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182B1 - 분쇄기 - Google Patents
분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8182B1 KR102318182B1 KR1020187036213A KR20187036213A KR102318182B1 KR 102318182 B1 KR102318182 B1 KR 102318182B1 KR 1020187036213 A KR1020187036213 A KR 1020187036213A KR 20187036213 A KR20187036213 A KR 20187036213A KR 102318182 B1 KR102318182 B1 KR 102318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opening
- pulverized
- pulverizing
- supply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식품이나 제약 등의 피분쇄물을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중앙에 제 1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평행한 2 장의 원판을 상하에 갖고, 양 원판 사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날개판이 배치 형성되고, 상측 원판의 중앙부에는 제 2 개구가 형성되고, 제 2 개구가 제 1 개구와 동심원상이 되도록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분쇄 부재와, 케이싱 상에 배치 형성됨과 함께 흡인 장치에 접속되고, 케이싱 내와 제 1 개구를 통해 연통되는 배출통과, 배출통을 관통하여 제 1 개구로부터 케이싱 내로 신연되고, 제 2 개구로부터 분쇄 부재의 내부에 선단을 삽입하여 배치 형성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공급관으로부터 회전 구동되는 분쇄 부재의 내부에 피분쇄물을 공급하고, 날개판에 의해 분쇄하면서 분쇄 부재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하고, 분쇄된 분쇄물을 흡인 장치의 작용에 의해 케이싱의 제 1 개구로부터 배출통을 통해 배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곡물 등의 식품이나 제약 등을 분쇄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곡물을 미분쇄하는 곡물 미분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장치는,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선회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체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거의 원 형상의 조정구를 갖는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구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곡물을 공급하는 관체를 구비한다.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장치에 의하면, 상기 관체에 투입된 곡물이 상기 케이싱 내에 도입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 미분쇄되어, 미분체가 상기 조정구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발생한 선회 기류를 타고 상기 케이싱 외로 방출된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장치는, 선회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프로펠러상의 회전체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 내에 공급된 곡물이 상기 회전체에 충돌하여 튀어올라, 분쇄되지 않은 채로 기 외로 배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곡물 등의 식품이나 제약 등의 피분쇄물을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실시형태는, 구동 장치와, 상부 중앙에 제 1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로서, 평행한 2 장의 원판을 상하에 갖고, 상기 양 원판 사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날개판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측 원판의 중앙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가 상기 제 1 개구와 동심원상이 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 분쇄 부재와,
상기 케이싱 상에 배치 형성됨과 함께 흡인 장치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 내와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연통되는 배출통과,
상기 배출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로 신연 (伸延) 되고, 상기 제 2 개구로부터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선단을 삽입하여 배치 형성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피분쇄물을 공급하고, 그 피분쇄물을 상기 날개판에 의해 분쇄하면서 상기 분쇄 부재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하고, 상기 분쇄된 분쇄물을 상기 흡인 장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상기 배출통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쇄기에 의하면, 피분쇄물이 상기 공급관의 선단 개구로부터 확실하게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공급되고, 상기 분쇄 부재에 있어서 확실하게 분쇄되기 때문에, 상기 피분쇄물이 분쇄되지 않은 채로 기 외로 배출되는 경우가 없어, 곡물 등의 식품이나 제약 등의 피분쇄물을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쇄기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에,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상측 원판과의 간극을 좁히는 환상의 돌출부를 현수 (懸垂)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쇄기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에,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상측 원판과의 간극을 좁히는 환상의 돌출부를 현수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분쇄 부재에 있어서 분쇄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과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상측 원판의 간극을 상기 케이싱의 중심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분쇄물의 일부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그 때, 분쇄가 불충분한 거친 분쇄물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케이싱 내주면 사이에 체류하여, 분쇄물끼리의 충돌에 의해 더욱 분쇄된다.
