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528B1 -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528B1
KR102314528B1 KR1020187002264A KR20187002264A KR102314528B1 KR 102314528 B1 KR102314528 B1 KR 102314528B1 KR 1020187002264 A KR1020187002264 A KR 1020187002264A KR 20187002264 A KR20187002264 A KR 20187002264A KR 102314528 B1 KR102314528 B1 KR 10231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data
transmit
detection sensitivity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166A (ko
Inventor
유이치 모리오카
다케시 이타가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 또는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며;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며;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Description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참조로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2016년 6월 3일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 2016-11204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을 대표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무선 LAN을 지원하는 제품(이하, "무선 통신 디바이스"라고도 함)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대조적으로, 통신에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자원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한 예로서, "가상 캐리어 감지(virtual carrier sense)"라 불리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된 송신 요청(RTS)/송신 준비완료(CTS) 등의 메커니즘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송신을 원하는 송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송신의 목적지로서 역할하는 수신 디바이스에 RTS 프레임을 송신하고, 데이터 송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 다음,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CTS 프레임이 수신되면, 송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송신이 허가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의 목적지 이외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AV를 설정하고 NAV 기간 동안 데이터 송신을 중단한다. 그 결과, 통신 충돌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통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비특허문헌 1에서는, 송신되기를 원하는 데이터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도트 11RTSThreshold)보다 길 때, RTS 프레임이 송신되도록 명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IEEE Std 802.11-2007, IEEE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Specific requirements Part 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그러나,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통신 자원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수신 감도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비교적 낮은 수신 감도를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예를 들면, 데이터 프레임 또는 RTS 프레임)를 검출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 동안에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고, 결과적으로 통신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이한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보다 낮다면, 그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송신된 신호(예를 들면, 데이터 프레임 또는 RTS 프레임)를 검출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통신 동안에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고, 결과적으로 통신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상이한 검출 감도들 또는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 또는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며;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며;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 또는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계;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단계;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검출 감도들 또는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효과는 반드시 제한적이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그 대신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효과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기타의 효과들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수신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수신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수신 감도를 제어하는 기술이 이용될 때 통신 충돌이 발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서의 송신 전력과 수신 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서의 송신 전력과 수신 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서의 송신 전력과 수신 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RTS 및 CTS를 이용한 가상 캐리어 감지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TA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동일한 실시예에 따른 STA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프레임 시퀀스이다.
도 11은 동일한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STA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TA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동일한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STA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STA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동일한 실시예에 따른 STA의 파라미터-관련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동일한 실시예에 따른 AP의 파라미터-관련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동일한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STA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STA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동일한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STA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부터,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갖는 구조적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기되고, 이들 구조적 요소들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의 요소는, 일부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 뒤에 상이한 번호들을 부가함으로써 구별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의 요소는 STA(100A) 및 STA(100B)와 같이 필요에 따라 구별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단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STA(100A)와 STA(100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은 간단히 "STA(100)"라 칭한다.
설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것이다.
