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150B1 -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150B1
KR102319150B1 KR1020200120901A KR20200120901A KR102319150B1 KR 102319150 B1 KR102319150 B1 KR 102319150B1 KR 1020200120901 A KR1020200120901 A KR 1020200120901A KR 20200120901 A KR20200120901 A KR 20200120901A KR 102319150 B1 KR102319150 B1 KR 10231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nut
connecting tube
corrugated pipe
spiral path
bowl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훈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5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removing incorrectly orientated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양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튜브의 수나사부에 록킹너트를 결합시켜 하나의 주름관 연결용 커플링을 구성하는 자동조립장치에, 상기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투입된 록킹너트를 받아 수용하며, 수용된 록킹너트를 순차 배출하는 보울피더를 갖는 두 개의 록킹너트공급부와; 외부로부터 투입된 연결튜브를 받아 수용하고, 수용된 연결튜브를 배출하되 상기 록킹너트의 배출 속도에 맞추어 순차 배출하는 보울피더를 구비한 연결튜브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는, 별도로 생산 공급된 대량의 연결튜브와 록킹너트를 자동조립장치로 연속 공급함으로써 자동조립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Connecting tube and locking nut supply device for corrugated pipe coupling automatic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건물 시공 시 사용되는 전선 보호용 주름관의 연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튜브와 두 개의 록킹너트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조립장치를 향해, 연결튜브와 록킹너트를 연속 공급하는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시공 시 전력선의 배선은 필수적이다. 전력선은 시공이 완료된 벽체 내 공간에 배선될 수도 있고, 콘크리트 타설 전에 설계에 따라 배선된 후 콘크리트 층에 매립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전력선은 피복이 완벽히 되어 있다 하더라도, 배선 작업 중 물리적인 긁힘이나 꺾임 또는 날카로운 고중량 장비에 눌릴 때 피복이 손상되어 심선이 노출되거나, 시간이 오래됨에 따라 피복이 콘크리트와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서서히 부식되어 심선을 노출시키는 경우가 있다. 심선이 노출되면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의 위험이 현저히 높아진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시공 시에는, 전선보호용 주름관을 사용한다. 주름관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가요성 호스로서 그 내부에 전선을 수용한 상태로 전선과 같이 연장된다. 전선보호용 주름관은 배선 시 피복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콘트리가 피복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전선보호용 주름관은 일정 직경을 가지며 길게 연장되고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다. 나선홈은 배선의 특성에 따라 주름관을 연결해야 할 경우 커플링을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선보호 주름관 연결용 커플링(10)을 주름관(16)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록킹너트(14)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관(16)에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나선홈(16a)이 형성되어 있고, 록킹너트(1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4a)와 탄성편(14b)이 마련되어 있다. 탄성편(14b)은 나선홈(16a)에 끼워진 상태로 주름관(16)이 커플링(10)으로부터 뽑히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편(14b)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의 내경(D2)는 암나사부(14a)의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탄성편(14b)에 나사 결합한 주름관(16)은 암나사부(14a)로부터 이격된다. 암나사부(14a)에는 연결튜브(12)의 수나사부(12b)에 고정된다.
연결튜브(12)는 일정 내경을 갖는 튜브형 부재로서, 양단부에 수나사부(12b)를, 중앙부에 센터부(12a)를 갖는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12b)는 록킹너트(14)의 암나사부(14a)에 나사 결합한다. 연결튜브(12)의 양측에 록킹너트(14)를 결합한 다음, 록킹너트(14)에 주름관(16)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두 개의 주름관(16)의 연결이 완료된다. 하나의 연결튜브(12)와 두 개의 록킹너트(14)는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커플링(10)을 이룬다. 상기 록킹너트(14)의 상단면(14c)과 하단면(14d)의 거리 즉, 높이(H)는 커플링(1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다.
한편, 상기 연결튜브(12)와 록킹너트(14)는 별도의 사출 장치를 통해 대량 생산되며 건축 현장에 분리된 상태로 공급된다. 작업자가 록킹너트(14)와 연결튜브(12)를 일일이 나사 결합하여야 하는 것이다. 작업자가 연결튜브와 록킹너트를 매번 조립하는 것은 매우 귀찮은 일이며 작업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수많은 연결튜브(12)에 록킹너트(14)를 자동적으로 조립하는 전용 조립장치 및 상기 조립장치에 연결튜브와 록킹너트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15568호 (건설현장의 전선 보호용 주름관 모듈)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14416호 (전선보호용호스)
본 발명은, 연결튜브에 록킹너트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조립장치에, 연결튜브와 록킹너트를 연속 공급하여 조립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는, 양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튜브의 수나사부에 록킹너트를 결합시켜 하나의 주름관 연결용 커플링을 구성하는 자동조립장치에, 상기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투입된 록킹너트를 받아 수용하며, 수용된 록킹너트를 순차 배출하는 보울피더를 갖는 두 개의 록킹너트공급부와; 외부로부터 투입된 연결튜브를 받아 수용하고, 수용된 연결튜브를 배출하되 상기 록킹너트의 배출 속도에 맞추어 순차 배출하는 보울피더를 구비한 연결튜브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너트공급부의 보울피더에는;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록킹너트를 유도하는 나선경로와, 상기 나선경로상에 형성되며 보울피더의 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록킹너트가 일률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는 자세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피더의 출구측에는, 보울피더로부터 배출되는 록킹너트를 일렬로 하향 이송시키는 경사이송부가 연결되며, 상기 경사이송부의 연장 단부에는, 상기 경사이송부를 통과한 록킹너트를 상기 자동조립장치로 유도하는 제1슬라이더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경사이송부는; 만곡된 형태를 취하며 상호 나란하게 하향 연장되고, 상기 록킹너트를 지지한 상태로 제1슬라이더로 유도하는 다수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록킹너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 및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외부의 주름관과 결합하는 다수의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자세규제수단은; 상기 나선경로의 상측에 설치되며 록킹너트를 그 하부로 통과시키되, 록킹너트의 높이방향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나선경로에 접한 상태의 록킹너트만 선별 통과시키는 1차선별부와, 상기 1차선별부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1차선별부를 통과한 록킹너트를 통과시키되, 록킹너트 중 상기 탄성편이 나선경로에 접하고 있는 록킹너트만 통과시키는 2차선별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2차선별부에는; 상기 록킹너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열을 지어 이송하는 록킹너트를 받쳐 지지하되, 상기 암나사부의 내경보다 작고, 탄성편이 이루는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선별디스크와, 상기 선별디스크에 지지받지 못한 록킹너트를 하부로 떨어뜨리는 낙하통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록킹너트공급부의 제1슬라이더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하향 경사지며, 양측 제1슬라이더를 통과하는 록킹너트는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되, 암나사부가 서로에 대해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연결튜브공급부의 보울피더에는;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튜브를 유도하는 나선경로와, 상기 나선경로상에 위치하며 보울피더의 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연결튜브의 자세를 규제하여, 연결튜브가 일률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는 자세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피더의 출구측에는 보울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연결튜브를 일렬로 하향 이송시키는 경사이송부가 연결되며, 상기 경사이송부의 연장단부에는, 경사이송부를 통과한 연결튜브를 상기 자동조립장치측으로 유도하는 제2슬라이더가 이어진다.
