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100B1 - 복층 모빌랙 - Google Patents

복층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100B1
KR102318100B1 KR1020200175223A KR20200175223A KR102318100B1 KR 102318100 B1 KR102318100 B1 KR 102318100B1 KR 1020200175223 A KR1020200175223 A KR 1020200175223A KR 20200175223 A KR20200175223 A KR 20200175223A KR 102318100 B1 KR102318100 B1 KR 102318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caffold
movable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동성나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나이키 filed Critical (주)동성나이키
Priority to KR102020017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47B63/06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with trays revolving on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하랙부와 상랙부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복층구조의 이동랙과, 상기 하랙부와 상랙부의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랙을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재는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지지부재에 받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수납 및 공간활용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물품수납을 위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까지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층 모빌랙 {multi floor type mobile rack}
본 발명은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랙부와 상랙부의 복층구조를 가지면서 사용편의성 및 사용안전성이 향상된 복층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Mobile-rack)이라 함은 기존 물품 수납 공간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고정식 수납장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수납장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모빌랙의 활용으로 수납의 고밀도 및 고효율성이 이루어지고, 물품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 등 가장 효율적인 물품 보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공간절약, 환경개선, 사무능률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거에는 모빌랙이 주로 책, 서류와 같은 문서류를 보관하기 위한 서가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유통, 제조업을 막론하고 다양한 산업현장에 설치됨으로써 물류의 보관, 입출고, 나아가 재고관리를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물류산업의 자동화 구축과 함께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빌랙은 통상적으로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내부에는 수납부가 구비된 다수의 이동랙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다수의 이동랙 각각의 수납부에 다양한 물품들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물품 수납이나 인출 등을 위하여 이동랙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 통상적인 모빌랙은 단층구조로만 이루어져 수납공간에 제약을 받음과 함께 모빌랙의 상측공간을 활용하지 못하여 공간활용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며, 이에 하층랙과 상측랙이 연결된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복층 모빌랙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 제안된 복층 모빌랙은 하층랙과 상측랙의 복층구조를 통하여 공간활용성 및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종래 복층 모빌랙은 상층랙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올라가게 되는 발판부재의 지지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장시간 반복적인 사용시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상층랙 사이를 통행할 수 있는 통행로가 전혀 구성되지 않아 상층랙 사이를 옮겨가면서 물품을 편리하게 입출고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층랙에서 물품을 입출고하고 있는 경우, 하층랙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예기치 못한 이동랙의 이동에 따라 끼임이나 충돌사고 등 상층랙 사용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는 단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2005503호 : 복층 구조를 갖는 모빌랙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부재가 간단하면서 견고한 구조로 지지되도록 개선하고 발판부재 위의 사용자 여부를 감지하여 하랙부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안전성을 향상시킨 복층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랙부의 전방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측방통행로를 형성하여 상랙부의 입출고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복층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하랙부와 상랙부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복층구조의 이동랙과, 상기 이동랙의 좌우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하랙부와 상랙부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복층구조를 갖는 한쌍의 고정랙과, 상기 하랙부와 상랙부의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랙을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되면서 한쌍의 고정랙에 지지되는 발판부재와, 상기 하랙부의 상면 전단에서 상측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가드프레임과, 상기 이동랙의 가드프레임을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되면서 양단은 고정랙의 가드프레임에 고정되는 가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상랙부는 하랙부보다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랙부의 전단과 가드프레임 및 가드봉 사이에는 측방통행로가 형성되는 복층 모빌랙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재는 연결부재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랙에는 이동랙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발판부재의 단부를 받쳐 지지하되, 발판부재 위의 사용자 존재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눌려짐으로써 발판부재 사용에 대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발판사용 감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재는 지지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발판사용 감지부재가 눌려짐에 따라 하강되어 지지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 모빌랙에 의하면,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하랙부와 상랙부 각각에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므로 물품수납의 효율성과 공간활용성이 모두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부재가 전후로 연장된 지지봉체에 의해 폭 전체가 지지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받게 되며, 그에 따라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부재 위의 