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765B1 -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765B1
KR102314765B1 KR1020190090160A KR20190090160A KR102314765B1 KR 102314765 B1 KR102314765 B1 KR 102314765B1 KR 1020190090160 A KR1020190090160 A KR 1020190090160A KR 20190090160 A KR20190090160 A KR 20190090160A KR 102314765 B1 KR102314765 B1 KR 10231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extract
powd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432A (ko
Inventor
박동천
Original Assignee
울산솔루션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솔루션협동조합 filed Critical 울산솔루션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9009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7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01N25/0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rodenticid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쌀, 옥수수, 귀리, 수수 및 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곡물 분말; 와파린, 쿠마테트라릴, 브로디파쿰, 브로마디오론, 다이페나쿰, 플로쿠마펜, 다이페치알론, 브로메탈린, 다이파시논, 클로르파시논, 콜레칼시페롤, 인화아연 및 쿠마클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독성 성분; 및 멸치 분말, 땅콩 분말, 콩 떡밥, 붕어 떡밥 및 설탕으로 구성된 유인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 표면을 감싸는 쉘을 포함하는, 구서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구서제는 눈, 비 등 외부환경에 의해 용해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논, 밭 등에 사용할 수 있고, 애완동물 또는 가축의 섭취를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구서작용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RODENTICIDE WITH LIVESTOCK PROTECTION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개시된 내용은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서제란 살서제 또는 쥐약이라고도 불리며, 농림업상 해를 주는 쥐, 두더지 등의 설치류를 구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아비산제, 바륨제, 유기불소제, 인화아연 등의 급성 구서작용제와 와르파린, 토모린 등 쿠마린계 만성 구서제로 분류된다.
종래의 황린제, 아비산제 등의 급성 구서작용제는 자살, 타살 또는 과실로 인한 사고가 다수 발생하여 최근에는 쿠마린계 유도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쿠마린계 유도체는 프로트롬빈의 생성을 저해하여 안저출혈로 인한 실명과 중독사를 유도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어두운 구석이 아닌 밝은 장소에서 구제되므로, 위생적으로 처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1인가족이 확산되고, 노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000만명을 돌파하였다. 그에 따라 구서제를 애완동물이 섭취하여 중독되는 사고의 발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구서제는 펠릿화된 알약 제제의 형태로, 곡물 등의 유인제와 혼합배치하여 설치하므로 애완동물 또는 가축이 섭취하는 것을 막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1439호에는 쿠마테트라릴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살서효과가 크게 개선된 만성항혈액 응고성 살서제가 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357호에는 플로쿠마펜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서제 조성물을 통해 난용성이 증가된 살서제를 제조하여 기존의 형태로 사용이 어려운 하수구, 맨홀, 농장, 산림지역 뿐만 아니라, 빗물과 수분이 많은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살서제가 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8313호에는 왈파린, 쿠마테트라릴, 브로디파쿰, 다이페나쿰, 풀로쿠마펜, 다이페치알론, 브로메탈린, 다이파시논, 클로르파시논, 쿠마클로에서 선택된 일 성분을 활성성분으로 하여 블록타입으로 성형한 살서제가 개시된다.
이와 같이 공지의 살서제는 성형방법을 개선하여 사용장소의 다변화를 꾀하거나, 살서효과를 개선하였을 뿐 가축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서제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14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3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8313호
