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500B1 -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500B1
KR102315500B1 KR1020190100837A KR20190100837A KR102315500B1 KR 102315500 B1 KR102315500 B1 KR 102315500B1 KR 1020190100837 A KR1020190100837 A KR 1020190100837A KR 20190100837 A KR20190100837 A KR 20190100837A KR 102315500 B1 KR102315500 B1 KR 10231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upport member
soil removal
main suppor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184A (ko
Inventor
백종선
이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건설
Priority to KR102019010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5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8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 E02D7/30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by driving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기를 구성하는 하부 오거에 설치되어 스크류에 묻어 있는 흙을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별도로 스크류를 관리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인 천공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오거 및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공기에 설치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오거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하부 오거의 상부로 돌출되는 스크류의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a soil remover for a 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기를 구성하는 하부 오거에 설치되어 스크류에 묻어 있는 흙을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별도로 스크류를 관리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인 천공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가, 아파트 등 각종 건물, 특히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에 지반에 흙막이 벽체 구성을 위한 파일 시공을 위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지반을 천공하는 작업은 통상적으로 스크류를 구비한 유압식천공장비(예컨대, 크레인 천공기)를 이용한다.
크레인 천공기의 오거 스크류는 건축공사장의 기초공사를 위하여 지면에서부터 지하로 소정의 깊이만큼 천공하는 기구로서, 모터의 작동에 따라 오거 스크류가 정회전 및 역회전 작동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천공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1에서와 같이 크레인(10)의 천공기(11)의 상부 오거(auger)(13)에 스크류(12; 즉, 오거스크류)를 장착하고, 하부 오거(14)에 케이싱(15)을 장착하고 나서, 굴진을 수행한다. 이 경우, 스크류(12)는 케이싱(15)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12)의 하단에는 지반에 대한 천공작업이 용이 하도록 특수강으로 처리된 링비트(도시 생략)가 설치될 수 있다. 굴진시 케이싱(15)의 회전 방향과 스크류(12)의 회전 방향은 상호 반대이다. 예를 들어, 스크류(12)가 정회전을 수행하면서 해당 지반을 굴착하여 천공하게 되면 케이싱(15)은 스크류(12)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해당 지반을 굴착하여 천공하게 된다. 굴착시 스크류(12)를 통해 에어(air)가 공급된다.
이때, 소정 깊이의 천공이 완료되면 다음 단계의 천공을 위해 스크류(12)를 인상하게 되는데, 이때 인상되는 스크류(12)와 함께 토사도 따라 올라온다. 이와 같이 스크류(12)를 따라 위로 올라오는 토사를 부토라고 한다.
만약, 굴착되는 지반의 토질 점성이 약한 경우, 스크류(12)와 함께 올라오는 대부분의 부토는 하부 오거(14)의 배출구(도시 생략)를 통해 배출되어 주변으로 비산된다.
반대로, 굴착되는 지반의 토질 점성이 강한 경우, 스크류(12)와 함께 올라오는 부토 중 일부는 하부 오거(14)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만 나머지 부토는 스크류(12)에 얹혀져서 하부 오거(14) 보다 높은 상방향까지 올라갈 수 있다. 하부 오거(14) 보다 높은 상방향으로 올라가는 부토는 스크류(12)의 회전 및 바람 등에 의해 대부분 하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떨어지는 부토는 하부 오거(14)에 부딪혀서 비산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지반 천공작업을 하는 공사현장에 가까이 있게 되면 비산되어 낙하되는 부토에 맞아서 크게 다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937703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스크류가 장착되는 상부 오거(13);와 케이싱(15)이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15)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하부 오거(14);를 구비하는 크레인 천공기의 부토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오거(14)의 양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가림막 프레임 지지부(20); 상기 가림막 프레임 지지부(20)를 통해 상기 하부 오거(1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림막 프레임(30); 및 상기 가림막 프레임 지지부(20)와 상기 가림막 프레임(30)을 결합 및 결합 해제시키기 위한 결합 및 결합 해제부(23,24);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 프레임(30)은 상기 하부 오거(14)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부토가 타겟팅되는 하부 중앙 부분에 금속 재질의 비산 방지막이 구비되고 비산 방지천(57)이 덧씌워지며, 상기 상부 오거(13)에 장착된 스크류의 일부분만 가릴 수 있는 크기로 상기 하부 오거(14)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오거(14)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937703호에 기재된 기술은 천공시에 하부 오거(14)로부터 배출되는 부토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스크류에 묻어있는 흙을 제거할 수단이 없어 방치할 추후 천공작업에서는 안정적인 천공작업이 어려우며, 안정적인 천공작업을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스크류에 묻어있는 흙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천공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770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기를 구성하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하되, 와이어 로프로 형성한 제거부재와 상기 제거부재가 설치된 설치판이 탄성지지되어 하부 오거의 상부로 돌출된 스크류를 제거부재가 측부에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류에 묻어 있는 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의 측부에 전술한 흙 제거부가 구비되되,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하단은 하부 오거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측부에는 구동 실린더의 단부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구동 실린더에 의해 메인 지지부재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스크류를 인출시에 흙 제거부가 스크류와 접하도록 하여 흙을 제거하게 하고, 천공작업시에는 흙 제거부가 스크류와 이격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천공을 가능하게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오거 