사용자를 감지함으로써 상랙부의 사용여부를 하랙부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므로 예상하지 못한 랙의 이동에 따른 충돌이나 끼임 등 상랙부 사용자의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랙부의 전방에 사용자가 추락 위험없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측방통행로가 형성됨으로써 상층랙 사용자가 자유롭게 상층랙 사이를 통행하면서 입출고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모빌랙을 정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모빌랙을 측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랙을 입체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재가 이동랙과 고정랙에 지지되는 관계를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와 발판사용 감지부재의 구성 및 작용을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모빌랙의 사용예를 측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 모빌랙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랙부와 상랙부의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물품수납의 효율성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발판부재의 지지안전성 및 사용안전성을 개선하고 상랙부의 사용을 편리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전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복층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층 모빌랙의 일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모빌랙은, 이동랙(100)과, 고정랙(300)과, 발판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랙(10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랙(300)은 이동랙(100)의 좌우에 한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쌍의 고정랙(300)은 상호간에 좌우로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이동랙(100)은 한쌍의 고정랙(300)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이동을 통해 상호간에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발판부재(500)는 복수의 이동랙(100)을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되면서 좌우 양단은 한쌍의 고정랙(300)에 결합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이동랙(100), 고정랙(300), 발판부재(5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도 2 및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이동랙(100)은 하랙부(110)와, 상랙부(130)와, 연결부재(150)와, 지지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랙부(110)는 지면에 설치되고, 상랙부(130)는 하랙부(110)의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랙부(110)와 상랙부(130)는 각각 복수의 수직프레임(111, 131)으로 지지되는 사각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수직프레임(111, 131)들 사이에 복수의 선반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하랙부(110)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R)을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바퀴를 갖는 대차부(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에는 대차부(115)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내장된 전면프레임(113)이 구비될 수 있다.
하랙부(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는 특별한 제한없이 종래 개시된 다양한 구성의 채용이 가능하며, 핸들을 돌려 이동력을 제공하는 수동식과,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연결부재(150)는 하랙부(110)와 상랙부(130) 사이에서 하랙부(110)와 상랙부(13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상랙부(130)는 연결부재(150)를 통해 하랙부(11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하랙부(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랙부(110)와 상랙부(130) 사이에는 연결부재(150)의 높이만큼 일정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50)는 하랙부(110)와 상랙부(130) 사이에서 전후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50)는 하랙부(110)와 상랙부(130)의 수직프레임(111, 131)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하단이 수직프레임(111, 13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50)는 그 사이를 통과하는 후술하는 발판부재(500)들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수직프레임(111, 131)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150)는 독립적인 요소로서 상하단이 수직프레임(111, 131)에 용접 등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나, 하층랙의 수직프레임(111)과 상층랙(130)의 수직프레임(131)이 단일체로 연장되면서 중간 일부분이 연결부재(15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재(170)는 연결부재(150)에 설치되며, 연결부재(150) 사이를 통과하는 후술하는 발판부재(500)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70)는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지지봉체(171)와, 롤링관체(1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봉체(171)는 원형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부재(150)를 관통하여 전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지지봉체(170)의 양단은 전단측과 후단측의 연결부재(15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봉체(171)는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간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들에는 일 예로서 3개의 지지봉체(171)가 예시되어 있다.
롤링관체(173)는 연결부재(150)에 고정된 지지봉체(171)에 외삽될 수 있다.
롤링관체(173)는 원형관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원형봉 형상의 지지봉체(171)에 외삽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롤링관체(173)의 내주면에는 회전시 지지봉체(171) 외주면과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미끄러짐이 가능한 슬립면(175)이 형성될 수 있다.
롤링관체(173)는 연결부재(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부재(150)들 사이사이에서 지지봉체(171)에 외삽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링관체(173)는 후술하는 발판부재(500)의 저면과 접촉됨으로써 발판부재(500)에 지지력을 제공하며, 이동랙(100)의 좌우 이동시에는 발판부재(500)의 저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발판부재(500)에 계속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고정랙(300)은 하랙부(310)와, 상랙부(330)와, 연결부재(350)와, 발판사용 감지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랙(100)과 동일하게, 고정랙(300)의 하랙부(310)도 지면에 설치되고, 상랙부(330)는 하랙부(310)의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하랙부(310)와, 상랙부(330)는 각각 사각 박스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는 물품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고정랙(300)은 위치가 고정되므로, 이동랙(100)과 달리 하랙부(310)에 대차부 및 구동수단이 구비되지 않는다.