또한, 상기 보울피더의 나선경로는, 일정높이를 갖는 제1나선경로와, 상기 제1나선경로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제2나선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규제수단은; 상기 제1나선경로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나선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연결튜브 중 눕혀진 상태의 연결튜브만 그 하부로 통과시키는 1차선별부와, 상기 1차선별부를 통과한 후 2차나선경로로 낙하한 연결튜브 중, 수직으로 기립된 연결튜브를 취하여 보울피더의 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2차선별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2차선별부에는; 상기 연결튜브 직경의 절반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걸쳐진 상태의 연결튜브를 지지하여 연결튜브가 걸림턱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받지 못한 연결튜브를 하부로 낙하시키는 낙하통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경사이송부는; 만곡된 형태를 취하며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결튜브를 지지한 상태로 하향 이송시키는 다수의 가이드와이어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는, 별도로 생산 공급된 대량의 연결튜브와 록킹너트를 자동조립장치로 연속 공급함으로써 자동조립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선보호 주름관 연결용 커플링을 주름관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록킹너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가 적용된 자동조립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4의 X-X선, 도 7b는 Y-Y선, 도 7c는 Z-Z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C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D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E부분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한 연결튜브공급부의 가이드와이어의 배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가이드와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연결튜브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4에 도시한 자동조립장치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15b,15c는 도 13의 자동조립장치에 포함되는 튜브정위치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a에 도시한 튜브정위치기에 분사노즐이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는, 연결튜브에 록킹너트를 자동으로 결합하는 자동조립장치에, 연결튜브와 록킹너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급장치는, 양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튜브의 수나사부에 록킹너트를 결합시켜 하나의 주름관 연결용 커플링을 구성하는 자동조립장치에, 상기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투입된 록킹너트를 받아 수용하며, 수용된 록킹너트를 순차 배출하는 보울피더를 갖는 두 세트의 록킹너트공급부와; 외부로부터 투입된 연결튜브를 받아 수용하고, 수용된 연결튜브를 배출하되 상기 록킹너트의 배출 속도에 맞추어 순차 배출하는 보울피더를 구비한 연결튜브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너트공급부의 보울피더에는;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록킹너트를 유도하는 나선경로와, 상기 나선경로상에 형성되며 보울피더의 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록킹너트가 일률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는 자세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피더의 출구측에는, 보울피더로부터 배출되는 록킹너트를 일렬로 하향 이송시키는 경사이송부가 연결되며, 상기 경사이송부의 연장 단부에는, 상기 경사이송부를 통과한 록킹너트를 상기 자동조립장치로 유도하는 제1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가 적용된 자동조립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는, 도 4의 X-X선, 도 7b는 Y-Y선, 도 7c는 Z-Z선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8은 도 4의 C부분을, 도 9는 도 4의 D부분을, 도 10은 도 4의 E부분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4에 도시한 연결튜브공급부의 가이드와이어의 배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가이드와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연결튜브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는, 하나의 자동조립시스템(100) 내에서, 자동조립장치(60)와 함께 사용된다. 록킹너트공급부(20)는 두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외부로부터 투입된 록킹너트를 받아 수용하며, 수용된 록킹너트를 자동조립장치(60) 측으로 순차 배출한다. 또한, 연결튜브공급부(40)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연결튜브를 받아 수용하고, 수용된 연결튜브를 자동조립장치(60) 측으로 공급한다.
록킹너트(14)와 연결튜브(12) 자체는 도 2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다. 자동조립장치(60)는 록킹너트공급부(20)와 연결튜브공급부(40)로부터 제공된 록킹너트(14)를 연결튜브(12)의 수나사부(12b)에 나사 결합하여 커플링(10)을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록킹너트공급부(20)는, 보울피더(21), 경사이송부(22), 제1슬라이더(24), 센서부(23)를 포함한다.
보울피더(21)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록킹너트(14)를 일단 수용하며 화살표 R방향으로 이송시켜, 록킹너트(14)를 보울피더 외부로 순차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보울피더(21) 자체의 작동 원리는 일반적인 보울피더와 동일하며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울피더(21)에는 나선경로(21a)와 자세규제수단이 포함된다.
