우, 관부(10)의 벤딩시 관부(10)가 변형되거나 관부(10)의 꺾임이 발생될 수 있음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벤딩부(20)를 포함한 관부(10)를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부(10)는 벤딩영역(B)과 직선영역(S)으로 구분할 수 있다. 벤딩영역(B)은 벤딩부(20)가 권취되는 부분이고, 직선영역(S)은 벤딩부(20)가 권취되지 않는 부분이다.
그리고, 관부(10)는 벤딩영역(B)과 직선영역(S)이 교대로 형성됨으로써, 관부(10)의 절단 작업에서 벤딩부(2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관부(10)를 용이하게 벤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는 용접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접부(40)는 관부(10)와 벤딩부(20)를 상호 부착 고정시킨다. 관부(10)와 벤딩부(20)가 상호 다른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이종(異種) 간 소재 용접을 통해 용접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에 따르면, 관부(10)에 권취되는 벤딩부(20)에 의해 관부(10)의 벤딩 작업에서 관부(10)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고, 벤딩부(20)를 포함하는 관부(10)를 재사용할 수 있으며, 반복 벤딩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관부 11: 변형부
20: 벤딩부 21: 벤딩코일부
23: 벤딩링부 24: 연결부
30: 벤딩고정부 40: 용접부
B: 벤딩영역 S: 직선영역

Claims (5)

  1.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이 함유되어 열교환을 위한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에 권취되는 벤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는,
    상기 벤딩부가 권취되는 벤딩영역과, 상기 벤딩부가 권취되지 않는 직선영역이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관부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벤딩코일부; 와,
    상기 관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벤딩링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의 단부를 상기 관부에 고정시키는 벤딩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와 상기 벤딩부를 상호 부착 고정시키는 용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KR1020120155315A 2012-12-27 2012-12-27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KR20140085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315A KR20140085109A (ko) 2012-12-27 2012-12-27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315A KR20140085109A (ko) 2012-12-27 2012-12-27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109A true KR20140085109A (ko) 2014-07-07

Family

ID=5173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315A KR20140085109A (ko) 2012-12-27 2012-12-27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51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570A (ko) 2019-02-25 2020-09-02 명노찬 플렉시블 덕트 호스
KR102319488B1 (ko) 2020-09-28 2021-10-29 주식회사 우성테크원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570A (ko) 2019-02-25 2020-09-02 명노찬 플렉시블 덕트 호스
KR102319488B1 (ko) 2020-09-28 2021-10-29 주식회사 우성테크원 시스템 에어컨용 동배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59433A (en) Heat exchanger
KR101897385B1 (ko) 만곡형 열교환기
KR102141900B1 (ko) 공기 조화기 시스템
JP2010185614A (ja) 扁平管継手
KR20140085109A (ko)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JP2011089710A (ja) 冷媒熱交換器
JP2013124854A (ja) 二重管の継手構造
JP2006000885A (ja) アルミニウムアキュームレータの溶接構造および溶接方法ならびに熱交換器
WO2019146569A1 (ja) 金属製丸パイプ、これを備えた熱交換器、パイプベンダおよび金属製丸パイプの曲げ加工方法
JP5719107B2 (ja) ステンレス鋼製フレキシブル管
JP6204819B2 (ja) ろう付構造体
JP2013113525A (ja) 二重管
JP2007177848A (ja) 配管
JP2008121898A (ja) 空調室内機のドレンホース継手及びドレン配管設置方法
JP2007093035A (ja) アルミニウムアキュームレータの溶接構造および溶接方法ならびに熱交換器
KR102164804B1 (ko) 열교환기
JP2017040391A (ja) 管連結構造
JP6790129B2 (ja) 熱交換器及びヒートポンプ給湯器
EP3795739A3 (en) Clothes dryer
KR20190115568A (ko) 열교환기용 냉매 파이프의 연결장치
WO2006006442A1 (ja) アルミニウムアキュームレータの溶接構造および溶接方法ならびに熱交換器
JP7069350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8044562A (ja) フランジ付き管継手
JP2005164102A (ja) 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JP2008106933A (ja) 分岐管及び及び分岐管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