1. 머릿말
2. 디바이스의 구성
3. 제1 실시예(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한 RTS 송신 제어)
3-1. 디바이스의 기능
3-2. 프로세스의 흐름
3-3. 응용 예
3-4. 제1 실시예의 결론
3-5. 수정된 예
4. 제2 실시예(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한 RTS 송신 제어)
4-1. 디바이스의 기능
4-2. 프로세스의 흐름
4-3. 제2 실시예의 결론
4-4. 수정된 예
5. 제3 실시예(검출 감도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를 이용한 RTS 송신 제어)
5-1. 디바이스의 기능
5-2. 프로세스의 흐름
5-3. 제3 실시예의 결론
5-4. 수정된 예
6. 제4 실시예(송신 전력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를 이용한 RTS 송신 제어)
6-1. 디바이스의 기능
6-2. 프로세스의 흐름
6-3. 제4 실시예의 결론
6-4. 수정된 예
7. 응용 예
8. 결론
<1. 머릿말>
우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련된 기술이 설명될 것이다. 이 기술로서는, 수신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수신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수신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역할하는 STA(10A) 및 AP(20A)는 STA(10B) 및 AP(20B)와 통신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A(10A)와 AP(20A) 사이의 통신 동안에 STA(10B)와 AP(20B) 사이의 통신이 개시될 수 있다. 이 때, 통신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파선과 도트 쌍들 사이에서 교대하는 라인들로 표시된 범위 내의 신호들이 검출될 수 있는 수신 감도가 STA들(10A 및 10B)의 각각에서 설정되면, STA(10B)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STA(10A)에 의해 검출될 가능성이 크다. STA(10B)의 신호가 검출되면, STA(10A)와 AP(20A) 사이의 통신이 교란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신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파선과 도트 쌍들 사이의 교대하는 라인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STA들(10A 및 10B)은 수신 감도를 도 1에 나타낸 수신 감도 아래로 감소시킨다, 즉, 신호 검출 범위가 좁아진다. 결과적으로, 신호는 STA들(10A 및 10B)에 의해 검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STA(10B)는 STA(10A)의 통신 동안에 통신을 개시하지만, STA(10A)의 통신은 방해받지 않는다.
그러나, 수신 감도를 제어하는 기술에서는, 통신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수신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의 문제점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수신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이용되는 경우에 통신 충돌이 발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에서의 송신 전력과 수신 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2개의 STA(10A 및 10B)가 AP(20)와 통신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A(10A)는 STA(10B)보다 AP(20)로부터 먼 위치에 있다. STA들(10A 및 10B) 양쪽 모두는 AP(2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AP(20)는, 도 3에서 파선과 도트 쌍들 사이에서 교대하는 라인들로 표시된 바와 같은 STA들(10A 및 10B)의 수신 감도의 범위 내에 있다.
STA(10A) 및 STA(10B)의 수신 감도는, STA(10A) 및 STA(10B)가 AP(20)와 통신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STA(10A)의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검출 레벨이 기준 레벨 L1으로부터, AP(2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 레벨 L2로 증가될 때, 수신 감도가 저하된다. 여기서, AP(2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송신 경로 상에서 감쇠되고, STA(10A)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즉, 수신 전력)는 송신 전력보다 낮다. 그러나, 수신 전력은 STA(10A)가 기준 레벨 L1의 신호를 검출하기에 충분히 높고, 또한, STA(10A)는 신호 검출 레벨이 레벨 L2인 경우에도 AP(2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STA(10A)의 신호 검출 레벨은 레벨 L2로 증가되므로, 수신 감도는 AP(20)의 송신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레벨로 낮아진다.
STA(10B)의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검출 레벨이 기준 레벨 L1로부터 AP(2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 레벨 L3으로 감소될 때, 수신 감도는 증가된다. 상세하게는, AP(20)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 전력이 STA(10B)가 기준 레벨 L1의 신호를 검출하기에는 너무 낮고, STA(10A)는, 신호 검출 레벨이 레벨 L3에 가깝지 않는 한, AP(2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STA(10A)의 신호 검출 레벨은 레벨 L3으로 증가되므로, 수신 감도는 AP(20)의 송신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레벨로 증가된다.
