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104B1 - 필기감 향상 필름 - Google Patents

필기감 향상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104B1
KR102318104B1 KR1020170147115A KR20170147115A KR102318104B1 KR 102318104 B1 KR102318104 B1 KR 102318104B1 KR 1020170147115 A KR1020170147115 A KR 1020170147115A KR 20170147115 A KR20170147115 A KR 20170147115A KR 102318104 B1 KR102318104 B1 KR 10231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riting feeling
value
writing
n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702A (ko
Inventor
하루카 사사키
히로키 호시노
다츠키 구라모토
도모오 오루이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재 필름과, 필기감 향상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용의 필기감 향상 필름으로서,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의 촉을, 터치펜의 축심이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터치펜을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으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푸리에 변환해서 얻은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을 0.8∼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한다.

Description

필기감 향상 필름{FILM FOR INCREASING A FEEL OF WRITING}
본 발명은, 터치펜으로의 필기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터치패널의 표면에 적용하는 터치패널용의 필기감 향상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필기감 향상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표시 장치와 입력 수단을 겸한 터치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펜을 이용한 펜 입력형 터치패널이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고, 스마트폰, 전자 페이퍼, 태블릿형 PC, 펜 태블릿, 유기 기기 등에 있어서의 이용이 급속하게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터치패널의 표시 모듈은 경질이기 때문에, 터치펜에 의한 필기감은,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과 크게 서로 달라, 양호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터치펜으로의 필기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터치패널의 표면에 적용하기 위한 필름이 검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2 참조).
즉, 특허문헌 1에는, 플라스틱 필름에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유기 및/또는 무기 필러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를 포함하지 않고, 희석 용제로서 톨루엔, 아세트산부틸, 1-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防眩性) 하드 코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마련된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면에 적층되는 두께 0.1∼2㎜의 보호 필름으로서, 새로운 터치면으로 되는 보호 필름의 표면층이 본질적으로 투명하며 자기수복성 및 내찰상성(耐擦傷性)을 갖는 연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2-126804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등) 일본 특개평6-180628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등)
그러나, 특허문헌 1∼2에 기재된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 등은, 내찰상성이나, 흠집이 발생했을 경우의 자기수복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었지만, 필기할 때에 터치펜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진동(이하, 「필기 진동」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 진동과 크게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필기감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나타났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필기감 향상 필름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필기 진동을 주파수 영역에서 보았을 경우에, 소정의 주파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을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 필름과, 필기감 향상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용의 필기감 향상 필름으로서,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의 펜촉을, 터치펜의 축심이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터치펜을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으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푸리에 변환해서 얻은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을 0.8∼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이 제공되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이면, 필기 진동을 주파수 영역에서 보았을 경우에, 소정의 주파수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을 소정의 범위 내로 제어하고 있으므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펜촉 저항력」이란, 상술한 조건에서 터치펜을 이동시켰을 때에, 펜촉에 가해지는 저항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기재 필름과, 필기감 향상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용의 필기감 향상 필름으로서,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의 펜촉을, 터치펜의 축심이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터치펜을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으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푸리에 변환해서 얻은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진폭 1.5 이상의 피크를 적어도 하나 가지며,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1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이다.
즉,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이면, 필기 진동을 주파수 영역에서 보았을 경우에, 소정의 주파수의 범위에 소정의 진폭 피크를 가지며, 또한, 소정의 주파수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소정 이하의 값으로 제어하고 있으므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2∼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진폭 5 이상의 피크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더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터치펜의 펜촉을 접동(摺動)시켰을 때의 펜촉 접동 계수를 0.05∼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더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펜촉 접동 계수」란, 펜촉 접동 저항력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균값을, 하중(3.92N)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펜촉 접동 저항력」이란,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에 있어서, 펜촉이 움직이기 시작했을 때의 펜촉 저항력(이하, 「펜촉 초동 저항력」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의 영향이 수속(收束)하여, 펜촉이 안정적인 접동 상태에 들어갔을 때의 펜촉 저항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기감 향상층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0.05∼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더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헤이즈값을 1∼4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과, 실용상 필요해지는 시인성을, 안정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기감 향상층의 두께를 0.1∼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더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기감 향상층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용이하게 터치패널의 표면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의 (a)∼(b)는,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
도 2는, 펜촉 저항력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
도 3의 (a)∼(b)는, 실시예 2의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 및,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적용한 터치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
도 5의 (a)∼(b)는, 비교예 1의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 및,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6의 (a)∼(b)는, 비교예 5의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 및,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7의 (a)∼(b)는,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경우의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 및,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20)과, 필기감 향상층(10)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용의 필기감 향상 필름(1)으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감 향상층(10)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52)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50)의 펜촉(52)을, 터치펜(50)의 축심이 필기감 향상 필름(1)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터치펜(50)을 필기감 향상 필름(1)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 D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일례로서, 도 3의 (a)에 실시예 2의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나타낸다)를, 푸리에 변환해서 얻은 주파수(Hz)-진폭(-) 차트(일례로서, 도 3의 (b)에 실시예 2의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낸다)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을 0.8∼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1)이다.
