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069B1 -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 Google Patents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069B1
KR102315069B1 KR1020200093835A KR20200093835A KR102315069B1 KR 102315069 B1 KR102315069 B1 KR 102315069B1 KR 1020200093835 A KR1020200093835 A KR 1020200093835A KR 20200093835 A KR20200093835 A KR 20200093835A KR 102315069 B1 KR102315069 B1 KR 10231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transport vehicle
unmanned transpor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도 서
Original Assignee
한성웰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웰텍 (주) filed Critical 한성웰텍 (주)
Priority to KR102020009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remote control, e.g. for rel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sway control, e.g. stabilising or anti-fishtail devices; Sway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00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 B61G1/28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with vertical bolt or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운반차의 후방에 견인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무인운반차가 후진할 때는 견인장치와 무인운반차가 일직선상태가 되어 견인장치에 대차를 거는 동작이 작업자의 조작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무인운반차가 전방으로 주행할 때는 견인장치에 걸린 대차가 무인운반차가 주행하는 대로 직선주행이나 회전주행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지된 무인운반차(1)의 무인운반차본체(2) 후방에 대차(4)를 거는 견인장치(3)가 설치되는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무인운반차본체(2)의 후방측 상부에는 견인장치(3)의 전방에 수평 설치되는 힌지연결대(35)가 힌지식으로 끼워지는 회전축부(10)가 상향 설치되고, 이 회전축부(10) 양측의 무인운반차본체(2)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가이드레일(11)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가이드레일(11)에는 힌지연결대(35)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회전방지소켓(12)을 수평작동기(20)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회전방지소켓(12)의 중앙에는 힌지연결대(35)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U"형홈(13)이 형성되고, 양측 저면에 수평가이드레일(11)에 안내되는 가이드슈(14)가 설치되며;
상기 견인장치(3)는 무인운반차본체(2)의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견인장치본체(30)와, 견인장치본체(3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하며 대차(4)를 거는 승하강프레임(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견인장치본체(3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힌지프레임(31)의 수평부(33) 전방에 회전축부(10)가 힌지식으로 끼워지는 힌지구멍(34)을 구비한 힌지연결대(35)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힌지프레임(31)의 수직부(32) 양측에 수직가이드레일(36)이 수직 설치되며, 양측 수직가이드레일(36) 사이의 수직부(32)에는 승하강프레임(50)을 승하강동작시키는 수직작동기(4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작동기(40)는 힌지프레임(31)의 수평부(33) 상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작동기설치판(41)과, 수직부(32)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하부커버부(32a)와 작동기설치판(41) 사이에 수직 설치되며 모터(4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43)와, 스크류(43)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승하강프레임(50)의 수직부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50)은 "ㄴ"자 형태로 수직부(51)와 수평부(52)가 형성되며, 수직부(51)의 전면에는 중앙에 수직이동부(44)와 결합되는 수직이동부 설치구(53)와, 양측 수직가이드레일(36)에 안내되는 가이드슈(54)가 설치되고, 수평부(52)의 후방측 상부 양측에는 대차(4)를 걸게 되는 한 쌍의 걸이핀(56)이 수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Unmanned transport vehicle with bogie towing device}
본 발명은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운반차의 후방에 견인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무인운반차가 후진할 때는 견인장치와 무인운반차가 일직선상태가 되어 견인장치에 대차를 거는 동작이 작업자의 조작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무인운반차가 전방으로 주행할 때는 견인장치에 걸린 대차가 무인운반차가 주행하는 대로 직선주행이나 회전주행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무인운반차용 견인장치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0-0003779호로 출원되어 공개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무인운반차가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무인운반차에서 무동력의 일반대차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어서 무인운반차의 도착지점에 일반대차를 분리하기 위한 