한편, STA(10B)는 STA(10A)의 수신 감도의 범위 밖에 있다. 이 때문에, STA(10A)는 STA(10B)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A(10B)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관련된 STA(10A)의 수신 전력은 기준 레벨 L1보다 높다. 그러나, STA(10A)의 신호 검출 레벨이 레벨 L2로 증가하기 때문에, STA(10B)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STA(10A)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STA(10B)에 의한 신호의 송신 동안에 STA(10A)에서 통신 요청이 발생하면, STA(10A)는, STA(10B)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STA(10A)는 송신 경로가 비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신호 송신을 개시한다. 그 결과, 통신 충돌이 발생하고, STA(10A)의 통신 개시에 의해 STA(10B)의 통신이 교란된다. 즉, 통신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정된 수신 감도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정된 수신 감도보다 낮은 예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정된 송신 전력이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보다 높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STA(10A)보다 송신 전력이 낮고 STA(10A)보다 AP(20)에 더 가까운 AP(20) 및 STA(10B)는 STA(10A)의 송신 범위 내에 있다고 가정된다. 이 경우, STA(10B)와 AP(20)가 통신하고 있어도, STA(10B)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STA(10A)에 의해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STA(10A)로부터 AP(20)로 신호가 송신되면, 통신 충돌이 발생하고, STA(10B)의 통신이 방해된다. 즉, 통신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앞서 언급된 가상 캐리어 감지라 불리는 메커니즘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RTS/CTS 등의 메커니즘은 가상 캐리어 감지에서 이용된다. 가상 캐리어 감지의 전형적인 흐름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RTS 및 CTS를 이용한 가상 캐리어 감지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송신을 원하는 STA(10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RTS 프레임을 데이터 송신의 목적지인 AP(20)에 송신한다. STA(10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때, RTS 프레임을 수신한 AP(20)는 STA(10A)에 대하여 데이터 송신이 허가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CTS 프레임을 STA(10A)에 송신한다.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의 목적지로서 역할하는 AP(20) 및 STA(10A) 이외의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STA(10B))에서는,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이 수신되면, NAV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에 저장된 송신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STA(10B)는 NAV 기간에서 신호 송신을 중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송신을 원하는 STA(10A)는,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로서 역할하는 AP(20)가 데이터의 송신 이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에 관련된 통신 충돌로 인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따라 통신 상대방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2. 디바이스의 구성>
그 다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역할하는 STA(100) 및 AP(200)의 기능적 구성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STA(100)와 AP(200)의 기능적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STA(100)만이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A(100)는, 데이터 처리 유닛(110), 무선 통신 유닛(120), 제어 유닛(130), 및 저장 유닛(140)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송신 유닛 및 취득 유닛의 일부로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상위 통신 계층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을 무선 통신 유닛(12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데이터로부터 프레임(또는 패킷)을 생성하고, 예를 들어, 생성된 프레임으로의 MAC 제어를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헤더의 추가 및 에러 검출 코드의 추가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상위 통신 계층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수신된 프레임에 관대 MAC 헤더의 분석, 코드 오류의 검출 및 정정, 재정렬 프로세스 등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취득한다.
송신 유닛 및 취득 유닛의 일부로서, 무선 통신 유닛(120)은 프레임에 관해 변조 및 복조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안테나를 통해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유닛(120)은, 제어 유닛(130) 등에 의해 설정된 코딩 및 변조 방식에 따라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된 프레임에 관해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를 수행함으로써 심볼 스트림을 생성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획득된 심볼 스트림에 관련된 신호에 관해 아날로그 신호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을 수행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는 처리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무선 통신 유닛(120)은, 안테나를 통해 획득된 신호에 관해, 신호의 송신시와 반대의 프로세스, 예를 들어, 주파수 하향 변환, 디지털 신호 변환 등을 수행함으로써 심볼 스트림을 획득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획득된 심볼 스트림에 관해 복조, 디코딩 등을 수행함으로써 프레임을 취득하고, 취득된 프레임을 데이터 처리 유닛(110) 또는 제어 유닛(130)에 제공한다.
제어 유닛(130)은 일반적으로 송신 유닛 및 취득 유닛의 일부로서 STA(100)의 통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기능들 사이의 정보의 교환,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 및 데이터 처리 유닛(110)에서의 프레임(또는 패킷)의 스케쥴링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저장 유닛(14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 또는 제어 유닛(130)의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장 유닛(140)은, 프레임에 저장된 정보, 프레임으로부터 취득된 정보, 통신 파라미터의 정보 등을 저장한다.