이하, 적의(適宜) 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필기감 특성
(1) 펜촉 접동 저항력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감 향상 필름(1)에 있어서의 필기감 향상층(10)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52)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50)의 펜촉(52)을, 터치펜(50)의 축심이 필기감 향상 필름(1)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400gf)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터치펜(50)을 필기감 향상 필름(1)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 D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펜촉 접동 저항력의 평균값을 500∼1000mN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펜촉 접동 저항력의 평균값이 500mN 미만의 값으로 되면, 펜촉이 과도하게 미끄러지기 쉬워져서, 펜촉의 컨트롤성이 저하하기 쉬워져,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펜촉 접동 저항력의 평균값이 1000mN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펜촉이 과도하게 걸리기 쉬워져서, 반대로 펜촉의 컨트롤성이 저하하기 쉬워져,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펜촉 접동 저항력의 평균값의 하한값을, 520mN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60mN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펜촉 접동 저항력의 평균값의 상한값을, 800mN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mN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펜촉 저항력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대상으로서의 필기감 향상 필름(1)을, 필기감 향상층(10)이 상측으로 되도록, 유리판(40)의 상면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측정 전용 대차(台車)(70)를, 필기감 향상 필름(1)을 넘도록 배치한 후, 측정 전용 대차(70)에 마련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구멍(72)에 대해서, 터치펜(50)을 유삽(遊揷)한다.
다음으로, 터치펜(50)에 대해서 추(60)를 고정하고, 펜촉(52)을 필기감 향상층(10)의 표면에 대해서, 하중 3.92N의 압력 조건으로 되도록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시마즈세사쿠죠(주)제, AUTOGRAPH AG-IS 500N 등의 검출기(100)를 사용해서, 측정 전용 대차(70)에 고정된 인장 끈(90)을, 활차(滑車)(80)를 개재해서, 필름면과 평행한 방향 D로 100㎜/분의 속도로 인장하면서, 펜촉 저항력을 측정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펜촉 저항력」이란, 상술한 조건에서 터치펜을 이동시켰을 때에, 펜촉에 가해지는 저항력을 의미한다.
또한, 압력 조건을 하중 3.92N이라는 통상의 필기에 있어서의 압력 조건보다도 높게 설정함에 의해, 필기감 향상층(10)에 대해서 펜촉(52)을 밀어넣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필기감 향상층(10)의 요철 형상에, 보다 호감도로 반응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 필기감 향상층(10)의 요철 형상의 근소한 차이도 검출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펜촉 접동 저항력」이란,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에 있어서, 펜촉이 움직이기 시작했을 때의 펜촉 초동 저항력의 영향이 수속하여, 펜촉이 안정적인 접동 상태에 들어갔을 때의 펜촉 저항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나타내는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의 경우이면, 펜촉 초동 저항력의 영향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이동 거리 30㎜ 이상의 범위에 있어서의 펜촉 저항력이, 펜촉 접동 저항력으로 된다.