개시된 내용은 애완동물 또는 가축의 섭취를 방지하는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쌀, 옥수수, 귀리, 수수 및 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곡물 분말; 왈파린, 쿠마테트라릴, 브로디파쿰, 브로마디오론, 다이페나쿰, 플로쿠마펜, 다이페치알론, 브로메탈린, 다이파시논, 클로르파시논, 콜레칼시페롤, 인화아연 및 쿠마클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독성 성분; 및 멸치 분말, 땅콩 분말, 콩 떡밥, 붕어 떡밥 및 설탕으로 구성된 유인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 표면을 감싸는 쉘을 포함하는, 구서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곡물 분말 60~70중량부; 상기 독성 성분 5~10중량부; 상기 멸치 분말 5~10중량부; 상기 땅콩 분말 5~10중량부; 상기 콩 떡밥 1~5중량부; 상기 붕어 떡밥 1~5중량부; 및 상기 설탕 5~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곡물 분말의 평균 입경은 0.05~0.15 mm이고, 상기 멸치 분말, 땅콩 분말, 콩 떡밥 및 붕어 떡밥의 평균 입경은 0.05~0.5 mm이고, 상기 설탕의 평균 입경은 0.5~1.5 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코어는 과립형 또는 블록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쉘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쉘은 레몬 추출물, 감귤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및 제라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도포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a) 곡물 분말 60~70중량부, 독성 성분 5~10중량부, 멸치 분말 5~10중량부, 땅콩 분말 5~10중량부, 콩 떡밥 1~5중량부, 붕어 떡밥 1~5중량부 및 설탕 5~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소분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어 표면에 쉘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서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서제는 눈, 비 등 외부환경에 의해 용해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논, 밭 등에 사용할 수 있고, 애완동물 또는 가축의 섭취를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구서작용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구서제
개시된 내용은 쌀, 옥수수, 귀리, 수수 및 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곡물 분말; 와파린, 쿠마테트라릴, 브로디파쿰, 브로마디오론, 다이페나쿰, 플로쿠마펜, 다이페치알론, 브로메탈린, 다이파시논, 클로르파시논, 콜레칼시페롤, 인화아연 및 쿠마클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독성 성분; 및 멸치 분말, 땅콩 분말, 콩 떡밥, 붕어 떡밥 및 설탕으로 구성된 유인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 표면을 감싸는 쉘을 포함하는, 구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곡물 분말은 상기 구서제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증량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 분말은 점성을 보유하여 구서제의 구성성분 간 결합시키는 결합제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설치류, 특히 쥐과 동물이 곡물을 선호하므로 구서제의 섭취욕구를 촉진시키는 유인제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전염병예방용 살충제 등의 효력시험 가이드라인(2008.12.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살서제를 만성살서제, 지효성 급성살서제, 속효성 급성살서제로 분류하고 있다. 만성살서제란 쥐과 동물이 수차례 섭취한 이후 구제되는 살서제이다. 지효성 급성살서제는 1회만 섭취하더라도 구제효과를 발현하나, 섭취 이후 일정시간의 경과 후 작용하는 살서제이다. 속효성 급성살서제는 섭취 직후 구제효과를 발현하는 살서제이다. 이러한 급성살서제의 예시로는 액체 쥐약이 있다.
살서제 섭취를 통한 자살 등 다수의 사건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최근에는 저독성의 만성살서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상기 독성 성분으로는 만성살서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만성살서제 성분으로는 일반적으로 항응고제가 사용된다. 항응고제는 비타민 K 의존성 응고인자인 프로트롬빈의 합성을 방해하여 출혈 및 사망에 이르게 한다. 섭취 후 12~24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출혈이 발생하며, 흉강 또는 복강과 같은 내부 기관에서 일어나는 것이 대다수이나, 코피, 혈구토, 혈변과 같은 외부 출혈을 나타내기도 한다. 흉강 내 출혈 발생 시 산소공급이 어려워 호흡곤란 증세와 쇼크를 동반한다.
애완동물이 만성살서제를 섭취 시 수혈, 비타민 K 투여를 통해 회복될 수 있으나, 잠복기로 인하여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쉬워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독성 성분 중 브로메탈린은 뇌와 척수신경의 부종을 유발하는 신경독성 성분으로, 4~36시간 내에 과흥분, 근육 떨림, 전신발작, 과다반사, 의식저하, 고체온 등의 증세를 일으키고, 그 결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증세가 발현된 이후에는 치료를 통한 회복이 어렵다.
콜레칼시페롤 독성 성분은 비타민 D3로, 적정량 섭취 시 영양제로 기능하나 과량 섭취하면 고인혈증, 고칼슘혈증을 유발하여 신부전, 심장이상, 고혈압, 의식저하, 식욕결핍, 구토 및 설사 등의 증세를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별한 진단방법이 부재하며, 신부전 증세가 발현된 이후에는 치료를 통한 회복이 어렵다.
