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391B1 -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 Google Patents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391B1
KR102319391B1 KR1020190177518A KR20190177518A KR102319391B1 KR 102319391 B1 KR102319391 B1 KR 102319391B1 KR 1020190177518 A KR1020190177518 A KR 1020190177518A KR 20190177518 A KR20190177518 A KR 20190177518A KR 102319391 B1 KR102319391 B1 KR 10231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mmet
vehicle
target
cur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964A (ko
Inventor
정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17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3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타겟형 그로밋과 컬링형 그로밋을 융합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용 배치할 수 있는 혼합형 차량용 그로밋을 제공하고, 그로밋의 표면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러짐에 따른 그로밋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로밋의 움직임을 감소시켜 전선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은, 외측 어느 한 부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 폭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의 삽입홈을 형성한 타겟부; 상기 타겟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브라켓의 후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벽을 포함하는 컬링부; 상기 타겟부 또는 컬링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결합부를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뿔 형상의 인출부; 상기 그로밋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된 형태의 통공을 형성한 결합부; 상기 걸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용 그로밋의 걸림부는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다수의 마찰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Grommet for vehicle}
본 발명은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차체 각종 패널 및 브라켓에 용이하게 결속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결합구조를 갖는 차량용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복잡하고 정교한 장치와 부속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와 부속들에 전기적인 신호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와이어 하네스가 사용된다.
특히 좁은 차체 내부공간에서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와이어 하네스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와이어 하네스는 차체 내부 패널 등에 고정되는데, 와이어 하네스의 위치가 패널을 관통하거나 브라켓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 배치되어야 할 경우 와이어 하네스는 안정적인 고정 지지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고무소재로 형성된 그로밋에 와이어 하네스를 끼움 결합한 후 차체 내부 패널 또는 브라켓에 와이어 하네스가 결합된 그로밋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그로밋은 와이어 하네스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기능 이외에 외력으로부터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을 방지하며, 소음, 진동,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차량용 그로밋은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는 위치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존재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패널에 끼움 결합하는 타입의 타겟형 그로밋과, 후크형 브라켓에 와이어 하네스를 걸어 고정하는 타입의 컬링형 그로밋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타겟형 그로밋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컬링형 그로밋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타겟형 그로밋(10)은, 와이어 하네스가 브라켓 또는 차체 패널(1)의 측면(두께) 방향과 수직 교차하며 배치될 경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된 그로밋을 패널(1)에 끼움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컬링형 그로밋(20)은, 와이어 하네스를 정리하기 위해 후크형 브라켓을 별도로 이용할 경우, 브라켓의 후크(2)에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된 그로밋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는 차량 내부의 배치되는 위치 및 주변 구조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그로밋이 사용되었으나, 지나치게 다양성을 갖는 그로밋의 형태는 각각 대응되는 상황에 맞춤 사용시 와이어 하네스의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오래걸려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겟형 그로밋과 컬링형 그로밋은 브라켓 등에 결속한 후 차체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전달시 그로밋이 미끄러져 이탈될 수 있었고, 뿐만 아니라 그로밋에 회전 및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면 그로밋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와이어 하네스에 회전 및 비틀림이 전달되어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에 따른 차량 운행의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106835호(2015.09.2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타겟형 그로밋과 컬링형 그로밋을 융합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용 배치할 수 있는 혼합형 차량용 그로밋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내부 패널 및 브라켓 등에 고정된 그로밋이 이탈되지 않도록 표면에 마찰력을 증대시킨 구성을 통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갖는 차량용 그로밋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로밋이 결합된 후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그로밋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은, 외측 어느 한 부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 폭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의 삽입홈을 형성한 타겟부; 상기 타겟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브라켓의 후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벽을 포함하는 컬링부; 상기 타겟부 또는 컬링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결합부를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뿔 형상의 인출부; 상기 그로밋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된 형태의 통공을 