또, 잘게 분쇄된 분쇄물은, 상기 흡인 장치의 작용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하단을 우회하여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상기 배출통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에,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상측 원판과의 간극을 좁히는 환상의 돌출부를 현수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잘게 분쇄된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쇄기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제 2 개구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개구보다 대경 (大徑)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쇄기는,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제 2 개구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개구보다 대경으로 하는 것으로 하면, 분쇄가 불충분하여 거칠고 무거운 분쇄물이, 당해 분쇄물의 자중과 상기 분쇄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각 날개판의 작용에 의한 공기류의 영향이 어우러져,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로 환류되게 되어 상기 분쇄 부재에 있어서 다시 분쇄되기 때문에, 잘게 분쇄된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쇄기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제 2 개구를,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에 현수하여 형성되는 환상의 돌출부보다 대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쇄기는,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제 2 개구를,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에 현수하여 형성되는 환상의 돌출부보다 대경으로 하는 것으로 하면, 분쇄가 불충분한 거친 분쇄물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케이싱 내주면 사이에 체류하여, 분쇄물끼리의 충돌에 의해 더욱 분쇄되는 한편, 상기 거친 분쇄물의 일부가,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로 환류되게 되어 상기 분쇄 부재에 있어서 다시 분쇄되기 때문에, 잘게 분쇄된 분쇄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쇄기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공급관의 하부에,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외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환상의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쇄기는, 상기 공급관의 하부에,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외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환상의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피분쇄물을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날개판 사이로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피분쇄물을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분쇄기는, 상기 공급관의 하부에, 상기 환상의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피분쇄물의 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피분쇄물이 분쇄되지 않은 채로 기 외로 배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쇄기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상기 분쇄 부재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된 피분쇄물이 충돌하는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쇄기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상기 분쇄 부재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된 피분쇄물이 충돌하는 요철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분쇄 부재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된 피분쇄물이, 상기 요철면에 충돌하여 저항을 받아 더욱 분쇄되기 때문에, 피분쇄물을 효율적으로 미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곡물 등의 식품이나 제약 등의 피분쇄물을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분쇄기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 는, 분쇄부의 확대도이다.
도 5 는, 분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분쇄부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분쇄부의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분쇄기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 는, 분쇄부의 확대도이다.
도 5 는, 분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분쇄부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분쇄부의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쇄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분쇄기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의 분쇄기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쇄기 (1) 는, 분쇄부 (2) 와 구동부 (3) 를 구비한다.
상기 분쇄부 (2) 는, 기대 (基臺) (41) 상에 설치되는 케이싱 (21), 그 케이싱 (21) 상에 배치 형성되는 배출통 (22), 그 배출통 (22) 에 접속되는 배출관 (23) 을 구비한다.
또, 상기 분쇄부 (2) 는, 상기 케이싱 (21) 내에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 다익 (多翼) 팬 형상의 분쇄 부재 (24), 상기 분쇄 부재 (24) 의 내부에 곡물 등의 원료 (R) 를 공급하는 공급관 (25) 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 (3) 는, 기대 (42) 상에 설치되는 모터 (31) 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 (31) 는, 도시되지 않은 벨트를 통해 상기 분쇄 부재 (24) 를 회전 구동시킨다.
도 4 는 도 3 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분쇄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분쇄 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케이싱 (21) 은, 상부 중앙에 원 형상의 배출용 개구 (A) 를 갖는다.
상기 배출통 (22) 은, 상기 케이싱 (21) 상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배출용 개구 (A) 를 통해 상기 케이싱 (21) 내와 연통된다. 또, 상기 배출통 (22) 은, 상기 배출관 (23) 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흡인 팬에 접속된다.
상기 분쇄 부재 (24) 는, 평행한 2 장의 원판 (241, 242) 을 상하에 갖는다. 상기 양 원판 (241, 242) 사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반경 방향에 대해 당해 분쇄 부재 (24) 의 회전 방향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는 상태로 복수의 날개판 (243) 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된다. 상기 상측의 원판 (241) 의 중앙부로서 상기 각 날개판 (243) 보다 중심측에는, 당해 분쇄 부재 (24) 의 회전축 (C) 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의 공급용 개구 (B) 가 형성된다.
상기 분쇄 부재 (24) 는, 상기 공급용 개구 (B) 가 상기 배출용 개구 (A) 와 동심원상이 되도록, 상기 케이싱 (21)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날개판 (243) 은, 상기 양 원판 (241, 242) 에 평행한 단면 형상을 직선 형상으로 하는 것 외에, 만곡 형상이나 그 밖의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 (25) 은, 원통상으로서, 그 중심축이 상기 분쇄 부재 (24) 의 회전축 (C)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통 (22) 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배출용 개구 (A) 로부터 상기 케이싱 (21) 내로 연신되고, 상기 공급용 개구 (B) 로부터 상기 분쇄 부재 (24) 의 내부에 선단을 삽입하여 배치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 (21) 의 상기 배출용 개구 (A),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공급용 개구 (B), 및 상기 공급관 (25) 은,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분쇄 부재 (24) 의 회전축 (C) 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쇄기에 있어서, 곡물 등의 원료 (R) 는, 상기 공급관 (25) 의 선단 개구로부터 상기 모터 (31) 에 의해 연직 방향의 회전축 (C) 을 중심으로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는 상기 분쇄 부재 (24) 의 내부에 공급된다.