STA(100)와 AP(200)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00)와 AP(200) 각각은 인터넷에 접속되어 인터넷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유선 통신 유닛을 제공받을 수 있다.
3. <제1 실시예>
그 다음,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이하,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또는 200)"라고도 함)이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검출 감도가 제어되는 STA(100)가 설명될 것이다.
<3-1. 디바이스의 기능>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검출 감도의 제어)
STA(100)의 검출 감도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송신 전력에 따라 검출 감도를 제어한다. 검출 감도는 수신 감도를 포함하고, 검출 감도의 제어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신호 검출 레벨(검출 임계 값)을 포함한다. 신호의 검출을 위해, 예를 들어, 프리앰블이 검출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송신 전력의 증가에 따라 신호 검출 레벨을 감소시킨다(즉, 검출 감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130)은 송신 전력의 감소에 따라 신호 검출 레벨을 증가시킨다(즉, 검출 감도를 저하시킨다). 검출 감도의 제어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에너지 검출 레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송신 전력에 따라 신호 검출 레벨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수신된 전파에 관련된 에너지 검출 레벨을 제어한다. 또한, 검출 감도는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AP(200)로부터 수신된 설정된 정보가 나타내는 검출 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 대신에, 송신 전력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를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STA(100)에 장착된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검출 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RTS의 송신 제어)
STA(100)는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확인에 관련된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의 송신 요청이 발생되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제1 신호가 송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위 통신 계층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요청과 함께 데이터가 제공되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의 길이 또는 크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에 따라 RTS 프레임이 송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 유닛(130)은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STA(100)에서 설정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이하,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라고도 함)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송신 요청에 관련된 데이터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작고 STA(100)에서 설정된 신호 검출 레벨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이상일 때, 제어 유닛(130)은 RTS 프레임이 송신된다고 결정한다.
데이터 길이의 임계 값 및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은 미리 저장 유닛(140)에 저장된다. 임계 값들은 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세사항은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될 것이다.
<3-2. 프로세스의 흐름>
그 다음,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TA(100)는 데이터의 송신 요청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01).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나타내는 통보가 상위 통신 계층으로부터 주어졌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데이터의 송신 요청이 발생되었다고 결정되면(단계 S301에서 예), STA(100)는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302).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송신 버퍼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요청과 함께 제공된 데이터를 취득하게 한다.
그 다음, STA(100)는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03).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취득된 데이터의 길이를 계산하고, 제어 유닛(130)은 계산된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03에서 아니오), STA(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단계 S304).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유닛(130)은 STA(100)에서 설정된 신호 또는 에너지의 검출 레벨(이하, "설정된 검출 레벨"이라고도 함)을 취득한다.
그 다음, STA(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05).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설정된 검출 레벨이 미리 저장된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03에서 예), 또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05에서 예),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06). 구체적으로는, 송신에 관한 데이터의 길이가 임계 값 이상일 때, 또는 설정된 검출 레벨이 미리 저장된 임계 값 이상일 때,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데이터 송신 목적지(예를 들어, AP(200))로 어드레싱된 RTS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 다음, STA(100)는 CTS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07).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서 역할하는 CTS 프레임이 RTS 프레임의 목적지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검출 감도에 관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05에서 아니오), 또는 CTS 프레임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07에서 예), STA(100)는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08).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설정된 검출 레벨이 미리 저장된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될 때, 또는 송신된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서 역할하는 CTS 프레임이 수신될 때,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데이터의 송신 요청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3-3. 예시적인 동작>
그 다음, STA(100)의 예시적인 동작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프레임 시퀀스이다. 여기서, STA(100B)와 AP(200) 사이의 통신 동안에 데이터의 송신 요청이 STA(100A)에서 발생되는 예를 설명한다.
STA(100B)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AP(200)로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시작한다. AP(200)는 STA(100B)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한편, 검출 감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STA(100A)는 STA(100B)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는다. 데이터 프레임은 집성된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MPDU)일 수 있다.