또한, 펜촉 접동 저항력의 평균값은, 펜촉 접동 저항력이 안정한 소정의 이동 거리 구간에 있어서, 당해 구간에 존재하는 모든 펜촉 접동 저항력의 극대값과 극소값의 총합을 취하고, 그들의 개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펜촉 접동 저항력을 특정할 때의 이동 거리의 상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펜촉의 마찰열 등에 의한 값의 변동을 고려해서, 통상적으로, 펜촉 초동 저항력의 영향이 수속한 점으로부터 50㎜의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펜촉 접동 저항력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10∼300mN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차의 값이 10mN 미만의 값으로 되면, 필기 진동이 과도하게 작아져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차의 값이 300mN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필기 진동이 과도하게 커져서, 반대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펜촉 접동 저항력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의 하한값을, 75mN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mN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20mN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펜촉 접동 저항력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의 상한값을, 200mN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mN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 펜촉 접동 계수
또한,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터치펜의 펜촉을 접동시켰을 때의 펜촉 접동 계수를 0.05∼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펜촉 접동 계수」란, 펜촉 접동 저항력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균값을, 하중(3.92N)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펜촉 접동 계수를 0.05 이상의 값으로 함에 의해, 필기감 향상층의 펜촉의 슬립감을 저감하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긁기음이나 진동도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펜촉 접동 계수의 하한값을, 0.17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9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펜촉 접동 계수를 0.5 이하의 값으로 함에 의해, 필기감 향상층의 펜촉 걸림감을 저감하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긁기음이나 진동이 너무 커지는 것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펜촉 접동 계수의 상한값을, 0.3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주파수 영역의 특성
(3)-1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
또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은, 상술한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예를 들면, Excel(등록상표)을 사용해서 푸리에 변환해서 얻은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을 0.8∼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이유는, 필기 진동을,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진동의 중첩으로서 파악했을 때에, 특히 「필기감」으로서 인체가 인식하는 특징적인 진동이, 주파수 1∼2Hz의 범위의 진동인 것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경험적으로 알아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을,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경우의 그것에 근접시킴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의 하한값을, 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의 상한값을, 2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진폭의 평균값은, 대상 주파수 구간에 있어서, 당해 구간에 존재하는 모든 진폭의 극대값과 극소값의 총합을 취하고, 그들의 개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2∼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최대값이 2 미만의 값으로 되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당해 최대값보다도 과도하게 작은 값으로 되어 버려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최대값이 10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당해 최대값보다도 과도하게 큰 값으로 되어 버려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의 하한값을, 2.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7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2.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의 상한값을, 9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2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
또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진폭 5 이상의 피크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주파수 범위에 진폭 5 이상의 피크를 가지면, 펜촉 걸림감이 발생하거나, 필기감과 같은 섬세한 진동과는 다른 큰 진동을 느끼기 쉬워지거나 하기 때문이다.
또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을 0.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평균값이 0.01 미만의 값으로 되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당해 평균값보다도 과도하게 작은 값으로 되어 버려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곤란해져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평균값이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당해 평균값보다도 과도하게 큰 값으로 되어 버려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곤란해져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의 하한값을, 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0.3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의 상한값을, 1.2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0.6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0.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최대값이 0.1 미만의 값으로 되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당해 최대값보다도 과도하게 작은 값으로 되어 버려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곤란해져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최대값이 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당해 최대값보다도 과도하게 큰 값으로 되어 버려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곤란해져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의 하한값을, 0.6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의 상한값을, 4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2.4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 필기감 향상층
(1)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필기감 향상층은, 적어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와, 필러를 포함하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1)-1 (A) 성분 :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A) 성분으로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종류로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공지의 것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에너지선 경화성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필기감 향상층의 내찰상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2관능 이상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찰상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3관능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관능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필기감 향상 필름의 컬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20관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관능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관능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분자량 1000 이하의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또는, 다가 카르복시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해서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환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이들 프리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되고, 또한, 상술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병용해도 된다.
(1)-2 (B) 성분 : 필러
(i) 종류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B) 성분으로서의 필러의 종류로서는, 무기 입자여도 되고, 유기 입자여도 되지만, 얻어지는 필기감 향상층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무기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미립자, 멜라민계 수지 미립자, 아크릴계 수지 미립자(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미립자(이하, 「PMMA계 미립자」라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스티렌계 공중합체 미립자, 폴리카보네이트계 미립자, 폴리에틸렌계 미립자, 폴리스티렌계 미립자,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ii) 형상
또한, 필러의 형상을, 부정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부정형의 필러를 사용했을 경우, 예를 들면 구상 등의 정형의 필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용이해져,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부정형」이란, 구상이나 타원 형상과 같은 규칙적인 형상이 아니고, 불규칙적인 다수의 모서리부 또는 면을 갖는 형상을 의미한다.