상기 분쇄 부재 (24) 의 내부에 공급된 원료 (R) 는, 당해 분쇄 부재 (24) 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외주측으로 이동하는데, 그 때, 상기 각 날개판 (243) 에 의해 강한 충격을 받아 분쇄되면서 당해 분쇄 부재 (24) 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된 분쇄물은, 상기 각 날개판 (243) 에 의한 송풍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과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상측 원판 (241) 상면의 간극을 상기 케이싱 (21) 의 중심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흡인 팬의 흡인 작용에 의해 상기 배출용 개구 (A) 로부터 상기 배출통 (22) 및 상기 배출관 (23) 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쇄기에 의하면, 곡물 등의 원료 (R) 가, 상기 공급관 (25) 의 선단 개구로부터 확실하게 상기 분쇄 부재 (24) 의 내부에 공급되고, 상기 분쇄 부재 (24) 에 있어서 확실하게 분쇄되기 때문에, 상기 원료 (R) 가 분쇄되지 않은 채로 기 외로 배출되는 경우가 없어, 원료 (R) 를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판 (243) 은, 반경 방향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게 한 상태로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양 원판 (241, 242) 사이에 있어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 형성되는 것이면 되고, 반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 형성되는 것이나, 반경 방향에 대해 반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게 한 상태로 배치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도 6 은 분쇄부의 변형예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는,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상측 원판 (241) 상면과의 간극을 좁히는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을 현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 상기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을 현수하여 형성하면, 상기 분쇄 부재 (24) 에 있어서 분쇄되어,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과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측 원판 (241) 상면의 간극을 상기 케이싱 (21) 의 중심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분쇄물의 일부가, 상기 돌출벽 (211) 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그 때, 분쇄가 불충분한 거친 분쇄물은, 상기 돌출벽 (211) 과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 사이에 체류하여, 분쇄물끼리의 충돌에 의해 더욱 분쇄된다.
또, 잘게 분쇄된 분쇄물은, 상기 흡인 팬의 흡인 작용에 의해 상기 돌출벽 (211) 의 하단을 우회하여 상기 배출용 개구 (A) 로부터 상기 배출통 (22) 및 상기 배출관 (23) 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상측 원판 (241) 상면과의 간극을 좁히는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을 현수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잘게 분쇄된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저항판 (244) 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쇄 부재 (24) 에 있어서 분쇄된 분쇄물은, 상기 각 날개판 (243) 의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듯이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된다.
그 때,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저항판 (244) 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되는 분쇄물은, 상기 각 저항판 (244) 에 충돌하여 저항을 받아, 더욱 분쇄되면서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저항판 (244) 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원료 (R) 를 효율적으로 미분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저항판 (244) 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된 분쇄물이 충돌하여 저항을 받는 것과 같은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7 은 분쇄부의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공급용 개구 (B) 의 직경 (d2) 을, 상기 케이싱 (21) 의 상기 배출용 개구 (A) 의 직경 (d1) 보다 큰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공급용 개구 (B) 의 직경 (d2) 을, 상기 케이싱 (21) 의 상기 배출용 개구 (A) 의 직경 (d1) 보다 큰 것으로 하면, 분쇄가 불충분하여, 거칠고 무거운 분쇄물이, 당해 분쇄물의 자중과 상기 분쇄 부재 (24) 에 있어서의 상기 각 날개판 (243) 의 작용에 의한 공기류의 영향이 어우러져, 상기 분쇄 부재 (24) 의 내부로 환류되게 되어, 상기 분쇄 부재 (24) 에 있어서 다시 분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공급용 개구 (B) 의 직경 (d2) 을, 상기 케이싱 (21) 의 상기 배출용 개구 (A) 의 직경 (d1) 보다 큰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잘게 분쇄된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상측 원판 (241) 상면과의 간극을 좁히는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을 현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공급용 개구 (B) 의 직경 (d2) 을,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 현수하여 형성되는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을 현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공급용 개구 (B) 의 직경 (d2) 을,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 현수하여 형성되는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하면, 분쇄가 불충분한 거친 분쇄물이, 상기 돌출벽 (211) 과 상기 케이싱 (21) 의 내주면 사이에 체류하여, 분쇄물끼리의 충돌에 의해 더욱 분쇄되는 한편, 상기 거친 분쇄물의 일부가, 상기 분쇄 부재 (24) 의 내부로 환류되게 되어, 상기 분쇄 부재 (24) 에 있어서 다시 분쇄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측 원판 (241) 상면과의 간극을 좁히는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을 현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분쇄 부재 (24) 의 상기 공급용 개구 (B) 의 직경 (d2) 을, 상기 케이싱 (21) 의 상부 하면에 현수하여 형성되는 원환상의 돌출벽 (211) 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하면, 잘게 분쇄된 분쇄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 (2) 의 변형예에 관한 각 기술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25) 의 하부에, 상기 분쇄 부재 (24) 의 내부에 공급된 원료 (R) 를 외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플랜지상의 안내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관 (25) 의 하부에, 상기 플랜지상의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원료 (R) 를 상기 분쇄 부재 (24) 의 각 날개판 (243) 사이로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원료 (R) 를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25) 의 하부에, 상기 플랜지상의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원료 (R) 의 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원료 (R) 가 분쇄되지 않은 채로 기 외로 배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그 구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분쇄기는, 곡물 등의 식품이나 제약 등의 피분쇄물을 확실하게 분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성이 높다.