나선경로(21a)는 보울피더(21)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된 주행로로서, 록킹너트(14)의 나선 이송을 가이드 한다. 보울피더(21)내에 쏟아 부어진 다수의 록킹너트(14) 중, 나선경로(21a)에 올라선 록킹너트(14)가 나선경로(21a)를 따라 화살표 R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나선경로(21a)의 연장단부는 출구(21k)로서 보울피더(21)의 외부로 개방되고 경사이송부(22)와 연결된다. 출구(21k)는 보울피더(21)의 접선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록킹너트(14)를 나선 방향으로 순차 이송시켜 보울피더 외부로 유도할 수 있는 한, 나선경로(21a)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디자인 할 수 있다.
상기 자세규제수단에는, 나선경로(21a)에 배치되며, 나선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록킹너트(14)의 자세를 일률적으로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나선경로(21a) 상에 불규칙적으로 올라가 있는 록킹너트(14)를 하나씩 통과시키며 록킹너트가 일정한 자세를 취한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21k)를 통해 배출되는 록킹너트(14)의 암나사부(14a)가 수직 방향 상부를 향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자세규제수단에는 1차선별부(21b)와 2차선별부(21d)가 포함되고, 1차선별부(21b)는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선별부(21b)에는 선별밴드(21c)가 포함된다. 선별밴드(21c)는 일정두께 및 폭을 갖는 띠형 금속판으로서 일단부가 가이드벽부(21g)에 고정된 상태로 나선경로(21a)의 상부를 비스듬하게 가로지른다. 선별밴드(21c) 하단부와 나선경로(21a) 상면의 간격은, 록킹너트(14)의 높이(H) 보다 크며 최대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나선경로(21a)에 올라서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록킹너트(14) 중, 세워져 있는 록킹너트(14)는 선별밴드(21c)에 막혀 하부로 떨어지고, 엎어져 있는 자세의 록킹너트(14)만 선별밴드(21c) 하부를 통과한다. 엎어져 있는 자세라 함은, 록킹너트(14)의 상단면(14c) 또는 하단면(14d)이 나선경로(21a)에 접하고 있는 자세이다. 도면부호 21g는 가이드벽부로서, 록킹너트(14)의 나선 이송을 가이드 한다.
1차선별부(21b)를 통과한 록킹너트(14)는 엎어져 있는 상태로 2차선별부(21d)를 향한다. 2차선별부(21d)는 도 4에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2차선별부(21d)는 엎어져 있는 록킹너트(14) 중, 상단면(14c)이 상부로 올라온 자세의 록킹너트(14)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탄성편(14b)이 나선경로에 접하고 있는 록킹너트만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단면(14c)이 하부로 내려간 자세의 록킹너트(14)는 2차선별부(21d)를 통과하지 못하고 하부로 떨어진다.
이러한 2차선별부(21d)에는 다수의 선별디스크(21e)와 낙하통로(21f)가 포함된다. 선별디스크(21e)는, 가이드벽부(21g)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록킹너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부분이다. 선별디스크(21e)의 직경은, 록킹덕트(14)의 암나사부(14a)의 내경(도 3의 D1)보다 작고, 탄성편(14b)의 내경(D2)보다 크다. 따라서, 화살표 R방향으로 이송하는 록킹너트(14) 중, 상단면(14c)이 하부에 위치한 록킹너트(14)는, 선별디스크(21e)에 지지받지 못하고 하부로 기울어지고 낙하통로(21f)를 통해 하부로 빠진다. 이에 비해 하단면(14d)이 하부에 위치하는 자세의 록킹너트(14)는 선별디스크(21e)에 막혀 하부로 빠지지 않고 출구(21k) 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경사이송부(22)는, 보울피더(21)의 출구(21k)측에 연결되고 보울피더로부터 배출되는 록킹너트(14)를 일렬로 하향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다수의 가이드와이어(22a)를 갖는다. 도 6에 경사이송부(22)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이송부(22)는 네 가닥의 가이드와이어(22a)를 포함한다. 가이드와이어(22a)는 보울피더(21)의 외부에서 보울피더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며 하향 연장된 강선으로서, 서로에 대해 이격되며 그 사이에 록킹너트(14)를 수용한다. 록킹너트(14)는 가이드와이어(22a)의 사이에 수용된 상태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미끄러져 이송된다. 가이드와이어(22a)을 따라 하향 이송되는 록킹너트(14)는 제1슬라이더(24)로 유도된다.
특히 록킹너트(14)는 하향 이송되며 자세가 바뀐다. 이를테면, 도 7a와 같이, 상향 배치되어 있던 상단면(14c)이, 도 7c와 같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와이어(22a) 상호간의 간격 위치가 적절히 달라짐은 물론이다. 도 7a는, 도 4의 X-X선, 도 7b는 Y-Y선, 도 7c는 Z-Z선 단면도인데, 록킹너트(14)의 상단면(14c)이 측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네 개의 가이드와이어(22a)의 간격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측방향 외측은, 보울피더(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22a)에 지지되며 햐향 이송된 록킹너트(14)는 센서부(23)를 통과한 후 제1슬라이더(24)로 진입한다. 도 8은 도 4의 C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 이다.