(iii) 산술 평균 입자경
또한, 필러의 산술 평균 입자경을 0.5∼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산술 평균 입자경이 0.5㎛ 미만의 값으로 되면,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곤란해져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산술 평균 입자경이 3㎛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곤란해져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눈부심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러의 산술 평균 입자경의 하한값을 0.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의 산술 평균 입자경의 상한값을 2.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iv) Cv값
또한, 필러의 Cv값을 5∼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Cv값이 5% 미만의 값으로 되면,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진폭 1.5 이상의 피크를 갖지 않게 되어, 펜촉 슬립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Cv값이 2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필기감에 기여하지 않는 입자가 증가해서, 입자 필요량이 많아져, 눈부심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러의 Cv값의 하한값을 3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의 Cv값의 상한값을 10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v) 배합량
또한, 필러의 배합량을, (A) 성분으로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5∼3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배합량이 5중량부 미만의 값으로 되면,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충분히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곤란해져,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배합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커져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과도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러의 배합량의 하한값을, 8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의 배합량의 상한값을, 20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3 (C) 성분 : 레벨링제
또한,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이, (C) 성분으로서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레벨링제를 포함함에 의해, 얻어지는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있어서 선상의 결점이나 불균일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두께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레벨링제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레벨링제, 불소계 레벨링제, 아크릴계 레벨링제, 비닐계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레벨링성이나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실리콘계 레벨링제 및 불소계 레벨링제가 바람직하다.
또, 레벨링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실리콘계 레벨링제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계 레벨링제로서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불소화알케닐기를 주쇄 또는 측쇄에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판품으로서는, 빅케미재팬(주)제의 BYK-340, 네오스(주)제의 후타젠트650A, DIC(주)제의 메가팩RS-75, 오사카유키가가쿠고교(주)제의 V-8FM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레벨링제의 배합량으로서는, (A) 성분으로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001∼1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3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4 (D) 성분 : 광중합개시제
또한,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이, (D) 성분으로서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중합개시제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광중합개시제의 배합량으로서는, (A) 성분으로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2∼1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또한,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당한 용매 중에, 상술한 (A)∼(D) 성분 등을 더하고,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이때, (A)∼(D) 성분 이외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실란계 커플링제, 광안정제, 소포제 등을 더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옥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젖산에틸, γ-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틸셀로솔브),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2) 두께
또한, 필기감 향상층의 두께를 0.1∼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두께가 0.1㎛ 미만의 값으로 되면, 충분한 필기감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두께가 5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필기감 향상 필름에 컬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기감 향상층의 두께의 하한값을 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필기감 향상층의 두께의 상한값을 2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기재 필름
기재 필름의 종류로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셀로판,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필름,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필름, 환상 공역 디엔계 중합체 필름,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그들의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등의 면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필름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마련되는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필름의 두께는, 15∼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4. 점착제층
또한,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20)에 있어서의 필기감 향상층(10)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3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5. 그 밖의 특성
(1) 산술 평균 거칠기 Ra
또한,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기감 향상층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0.05∼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더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05㎛ 미만의 값으로 되면,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이 너무 작아져, 충분한 필기감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이 10을 초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필기 진동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눈부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기감 향상층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의 하한값을 0.1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기감 향상층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의 상한값을 0.4㎛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 헤이즈값
또한, 필기감 향상 필름의 헤이즈값을 1∼4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헤이즈값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와 같은 필기감과, 실용상 필요해지는 시인성을, 안정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헤이즈값이 1% 미만의 값으로 되면,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제어가 곤란해져,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헤이즈값이 4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과도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기감 향상 필름의 헤이즈값의 하한값을 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필기감 향상 필름의 헤이즈값의 상한값을 3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6. 필기감 향상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우선, 기재 필름의 표면에,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종래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등을 사용해서 코팅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막을 건조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도막을 경화시켜서, 도막을 필기감 향상층으로 함에 의해 필기감 향상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도막의 경화로서는, 도막에 대해서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H 램프, 제논 램프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그 조사량은, 조도 50∼1000mW/㎠, 광량 50∼1000mJ/㎠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그 조사량은, 10∼1000krad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20)과, 필기감 향상층(10)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용의 필기감 향상 필름(1)으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감 향상층(10)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52)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50)의 펜촉(52)을, 터치펜(50)의 축심이 필기감 향상 필름(1)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터치펜(50)을 필기감 향상 필름(1)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 D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푸리에 변환해서 얻은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진폭 1.5 이상의 피크를 적어도 하나 가지며,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1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1)이다.