형성한 결합부; 상기 걸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용 그로밋의 걸림부는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다수의 마찰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용 그로밋의 걸림부는 다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의하면, 기존의 타겟형 그로밋과 컬링형 그로밋을 융합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용 배치할 수 있는 혼합형 차량용 그로밋을 제공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배치 작업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그로밋은 표면에 요철부 또는 마찰홈이 형성된 구조로부터 그로밋의 표면 마찰력이 증대되어 브라켓의 후크 등에 고정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 그로밋은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통한 움직임을 감소시켜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차량의 전기적 신호전달 오작동을 방지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 그로밋은 표면에 다수의 마찰홈을 형성함으로 표면 마찰력 증대 뿐 아니라 제품 중량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겟형 그로밋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컬링형 그로밋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대한 다각형 걸림부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밋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차량용 그로밋(100)은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배치에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와이어 하네스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전체 형상은 원통형 또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차체 패널 및 브라켓에 밀착되어 결속력이 우수하고 와이어 하네스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차량용 그로밋(100)은 기존의 타겟형 그로밋과 컬링형 그로밋이 융합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차체 각종 패널부위 및 브라켓 등의 측면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타겟부(110)와, 후크 타입의 브라켓에 결속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컬링부(120)와, 외경이 일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출부(130), 와이어 하네스가 관통 삽입되는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겟부(1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어느 한 부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 폭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의 삽입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11)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지지부(11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1)의 폭은 끼움 삽입되는 차체 패널 및 브라켓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컬링부(120)는 상기 타겟부(1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브라켓의 후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걸림부(121)와, 상기 걸림부(12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벽(122)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121)는 브라켓의 후크에 결속될 수 있는 결합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후크 너비에 대응하는 길이와 후크의 곡률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벽(122)은 걸림부(121)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걸림부(121) 둘레를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결속된 브라켓의 후크를 가압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한다.
즉, 상기 걸림부(121)는 지지부(112) 및 이탈방지벽(122) 사이에 배치되어 브라켓의 후크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며, 브라켓의 후크에 걸립부(121)가 끼움 고정되면 타겟부(110)의 지지부(112) 및 이탈방지벽(122)에 의해 브라켓의 후크가 가압 지지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인출부(130)는 상기 타겟부(110) 또는 컬링부(1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부(130)는 내측에 삽입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 지지하면서 인출되는 와이어 하네스가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 후 복귀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고무소재로 형성되고, 형상적 특징으로는 와이어 하네스가 수용되는 내측 결합부(140)를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인출부(130)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짐은 인출부(13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면서 그 단부는 플렉시블한 기능적 특징을 갖도록 한 것으로, 이는 내측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의 배치과정 및 차량의 진동에 따른 유동적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140)는 상기 그로밋(10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된 형태의 통공을 형성한 것으로, 관통된 통공 형태의 결합부(140)에는 와이어 하네스가 결합 수용된다.
보다 상세하게, 그로밋(1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결합부(140)에는 와이어 하네스가 그로밋(100)을 관통하도록 끼움 결합되며, 와이어 하네스의 어느 한 부위에 끼움 결합된 그로밋(100)은 차량 패널부위 또는 브라켓 부위에 고정되면서 와이어 하네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와이어 하네스를 차량 각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로밋(100)의 타겟부(110) 또는 컬링부(120) 중 어느 한 부위에는 그로밋(100) 표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요철부(150) 또는 마찰홈(160)을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대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A-A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그로밋(100)은 표면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걸림부(121)에 해당하는 몸통부위에 다수의 요철부(150) 또는 마찰홈(160)을 형성하며, 이는 그로밋(100)이 브라켓의 후크 등에 결합된 상태에서 마찰력 증대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전달시 그로밋(100)이 브라켓의 후크 등 고정수단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그로밋(100)의 표면 마찰력으로부터 회전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그로밋(100)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에 따른 전기적 오동작을 방지하고 차량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요철부(150) 또는 마찰홈(160)은 그 형상적 제약은 없으나 그로밋(100)의 제조과정 