센서부(23)는 록킹너트(14)를 유무를 감지하며 록킹너트(14)의 배출 속도를 조절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보울피더(21)로부터의 록킹너트(14)의 배출속도가, 제1슬라이더(24)로부터 자동조립장치(60)로 빠지는 속도보다 빠를 경우, 록킹너트(14)가 제1슬라이더(24)로부터 차올라 센서부(23)에 도달하는데, 록킹너트(14)가 센서부(23)에 설정시간 이상 감지된다면, 보울피더(21)를 일시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센서부(23)가 보울피더(21)의 제어부(미도시)와 접속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1슬라이더(24)는 직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가이드부재로서 두 개가 상호 평행하고, 록킹너트(14)를 후술할 너트리시버(61)로 전달한다. 제1슬라이더(24)를 통과하는 록킹너트(14)는 제1슬라이더(24) 내부에서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되, 암나사부가 서로에 대해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한편, 상기 연결튜브공급부(40)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연결튜브(12)를 나선방향으로 이송시키며 배출하여 자동조립장치(60) 측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보울피더(41), 경사이송부(44), 센서부(45), 제2슬라이더(46)를 포함한다.
보울피더(41)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연결튜브(12)를 일단 수용하며 나선방향으로 유도하여, 연결튜브(12)가 제1나선경로(41a)와 제2나선경로(41b)를 거쳐 출구(41k)로 빠져나가도록 작용한다. 보울피더(41)의 내부에는 제1,2나선경로(41a,41b)와 자세규제수단이 구비된다.
도 9에 제1,2나선경로(41a,41b)를 함께 도시하였다. 제1,2나선경로(41a,41b)는 연결튜브(12)가 통과하는 통로이긴 하지만 높이가 다르다. 즉, 제1나선경로(41a)의 고도가 제2나선경로(41b)의 고도보다 높다 단차가 형성된 것이다. 제1나선경로(41a)와 제2나선경로(41b)의 높이 차이는 연결튜브(12) 길이의 0.5 내지 0.7 배 정도이다.
또한, 자세규제수단은, 제1,2나선경로(41a,41b)상에 각각 위치하며, 보울피더(41)의 출구(41k)를 향해 가는 연결튜브(12)의 자세를 규제하여, 연결튜브가 일률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자세규제수단은, 나선경로(21a) 상에 불규칙적으로 올라가 있는 록킹너트(14)를 하나씩 통과시키며, 연결튜브(12)가, 최종적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한 상태로 화살표 m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세규제수단에는 1차선별부(42)와 2차선별부(43)가 포함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선별부(42)는 띠의 형태를 취하는 선별밴드(42a)를 갖는다. 선별밴드(42a)는 일정두께 및 폭을 갖는 금속부재로서, 제1나선경로(41a)의 상부를 비스듬히 가로지른다. 상기 선별밴드(42a)의 하단부와 제1나선경로(41a)의 간격은 연결튜브(12)의 직경보다 크고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제1나선경로(41a)를 따라 이송하는 다수의 연결튜브(12) 중, 기립한 상태의 연결튜브(12)는 선별밴드(42a)에 막혀 하부로 떨어지고, 누워있는 연결튜브(12)만 선별밴드(42a)의 하부를 통과한다.
선별밴드(42a)의 하부를 통과한 연결튜브(12)는, 가이드벽부(41f)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을 계속하며, 제1나선경로(41a)의 에지부(41c)를 통과한다. 특히 연결튜브(12)는 에지부(41c)를 넘어가는 동안, 이동방향 전방이 하부로 기울어지면서 제2나선경로(41b)로 떨어져 수직으로 착지한다. 물론 제2나선경로(41b)로 넘어가서 다시 넘어지는 경우도 있다. 다시 넘어진 연결튜브(12)는 도 10에 도시한 낙하통로(41d)를 통해 하부로 빠진다.
2차선별부(43)는 제2나선경로(41b)로 진입한 연결튜브(12)를 분류하되, 직립한 연결튜브와 넘어져 있는 연결튜브(12)를 분리한다. 직립한 연결튜브(12)를 선별하여 출구(41k)로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2차선별부(43)는, 가이드벽부(41f)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연결튜브(12) 직경의 절반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걸림턱(41e)과, 걸림턱(41e)에 걸쳐진 상태의 연결튜브를 지지하는 가이드와이어(44a)를 구비한다. 가이드와이어(44a)는 후술할 경사이송부(44)의 일부로서, 연결튜브(12)화살표 p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이다.
연결튜브(12) 중 직립하지 못한 연결튜브(12)는, 걸림턱(41e)에 걸리지도 못하고 가이드와이어(44a)에 지지되지도 못하므로, 낙하통로(41d) 측으로 굴러 하부로 낙하한다.
상기 걸림턱(41e) 받쳐진 상태로 출구(41k) 측으로 이동하는 연결튜브(12)는 경사이송부(44)로 들어가 하향 이동한다.
경사이송부(44)는, 상기 출구(41k)를 통해 보울피더(41)로부터 배출되는 연결튜브(12)를 일렬로 배열하며 제2슬라이더(46)를 향해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네 개의 가이드와이어(44a)를 갖는다. 가이드와이어(44a)는 일정곡률을 가지며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고, 연결튜브(12)를 지지한 상태로 하향 이송시킨다. 연결튜브(12)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좌우가 가이드와이어(44a)에 지지된 상태로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부로 미끄러져 내린다.
상기 경사이송부(44)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연결튜브(12)는 센서부(45)를 통과한 후 제2슬라이더(46)로 진입한다. 센서부(45)는 연결튜브(12)의 유무를 감지하며 연결튜브(12)의 배출 속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연결튜브(12)의 보울피더(41)로부터의 배출속도가, 제2슬라이더(46)를 통해 빠지는 속도보다 빠를 경우, 연결튜브(12)가 제2슬라이더(46)로부터 차올라 센서부(45)에 도달하는데, 연결튜브(12)가 센서부(45)에 설정시간 이상 감지된다면, 보울피더(41)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센서부(45)가 상기한 제어부와 접속된다.
상기 제2슬라이더(46)는 경사이송부(44)를 통과한 연결튜브(12)를 받아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하강시켜 자동조립장치(60)로 내려보낸다.