데이터의 송신 요청이 생성되면, STA(100A)는 데이터 길이 및 검출 감도(예를 들어, 신호 검출 레벨)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이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검출 감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STA(100A)는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이더라도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러나, AP(200)는 STA(100B)와 통신하고 있으므로, AP(200)는 STA(100A)로부터 송신된 RTS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CTS 프레임은 AP(200)로부터 송신되지 않고, STA(100A)는 CTS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다. 즉, STA(100A)는 AP(200)의 통신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STA(100B)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이 종료되면, AP(200)는 ACK 프레임을 STA(100B)에 송신한다. 한편, CTS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STA(100A)는 RTS 프레임을 재송신한다. AP(200)로부터 ACK 프레임이 수신되면, STA(100A)는 ACK 프레임의 수신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을 재송신할 수 있다.
STA(100B)와의 통신이 종료되었으므로, AP(200)는 STA(100A)로부터 송신된 RTS 프레임을 수신하고, CTS 프레임을 STA(100A)에 송신한다. CTS 프레임이 수신되면, STA(100A)는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시작한다.
<3-4. 제1 실시예의 결론>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확인에 관련된 제1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검출 감도가 저하되면,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검출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자신의 통신 상대방과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그 결과, 통신 파트너로의 데이터 송신이 개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신 충돌이 발생하고, 통신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 따르면,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검출 감도에 따라 확인되므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검출 감도들을 가질 때 더욱 신뢰성 있게 통신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검출 감도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검출 감도가 가변적일 때, 무선 통신 자원의 공간 이용률을 증가시키면서 통신 충돌을 방지하는 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서만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제어에 관한 오버헤드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제1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제1 신호는 검출 감도가 미리 결정된 정도 이하인 경우에만 송신되고, 제1 신호의 송신 주파수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주파수가 최적화되고, 통신 프로세스에 관한 부하 또는 이용될 통신 자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신호 검출 임계 값 및 에너지 검출 임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신호 검출 임계 값에 따라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신호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검출 임계 값에 따라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신호에 관련되지 않은 전파에 의해 데이터 송신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는 RTS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로,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공지된 RTS/CTS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 및 전술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 따라서, 알려진 RTS 프레임 송신 조건에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조건을 부가함으로써, RTS 프레임의 송신 제어는, RTS 프레임의 송신 제어가 조건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될 때보다 더욱 단순하게 구현될 수 있다.
<3-5. 수정된 예>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가 전술되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한 수정된 예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 이외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신호 검출 레벨의 기준값으로부터의 변화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한다. 또한, 이 수정된 예의 프로세스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술된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데이터의 송신 요청이 발생되면(단계 S311에서 예), STA(100)는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312). 그 다음, STA(100)는 취득된 데이터의 길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13).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된다면(단계 S313에서 아니오), STA(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를 취득하고(단계 S314), 검출 감도가 저하되도록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변경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15).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설정된 검출 레벨을 취득하고, 취득된 설정된 검출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게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검출 감도가 저하되게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변경되도록 결정된다면(단계 S315에서 예),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16). 구체적으로는, 설정된 검출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값으로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데이터 송신 목적지를 위한 RTS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
한편,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도록 결정되거나 검출 감도가 증가되게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변경되도록 결정된다면(단계 S315에서 아니오),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S318). 구체적으로는, 설정된 검출 레벨이 기준 레벨로부터 변경되지 않도록 결정되거나 기준 레벨보다 낮은 값으로 변경된다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로 하여금 데이터 송신 목적지에 송신될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검출 감도에 관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설정하지 않고,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제어에 관한 정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1 신호의 송신 제어에 대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제2 실시예>
그 다음,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가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STA(100)가 설명될 것이다.
<4-1. 디바이스의 기능>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송신 전력의 제어)
STA(100)는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검출 감도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송신 전력 제어에 관련된 파라미터로서, 송신 전력 값이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검출 감도의 증가에 따라 송신 전력 값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130)는 검출 감도의 저하에 따라 송신 전력 값을 감소시킨다.