제2 실시형태는,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의 특징을,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규정한 태양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 1.5 이상의 피크수, 및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경우의 그것에 근접시킴에 의해,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 가능하게 한 발명이다.
따라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 1.5 이상의 피크수의 하한값을 둘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넷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 1.5 이상의 피크수의 상한값을 아홉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여덟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의 상한값을 9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의 하한값을 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2.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필기감 향상 필름을 터치패널의 표면에 적용함에 의해,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기감 특성이 우수한 터치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1')을 적용한 터치패널 부착 표시 장치(25)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상세도로서, 터치패널 부착 표시 장치(25)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 터치패널 부착 표시 장치(25)에 있어서는, 필기감 향상층(10)이 최상면으로 된다.
백라이트 유닛(14)과 편광판(13)과 점착제층(30c)과 액정 표시 소자(LCD)(12)로 이루어지는 LCD 모듈(21)은, 요철추종성 적층 부재(11)의 하면에, 액정 표시 소자(12)가 접하도록 첩착(貼着)되어 있다.
한편, 투명 도전막(9) 부착 위상차 필름(2)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기판(18)은, 요철추종성 적층 부재(11)의 상면에, 위상차 필름(2)이 접하도록 첩착되어 있다.
또한, 투명 도전막(6) 부착 위상차 필름(5)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기판(17)은, 에어 갭(8)이 형성되도록 스페이서(7) 상에, 투명 도전막(6)이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점착제층(30b) 부착 편광판(4)으로 이루어지는 부재(16)는, 위상차 필름(5) 상에, 점착제층(30b)을 개재해서 첩착되어 있다.
또, 하부 기판(18)과, 에어 갭(8) 형성용 스페이서(7)와, 상부 기판(17)과, 부재(16)를 일체화한 것이, 터치패널 모듈(22)이다.
또한, 하면에 점착제층(30a)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필기감 향상 필름(1')은, 터치패널 모듈(22)에 있어서의 편광판(4) 상에, 점착제층(30a)을 개재해서 첩착되어 있다. 필기감 향상 필름(1')은, 기재 필름(20)의 상면에 필기감 향상층(10)을 가짐과 함께, 하면에 점착제층(30a)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기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필기감 향상 필름의 제조
(1)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의 준비 공정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성분으로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와, (B) 성분으로서의 필러와, (C) 성분으로서의 레벨링제와, (D) 성분으로서의 광중합개시제를 혼합함과 함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와 이소부탄올의 혼합 용매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0중량%의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 하기 및 표 1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순분 환산된 값을 나타낸다.
(A) 성분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주)제, NK에스테르A-DPH)
(B) 성분: 실리카 입자 9.5중량부
(평균 입자경 7㎛의 실리카 입자를 볼 밀로 분쇄해서 작성, 산술 평균 입자경 : 1.5㎛, Cv값 : 88%, 형상 : 부정형)
(C) 성분 : 폴리디메틸실록산 0.1중량부
(도레·다우코닝(주)제, SH28)
(D) 성분 :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3중량부
(BASF(주)제, 이르가큐어184)
또한, (B) 성분의 Cv값이란,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를 의미한다.
Cv값(%)=(표준 편차 입자경/산술 평균 입자경)×100 (1)
또한, (B) 성분의 산술 평균 입자경 및 Cv값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호리바세사쿠죠(주)제, LA-920)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이때, 분산 용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사용했다.
(2) 도포 공정
다음으로, 얻어진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필름으로서의 이접착층 부착 PET 필름(도레(주)제, 루미라U48, 두께 : 125㎛)의 이접착층(易接着層)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했다.
(3) 건조 공정
다음으로, 얻어진 도포층을, 열풍 건조 장치를 사용해서, 70℃, 1분의 조건에서 건조시켰다.