작업자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고정브래킷으로 무인운반차에 결합만 시켜주면 되므로 다양한 구성의 기존 무인운반차에 호환성 있게 장착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일반대차를 무인운반차에 결합 및 분리 시 사용상의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무인운반차의 후방에 대차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장치가 설치된 점에서는 본 발명과 공통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는 목적과 구성, 그리고 작용관계가 상이하여 비교대상이 되지 않으며, 무인운반차의 후방에 대차나 파렛트를 걸기 위한 견인장치가 후진할 때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방으로 주행할 때는 무인운반차가 주행하는 대로 직선방향이나 곡선방향으로 끌려가도록 된 기술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일반적인 주행차량의 후방에 무동력의 대차나 트레일러를 설치할 때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한다. 이 경우는 차량 후방과 대차나 트레일러의 전방측 연결부를 수작업으로 연결하므로 연결 상의 큰 문제가 없으나, 무인운반차의 경우는 무인운반차와 견인장치의 연결부를 힌지식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서로의 연결부가 자유롭게 각도가 틀어져서 무인으로 연결부를 연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0-3779호(고안의 명칭 : 무인운반차용 견인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인운반차의 후방에 견인장치를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하되, 무인운반차본체의 힌지축부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견인장치의 힌지연결대 외측에 회전방지소켓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회전방지소켓이 견인장치의 힌지연결대 외측을 감싸면 무인운반차본체의 힌지축부에서 견인장치의 힌지연결대가 힌지작용을 하지 않아서 무인운반차가 후진할 때는 견인장치가 직선으로 밀려가고, 무인운반차가 전진할 때는 회전방지소켓이 힌지연결대의 외측에서 빠져서 힌지축부와 힌지연결대가 힌지작용하여 무인운반차가 곡선 주행하는 경우라도 무인운반차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끌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지된 무인운반차의 무인운반차본체 후방에 대차를 거는 견인장치가 설치되는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무인운반차본체의 후방측 상부에는 견인장치의 전방에 수평 설치되는 힌지연결대가 힌지식으로 끼워지는 회전축부가 상향 설치되고, 이 회전축부 양측의 무인운반차본체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에는 힌지연결대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회전방지소켓을 수평작동기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회전방지소켓의 중앙에는 힌지연결대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U"형홈이 형성되고, 양측 저면에 수평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슈가 설치되며;
상기 견인장치는 무인운반차본체의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견인장치본체와, 견인장치본체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하며 대차를 거는 승하강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견인장치본체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힌지프레임의 수평부 전방에 회전축부가 힌지식으로 끼워지는 힌지구멍을 구비한 힌지연결대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힌지프레임의 수직부 양측에 수직가이드레일이 수직 설치되며, 양측 수직가이드레일 사이의 수직부에는 승하강프레임을 승하강동작시키는 수직작동기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작동기는 힌지프레임의 수평부 상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작동기설치판과, 수직부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하부커버부와 작동기설치판 사이에 수직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와, 스크류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승하강프레임의 수직부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은 "ㄴ"자 형태로 수직부와 수평부가 형성되며, 수직부의 전면에는 중앙에 수직이동부와 결합되는 수직이동부 설치구와, 양측 수직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슈가 설치되고, 수평부의 후방측 상부 양측에는 대차를 걸게 되는 한 쌍의 걸이핀이 수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는, 무인운반차의 후방에 견인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무인운반차가 후진할 때는 견인장치와 무인운반차가 일직선상태가 되어 견인장치에 대차를 거는 동작이 작업자의 조작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견인장치의 걸이핀에 대차를 자동으로 걸을 때, 대차의 전방 하측의 하부수평대가 자동으로 걸이핀과 정위치안착구 사이에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안착됨에 따라 무인운반차가 주행할 때 그 후방에 걸린 대차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아서 안정된 주행과 대차에 실린 적재물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무인운반차본체에 견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를 나타내는 평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견인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회전방지소켓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의 (가)(나)(다)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견인장치에 대차가 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지된 무인운반차(1)의 무인운반차본체(2) 후방에 대차(4)를 거는 견인장치(3)가 설치된 것이다.