및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공기에 설치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오거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스크류의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흙 제거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는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측부에는 고정 볼트가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에 삽입되는 제거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거부재는 와이어 로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전부에 구비되는 보조 지지부재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에 보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판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완충바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바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흙 제거부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완충바의 외측에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의 전부에 위치하여 설치판을 스크류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바의 외측에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의 후부에 위치하여 완충바를 스크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하단은 하부 오거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중심부에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구동 실린더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하단은 하부 오거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중심부에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구동 실린더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흙제거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흙제거부의 후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흙제거부는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거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브라켓의 단부에 설치되는 보조 지지부재와, 상기 보조 지지부재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단부에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측부에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 브라켓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구동 실린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천공기를 구성하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하되, 와이어 로프로 형성한 제거부재와 상기 제거부재가 설치된 설치판이 탄성지지되어 하부 오거의 상부로 돌출된 스크류를 제거부재가 측부에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류에 묻어 있는 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의 측부에 전술한 흙 제거부가 구비되되,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하단은 하부 오거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측부에는 구동 실린더의 단부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구동 실린더에 의해 메인 지지부재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스크류를 인출시에 흙 제거부가 스크류와 접하도록 하여 흙을 제거하게 하고, 천공작업시에는 흙 제거부가 스크류와 이격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크레인 천공기의 오거 스크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의 하부 오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가 설치된 천공기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가 스크류에 인접한 상태의 측면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가 스크류에서 이격된 상태의 측면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가 설치된 천공기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가 설치된 천공기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가 스크류에 인접한 상태의 측면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가 스크류에서 이격된 상태의 측면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가 설치된 천공기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의 측면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의 측면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천공기(100)에 설치되어 천공기(100)를 구성하는 스크류(110)에 묻어있는 흙을 제거하기 위한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200)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천공기(100)를 구성하는 하부 오거(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부(300)와 상기 지지부(300)에 설치되어 하부 오거(1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스크류(110)의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사용자가 별도로 스크류(110)에 묻어 있는 흙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상기 흙 제거부(400)를 통하여 하부 오거(120)의 상부로 돌출된 스크류(110)에 묻어 있는 흙을 자동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200)는 하부 오거(120)의 형태에 따라 하부 오거(120)의 상부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하부 오거(120)에 설치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흙 제거부(300)는 상기 지지부(300)에 결합되는 설치판(410)과 상기 설치판(410)의 전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거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거부재(450)는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와이어 로프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이 좋아 스크류(110)와 접할 때, 스크류(110)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판(410)의 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파이프 형상의 고정 브라켓(44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440)에 형성되는 설치홈(442)에는 상기 제거부재(450)의 후단이 삽입되는데, 상기 고정 브라켓(440)의 측부에는 고정 볼트(444)가 구비되어 제거부재(450)의 측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래서, 장시간의 사용으로 상기 제거부재(450)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제거부재(450)가 손상될 경우, 상기 고정 볼트(444)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300)는 천공기(100)를 구성하는 하부 오거(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310)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의 전부에 이격 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지지부재(320)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에 