인화아연 독성 성분을 섭취하면 소화관 내부의 산과 반응하여 독성 물질인 포스핀 가스가 생성되어 급성 비심인성 폐수종으로 인한 호흡곤란 증세를 일으킨다. 음식물 없이 섭취한 경우 체내로 흡수되어 간부전 또는 신부전을 일으키며, 치료를 통한 회복이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구서제에 포함되는 대다수의 독성 성분은 섭취 후 치료가 어렵고, 비가역적인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구서제의 사용 시 청색 또는 검은색으로 염색하여 음식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드시 구서제를 미끼통 내부에 설치하도록 하는 규정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은 애완동물 주인의 주의 및 감시를 요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상기 독성 성분은 과립 형태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서제 중앙에 배치되거나 가루로 분쇄 후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구서제는 애완동물, 특히 개 또는 고양이의 섭취를 방지하면서도 쥐과 동물에 대한 구제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유인제 혼합물에 포함되는 멸치 분말, 땅콩 분말, 콩 떡밥, 붕어 떡밥 및 설탕은 쥐과 동물이 선호하나 개 또는 고양이가 비선호하는 성분으로, 애완동물의 섭취를 방지하는 일차적인 보호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설탕은 상기 곡물 분말과 반응하여 공기 중의 수분흡수를 통해 점성 물질로의 변화를 촉진함으로써 상기 코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서제는 상기 곡물 분말 60~70중량부; 상기 독성 성분 5~10중량부; 상기 멸치 분말 5~10중량부; 상기 땅콩 분말 5~10중량부; 상기 콩 떡밥 1~5중량부; 상기 붕어 떡밥 1~5중량부; 및 상기 설탕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서제의 구성성분이 상기 함량 조건을 만족하면 구서제의 단위중량당 구서효과가 최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에서는 상기 코어의 결합력이 필요한 수준을 충족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곡물 분말의 평균 입경은 0.05~0.15 mm이고, 상기 멸치 분말, 땅콩 분말, 콩 떡밥 및 붕어 떡밥의 평균 입경은 0.05~0.5 mm이고, 상기 설탕의 평균 입경은 0.5~1.5 mm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물 분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결합제로서의 기능이 최적발현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멸치 분말, 땅콩 분말, 콩 떡밥 및 붕어 떡밥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각각 성분의 분산성이 개선되어 최종 제품이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과립형 또는 블록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립형 또는 블록형은 5~15 g의 구서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쉘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표면을 감싸고, 애완동물은 선호하지 않는 상기 쉘은 애완동물의 구서제 섭취를 방지하는 이차적 보호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쉘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이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쉘은 비닐포장에 해당할 수 있다. 후각이 예민한 애완동물은 이러한 비닐 소재를 비선호하므로, 구서제 섭취 방지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쉘은 레몬 추출물, 감귤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및 제라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몬, 감귤, 오렌지 등 신맛이 나는 과일 향의 강한 자극성으로 인하여 후각이 예민한 개 또는 고양이는 이러한 추출물을 비선호한다. 크레졸, 나프탈렌, 암모니아 등의 화학물질은 개 또는 고양이가 비선호하는 방향물질이나 이러한 화학물질은 쥐과 동물의 구서제 섭취를 억제하여 구서효과가 감소할 수 있는 반면, 상기 추출물들은 개 또는 고양이가 비선호하되 쥐과 동물은 선호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표면에 도포된 상기 추출물은 애완동물의 구서제 섭취를 방지하는 삼차적 보호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구서제의 제조방법
개시된 내용은 (a) 곡물 분말 60~70중량부, 독성 성분 5~10중량부, 멸치 분말 5~10중량부, 땅콩 분말 5~10중량부, 콩 떡밥 1~5중량부, 붕어 떡밥 1~5중량부 및 설탕 5~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소분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어 표면에 쉘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곡물 분말, 독성 성분 등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된 각 성분의 특징은 상기 구서제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a) 단계는 교반기 등의 교반수단 또는 수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이 균일할 수록 최종 제품의 물성편차가 감소한다.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은 최종 제품을 1,000~1,200개 생산할 수 있는 분량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소분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코어는 로터리 타정기 등으로 가압성형하여 제조되거나, 수작업으로 압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어의 성분이 곡물 분말, 설탕과 각종 떡밥 등을 포함하여 필요한 수준의 결합력을 수작업만으로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소분은 각 코어가 5~15 g의 중량을 가지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코어 표면에 쉘을 코팅하는 단계로,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제조된 비닐 필름으로 포장하여 각 추출물을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각각의 추출물 용액에 상기 코어를 침지시키는 딥 코팅(dip coating), 상기 코어에 각각의 추출물 용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을 수행하거나, 붓으로 추출물 용액을 도포하는 브러싱(brushing) 등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구서제의 특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구서제의 제조
쌀 분말 10 kg, 쿠마테트라릴 과립 1 kg, 멸치가루 1 kg, 평균 입도 0.1mm의 콩떡밥 0.5 kg, 평균 입도 0.1mm의 붕어떡밥 0.5 kg, 평균 입도 0.1mm의 땅콩분말 0.5 kg, 평균 입도 1 mm의 설탕 1 k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 g 단위로 소분 및 비닐포장하여 구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구서제의 제조
상기 혼합물을 10 g 단위로 소분 및 비닐포장 후 감귤 추출물을 코팅하여 구서제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구서제의 제조
상기 혼합물을 10 g 단위로 소분 후 감귤 추출물을 코팅하여 구서제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서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쿠마테트라릴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을 제조하였다. 상기 샘플을 사육 중인 개 주변에 두었으나, 전혀 섭취하지 않았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의 구서제를 쥐가 출몰한 마루 하부에 15개를 배치하였다. 사흘 뒤, 구서제가 전부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쌀, 옥수수, 귀리, 수수 및 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곡물 분말 60~70중량부, 와파린, 쿠마테트라릴, 브로디파쿰, 브로마디오론, 다이페나쿰, 플로쿠마펜, 다이페치알론, 브로메탈린, 다이파시논, 클로르파시논, 콜레칼시페롤, 인화아연 및 쿠마클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독성 성분 5~10중량부, 멸치 분말 5~10중량부, 땅콩 분말 5~10중량부, 콩 떡밥 1~5중량부, 붕어 떡밥 1~5중량부, 및 설탕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 표면을 감싸며 필름 형태로 형성되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쉘;을 포함하고,
    상기 쉘의 표면에는 레몬 추출물, 감귤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및 제라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도포된 구서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분말의 평균 입경은 0.05~0.15 mm이고,
    상기 멸치 분말, 땅콩 분말, 콩 떡밥 및 붕어 떡밥의 평균 입경은 0.05~0.5 mm이고,
    상기 설탕의 평균 입경은 0.5~1.5 mm인, 구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과립형 또는 블록형인, 구서제.