한편, 자동조립장치(60)는, 두 개의 제1슬라이더(24)와 제2슬라이더(46)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연결튜브공급부(40)로부터 배출되는 연결튜브(12)의 양측 수나사부(12b)에, 록킹너트공급부(20)에서 배출되는 록킹너트(14)를 맞추어 나사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연결튜브(12)의 양측에 록킹너트(14)가 결합됨으로서 하나의 커플링(10)이 구성됨은 언급한 바와 같다.
도 13 및 도 14는 도 4에 도시한 자동조립장치(6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a,15b,15c는 도 13의 자동조립장치에 포함되는 튜브정위치기(8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조립장치(60)는, 튜브정위치기(80), 한 쌍의 너트리시버(61), 록킹너트배출기(63), 이송결합기(64)를 포함한다.
튜브정위치기(80)는, 연결튜브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연결튜브(12)를 수평으로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바디(81), 왕복블록(82), 제4액츄에이터(83), 죠오프레임(84), 고정죠오(84e), 가동죠오(85), 제5액츄에이터(86)를 포함한다.
지지바디(81)는, 수평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81a)을 갖는 지지구조체로서, 왕복블록(82)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왕복블록(82)은 죠오프레임(84)을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레일(81a)을 따라 반복적으로 왕복운동 한다.
제4액츄에이터(83)는 지지바디(81)의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태로 왕복블록(82)을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제4액츄에이터(83)의 실린더(83b)는 지지바디(81)의 일측에 고정되고, 피스톤로드(83a)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왕복블록(82)에 링크된다.
죠오프레임(84)은 왕복블록(82)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것으로서, 고정죠오(84e)와 가동죠오(85)와 제5액츄에이터(86)를 지지한다. 죠오프레임(84)이 왕복프레임(82)과 동시에 움직임은 물론이다. 연결튜브공급부(40)로부터 공급된 연결튜브(12)는, 고정죠오(84e)와 가동죠오(85)의 사이에 삽입된다.
고정죠오(84e)는 죠오프레임(84)의 전방측에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후방을 향해 개방된 고정곡면홈(84a)을 제공한다. 고정곡면홈(84a)은 부분원호형 홈으로서 연결튜브(12)의 센터부(12a) 일부를 지지한다.
특히, 고정죠오(84e)에는 핀수용홈(84d)이 형성되어 있다. 핀수용홈(84d)은 스프링(84b)과 이젝팅핀(84c)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이젝팅핀(84c)은 핀수용홈(84d)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스프링(84b)에 의해 화살표 g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젝팅핀(84c)는 가동죠오(85)가 연결튜브(12)를 사이에 두고 고정죠오(84e) 측으로 이동할 때 연결튜브(12)에 의해 핀수용홈(84d)으로 밀려들어간다. 하지만 가동죠오(85)가 후퇴하여 연결튜브(12)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84b)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 튀어나오면서 연결튜브(12)를 밀어낸다.
가동죠오(85)는 죠오프레임(84)의 상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재로서 전방에 가압곡면홈(85a)을 갖는다. 가압곡면홈(85a)은 고정곡면홈(84a)에 대향하며 연결튜브(12)의 센터부(12a) 외주면에 밀착한다. 가동죠오(85)는 죠오프레임(84)에 지지된 상태로 제5액츄에이터(86)에 의해 직선운동 한다. 제5액츄에이터(86)의 실린더(86b)는 죠오프레임(84)에 수평으로 지지되고, 피스톤로드(86a)는 가동죠오(85)에 결합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튜브정위치기(80)에서의 죠오프레임(84)은 두 개의 지점을 왕복한다. 제1지점은 제2슬라이더(46)로부터 연결튜브(12)를 공급받는 지점이고, 제2지점은 전방으로 최대 전진한 지점이다.(도 15c).
죠오프레임(84)은, 상기한 제1지점에서 연결튜브(12)를 공급받은 후, 제2지점으로 이동하여 연결튜브(12)를 정위치 시킨 상태로 대기하며 양측 수나사부(12b)에 록킹너트(14)가 결합되길 기다린다.
상기 구성을 갖는 튜브정위치(8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죠오프레임(84)이 제1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동죠오(85)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고정죠오(84e)와 가동죠오(85)의 사이 공간은 당연히 비어 있다.
이 때 도 15b에 도시한 것처럼 제2슬라이더(46)로부터 하나의 연결튜브(12)가 낙하하여 고정죠오(84e)와 가동죠오(85)의 사이에 삽입되면, 가동죠오(85)가 고정죠오(84e) 측으로 이동하여 연결튜브(12)를 고정하고, 이와 동시에 왕복블록(82)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연결튜브(12)는 고정죠오(84e)와 가동죠오(85)에 물린 상태로 제2지점에 도착하여 록킹너트(14)를 기다린다.
도 15c의 상태에서, 연결튜브(12)의 양측 수나사부(12b)에 록킹너트(14)의 나사 결합이 완료되었다면, 가동죠오(85)를 먼저 후퇴시켜 조립이 완료된 커플링(10)이 상기 이젝팅핀(84c)의 작용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게 한다. 커플링(10)의 이젝팅이 완료되었다면 왕복블록(82)을 후퇴시켜 죠오프레임(84)을 제1지점으로 복귀시킨다.
한편, 너트리시버(61)는, 양쪽 제1슬라이더(24)를 통해 공급되는 록킹너트(14)를 받아 대기시키는 것으로서, 제1슬라이더(24)를 향해 개방됨과 동시에 양측으로도 개방된 수용홈(61a)을 갖는다.