연결부재(350)는 이동랙(100)의 연결부재(150)와 동일하게 고정랙(300)의 하랙부(310)와 상랙부(330)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하랙부(310)와 상랙부(33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발판사용 감지부재(370)는 연결부재(350) 사이에서 하랙부(3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발판부재(500)의 사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발판사용 감지부재(370)는 발판부재(500) 위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발판부재(500) 사용에 대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판사용 감지부재(370)는 도 5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로부터 일정높이 상향 돌출되어 발판부재(500)의 단부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로드(371)와, 발판부재(500) 위에 사용자가 올라서면 지지로드(371)가 눌려져 하강되도록 지지로드(37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73)와, 지지로드(371)의 하강시에만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접점단자(3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로드(371)가 눌려질 때 하강되는 거리(d)는 대략 1∼3cm 정도로 짧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발판부재(500) 위에 올라설 때 하강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거의 느끼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73)는 발판부재(500)의 중량은 지지하되, 발판부재(500) 위에 사용자가 올라가 사용자의 몸무게만큼 중량이 증가되면 지지로드(371)가 눌려질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1명의 최소 몸무게 정도인 대략 50kg 이상의 중량이 발판부재(500)에 더해지면 지지로드(371)가 눌려질 수 있는 탄성체(373)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발판사용 감지부재(370)는 발판부재(500) 위의 사용자 존재여부에 따라 지지로드(371)가 선택적으로 눌려져 하강됨으로써 발판부재(500) 사용에 대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도 5의 (a)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평상시에는 탄성체(373)에 의해 지지로드(371)가 상승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이 때, 접전단자(375)는 서로 이격된 상태), 도 5의 (b)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상랙부의 물품입출고 등을 위하여 발판부재(500) 위로 올라서면 지지로드(371)가 눌려져 접전단자(375)가 접촉됨으로써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감지신호는 사용자가 사용을 완료하여 발판부재(500)를 벗어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하랙부(110) 사용자에게 상랙부(130) 사용자가 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데, 예컨대, 하랙부(110)쪽에 별도의 경고등이나 음향출력수단을 설치하고 발판사용 감지부재(37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등의 점등이나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 발판부재(500)는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판(plate)의 형태를 가지며, 상랙부(130)에 물품을 용이하게 입출고할 수 있도록 위에 올라선 사용자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발판부재(500)는 하랙부(110)와 상랙부(130) 사이의 이격공간, 즉 연결부재(150)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랙(100)을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이 되며, 이 때 이동랙(100)을 관통하는 부분에서는 하측의 지지부재(1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로 연장된 발판부재(500)의 양단은 한쌍의 고정랙(300)에 결합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발판부재(500)의 좌우 양단은 전술한 발판사용 감지부재(370) 위에 지지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발판부재(500) 위에 올라서게 되면 발판사용 감지부재(370)의 지지로드(371)가 눌려짐에 따라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발판부재(500)는 이동랙(100)에 설치된 지지부재(170)와 밀착되지 않고 지지부재(17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발판사용 감지부재(370)가 눌려짐에 따라 하강되어 지지부재(17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예시된 것처럼, 발판부재(500)는 하강되는 거리(d) 만큼 저면이 지지부재(170)의 상면과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평상시 발판부재(500) 위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지지부재(170)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d) 이격되어 있다가, 도 5의 (b)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발판부재(500) 위로 올라감으로써 발판사용 감지부재(370)의 지지로드(371)가 눌려지게 되면 이격간격(d)만큼 하강되어 지지부재(170)와 접촉됨으로써 지지부재(170)의 지지를 받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발판사용 감지부재(370)의 지지로드(371)가 1cm 눌려져 하강되도록 설계되었다면, 발판부재(500)는 지지부재(170) 위에 1cm 이격되어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발판부재(500) 위에 올라서면 1cm 하강됨으로써 지지부재(170)에 접촉되어 지지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발판부재(500)가 지지부재(17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어떠한 접촉도 없이 이동랙(100)을 통과하게 되므로, 하랙부(110)만을 사용하고자 이동랙(100)을 이동시킬 때 보다 원활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각각 물품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하랙부(110, 310)와 상랙부(130, 330)는 상호간에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전후방향의 길이에 있어서는 하랙부(110, 310)에 비하여 상랙부(130, 330)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랙부(110, 310)의 상면 전단에는 상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게 연장되는 가드프레임(190, 390)이 형성될 수 있고, 가드프레임(190, 390)에는 가드봉(191)이 설치될 수 있다.
가드프레임(190, 390)은 하랙부(110, 310)의 상면 전단에 용접 등을 통해 별도로 결합 설치되거나 또는 전면프레임(113)을 일정높이 상향 연장시킴으로써 전면프레임(11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드봉(191)은 이동랙(100)의 가드프레임(190)을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되면서 양단은 고정랙(300)의 가드프레임(39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가드봉(191)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들에는 3개의 가드봉(191)이 일 예시되어 있다.