도 2, 3,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무인운반차본체(2)의 후방측 상부에 견인장치(3)의 전방에 수평 설치되는 힌지연결대(35)가 힌지식으로 끼워지는 회전축부(10)가 상향 설치되고, 이 회전축부(10) 양측의 무인운반차본체(2)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가이드레일(11)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가이드레일(11)에는 힌지연결대(35)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회전방지소켓(12)을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회전방지소켓(12)의 중앙에는 힌지연결대(35)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U"형홈(13)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양측 저면에 수평가이드레일(11)에 안내되는 가이드슈(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소켓(12)의 "U"형홈(13) 내부 양측에는 견인장치(3)에 포함되는 힌지연결대(35)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안내롤러(15)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방지소켓(12)의 전방에는 연결브래킷(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평가이드레일(11) 전방의 무인운반차본체(2) 상에는 회전방지소켓(12)을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하는 수평작동기(20)가 설치되고, 이 수평작동기(20)의 수평이동부(24)와 회전방지소켓(12)의 전방에 구비된 연결브래킷(16) 사이에는 연결바(25)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작동기(20)는 무인운반차본체(2)의 상면에 설치되는 브래킷(21)과, 모터(22)에 의해 회전되게 브래킷(21) 상에 수평 설치되는 스크류(23)와, 스크류(23)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연결바(25)와 연결되는 수평이동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작동기(20)는 수평으로 왕복이동하게 하는 기구이면 가능하며,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수평작동기(20)를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할 때,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래크를 수평이동부라고 칭할 수 있고, 실린더의 경우에 실린더로드를 수평이동부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견인장치(3)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인운반차본체(2)의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견인장치본체(30)와, 견인장치본체(3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하며 대차를 거는 승하강프레임(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견인장치본체(3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힌지프레임(31)의 수평부(33) 전방에 회전축부(10)가 힌지식으로 끼워지는 힌지구멍(34)을 구비한 힌지연결대(35)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힌지프레임(31)의 수직부(32) 양측에 수직가이드레일(36)이 수직 설치되며, 양측 수직가이드레일(36) 사이의 수직부(32)에는 승하강프레임(50)을 승하강동작시키는 수직작동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작동기(40)는 힌지프레임(31)의 수평부(33) 상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작동기설치판(41)과, 수직부(32)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하부커버부(32a)와 작동기설치판(41) 사이에 수직 설치되며 모터(4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43)와, 스크류(43)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승하강프레임(50)의 수직부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43)와 근접한 수직부(32)에는 수직이동부(44)의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돌기부(37a)와의 접촉에 의해 승하강프레임(50)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여 모터(42)를 제어하는 상하측 리미트스위치(37)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스크류(43) 양측의 작동기설치판(41)과 하부커버부(32a) 사이에는 승하강안내봉(38)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견인장치본체(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50)은 "ㄴ"자 형태로 수직부(51)와 수평부(52)가 형성되며, 수직부(51)의 전면에는 중앙에 수직이동부(44)와 결합되는 수직이동부 설치구(53)와, 양측 수직가이드레일(36)에 안내되는 가이드슈(54)와, 양측 승하강안내봉(38)에 안내되는 가이드봉 안내구(55)가 설치되고, 수평부(52)의 후방측 상부 양측에는 대차(4)를 걸게 되는 한 쌍의 걸이핀(56)이 수직 설치되며, 걸이핀(56)과 수직부(51)의 사이에는 대차(4)의 하부수평대(5)가 정위치에 안착되게 하는 한 쌍의 정위치안착구(57)가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위치안착구(57)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부(51)과 걸이핀(56) 사이의 수평부(52)에 관통 형성된 통공(57a) 하측에 수평부(52)의 상면으로 상향돌출되게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이 정위치안착구(57)는 수직부(51)를 향하는 전방이 하향 경사진 전방경사부(58)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수평대(5)의 전면이 걸리는 후방수직부(59)가 절곡 형성되며, 이 정위치안착구(57)의 전방측 단부가 통공(57a) 하측에 수평부(52)에 스프링을 끼운 상태로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중 미설명부호 "35a"는 힌지프레임(31)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롤러부의 저면이 무인운반차본체(2)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축부(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프레임(31)이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지지롤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무인운반차(1)은 공지된 무인운반차에 견인장치(3)를 추가로 설치한 것임에 따라 공지된 무인운반차가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주행하고 정지하는 등의 작용은 동일하므로 무인운반차의 작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상태의 무인운반차(1)의 후방에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견인장치(3)가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견인장치(3)는 무인운반차(1)의 무인운반차본체(2)의 후방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견인장치본체(30)와, 견인장치본체(30)에 포함하는 힌지프레임(31)의 후방에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승하강프레임(50)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대차(4)는 도 7에 일부분만 도시하였으나, 통상 사각틀체형으로 형성되되어 내측에 물체가 담기도록 하며, 물체가 담기는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하부수평대(5)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수평대(5)의 하방에는 바퀴(6)가 설치되어 하부수평대(5)의 하부는 바닥면(7)과 간격을 두어 그 간격으로 통상적으로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무인운반차(1)의 후방에 대차(4)를 매달아서 목적하는 장소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대차(파렛트 포함)가 비치된 위치로 무인운반차(1)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대차(4)의 하부에 간격을 형성하는 하부수평대(5)의 저면과 바닥면(7) 사이로 견인장치(3)의 후방에 설치된 수평부(52)를 도 7과 같이 삽입시켜야 한다.