(RTS의 송신 제어)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STA(100)에서 설정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이하,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라고도 함)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송신 요청에 관련된 데이터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이고, STA(100)에서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이하,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이라고도 함)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이상이면, 제어 유닛(130)은 RTS 프레임이 송신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은 미리 저장 유닛(140)에 저장된다. 임계 값들은 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세사항은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될 것이다.
<4-2. 프로세스의 흐름>
그 다음,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술된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데이터의 송신 요청이 발생되면(단계 S321에서 예), STA(100)는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322). 그 다음, STA(100)는 취득된 데이터의 길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23).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23에서 아니오),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단계 S324).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STA(100)의 저장 유닛(140)로부터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25).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취득한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25에서 예),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26). 구체적으로는,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RTS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
한편,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25에서 아니오),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28). 구체적으로는,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이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데이터 송신 목적지로 송신될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4-3. 제2 실시예의 결론>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확인에 관련된 제1 신호를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송신 전력이 증가하면, 송신된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가 확장된다. 따라서, 송신된 신호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에서의 신호와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그 결과, 통신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 따르면,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확인되므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송신 전력들을 갖고 있을 때 더욱 신뢰성 있게 통신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송신 전력이 가변적일 때, 무선 통신 자원의 공간 이용률을 증가시키면서 통신 충돌을 방지하는 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제1 신호는 송신 전력이 미리 결정된 정도 이상인 경우에만 송신되고, 제1 신호의 송신 주파수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최적화함으로써, 통신 프로세스에 관한 부하 또는 이용될 통신 자원을 경감할 수 있다.
<4-4. 수정된 예>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가 전술되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송신 전력의 상관적 제어와 검출 감도를 전제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 및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상관적으로 변경하고,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복수의 임계 값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이 수정된 예의 프로세스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술된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331 내지 S333의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33에서 아니오),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를 취득하고(단계 S334),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제1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35).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제2 실시예에서 이용된 송신 전력 값의 임계 값에 대응하는 임계 값을 제1 임계 값으로서 취득하고,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이 취득된 제1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제1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35에서 아니오),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제2 임계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36).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제1 실시예에서 이용된 검출 감도의 임계 값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송신 전력 값에 대응하는 임계 값을 제2 임계 값으로서 취득하고,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이 취득된 제2 임계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은, 송신 전력은 일반적으로 검출 감도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도록 설정되고, 검출 감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이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제1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35에서 예),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제2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36에서 예),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37). 한편,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제2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36에서 아니오),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39).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변화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상관적 변화를 포함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임계 값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한 제1 신호의 송신 제어에 대응하는 제어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제어 및 제어의 오버헤드에 이용되는 정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 대신에, 제1 신호의 송신은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임계 값을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5. 제3 실시예>
그 다음,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0 및 200)이 설명될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 검출 감도가 제어되는 STA(100) 및 STA(100)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통보를 제공하는 AP(200)가 설명될 것이다.
<5-1. 디바이스의 기능>
(STA의 기능)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의 설정)
STA(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STA(100)의 임계 값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20)은, AP(200)로부터 송신된 (후술될)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을 수신하고,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임계 값 통보 프레임으로부터 신호 검출 레벨의 임계 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 제어 유닛(130)은 취득된 임계 값을 STA(100)의 신호 검출 레벨의 임계 값으로서 설정한다.
(이웃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취득)
STA(100)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이하, "검출 감도에 관련된 수신 파라미터"라고도 함)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20)은 AP(200)로부터 송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 다음,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파라미터를 제어 유닛(130)에 제공한다.