보조 지지부재(320)를 고정하는 고정바(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흙 제거부(400)를 구성하는 설치판(41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완충바(4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완충바(41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320)에 형성되는 관통공(322)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흙 제거부(40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바(412)의 외측에는 제1스프링(4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스프링(420)은 상기 보조 지지부재(320)의 전부에 위치하고 제1스프링(420)의 양단부가 보조 지지부재(320)와 설치판(410)을 각각 탄성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보조 지지부재(320)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판(410)은 스크류(110)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므로 스크류(110)와 밀착되게 되어 안정적으로 스크류(110)에 부착된 흙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지지부재(320)의 후방으로 돌출된 완충바(412)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414)가 구비되어 완충바(412)가 보조 지지부재(320)의 관통공(3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바(412)의 외측에는 제2스프링(43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2스프링(430)은 상기 보조 지지부재(320)의 후부에 위치하여 제2스프링(430)의 양측 단부는 보조 지지부재(320)와 완충바(412)의 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414)를 각각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지지부재(320)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스프링(430)은 완충바(412)의 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414)를 스크류(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스프링(430)은 설치판(410)에 설치된 제거부재(450)가 과도하게 스크류(110)를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크류(11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며, 완충바(412)의 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414)가 보조 지지부재(320)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보조 지지부재(320)와 이탈방지부재(41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300)를 구성하는 메인 지지부재(310)는 길이가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의 하단은 하부 오거(12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하부 오거(120)또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힌지부(122)가 형성되어 메인 지지부재(310)의 하단이 힌지 결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오거(120)의 상부 일측에는 구동 실린더(500)가 힌지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 실린더(500)의 단부는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의 중심부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실린더(500)를 작동시켜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를 상기 힌지부(122)를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천공작업을 완료한 스크류(110)를 인출시에 상기 구동 실린더(500)를 제어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 제거부(400)가 스크류(110)와 접하도록 하여 흙을 제거하게 하고, 천공작업시에는 구동 실린더(500)를 제어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 제거부(400)가 스크류(110)와 이격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천공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오거(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부(300)와 상기 지지부(300)에 설치되어 하부 오거(1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스크류(110)의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00)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310')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에 설치되어 흙제거부(4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500)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흙제거부(400)의 후부, 즉, 설치판(410)의 후면에 연결되는 가이드바(4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구동 실린더(500)의 작용에 의해 스크류(110)에 묻어 있는 흙을 제거할 경우에는 상기 흙제거부(4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스크류(110)와 흙제거부재(450)가 접하도록 하여 흙을 제거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흙제거부재(450)와 스크류(110)가 접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1 및 도 12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100)를 구성하는 스크류(110)에 묻어 있는 흙을 제거하기 위한 흙제거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회전축(460)과 상기 회전축(4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거부재(450)와 상기 회전축(460)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축(460)을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5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00)는 하부 오거(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310")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브라켓(312)의 단부에 설치되는 보조 지지부재(320")와 상기 보조 지지부재(32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부재(328)와 상기 회전부재(328)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단부에 상기 회전축(460)의 상단과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브라켓(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압 모터(510)는 상기 회전부재(328)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브라켓(324)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460)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회전축(460)에 설치된 제거부재(450)이 스크류(110)에 묻어 있는 흙을 회전하는 과정에서 깨끗하게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지지부재(310")의 측부에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회전부재(328)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 브라켓(326)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구동 실린더(500)가 더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구동 실린더(500)를 구동시켜 흙제거부(400)를 상기 회전부재(328)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스크류(110)의 흙을 제거할 때는 흙제거부(400)가 스크류(110)와 접하도록 하고, 흙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크류(110)와 흙제거부(400)가 이격되도록 하여 제거부재(450)의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기를 구성하는 하부 오거에 설치되어 스크류에 묻어 있는 흙을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별도로 스크류를 관리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인 천공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천공기 110 : 스크류