1 : 분쇄기
2 : 분쇄부
21 : 케이싱
211 : 돌출벽
22 : 배기통
23 : 배출관
24 : 분쇄 부재
241 : 상측 원판
242 : 하측 원판
243 : 날개판
244 : 저항판
25 : 공급관
3 : 구동부
31 : 모터
41 : 기대
42 : 기대
A : 배출용 개구 (제 1 개구)
B : 공급용 개구 (제 2 개구)
C : 회전축
d1 : 배출용 개구의 직경
d2 : 공급용 개구의 직경
R : 원료
2 : 분쇄부
21 : 케이싱
211 : 돌출벽
22 : 배기통
23 : 배출관
24 : 분쇄 부재
241 : 상측 원판
242 : 하측 원판
243 : 날개판
244 : 저항판
25 : 공급관
3 : 구동부
31 : 모터
41 : 기대
42 : 기대
A : 배출용 개구 (제 1 개구)
B : 공급용 개구 (제 2 개구)
C : 회전축
d1 : 배출용 개구의 직경
d2 : 공급용 개구의 직경
R : 원료
Claims (6)
- 구동 장치와,
상부 중앙에 제 1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로서, 평행한 2 장의 원판을 상하에 갖고, 상기 2 장의 원판 사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날개판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측 원판의 중앙부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가 상기 제 1 개구와 동심원상이 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 분쇄 부재와,
상기 케이싱 상에 배치 형성됨과 함께 흡인 장치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 내와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연통되는 배출통과,
상기 배출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로 신연되고, 상기 제 2 개구로부터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선단을 삽입하여 배치 형성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피분쇄물을 공급하고, 그 피분쇄물을 상기 날개판에 의해 분쇄하면서 상기 분쇄 부재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하고,
상기 분쇄 부재에서 분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과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상측 원판과의 간극을 상기 케이싱의 중심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분쇄물을 상기 흡인 장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상기 배출통을 통해 배출하는 분쇄기로서,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에,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상측 원판과의 간극을 좁히는 환상의 돌출부를 현수하여 형성하고,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제 2 개구를,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에 현수하여 형성되는 상기 환상의 돌출부보다 대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 구동 장치와,
상부 중앙에 제 1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로서, 평행한 2 장의 원판을 상하에 갖고, 상기 2 장의 원판 사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날개판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측 원판의 중앙부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가 상기 제 1 개구와 동심원상이 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 분쇄 부재와,
상기 케이싱 상에 배치 형성됨과 함께 흡인 장치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 내와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연통되는 배출통과,
상기 배출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로 신연되고, 상기 제 2 개구로부터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선단을 삽입하여 배치 형성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피분쇄물을 공급하고, 그 피분쇄물을 상기 날개판에 의해 분쇄하면서 상기 분쇄 부재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하고,
상기 분쇄 부재에서 분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 하면과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상측 원판과의 간극을 상기 케이싱의 중심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분쇄물을 상기 흡인 장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상기 배출통을 통해 배출하는 분쇄기로서,
상기 분쇄 부재의 상기 제 2 개구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개구보다 대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하부에, 상기 분쇄 부재의 내부에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외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환상의 안내부를 형성하는, 분쇄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상기 분쇄 부재의 외주 측방으로 송출된 피분쇄물이 충돌하는 요철을 형성하는, 분쇄기.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098611A JP6776613B2 (ja) | 2016-05-17 | 2016-05-17 | 粉砕機 |
JPJP-P-2016-098611 | 2016-05-17 | ||