(RTS의 송신 제어)
STA(100)는 통신을 통해 획득된 또 다른 STA(100)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AP(200)로부터 수신된 또 다른 STA(100)에서 설정된 신호 또는 에너지 검출 레벨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또 다른 STA(100)의 수신 신호 검출 레벨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일 때, 제어 유닛(130)은 RTS 프레임이 송신된 것으로 결정한다.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송신)
STA(100)는, 설정되어 있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통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STA(100)에서 설정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명시하는 정보를 갖는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고 AP(200)에 어드레싱된 프레임(이하,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이라고도 함)을 주기적으로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을 송신한다.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은 또 다른 STA(100)에 어드레싱될 수 있다.
{AP의 기능}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AP(200)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수집)
AP(200)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210)는 저장 유닛(240)으로 하여금 무선 통신 유닛(220)을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취득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저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220)은 STA(100)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을 수신한다. 데이터 처리 유닛(210)은, 수신된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으로부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여, 취득된 파라미터를 저장 유닛(240)에 저장한다.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송신)
AP(2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수집된 파라미터를 STA(100)에 통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230)은 저장 유닛(240)에 저장되어 있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갖는 프레임(이하,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이라고도 함)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30)은 데이터 처리 유닛(210)으로 하여금 저장 유닛(240)에 저장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갖는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220)은 생성된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을 송신한다.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의 송신)
AP(2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STA(100)에 통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230)은, 각각의 STA(100)에서 설정되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각각의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명시하는 정보를 갖는 프레임(이하,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이라고도 함)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30)은, 데이터 처리 유닛(210)으로 하여금, 각각의 STA(100)에서 설정될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명시하는 정보를 갖는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220)은 생성된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을 송신한다. 임계 값 통보 프레임으로서, 비컨(beacon)이나 데이터 프레임 등의 관리 프레임이 있다.
<5-2. 프로세스의 흐름>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
그 다음,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술된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들 S341 내지 S343의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43에서 아니오), STA(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44).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AP(200)로부터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또 다른 이웃 STA(100)의 신호 검출 레벨이 취득된다.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44에서 예), STA(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45). 구체적으로는, 또 다른 STA(100)의 신호 검출 레벨이 취득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유닛(130)은 취득된 신호 검출 레벨이 임계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검출 감도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45에서 예),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46). 한편,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되거나(단계 S344에서 아니오), 검출 감도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45에서 아니오),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S348).
(STA의 파라미터-관련 프로세스)
그 다음, 도 15를 참조하여 STA(100)의 파라미터-관련 프로세스가 설명될 것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파라미터-관련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의 송신 시간이 도달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401에서 예), STA(100)는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402). 구체적으로는, 주기적으로 도달하는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의 송신 시간이 도달하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STA(100)에서 설정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갖는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 다음, STA(100)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403). 더욱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무선 통신 유닛(120)을 통해 AP(200)로부터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이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403에서 예), STA(100)는 수신된 파라미터를 저장한다(단계 S404).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무선 통신 유닛(120)을 통해 수신된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으로부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검출 감도에 관련된 취득된 파라미터를 저장 유닛(140)에 저장한다.
그 다음, STA(100)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405). 더욱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AP(200)로부터 송신된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이 무선 통신 유닛(120)을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이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405에서 예), STA(100)는 임계 값을 설정한다(단계 S406).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무선 통신 유닛(120)을 통해 수신된 임계 값 통보 프레임으로부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취득하고, 제어 유닛(130)은 취득된 임계 값을 STA(100)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으로서 설정한다.
(AP의 파라미터-관련 프로세스)
그 다음, 도 16을 참조하여 AP(200)의 파라미터-관련 프로세스가 설명될 것이다. 도 16는 본 실시예에 따른 AP(200)의 파라미터-관련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AP(200)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501). 더욱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210)은 무선 통신 유닛(220)을 통해 STA(100)로부터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이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501에서 예), AP(200)는 수신된 파라미터를 저장한다(단계 S502).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유닛(210)은 수신된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으로부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저장 유닛(240)에 저장한다.