(4) 경화 공정
다음으로, 건조시킨 도포층에 대해서, 자외선 조사 장치(지에스유아사코퍼레이션(주)제, 광원 : 고압 수은등)를 사용해서, 하기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층을 경화해서 두께 5㎛의 필기감 향상층으로 하여, 최종적인 필기감 향상 필름을 얻었다.
램프 출력 : 1.4kW
컨베이어 스피드 : 1.2m/분
조도 : 100mW/㎠
광량 : 240mJ/㎠
2. 평가
(1) 펜촉 저항력의 측정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펜촉 저항력의 측정을 행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서,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와코무(주)제, ACK-2003)의 펜촉을, 터치펜의 축심이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터치펜을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으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다.
그리고, 검출기(시마즈세사쿠죠(주)제, AUTOGRAPH AG-IS 500N)를 사용해서, 이동 거리(㎜)에 따른 펜촉 저항력(mN)을 측정하여,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로부터, 펜촉 접동 저항력의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구함과 함께, 펜촉 접동 계수(-)를 산출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구했을 때의 이동 거리의 범위는, 펜촉 초동 저항력의 영향이 수속한 점으로부터 50㎜까지의 범위로 했다. 즉, 이동 거리 30∼80㎜의 범위를 사용해서 상술한 각종 분석을 행했다.
(2) 푸리에 변환
다음으로, 얻어진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Excel(등록상표)을 사용해서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Hz)-진폭(-) 차트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주파수(Hz)-진폭(-) 차트로부터, 주파수 1∼2Hz 및 2∼5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 최대값 및 진폭이 소정 이상인 피크수를 구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3) 산술 평균 거칠기 Ra의 측정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산술 표면 거칠기 Ra를 측정했다.
즉, 접촉형 거칠기계(미쓰토요(주)제, SV3000S4)를 사용해서,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기감 향상층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JIS B 0601-1994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4) 헤이즈값의 측정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을 측정했다.
즉, 헤이즈 미터(니혼덴쇼쿠고교(주)제, NDH2000)를 사용해서,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의 헤이즈값(%)을, JIS K 7136-2000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5) 필기감의 평가
(5)-1 펜촉 슬립감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펜촉 슬립감을 평가했다.
즉,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을, 필기감 향상층이 위로 되도록 유리판 상에 고정해서, 샘플로 했다.
다음으로, 패널러에게, 샘플에 대해서 터치펜(와코무(주)제, ACK-2003)으로 모의적으로 소정의 필기 작업을 시키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펜촉 슬립감의 평가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 펜촉이 슬립하지 않음
○ : 펜촉이 약간 슬립함
× : 펜촉이 너무 슬립함
(5)-2 펜촉 걸림감
마찬가지로, 하기 기준에 따라, 펜촉 걸림감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 펜촉의 걸림감이 신경쓰이지 않음
○ : 펜촉의 걸림감이 약간 남음
× : 펜촉이 너무 걸림
(5)-3 긁기음
마찬가지로, 하기 기준에 따라, 긁기음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 충분히 사각사각한 소리가 들림
○ : 사각사각한 한 소리가 들리지만, 약간 작음
△ : 사각사각한 한 소리가 조금 들림
× : 사각사각한 한 소리가 들리지 않음
(5)-4 진동
마찬가지로, 하기 기준에 따라, 진동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 손에 적당한 진동이 전해짐
○ : 손에 진동이 전해지지만 부족함
× : 손에 전해지는 진동이 너무 작거나, 또는, 너무 큼
(6) 눈부심의 평가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에 있어서의 눈부심의 발생을 평가했다.
즉, 우선, 200ppi(픽셀/인치)로 되도록 광투과부를 마련한 격자상 패턴을 준비했다.
이러한 격자상 패턴은, 유리판 상에 금속 증착층을 마련한 후, 금속 증착층에 레지스트 처리를 행하고, 에칭하고, 추가로 레지스트를 제거함에 의해 작성했다.