이때는 도 7의 (가)와 같이 승하강프레임(50)의 수평부(52)가 바닥면(7)과 근접하도록 승하강프레임(50)을 하강시켜서 수평부(52)에 수직 설치된 걸이핀(56)이 대차(4) 하방의 하부수평대(5)에 걸리지 않고 걸이핀(56)을 포함한 수평부(52)가 하부수평대(5) 하측으로 삽입되게 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도 2, 3 및 도 5,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힌지프레임(31)에 설치된 수직작동기(40)가 동작되어 수직작동기(40)에 설치된 모터(42)가 회전하여 스크류(43)가 회전하게 되며, 스크류(43)는 승하강프레임(50)에 포함되는 수직부(51) 전면에 설치되면서 스크류(43)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서 승하강프레임(50)이 하강하게 된다.
승하강프레임(50)이 하강할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스크류(43)의 양측에 한 쌍의 수직가이드레일(36)과, 또 다른 한 쌍의 승하강안내봉(38)이 수직 설치되고, 승하강프레임(50)의 수직부(51) 전면에는 상기 수직가이드레일(36)과 승하강안내봉(38)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슈(54)와 가이드봉 안내구(55)가 각각 설치되어서 상기 스크류(4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50)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본 발명에서 서로 승하강을 안내하게 조합되는 수직가이드레일(36)과 가이드슈(54), 그리고 승하강안내봉(38)과 가이드봉 안내구(55)를 이중으로 설치하였으나, 이들 승하강안내수단은 수직가이드레일(36)과 가이드슈(54), 그리고 승하강안내봉(38)과 가이드봉 안내구(55) 중에 하나만 선택하여 설치해도 무방하다.
위와 같이 승하강안내수단에 의해 승하강프레임(50)이 안내되면서 하강하는 과정에서 스크류(43)의 외측에 체결되고, 승하강프레임(50)의 수직이동부 설치구(53)에 설치된 수직이동부(44)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스위치 접촉돌기(37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승하강프레임(50)과 함께 수직이동부(44)가 하강하면서 힌지프레임(31)의 수직부(32)에 설치된 하측 리미트스위치(37)를 접촉시키면 모터(42)가 정지하여 도 7의 (가)와 같이 승하강프레임(50)의 수평부(52)가 바닥면(7)과 근접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무인운반차(1)를 후진시켜서 견인장치(3) 후방의 수평부(52)를 대차(4) 하방의 하부수평대(5) 하부로 삽입시키는데, 이때는 도 2, 3,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인운반차본체(2)의 상측에 설치된 수평작동기(20)를 작동시켜서 회전방지소켓(12)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견인장치(3)의 선단부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힌지연결대(35)의 전방과 양측을 "⊂"형으로 감싸게 하여 힌지연결대(35)의 선단부가 회전축부(10)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힌지연결대(35)는 회전하지 않고 무인운반차본체(2)와 견인장치(3)가 일직선상태가 된다.
상기 수평작동기(20)의 동작은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23)에 수평이동부(24)가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이 수평이동부(24)의 후방에는 연결바(25)를 통하여 회전방지소켓(12)의 전방에 설치된 연결브래킷(16)이 연결되어서 회전방지소켓(12)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소켓(12)의 양측 저면에는 무인운반차본체(2)의 상면에 전후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레일(11)에 안내되는 가이드슈(14)가 설치되어서 회전방지소켓(12)이 후방으로 안정되고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회전방지소켓(12)의 후방측에 형성된 "U"형홈(13)이 힌지연결대(35)의 선단부, 즉 전방과 양측을 감싸서 힌지연결대(35)가 회전하지 못하고 무인운반차본체(2)와 견인장치(3)가 일직선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무인운반차(1)가 후진하게 되면, 먼저 도 7의 (가)와 같이 높이가 낮아진 수평부(52)가 대차(4) 하측에 수평 설치된 하부수평대(5)의 하부로 삽입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수평부(52)의 후방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핀(56)도 하부수평대(5)의 하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걸이핀(56)이 설치된 수평부(52)가 대차(4)의 하부수평대(5) 하부로 삽입된 뒤에는 도 7의 (나)와 같이 수직작동기(40)의 모터(42)를 구동시키되, 승하강프레임(50)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스크류(43)를 회전시키면 스크류(43)와 나사식으로 체결된 수직이동부(44)가 승하강프레임(50)의 수직부(51)에 설치되어서 하부수평대(5)가 상승하게 된다.