및 차량에 설치하는 과정과, 그로밋(100)의 회전 방향의 마찰력을 증대하여 회전 동작을 차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인 것을 감안하여 그 형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요철부(150)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로밋(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마찰홈(160)은 내측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되 그로밋(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그로밋(100)의 표면 마찰력을 증대시키고자 그로밋(100)의 몸통부위에 해당하는 걸림부(121) 둘레에 다수의 요철부(150) 및 마찰홈(160)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그로밋(100)의 몸통부위 또는 걸림부(121)의 단면은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에 대한 다각형 걸림부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다각형 걸림부(121)를 갖는 그로밋 형상은 원통형에 비해 표면 마찰력이 증대되어 결속 고정상태에서 차량의 진동 전달시 미끄러짐 및 그로밋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로밋 회전에 따른 전선꼬임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패널
2 : 브라켓 후크
10 : 타겟형 그로밋
20 : 컬링형 그로밋
100 : 그로밋
110 : 타겟부
111 : 삽입홈
112 : 지지부
120 : 컬링부
121 : 걸림부
122 : 이탈방지벽
130 : 인출부
140 : 결합부
150 : 요철부
160 : 마찰홈

Claims (3)

  1.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 지지하는 차량용 그로밋(100)에 있어서,
    외측 어느 한 부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 폭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의 삽입홈(111)을 형성한 타겟부(110);
    상기 타겟부(1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브라켓의 후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걸림부(121)와, 상기 걸림부(12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벽(122)을 포함하는 컬링부(120);
    상기 타겟부(110) 또는 컬링부(1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결합부(140)를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뿔 형상의 인출부(130);
    상기 그로밋(10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된 형태의 통공을 형성한 결합부(140);
    표면 마찰력을 증대시켜 회전 및 비틀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상기 걸림부(121)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2. 삭제
  3.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 지지하는 차량용 그로밋(100)에 있어서,
    외측 어느 한 부위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 폭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의 삽입홈(111)을 형성한 타겟부(110);
    상기 타겟부(1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브라켓의 후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걸림부(121)와, 상기 걸림부(12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벽(122)을 포함하는 컬링부(120);
    상기 타겟부(110) 또는 컬링부(1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결합부(140)를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뿔 형상의 인출부(130);
    상기 그로밋(10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된 형태의 통공을 형성한 결합부(140); 를 포함하고,
    회전 및 비틀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상기 걸림부(121)는 다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KR1020190177518A 2019-12-30 2019-12-30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KR10231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18A KR102319391B1 (ko) 2019-12-30 2019-12-30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18A KR102319391B1 (ko) 2019-12-30 2019-12-30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64A KR20210084964A (ko) 2021-07-08
KR102319391B1 true KR102319391B1 (ko) 2021-10-29

Family

ID=7689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18A KR102319391B1 (ko) 2019-12-30 2019-12-30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3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5542A (ja) 2011-02-04 2012-08-30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の長さ調節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127U (ja) * 1993-03-23 1994-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H08129918A (ja) * 1994-10-28 1996-05-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H08168144A (ja) * 1994-12-14 1996-06-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15173550A (ja) 2014-03-12 2015-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5542A (ja) 2011-02-04 2012-08-30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の長さ調節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64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50317B2 (en) Grommet for wire harness
CN104143796B (zh) 用于防止反向组装的线缆固定夹子
KR101661845B1 (ko)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
US5807018A (en) Sidewinder clip
JP4412148B2 (ja) グロメット
WO2017159376A1 (ja) グロメット
JP6830916B2 (ja) 連結具
EP3491277B1 (en) Retain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WO2010109741A1 (ja) 自動車用ケーブル支持具
KR102319391B1 (ko)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 차량용 그로밋
EP3831662B1 (en) Grommet
EP2276133A1 (en) Grommet
KR101701963B1 (ko) 차량용 그로밋
KR20210084963A (ko) 회전 및 비틀림을 방지한 차량용 그로밋
JP5136192B2 (ja) グロメット
CN113270831A (zh) 索环和线束
US6454503B1 (en) Fastener having three parts
US5664607A (en) Textile braids
CN205273359U (zh) 一种汽车尾门线束护套
JP2017131055A (ja) グロメット
JP2001268757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バンドクランプ
CN106257781B (zh) 用于缆线的紧固装置
JP2021129477A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902289B1 (ko) 밴드케이블 구조
KR200258040Y1 (ko) 이중 밴드케이블을 갖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