120 : 하부 오거 200,200',200" : 흙 제거장치
300 : 지지부 310,310',310" : 메인 지지부재
320,320" : 보조 지지부재 330 : 고정바
400 : 흙 제거부 410 : 설치판
420 : 제1스프링 430 : 제2스프링
440 : 고정 브라켓 450 : 제거부재
460 : 회전축 500 : 구동 실린더
510 : 유압 모터

Claims (13)

  1. 하부 오거 및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공기에 설치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오거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스크류의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흙 제거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전부에 구비되는 보조 지지부재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에 보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판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완충바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바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흙 제거부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완충바의 외측에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의 전부에 위치하여 설치판을 스크류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완충바의 외측에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의 후부에 위치하여 완충바를 스크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는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측부에는 고정 볼트가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에 삽입되는 제거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는 와이어 로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하단은 하부 오거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중심부에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구동 실린더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흙제거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흙제거부의 후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제거부는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거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부 오거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지지부재와,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브라켓의 단부에 설치되는 보조 지지부재와,
    상기 보조 지지부재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단부에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부재의 측부에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 브라켓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구동 실린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KR1020190100837A 2019-08-19 2019-08-19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KR10231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837A KR102315500B1 (ko) 2019-08-19 2019-08-19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837A KR102315500B1 (ko) 2019-08-19 2019-08-19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184A KR20210022184A (ko) 2021-03-03
KR102315500B1 true KR102315500B1 (ko) 2021-10-25

Family

ID=7515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837A KR102315500B1 (ko) 2019-08-19 2019-08-19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583B1 (ko) * 2021-09-03 2023-12-20 유호삼 오거 천공스크류의 부상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 공법
KR102374277B1 (ko) * 2021-11-29 2022-03-15 동명중기계 (주) 오거 스크루용 토사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58B1 (ko) * 2016-03-23 2016-10-12 이진영 오거 스크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
KR101939498B1 (ko) * 2017-10-18 2019-01-16 나춘식 천공기용 스크루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4387U (ko) * 1988-04-28 1989-11-16
JPH041288U (ko) * 1990-04-17 1992-01-08
KR101937703B1 (ko) 2018-07-16 2019-01-14 이진영 부토 비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58B1 (ko) * 2016-03-23 2016-10-12 이진영 오거 스크류의 잔류 토사 제거장치
KR101939498B1 (ko) * 2017-10-18 2019-01-16 나춘식 천공기용 스크루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184A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500B1 (ko)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KR102245741B1 (ko) 오거 스크류용 토사 제거장치
RU2428543C2 (ru) Фрезе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KR102226840B1 (ko) 천공스크류의 부상토 제거장치
KR102374277B1 (ko) 오거 스크루용 토사제거장치
KR20140047823A (ko) 파일드라이버용 분진방지 및 토사 제거장치
US2915288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boring wells, drifts and the like
JP2008008077A (ja) オールケーシング工法における拡大根造成方法及び拡大掘削装置
CN219430734U (zh) 一种能够自动移位与自动切割的钢轨式插板机
KR102538953B1 (ko) 천공기 오거스크류용 토사 제거장치
CN112982400A (zh) 护筒跟进型旋挖钻孔灌注桩钻具
JP3299023B2 (ja) ケーシングチューブ
JP3004903B2 (ja) 掘削装置
KR102590487B1 (ko) 케이싱오거의 부상토 제거가 가능한 오거 및 이를 이용한 천공 공법
JP2008201075A (ja) 床の穿孔方法及び被穿孔物の受け具
JP3648289B2 (ja) 硬岩層掘削方法及びその装置
JP4575877B2 (ja) 掘削機
JPH11270266A (ja) 清掃機構付杭施工機
US7861803B2 (en) Auxiliary equipment for use with drilling apparatus
JP3850997B2 (ja) 掘削装置の汚濁防止・ズリ受け装置
KR101658371B1 (ko) 굴삭기용 암반 천공장치
JP3839819B2 (ja) リバースサーキュレーションドリル
CN208650796U (zh) 具有自卸料功能的旋挖钻
KR101094276B1 (ko) 오거 드릴링 머신을 통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JP5700607B2 (ja) 岩盤削孔装置および岩盤削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