  5. 삭제
  6. 삭제
  7. (a) 곡물 분말 60~70중량부, 독성 성분 5~10중량부, 멸치 분말 5~10중량부, 땅콩 분말 5~10중량부, 콩 떡밥 1~5중량부, 붕어 떡밥 1~5중량부 및 설탕 5~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소분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어 표면에 쉘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쉘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쉘의 표면에는 레몬 추출물, 감귤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및 제라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이 도포되는 구서제의 제조방법.
KR1020190090160A 2019-07-25 2019-07-25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1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160A KR102314765B1 (ko) 2019-07-25 2019-07-25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160A KR102314765B1 (ko) 2019-07-25 2019-07-25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432A KR20210012432A (ko) 2021-02-03
KR102314765B1 true KR102314765B1 (ko) 2021-10-20

Family

ID=7457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160A KR102314765B1 (ko) 2019-07-25 2019-07-25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7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313B1 (ko) 2002-04-29 2005-01-27 청진제약 주식회사 블록타입의 살서제 조성물
KR20060125628A (ko) * 2006-10-04 2006-12-06 성옥 오 쥐약비누조성물
KR101104357B1 (ko) 2010-02-09 2012-01-16 주식회사락희제약 살서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61439B1 (ko) 2016-02-12 2016-10-10 김대진 쿠마테트라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과립제형 또는 타원형 고형제형 만성 항혈액 응고성 살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9093A (ko) * 2016-11-25 2018-06-04 성진제약(주) 과립 또는 블록타입의 살서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432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7876B2 (en) Rodenticide
EP2090164B1 (en) A rodenticide bait based on a synergetic association of anticoagulant active ingredients
WO201702783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est control
EP2194790A2 (de) Rodentizide mischung
EP1505872A1 (de) Rodentizide k dersysteme
DE60200915T2 (de) Kombinierter Köder mit Ratten vergiftender Wirkung
Gupta et al. Toxic effects of pesticides and agrochemicals
AU2012367809B2 (en) Rodent control device
CN103314957B (zh) 一种松脂酸钠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6857602A (zh) 消灭红火蚁饵剂及制备方法
Coppock et al. Veterinary toxicology
KR102314765B1 (ko) 가축보호기능을 구비한 구서제 및 그 제조방법
DE3337666A1 (de) Verkapseltes zinkphosphid und dessen verwendung als rodentizid
KR101661439B1 (ko) 쿠마테트라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과립제형 또는 타원형 고형제형 만성 항혈액 응고성 살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1165B1 (ko) 피설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259988B1 (en) New agglomerate rodenticide compositions
EP3383176A1 (en) Mollusc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encapsulated aliphatic aldehyde
CN111066786A (zh) 一种灭鼠用的维生素d3稻谷产品及制作流程及其使用方法
EP4176720A1 (en) Calciferols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of rodenticides
WO2008023999A1 (en) A composition to improve delivery of an active agent
Lakshitha Detrimental Effects of Chemical Pesticides and Insecticides on Human Being Globally
Woodison Top toxins.
JPH05124908A (ja) 殺虫剤
CN113647405A (zh) 一种杀蚤灭鼠剂及制备方法
JPS63166812A (ja) ゴキブリ駆除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