다음으로, 준비한 격자상 패턴을 백라이트(킹(주)제, 브라이트 박스5000) 상에 재치(載置)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필기감 향상 필름을 격자상 패턴 상에 필기감 향상층이 위로 되도록 재치하고, 눈부심의 발생 개소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격자상 패턴 상에서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미리 확인해 둔 눈부심의 발생 개소가, 필기감 향상 필름과 함께 이동한 경우는, 당해 눈부심의 발생이 필기감 향상 필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 눈부심이 확인되지 않음
○ : 눈부심이 조금 확인됨
× : 눈부심이 현저하게 확인됨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B) 성분으로서의 실리카 입자의 배합량을 10중량부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3의 (a)에 얻어진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나타내고, 도 3의 (b)에 얻어진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B) 성분으로서의 실리카 입자의 배합량을 12중량부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B) 성분으로서의 수지 입자로서 PMMA 입자(산술 평균 입자경 : 3.0㎛, Cv값 : 32%, 형상 : 구상)를 7중량부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B) 성분으로서의 실리카 입자로서, 후지시리시아가가쿠(주)제, 사이크로호빅702(산술 평균 입자경 : 4.1㎛, Cv값 : 48%, 형상 : 부정형)를 8.9중량부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5의 (a)에 얻어진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 차트를 나타내고, 도 5의 (b)에 얻어진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낸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B) 성분으로서의 수지 입자로서, PMMA 입자(산술 평균 입자경 : 1.5㎛, Cv값 : 26%, 형상 : 구상)를 1.5중량부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B) 성분으로서의 수지 입자의 배합량을 3중량부로 바꾼 것 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서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B) 성분으로서의 수지 입자의 배합량을 8중량부로 바꾼 것 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비교예 5에서는, 필기감 향상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B) 성분으로서의 수지 입자의 배합량을 10중량부로 바꾼 것 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필기감 향상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a)에 얻어진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나타내고, 도 6의 (b)에 얻어진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낸다.
[참고예 1]
참고예 1에서는, 필기감 향상 필름 대신에 종이(고쿠요S&T(주)제, 캠퍼스 노트 A괘선 노-201A)를 사용하고, 터치펜 대신에 연필(미쓰비시연필(주)제, 유니, 경도 : HB)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했다(산술 평균 거칠기 Ra, 헤이즈값, 눈부심의 평가를 제외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7의 (a)에 얻어진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나타내고, 도 7의 (b)에 얻어진 주파수(Hz)-진폭(-) 차트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7110179045-pat00001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감 향상 필름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필기 진동을 주파수 영역에서 보았을 경우에, 소정의 주파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을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종이에 연필로 필기했을 때의 필기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기감 향상 필름은, 터치패널에 대해서 터치펜을 사용해서 입력할 때의 필기감의 향상에 현저하게 기여하는 것이 기대된다.
1 : 필기감 향상 필름 2 : 위상차 필름
4 : 편광판 5 : 위상차 필름
6 : 투명 도전막 7 : 스페이서
8 : 에어 갭 9 : 투명 도전막
10 : 필기감 향상층 11 : 요철추종성 적층 부재
12 : 액정 표시 소자(LCD) 13 : 편광판
14 : 백라이트 유닛 16 : 부재
17 : 상부 기판 18 : 하부 기판
20 : 기재 필름 22 : 터치패널 모듈
25 : 터치패널 부착 표시 장치 30 : 점착제층
40 : 유리판 50 : 터치펜
52 : 펜촉 60 : 추
70 : 측정 전용 대차 72 : 관통 구멍
80 : 활차 90 : 인장 끈
100 : 검출기

Claims (9)

  1. 기재 필름과, 필기감 향상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용의 필기감 향상 필름으로서,
    상기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의 펜촉을, 상기 터치펜의 축심이 상기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상기 터치펜을 상기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으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푸리에 변환해서 얻은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평균값을 0.8∼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2. 기재 필름과, 필기감 향상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용의 필기감 향상 필름으로서,
    상기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펜촉의 직경이 0.5㎜인 하드 펠트심을 구비한 터치펜의 펜촉을, 상기 터치펜의 축심이 상기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직교하도록, 하중 3.92N의 가압 조건에서 접촉시키면서,
    상기 터치펜을 상기 필기감 향상 필름의 필름면과 평행한 임의의 일방향으로, 속도 100㎜/분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이동 거리(㎜)-펜촉 저항력(mN) 차트를, 푸리에 변환해서 얻은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진폭 1.5 이상의 피크를 적어도 하나 가지며, 또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1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1∼2Hz의 범위에 있어서의 진폭의 최대값을 2∼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Hz)-진폭(-) 차트에 있어서, 주파수 2∼5Hz의 범위에 진폭 5 이상의 피크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감 향상층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터치펜의 펜촉을 접동(摺動)시켰을 때의 펜촉 접동 계수를 0.05∼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감 향상층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0.05∼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헤이즈값을 1∼4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감 향상층의 두께를 0.1∼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필기감 향상층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감 향상 필름.