또한 록킹너트배출기(63)는, 너트리시버(61)의 수용홈(61a)에 대기하고 있는 록킹너트를, 후술할 이송결합기(64)의 복스(64q) 내에 끼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록킹너트배출기(63)는, 수평베드(63a), 왕복대(63c), 아암(63d), 푸셔(63e)를 포함한다. 왕복대(63c)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으로서 그 상면에 가이드레일(63b)을 갖는다. 가이드레일(63b)은 상기한 가동죠오(85)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두 개의 왕복대(63c)를 지지한다.
상기 왕복대(63c)는 가이드레일(63b)에 지지된 상태로 제1액츄에이터(63f)에 의해 서로에 대해 진퇴운동 한다. 제1액츄에이터(63f)는 수평배드(63a)의 양측에 수평으로 장착된다.
아암(63d)은 각 왕복대(63c)의 상부에 고정되며 너트리시버(61)의 사이 공간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푸셔(63e)를 갖는다. 푸셔(63e)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부재로서 수용홈(61a)에 각각 대응 배치된다. 푸셔(63e)는 아암(63d)을 벌릴 때 수용홈(61a)에 완전히 삽입된다. 수용홈(61a) 내에 록킹너트(14)가 끼워져 있다면 록킹너트(14)를 수용홈(61a) 외부로 밀어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결합기(64)는, 튜브정위치기(80)와 너트리시버(61)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응 배치되는 장치이다. 두 개의 이송결합기(64)는 대칭을 이루며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송결합기(64)는 너트리시버의 수용홈(61a)에서 대기하고 있는 록킹너트(14)를 전달받아, 튜브정위치기(80)에 지지되어 있는 연결튜브의 수나사부 측으로 이송한 후, 수나사부에 록킹너트(14)를 나사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록킹너트(14)의 이송과 나사결합을 차례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송결합기(64)는 특히 튜브정위치기(80)와 시차를 두고 연동한다.
이송결합기(64)는, 베이스프레임(64a), 새들(64b), 바디홀더(64e), 샤프트하우징(64n), 샤프트홀더(64t), 샤프트(64p), 복스(64q), 왕복이송수단,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64a)은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조체로서 새들(64b)을 직선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새들(64b)은 제2액츄에이터(64c)에 의해 도 13의 화살표 Y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다.
또한 바디홀더(64e)는 새들(64b)의 상부에 장착된 부재로서 샤프트하우징(64n)과 모터브라켓(64f)을 고정한다. 샤프트하우징(64n)과 모터브라켓(64f)은 새들(64b)과 동시에 직선운동 하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하우징(64n)은 일정직경을 가지며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부재로서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고, 그 내부에 샤프트홀더(64t) 및 샤프트(64p)를 수용한다. 샤프트홀더(64t)는 샤프트(64p)를 축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튜브형 부재로서, 특히 샤프트하우징(64n)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즉, 샤프트홀더(64t)는 샤프트(64p)를 축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상태로 화살표 z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샤프트홀더(64t)의 직선 왕복운동은 위에 언급한 왕복이송수단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샤프트하우징(64n)의 측부에는 사이드슬릿(64s)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슬릿(64s)는 수평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관통로로서, 연결아암(64v)을 통과시킨다. 연결아암(64v)은 샤프트홀더(64t)에 고정된 상태로 샤프트하우징(64n)의 외부로 연장된 부속으로서, 제3액츄에이터(64u)에 연결된다.
제3액츄에이터(64u)는 샤프트홀더(64t)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왕복이송수단으로서, 샤프트하우징(64n)의 측부에 수평으로 고정된다. 제3액츄에이터(64u)의 피스톤로드는 링크부재(64w)를 통해 연결아암(64v)와 결합한다. 제3액츄에이터(64u)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홀더(64t)는 샤프트(64p)를 수용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한다.
아울러 양측 샤프트(64p)의 선단부에는 복스(64q)가 고정된다. 복스(64q)는 푸셔(63e)에 의해 수용홈(61a)으로부터 배출되는 록킹너트(14)를 받아 수용한다. 복스(64q)는 샤프트(64p)의 축회전시 동시에 회전하며 록킹너트(14)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은, 샤프트(64p)를 축회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복스(64q)에 끼워져 있는 록킹너트(14)가 연결튜브(12)의 수나사부(12b)에 근접된 상태에서 샤프트를 축회전 시켜, 복스(64q)가 록킹너트(14)를 수나사부(12b)에 나사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수단은, 모터브라켓(64f)에 고정되는 모터(64g),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구동풀리(64h), 샤프트(64p)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종동풀리(64m), 구동풀리(64h)와 종동풀리(64m)를 연결하는 벨트(64j)를 포함한다. 모터(64g)가 구동하면 모터의 회전력이 벨트(64j)를 통해 샤프트(64p)로 전달되어 복스를 통해 록킹너트(14)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이송결합기(64)를 이용해, 록킹너트(14)를 연결튜브(12)의 수나사부(12b)에 나사 결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록킹너트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록킹너트(14)는 너트리시버(61)의 수용홈(61a)에 끼워진다. 또한 연결튜브공급부(40)로부터 공급된 연결튜브(12)는 (도 15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죠오(84e)와 가동죠오(85)에 조여진 상태로 제2지점으로 이동한다. 제2지점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다. 또한 이와 동시에, 복스(64q)는 후퇴한 상태로 푸셔(63e)의 반대편에서 대기한다.