위와 같이 승하강프레임(50)이 상승할 때, 수직이동부(44)가 함께 상승하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이동부(44)의 일측에 돌출된 스위치 접촉돌기부(37a)가 상측 리미트스위치(37)와 접촉되게 되고, 그 접촉에 의해 모터(42)가 정지되어 승하강프레임(50)의 상승이 정지되고 상측으로 이동된 높이를 유지하는데, 이때는 도 7의 (나)와 같이 대차(4)의 하부수평대(5)가 수평부(52)에 얹혀서 걸이핀(56)에 하부수평대(5)가 걸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부(52)가 하부수평대(5)의 하부로 삽입될 때, 승하강프레임(50)의 수직부(51)와 걸이핀(56) 사이의 간격을 하부수평대(5)의 소재 폭보다 여유 있게 설계하고, 그렇게 여유 있게 공간을 확보한 수평부(52)에 정위치안착구(57)를 탄력적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서 수직부(51)와 걸이핀(56) 사이로 하부수평대(5)가 용이하게 삽입안착되도록 하였으며, 무인운반차(1)가 전진하면 정위치안착구(57)가 스프링의 탄력으로 상승하여 후방수직부(59)와 걸이핀(56)사이에 하부수평대(5)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 때, 상기 정위치안착구(57)와 걸이핀(56)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그들 사이에 삽입 안착된 하부수평대(5)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한다.
도 7의 (나)와 같이 수평부(52)에 하부수평대(5)가 얹히는 과정에서 정위치안착구(57)의 상부로 하부수평대(5)가 얹히는 경우에는 승하강프레임(50)이 상승할 때, 정위치안착구(57)에 설치된 스프링이 하부수평대(5)의 무게에 의해 눌리면서 정위치안착구(57)가 수평부(52)의 상면과 수평면 상으로 눌리면서 힌지식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무인운반차(1)가 전방으로 주행을 시작하면, 하부수평대(5)와 걸이핀(56)이 "a"와 같이 간격을 두고 있으며 대차(4) 자체의 무게에 의해 대차(4)는 바닥면(7)에 세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대차(4)는 제자리에 있고 무인운반차(1)와 그 뒤에 매달린 견인장치(3)의 수평부(52)가 도 7의 (다)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하부수평대(5)는 정위치안착구(57)를 벗어나면서 하측의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상승하여 정위치안착구(57)의 후방수직부(59)와 걸이핀(56) 사이에 하부수평대(5)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는 하부수평대(5)의 전방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정위치안착구(57)의 후방수직부(59)와 걸이핀(56)의 사이에 하부수평대(5)가 끼인 상태가 되고, 각각의 정위치안착구(57)과 걸이핀(56)은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에 한 쌍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사이에 대차(4)의 하부수평대(5)가 길게 설치되어서 무인운반차(1)가 주행할 때 대차(4)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무인운반차(1)의 후방에 설치된 견인장치(3)에 대차(4)를 걸어서 전방으로 이동을 시작하면, 하부수평대(5)의 후면이 하부수평대(5)에 걸려서 무인운반차(1)가 주행하는 대로 끌려가게 되고, 도 2 및 도 6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인운반차(1)가 전방으로 주행을 시작할 때는 무인운반차본체(2)의 상면 소정위치에 설치된 수평작동기(20)를 동작시키되, 수평작동기(20)와 연결된 회전방지소켓(12)이 전방으로 당겨지도록 수평작동기(20)를 동작시킨다.