PCT/JP2017/018149 WO2017199895A1 (ja) | 2016-05-17 | 2017-05-15 | 粉砕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8558A KR20190008558A (ko) | 2019-01-24 |
KR102318182B1 true KR102318182B1 (ko) | 2021-10-26 |
Family
ID=6032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6213A KR102318182B1 (ko) | 2016-05-17 | 2017-05-15 | 분쇄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776613B2 (ko) |
KR (1) | KR102318182B1 (ko) |
CN (1) | CN109311021B (ko) |
WO (1) | WO2017199895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489277A (de) * | 1966-12-27 | 1970-04-30 | Preduzece Za Izgradnju Ind I E | Sichterlose Schlagradmühle zum Mahlen von Kohle und anderen Materialien |
GB1482078A (en) * | 1974-09-20 | 1977-08-03 | Robinson & Son Ltd T | Impacting machines for treating powdered or granulated material |
JPH0246260B2 (ja) * | 1987-09-16 | 1990-10-15 | Norihiko Ooshima | Hasai*mako*seiryukitoniokerufunsaisochi |
JP2936382B2 (ja) * | 1994-11-28 | 1999-08-23 | コトブキ技研工業株式会社 | 遠心破砕機及び破砕原料供給口の補強材 |
JP2913263B2 (ja) * | 1995-07-07 | 1999-06-28 | 株式会社山和エンヂニアリング | 固形物粉砕乾燥装置 |
JP3129997B2 (ja) * | 1997-07-14 | 2001-01-31 |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 粉砕機 |
KR20000014426A (ko) * | 1998-08-19 | 2000-03-15 | 정해택 | 식품소재의 미분쇄장치 |
CN2389004Y (zh) * | 1999-08-23 | 2000-07-26 | 白霖 | 立式高速冲击超细粉碎机 |
AUPS236102A0 (en) * | 2002-05-16 | 2002-06-13 | Aimbridge Pty Ltd | Grinder |
JP3813605B2 (ja) | 2003-01-21 | 2006-08-23 | 福井製麺株式会社 | 穀物微粉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穀物微粉体の製造方法 |
JP5075584B2 (ja) * | 2006-11-02 | 2012-11-21 | 古河産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 粉砕処理装置 |
-
2016
- 2016-05-17 JP JP2016098611A patent/JP6776613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5-15 CN CN201780030497.3A patent/CN109311021B/zh active Active
- 2017-05-15 WO PCT/JP2017/018149 patent/WO201719989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5-15 KR KR1020187036213A patent/KR10231818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776613B2 (ja) | 2020-10-28 |
JP2017205694A (ja) | 2017-11-24 |
KR20190008558A (ko) | 2019-01-24 |
CN109311021A (zh) | 2019-02-05 |
WO2017199895A1 (ja) | 2017-11-23 |
CN109311021B (zh) | 2021-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48009B2 (ja) | 乾燥粉砕機及び粉砕された材料の乾燥方法 | |
CN201728133U (zh) | 多级粉碎机 | |
JP3947913B2 (ja) | 穀物の衝撃式粉砕装置 | |
JP2010517739A5 (ko) | ||
US2022028095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illing and separation of solids and granular materials including metal containing materials as well as phytogenic materials with high level of silicon in a controlled airflow | |
EP0568941B1 (en) | Pulverizing apparatus | |
US2428670A (en) | Centrifugal disk mill with adjustable impactor | |
KR101773853B1 (ko) | 콘크리트용 순환 잔골재를 제조하는 개량형 회전 마쇄장치 | |
US3640475A (en) | Apparatus for breaking up lumpy material | |
JP2023015281A (ja) | ミル | |
KR100906419B1 (ko) | 건식 분쇄장치 및 그 건식 분쇄장치를 이용한 분쇄시스템 | |
US2981489A (en) | Reduction apparatus | |
JP2011161306A (ja) | バイオマスミル | |
KR101065460B1 (ko) | 분쇄장치 | |
KR102318182B1 (ko) | 분쇄기 | |
KR100859018B1 (ko) | 경사투입부를 갖는 연질재료의 전단분쇄기 | |
JP2016087544A (ja) | 竪型ローラミル | |
KR200182514Y1 (ko) | 분쇄기 | |
JPS63319067A (ja) | 水平旋回流型ジェットミル | |
US3428259A (en) | Process for pulverizing material | |
US3189287A (en) | Feed grinder | |
KR101647681B1 (ko) | 식품분쇄기 | |
RU2690652C1 (ru) | Центробежная дисковая мельница | |
JP4576577B2 (ja) | 粉砕装置 | |
RU2653603C1 (ru) | Центробежно-ударная мельниц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