상기 준비단계가 완료되었다면, 푸셔(63e)를 복스(64q) 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수용홈(61a) 내의 록킹너트(14)를 복스(64q)에 삽입한다. 록킹너트(14)의 삽입이 완료된 후 푸셔(63e)는 즉시 원위치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복스(64q) 내부에 록킹너트(14)가 삽입되었다면, 제2액츄에이터(64c)를 이용해 바디홀더(64e)를 도 13의 Y방향으로 이동시켜, 복스(64q)가 연결튜브(12)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제3액츄에이터(64u)를 이용해 복스(64q)를 연결튜브(12) 측으로 이동시켜, 복스 내부의 록킹너트(14)가 연결튜브의 수나사부(12b)와 만나도록 위치시킨 후, 모터(64g)를 구동시켜 록킹너트(14)를 수나사부(12b)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나사 결합이 완료된 후, 복스(64q)를 후퇴시킨 후 수용홈(61a) 측으로 원위치시키고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도 16은 도 15a에 도시한 튜브정위치기(80)의 측부에 분사노즐(91)이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죠오프레임(84)의 측상부에 분사노즐(91)이 구비되어 있다. 분사노즐(91)은 에어튜브(91a)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커플링(10)을 향해 분출하는 역할을 한다.
분사노즐(91)을 적용한 이유는, 연결튜브(12)에 대한 록킹너트(14)의 결합이 완료된 후, 죠오프레임(84)에 걸려 있는 커플링(10)을 죠오프레임(84)으로부터 보다 신속히 분리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이젝팅핀(84c)과 동일한 목적을 갖는 것이다. 도면부호 91b는 분사노즐(91)을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커플링 12:연결튜브 12a:센터부
12b:수나사부 14:록킹너트 14a:암나사부
14b:탄성편 14c:상단면 14d:하단면
16:주름관 16a:나선홈 20:록킹너트공급부
21:보울피더 21a:나선경로 21b:1차선별부
21c:선별밴드 21d:2차선별부 21e:선별디스크
21f:낙하통로 21g:가이드벽부 21k:출구
22:경사이송부 22a:가이드와이어 23:센서부
24:제1슬라이더 40:연결튜브공급부 41:보울피더
41a:제1나선경로 41b:제2나선경로 41c:에지부
41d:낙하통로 41e:걸림턱 41f:가이드벽부
41k:출구 42:1차선별부 42a:선별밴드
43:2차선별부 44:경사이송부 44a:가이드와이어
45:센서부 46:제2슬라이더 60:자동조립장치
61:너트리시버 61a:수용홈 63:록킹너트배출기
63a:수평베드 63b:가이드레일 63c:왕복대
63d:아암 63e:푸셔 63f:제1액츄에이터
64:이송결합기 64a:베이스프레임 64b:새들
64c:제2액츄에이터 64e:바디홀더 64f:모터브라켓
64g:모터 64h:구동풀리 64j:벨트
64m:종동풀리 64n:샤프트하우징 64p:샤프트
64q:복스 64s:사이드슬릿 64t:샤프트홀더
64u:제3액츄에이터 64v:연결아암 64w:링크부재
80:튜브정위치기 81:지지바디 81a:가이드레일
82:왕복블록 83:제4액츄에이터 83a:피스톤로드
83b:실린더 84:죠오프레임 84a:고정곡면홈
84b:스프링 84c:이젝팅핀 84d:핀수용홈
84e:고정죠오 85:가동조오 85a:가압곡면홈
86:제5액츄에이터 86a:피스톤로드 86b:실린더
91:분사노즐 91a:에어튜브 91b:지지대
100:자동조립시스템

Claims (9)

  1. 양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튜브의 수나사부에 록킹너트를 결합시켜 하나의 주름관 연결용 커플링을 구성하는 자동조립장치에, 상기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투입된 록킹너트를 받아 수용하며, 수용된 록킹너트를 순차 배출하는 보울피더를 갖는 두 세트의 록킹너트공급부와;
    외부로부터 투입된 연결튜브를 받아 수용하고, 수용된 연결튜브를 배출하되 상기 록킹너트의 배출 속도에 맞추어 순차 배출하는 보울피더를 구비한 연결튜브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너트공급부의 보울피더에는;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록킹너트를 유도하는 나선경로와, 상기 나선경로상에 형성되며 보울피더의 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록킹너트가 일률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는 자세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피더의 출구측에는, 보울피더로부터 배출되는 록킹너트를 일렬로 하향 이송시키는 경사이송부가 연결되며,
    상기 경사이송부의 연장 단부에는, 상기 경사이송부를 통과한 록킹너트를 상기 자동조립장치로 유도하는 제1슬라이더가 구비된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송부는;
    만곡된 형태를 취하며 상호 나란하게 하향 연장되고, 상기 록킹너트를 지지한 상태로 제1슬라이더로 유도하는 다수의 가이드와이어를 구비하는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너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 및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외부의 주름관과 결합하는 다수의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자세규제수단은;
    상기 나선경로의 상측에 설치되며 록킹너트를 그 하부로 통과시키되, 록킹너트의 높이방향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나선경로에 접한 상태의 록킹너트만 선별 통과시키는 1차선별부와,
    상기 1차선별부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1차선별부를 통과한 록킹너트를 통과시키되, 록킹너트 중 상기 탄성편이 나선경로에 접하고 있는 록킹너트만 통과시키는 2차선별부를 포함하는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선별부에는;
    상기 록킹너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열을 지어 이송하는 록킹너트를 받쳐 지지하되, 상기 암나사부의 내경보다 작고, 탄성편이 이루는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선별디스크와,
    상기 선별디스크에 지지받지 못한 록킹너트를 하부로 떨어뜨리는 낙하통로가 포함되는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록킹너트공급부의 제1슬라이더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하향 경사지며,
    양측 제1슬라이더를 통과하는 록킹너트는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되, 암나사부가 서로에 대해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공급부의 보울피더에는;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튜브를 유도하는 나선경로와, 상기 나선경로상에 위치하며 보울피더의 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연결튜브의 자세를 규제하여, 연결튜브가 일률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는 자세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피더의 출구측에는 보울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연결튜브를 일렬로 하향 이송시키는 경사이송부가 연결되며,