상기 수평작동기(20)의 수평이동부(2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회전방지소켓(12)이 수평가이드레일(11)에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힌지연결대(35)의 전방과 양측을 감싸던 "U"형홈(13)이 힌지연결대(35)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벗어남에 따라 회전축부(10)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힌지연결대(35)가 "b"와같이 회전축부(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인운반차(1)가 직선주행하거나 곡선주행을 할 때, 무인운반차(1)의 후방에 회전축부(10) 한점이 힌지 설치된 견인장치(3)는 무인운반차(1)가 주행하는 대로 따라 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소켓(12)의 "U"형홈(13) 내부 양측에는 견인장치(3)의 힌지연결대(35)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안내롤러(15)가 설치되어 회전방지소켓(12)과 힌지연결대(35)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프레임(31)의 수평부(33) 저면에 무인운반차본체(2)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5a)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무인운반차(1)가 곡선 주행할 때, 힌지연결대(35)에 힌지설치된 회전축부(10)를 중심으로 도 6의 (나)와 같이 회전할 때, 수평부(33)가 무인운반차본체(2)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1 : 무인운반차 2 : 무인운반차본체 3 : 견인장치
4 : 대차 5 : 하부수평대 6 : 바퀴
7 : 바닥면 10 : 회전축부 11 : 수평가이드레일
12 : 회전방지소켓 13 : "U"형홈 14 : 가이드슈
15 : 안내롤러 16 : 연결브래킷 20 : 수평작동기
21 : 브래킷 22 : 모터 23 : 스크류
24 : 수평이동부 25 : 연결바 30 : 견인장치본체
31 : 힌지프레임 32 : 수직부 33 : 수평부
34 : 힌지구멍 35 : 힌지연결대 36 : 수직가이드레일
37 : 리미트스위치 38 : 승하강안내봉 40 : 수직작동기
41 : 작동기설치판 42 : 모터 43 : 스크류
44 : 수직이동부 50 : 승하강프레임 51 : 수직부
52 : 수평부 53 : 수직이동부 설치구 54 : 가이드슈
55 : 가이드봉 안내구 56 : 걸이핀 57 : 정위치안착구
58 : 전방경사부 59 : 후방수직부

Claims (3)

  1. 공지된 무인운반차(1)의 무인운반차본체(2) 후방에 대차(4)를 거는 견인장치(3)가 설치되는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무인운반차본체(2)의 후방측 상부에는 견인장치(3)의 전방에 수평 설치되는 힌지연결대(35)가 힌지식으로 끼워지는 회전축부(10)가 상향 설치되고, 이 회전축부(10) 양측의 무인운반차본체(2)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가이드레일(11)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가이드레일(11)에는 힌지연결대(35)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회전방지소켓(12)을 수평작동기(20)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회전방지소켓(12)의 중앙에는 힌지연결대(35)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U"형홈(13)이 형성되고, 양측 저면에 수평가이드레일(11)에 안내되는 가이드슈(14)가 설치되며;
    상기 견인장치(3)는 무인운반차본체(2)의 후방에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견인장치본체(30)와, 견인장치본체(3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하며 대차(4)를 거는 승하강프레임(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견인장치본체(3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힌지프레임(31)의 수평부(33) 전방에 회전축부(10)가 힌지식으로 끼워지는 힌지구멍(34)을 구비한 힌지연결대(35)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힌지프레임(31)의 수직부(32) 양측에 수직가이드레일(36)이 수직 설치되며, 양측 수직가이드레일(36) 사이의 수직부(32)에는 승하강프레임(50)을 승하강동작시키는 수직작동기(4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작동기(40)는 힌지프레임(31)의 수평부(33) 상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작동기설치판(41)과, 수직부(32)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하부커버부(32a)와 작동기설치판(41) 사이에 수직 설치되며 모터(4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43)와, 스크류(43)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승하강프레임(50)의 수직부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50)은 "ㄴ"자 형태로 수직부(51)와 수평부(52)가 형성되며, 수직부(51)의 전면에는 중앙에 수직이동부(44)와 결합되는 수직이동부 설치구(53)와, 양측 수직가이드레일(36)에 안내되는 가이드슈(54)가 설치되고, 수평부(52)의 후방측 상부 양측에는 대차(4)를 걸게 되는 한 쌍의 걸이핀(56)이 수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작동기(20)는 무인운반차본체(2)의 상면에 설치되는 브래킷(21)과, 모터(22)에 의해 회전되게 브래킷(21) 상에 수평 설치되는 스크류(23)와, 스크류(23)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수평이동부(24)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방지소켓(12)의 전방에는 연결브래킷(16)이 설치되고 수평이동부(24)와 