이렇게 하랙부(110, 310)의 전후 길이에 비하여 상랙부(130, 330)의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면서 하랙부(110, 310)의 상면 전단에 가드프레임(190, 390)이 형성되면, 도 3과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랙부(130, 330)의 전단과 가드프레임(190, 390) 사이에는 길이차이에 대응하는 폭만큼 사용자가 좌우 측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는 측방통행로(S)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상랙부(130, 330)에서 물품을 입출고할 때 측방통행로(S)를 따라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보다 편하게 물품을 입출고할 수 있으며, 가드프레임(190, 390) 및 가드봉(191)에 의해 추락 등이 방지되므로 안전한 통행이 가능하게 된다.
하랙부(110, 310)와 상랙부(130, 330)의 전후방향 길이차이는 사용자가 무리없이 통행 가능한 정도이면 될 것이며, 일 예로는 하랙부(110, 310)에 비하여 상랙부(130, 330)가 연결부재(150, 350)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한쌍의 고정랙(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랙(300) 측면에 설치되는 계단프레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계단프레임(700)은 계단 형태를 가지면서 고정랙(30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계단프레임(700)을 통해 쉽고 안전하게 발판부재(500)로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복층 모빌랙은, 통상적인 모빌랙과 동일하게 복수의 이동랙(100)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특히 하랙부(110)와 상랙부(130)의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수납공간이 확장됨으로써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하랙부(110)와 상랙부(130) 사이에 설치된 발판부재(500)를 따라 통행하면서 상랙부(130)로 물품을 용이하게 입출고할 수 있으며, 발판부재(500)가 전후로 연장되는 구조의 지지부재(17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받게 되어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랙부(130)에 물품을 입출고하기 위해 발판부재(500)에 사용자가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하랙부(110)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므로, 예기치 못한 이동랙(100)의 이동에 따른 충돌이나 끼임 등 사용자의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랙부(130)의 전방에 사용자가 추락 위험없이 안전하게 좌우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는 측방통행로(S)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상층랙(130) 사이를 통행하면서 입출고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하랙부와 상랙부의 복층구조를 통하여 물품수납의 효율성 및 공간활용성을 기본적으로 향상시키면서, 더 나아가 발판부재의 지지안전성 및 사용안전성을 개선하고 상랙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전성까지 모두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이동랙 300: 고정랙
110/310: 하랙부 130/330: 상랙부
150/350: 연결부재 170: 지지부재
171: 지지봉체 173: 롤링관체
370: 발판사용 감지부재 371: 지지로드
373: 탄성체 375: 접점단자
190/390: 가드프레임 191: 가드봉
500: 발판부재

Claims (4)

  1.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하랙부(110)와 상랙부(130)가 연결부재(150)를 통해 연결된 복층구조의 이동랙(100)과;
    상기 이동랙(100)의 좌우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하랙부(310)와 상랙부(330)가 연결부재(350)를 통해 연결된 복층구조를 갖는 한쌍의 고정랙(300)과;
    상기 하랙부(110)와 상랙부(130)의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랙(100)을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되면서 한쌍의 고정랙(300)에 지지되는 발판부재(500);와
    상기 하랙부(110, 310)의 상면 전단에서 상측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가드프레임(190, 390)과;
    상기 이동랙(100)의 가드프레임(190)을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되면서 양단은 고정랙(300)의 가드프레임(390)에 고정되는 가드봉(191);을 포함하고,
    상기 상랙부(130, 330)는 하랙부(110, 310)보다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랙부(130, 330)의 전단과 가드프레임(190, 390) 및 가드봉(191) 사이에는 측방통행로(S)가 형성되는, 복층 모빌랙.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500)는 연결부재(150)에 설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170)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모빌랙.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랙(300)에는 이동랙(10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발판부재(500)의 단부를 받쳐 지지하되, 발판부재(500) 위의 사용자 존재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눌려짐으로써 발판부재(500) 사용에 대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발판사용 감지부재(370)가 구비되는, 복층 모빌랙.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500)는 연결부재(150)에 설치된 지지부재(170)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발판사용 감지부재(370)가 눌려짐에 따라 하강되어 지지부재(17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복층 모빌랙.