    상기 경사이송부의 연장단부에는, 경사이송부를 통과한 연결튜브를 상기 자동조립장치측으로 유도하는 제2슬라이더가 이어진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피더의 나선경로는, 일정높이를 갖는 제1나선경로와, 상기 제1나선경로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제2나선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규제수단은;
    상기 제1나선경로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나선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연결튜브 중 눕혀진 상태의 연결튜브만 그 하부로 통과시키는 1차선별부와,
    상기 1차선별부를 통과한 후 2차나선경로로 낙하한 연결튜브 중, 수직으로 기립된 연결튜브를 취하여 보울피더의 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2차선별부를 포함하는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선별부에는;
    상기 연결튜브 직경의 절반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걸쳐진 상태의 연결튜브를 지지하여 연결튜브가 걸림턱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받지 못한 연결튜브를 하부로 낙하시키는 낙하통로가 포함된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송부는;
    만곡된 형태를 취하며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결튜브를 지지한 상태로 하향 이송시키는 다수의 가이드와이어를 구비하는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KR1020200120901A 2020-09-18 2020-09-18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KR10231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901A KR102319150B1 (ko) 2020-09-18 2020-09-18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901A KR102319150B1 (ko) 2020-09-18 2020-09-18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150B1 true KR102319150B1 (ko) 2021-10-28

Family

ID=7823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901A KR102319150B1 (ko) 2020-09-18 2020-09-18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1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6516A (zh) * 2021-12-28 2022-05-20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座椅托盘塑料套的自动上料方法
CN114590557A (zh) * 2022-03-31 2022-06-07 公元股份有限公司 一种球阀手柄的振料盘
KR102720865B1 (ko) 2024-06-07 2024-10-23 주식회사 비제이테크 너트 정렬 및 이송 라인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416A (ko) 1998-11-06 1999-02-25 김기태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
KR200452915Y1 (ko) * 2011-02-07 2011-03-31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배관 연결부재
JP2015086062A (ja) * 2013-11-01 2015-05-07 株式会社トッパンTdkレーベル 自動整列機及び、icタグへの情報の書き込み装置
KR101715568B1 (ko) 2016-08-26 2017-03-22 김순엽 건설현장의 전선 보호용 주름관 모듈
KR20180084399A (ko) * 2017-01-17 2018-07-25 이순덕 수도꼭지 밸브샤프트 자동 조립장치
KR20190099665A (ko) * 2018-02-19 2019-08-28 이신영 파이프 서포트 행거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416A (ko) 1998-11-06 1999-02-25 김기태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
KR200452915Y1 (ko) * 2011-02-07 2011-03-31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배관 연결부재
JP2015086062A (ja) * 2013-11-01 2015-05-07 株式会社トッパンTdkレーベル 自動整列機及び、icタグへの情報の書き込み装置
KR101715568B1 (ko) 2016-08-26 2017-03-22 김순엽 건설현장의 전선 보호용 주름관 모듈
KR20180084399A (ko) * 2017-01-17 2018-07-25 이순덕 수도꼭지 밸브샤프트 자동 조립장치
KR20190099665A (ko) * 2018-02-19 2019-08-28 이신영 파이프 서포트 행거 조립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6516A (zh) * 2021-12-28 2022-05-20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座椅托盘塑料套的自动上料方法
CN114516516B (zh) * 2021-12-28 2024-09-20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座椅托盘塑料套的自动上料方法
CN114590557A (zh) * 2022-03-31 2022-06-07 公元股份有限公司 一种球阀手柄的振料盘
CN114590557B (zh) * 2022-03-31 2023-12-12 公元股份有限公司 一种球阀手柄的振料盘
KR102720865B1 (ko) 2024-06-07 2024-10-23 주식회사 비제이테크 너트 정렬 및 이송 라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150B1 (ko) 주름관커플링 자동조립장치용 연결튜브 및 록킹너트 공급장치
JP2855456B2 (ja) リベットのような部片の分配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CN109499917B (zh) 用于管接头视觉检测的送料装置
KR102431804B1 (ko) 주름관용 커플링 자동조립장치
US6669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orming a coiled segment of optical fiber
KR20210088317A (ko) 전선보호 주름관 연결용 커플링 자동조립장치
KR960701247A (ko) 원통형 코러 둘레에 편평한 리본들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flat ribbons about a cylindrical core)
CN209850169U (zh) 一种管路组装上料装置
KR102677577B1 (ko) 파이프 연결구의 조립 자동화 시스템
CN109390830B (zh) 全自动线材组装机
CN112536337A (zh) 一种自动化生产线用铝管定长切分设备
CN112372203A (zh) 电子元器件和线束装配设备
CN216548364U (zh) 直管上料装置及具有其的管件加工设备
CN111017649B (zh) 纺织机械的卷绕设备
KR101984232B1 (ko) 와이어 커팅 장치
CN213125011U (zh) 一种连接器用单芯线材全自动加工组装流水线
CN213888980U (zh) 一种用于组装螺钉的组装设备
CN212333688U (zh) 一种卷轴输送系统
CN211945162U (zh) 一种销钉用的自动上料及分料设备
CN114224003B (zh) 穿管机
CN112193478A (zh) 一种用于对铁丝进行成型和布丝的装置
CN220679067U (zh) 一种卫浴直管用自动滚槽设备
CN111468922B (zh) 一种同步器自动化生产线用卡簧上料系统
CN214239579U (zh) 一种上料装置及带有该装置的电缆冷缩附件支撑管穿管机
CN113589442B (zh) 穿线装置及设备及其穿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