연결브래킷(16) 사이에는 연결바(25)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43)와 근접한 수직부(32)에는 수직이동부(44)의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돌기부(37a)와의 접촉에 의해 승하강프레임(50)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여 모터(42)를 제어하는 상하측 리미트스위치(37)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핀(56)과 수직부(51) 사이의 수평부(52)에 통공(57a)이 형성되고, 이 통공(57a)의 하측에는 수평부(52)의 상면으로 상향돌출되는 정위치안착구(57)를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하되, 이 정위치안착구(57)는 전방이 하향 경사진 전방경사부(58)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수평대(5)의 전면이 걸리는 후방수직부(59)가 절곡 형성되며, 이 정위치안착구(57)의 전방측 단부가 통공(57a) 하측에 수평부(52)에 스프링을 끼운 상태로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KR1020200093835A 2020-07-28 2020-07-28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KR102315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35A KR102315069B1 (ko) 2020-07-28 2020-07-28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35A KR102315069B1 (ko) 2020-07-28 2020-07-28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069B1 true KR102315069B1 (ko) 2021-10-20

Family

ID=7826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35A KR102315069B1 (ko) 2020-07-28 2020-07-28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566A1 (en) * 2022-01-31 2023-08-03 M-Mover Holdings Limited A load transport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79U (ko) 2008-09-30 2010-04-08 허성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온도보상 바이메탈과 석방레버의 결합구조
KR101163310B1 (ko) * 2010-06-10 2012-07-05 주식회사 윌테크 대차 견인 이송장치
KR101863738B1 (ko) * 2017-11-15 2018-07-04 주식회사 로탈 승강식 대차견인기구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US20190168829A1 (en) * 2016-07-14 2019-06-06 Aichikikai Technosystem Co., Ltd. Towing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US20190202249A1 (en) * 2016-07-14 2019-07-04 Aichikikai Technosystem Co., Ltd. Towing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79U (ko) 2008-09-30 2010-04-08 허성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온도보상 바이메탈과 석방레버의 결합구조
KR101163310B1 (ko) * 2010-06-10 2012-07-05 주식회사 윌테크 대차 견인 이송장치
US20190168829A1 (en) * 2016-07-14 2019-06-06 Aichikikai Technosystem Co., Ltd. Towing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US20190202249A1 (en) * 2016-07-14 2019-07-04 Aichikikai Technosystem Co., Ltd. Towing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KR101863738B1 (ko) * 2017-11-15 2018-07-04 주식회사 로탈 승강식 대차견인기구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566A1 (en) * 2022-01-31 2023-08-03 M-Mover Holdings Limited A load transpor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92079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2395345A (en) Industrial truck
AU2009323228B2 (en) Dock leveler
US5158413A (en) Car parking frame
US3168956A (en) Fork lift trucks
KR102315069B1 (ko) 대차 견인장치가 구비된 무인운반차
JP3787351B1 (ja) 荷搬出入装置
US1954345A (en) Industrial truck
JP2573699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設備
JP2640886B2 (ja) 自走組付け台車
US4164187A (en) Motorized overhead trolley
JP2882776B2 (ja) 立体駐車装置
JP4062590B2 (ja) 被搬送物吊下搬送用ハンガー
JP4505298B2 (ja) 立体駐車装置のパレット固定装置
CN214327009U (zh) 空中流水线用车架防晃装置
JP3032607U (ja) 貨物自動車
JP3166761B2 (ja) 貨物車両のプラットフォーム支持装置
JP2528973Y2 (ja) 可動床装置
JPH078756Y2 (ja) 移動間仕切りの吊支装置
JPS6225459Y2 (ko)
JPH0657991A (ja) 地下立体駐車場
CN113104700A (zh) 一种悬挂式楼房仓库升降机
KR20170011243A (ko) 슬라이드-틸트형 창문
JPH0192107A (ja) 倉庫用クレーンの昇降キャレッジ駆動装置
JPH0818644B2 (ja) ガイドレールに沿って走行する走行台車の車輪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