KR1020200175223A 2020-07-16 2020-12-15 복층 모빌랙 KR10231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23A KR102318100B1 (ko) 2020-07-16 2020-12-15 복층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92A KR102200194B1 (ko) 2020-07-16 2020-07-16 복층 모빌랙
KR1020200175223A KR102318100B1 (ko) 2020-07-16 2020-12-15 복층 모빌랙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92A Division KR102200194B1 (ko) 2020-07-16 2020-07-16 복층 모빌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100B1 true KR102318100B1 (ko) 2021-10-27

Family

ID=741276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92A KR102200194B1 (ko) 2020-07-16 2020-07-16 복층 모빌랙
KR1020200175223A KR102318100B1 (ko) 2020-07-16 2020-12-15 복층 모빌랙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92A KR102200194B1 (ko) 2020-07-16 2020-07-16 복층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00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850B1 (ko) 2021-10-25 2022-03-11 이종진 일체형 복층모빌랙의 조립구조
KR102357738B1 (ko) 2021-10-25 2022-02-08 이종진 복층모빌랙의 발판조립체
KR102414989B1 (ko) 2021-10-25 2022-06-29 이종진 독립형 복층 모빌랙
KR102414991B1 (ko) 2021-10-25 2022-06-29 이종진 복층모빌랙의 인출발판 조립체
KR102373849B1 (ko) 2021-10-25 2022-03-11 이종진 복층모빌랙의 난간조립체
CN115363352B (zh) * 2022-08-19 2024-04-12 江苏徐淮地区淮阴农业科学研究所 一种党史教育工作信息档案储存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162A (ja) * 1996-05-10 1997-11-25 Nippon Filing Co Ltd 可動床式移動棚
JP3038302B2 (ja) * 1995-07-13 2000-05-08 株式会社イトーキ 移動棚装置
KR200463677Y1 (ko) * 2010-08-21 2012-11-19 (주)디케이씨 컨베이어 롤러
KR102005503B1 (ko) 2019-04-29 2019-07-30 피아산업 주식회사 복층 구조를 갖는 모빌랙
KR102066172B1 (ko) * 2019-04-18 2020-01-14 김종희 이동식 선반 장치
KR102122308B1 (ko) * 2020-03-19 2020-06-12 (주)대원모빌랙 내진형 복층 모빌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302B2 (ja) * 1995-07-13 2000-05-08 株式会社イトーキ 移動棚装置
JPH09299162A (ja) * 1996-05-10 1997-11-25 Nippon Filing Co Ltd 可動床式移動棚
KR200463677Y1 (ko) * 2010-08-21 2012-11-19 (주)디케이씨 컨베이어 롤러
KR102066172B1 (ko) * 2019-04-18 2020-01-14 김종희 이동식 선반 장치
KR102005503B1 (ko) 2019-04-29 2019-07-30 피아산업 주식회사 복층 구조를 갖는 모빌랙
KR102122308B1 (ko) * 2020-03-19 2020-06-12 (주)대원모빌랙 내진형 복층 모빌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194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100B1 (ko) 복층 모빌랙
US4915240A (en) Multiple pallet rack
US4679805A (en) Space saver cart
KR102414989B1 (ko) 독립형 복층 모빌랙
US5393188A (en) Pallet storage system
CA2591504C (en) Cantilever pallet cart
CA2484882A1 (en) Pushback cart storage system
ITPO20010004A1 (it) Impianto di magazzinaggio automatico
NL194194C (nl) Verkoopstelling voor flessen.
US3628672A (en) Captive pallet for load-stacking racks
KR102373849B1 (ko) 복층모빌랙의 난간조립체
JP2016124663A (ja) 自動倉庫および物体の検出方法
JP2001151307A (ja) 自動倉庫
JPH0515456Y2 (ko)
KR200365952Y1 (ko) 파렛트 적재용 푸쉬-백 랙
AU2013205886B2 (en) A Racking Slide
WO2005095235A1 (en) Compact pushback storing system for pallets
KR102414991B1 (ko) 복층모빌랙의 인출발판 조립체
CN213282391U (zh) 酒瓶架和冰箱
KR101252785B1 (ko) 슬라이딩 카트가 구비된 물류 창고용 화물 적재장치
CN221092302U (zh) 一种储存托辊支架的货架
CN213264068U (zh) 一种防连锁倾倒的易碎物品仓储架
CN211168424U (zh) 一种专用于存放重载手推车的立体货架
JP2541461B2 (ja) 自動倉庫
JPH04125209A (ja) 立体自動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