KR1020170147115A 2016-11-16 2017-11-07 필기감 향상 필름 KR102318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3215 2016-11-16
JP2016223215A JP6325637B1 (ja) 2016-11-16 2016-11-16 書き味向上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702A KR20180055702A (ko) 2018-05-25
KR102318104B1 true KR102318104B1 (ko) 2021-10-28

Family

ID=6214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15A KR102318104B1 (ko) 2016-11-16 2017-11-07 필기감 향상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25637B1 (ko)
KR (1) KR102318104B1 (ko)
CN (1) CN108070327B (ko)
TW (1) TWI7389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4498B2 (ja) * 2016-12-14 2022-01-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書き味向上フィルム
WO2020122172A1 (ja) * 2018-12-14 2020-06-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書き味向上シート
WO2023162455A1 (ja) * 2022-02-28 2023-08-31 株式会社ワコム ペン入力装置用シ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9817A (ja) 2013-01-09 2014-08-21 Daicel Corp ペン入力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628A (ja) 1992-12-11 1994-06-28 Asahi Glass Co Ltd タッチ入力装置用保護フィルム
JPH08249103A (ja) * 1995-03-09 1996-09-27 Oki Electric Ind Co Ltd 座標入力装置
JP2009151476A (ja) * 2007-12-19 2009-07-09 Nof Corp ペン入力装置用表面材及びそれを備えたペン入力装置
KR101388275B1 (ko) * 2009-07-08 2014-04-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필름, 전자 기기 및 터치 패널
JP2012126804A (ja) 2010-12-15 2012-07-05 Aica Kogyo Co Ltd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14016718A1 (en) * 2012-07-25 2014-01-30 Koninklijke Philips N.V. Tooth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JP5918701B2 (ja) * 2012-10-17 2016-05-18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タッチパネル
JP6174378B2 (ja) * 2013-05-30 2017-08-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189642B2 (ja) * 2013-05-30 2017-08-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CN103373146A (zh) * 2013-07-05 2013-10-30 苏州威仕科贸有限公司 一种pet复合型书写贴膜
JP6244182B2 (ja) * 2013-11-19 2017-12-06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積層フィルム
CN107153478A (zh) * 2013-11-20 2017-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导电性膜、硬涂膜和触控面板传感器
JP6156647B2 (ja) * 2013-12-05 2017-07-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ペン入力装置用フィルム
JP6349126B2 (ja) * 2014-03-31 2018-06-27 株式会社ダイセル ペン入力デバイス用透明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46256B1 (ko) * 2014-05-09 2018-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감을 제공하는 촉각 피드백 장치 및 방법
US9379355B1 (en) * 2014-12-15 2016-06-28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support layer with rounded edge
US10747372B2 (en) * 2015-03-25 2020-08-18 Hailiang Wang Systems and high throughput methods for touch sens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9817A (ja) 2013-01-09 2014-08-21 Daicel Corp ペン入力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702A (ko) 2018-05-25
CN108070327A (zh) 2018-05-25
JP6325637B1 (ja) 2018-05-16
JP2018081482A (ja) 2018-05-24
TW201825279A (zh) 2018-07-16
CN108070327B (zh) 2022-08-16
TWI738916B (zh) 202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171B1 (ko) 필기감 향상 필름
KR102318105B1 (ko) 필기감 향상 필름
KR102269898B1 (ko)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
KR102269906B1 (ko)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
KR102318104B1 (ko) 필기감 향상 필름
JP2021099854A (ja) 書き味向上フィルム
CN108070326B (zh) 书写感改善膜
WO2017094784A1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JP2018173906A (ja) 書き味向上シート
JP7146879B2 (ja) 書き味向上シート
JP2018173905A (ja) 書き味向上シート
TWI720203B (zh) 觸控面板筆用書寫片之揀選方法、觸控面板系統、觸控面板筆用書寫片、觸控面板及顯示裝置
JP2022124137A (ja) 書き味向上シート
JP201722276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