그 다음, AP(200)는,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의 송신 시간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503).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230)은 주기적으로 도달하는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의 송신 시간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의 송신 시간이 도달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503에서 예), AP(2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504).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230)은 검출 감도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파라미터가 저장 유닛(240)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다고 결정되면(단계 S504에서 예), AP(200)는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505).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230)은 데이터 처리 유닛(210)으로 하여금 검출 감도에 관련된 저장된 수신된 파라미터를 갖는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220)은 생성된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 다음, AP(200)는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의 송신 시간이 도달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S506).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230)은 주기적으로 도달하는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의 송신 시간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의 송신 시간이 도달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506에서 예), AP(200)는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507).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230)은 데이터 처리 유닛(210)으로 하여금 각각의 STA(100)에서 설정될 각각의 임계 값이 저장되어 있는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220)은 생성된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을 송신한다.
상기 예에서는,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과 임계 값 통보 프레임은 상이한 프레임인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동일한 프레임일 수도 있다.
<5-3. 제3 실시예의 결론>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는 상이한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검출 감도가 변경되지 않는 때에도,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가 변경된다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검출 감도의 상대적 관계가 변한다. 이에 관련하여,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따라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제1 신호의 송신 제어를 검출 감도의 상대적인 관계의 변화에 적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충돌은 더욱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일 때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가 미리 결정된 정도 이상일 때에만, 즉,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검출 감도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보다 어느 정도 상대적으로 낮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만, 제1 신호가 송신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주파수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명시하는 정보를 갖는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통보를 또 다른 이웃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 유사하게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가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제1 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는 상이한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임계 값을 포함한다. 따라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송신하는 제1 신호의 송신을 디바이스(예를 들어, AP(20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환경에 따라 검출 감도를 최적화할 수 있고, 통신 자원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4. 수정된 예>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가 전술되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자신의 검출 감도 및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과는 상이한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이 수정된 예의 프로세스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술된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들 S351 내지 S353의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53에서 아니오), STA(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STA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54).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STA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54에서 예), STA(100)는 설정된 파라미터와 수신된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취득한다(단계 S355).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 검출 레벨과 STA(100)에서 설정된 신호 검출 레벨 사이의 차이를 계산한다.
그 다음, STA(100)는 취득된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56).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계산된 신호 검출 레벨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STA로부터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되거나(단계 S354에서 아니오), 취득된 차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56에서 아니오), STA(100)는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57). 더욱 구체적으로는, 계산된 신호 검출 레벨에서의 차이가 임계 값 미만일 때, 제어 유닛(130)은 또한, STA(100)의 신호 검출 레벨이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취득된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거나(단계 S356에서 예),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57에서 예),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58). 한편, 검출 감도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57에서 아니오),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60).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는 상이한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경우에도, 검출 감도의 상대적인 관계에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제어를 검출 감도의 상대적 관계의 변화에 더욱 정확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검출 감도에서 미리 결정된 정도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때에만 제1 신호가 송신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
<6. 제4 실시예>
그 다음,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0 및 200)이 설명될 것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STA(100)와, 또 다른 STA(100)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통보를 주는 AP(200)가 설명될 것이다.
<6-1. 디바이스의 기능>
(STA의 기능)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의 설정)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을 STA(100)의 임계 값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무선 통신 유닛(120)을 통해 수신된 임계 값 통보 프레임으로부터 송신 전력의 임계 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 제어 유닛(130)은 취득된 임계 값을 STA(100)의 송신 전력의 임계 값으로서 설정한다.
(이웃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취득)
STA(100)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이하, "수신된 송신 전력 파라미터"라고도 함)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유닛(110)은 무선 통신 유닛(120)을 통해 수신된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으로부터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파라미터를 제어 유닛(130)에 제공한다.
(RTS의 송신 제어)
STA(100)는 통신을 통해 획득된 또 다른 STA(100)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AP(200)로부터 수신된 또 다른 STA(100)에서 설정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이하, "송신 전력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라고도 함)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또 다른 STA(100)의 수신된 송신 전력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일 때, 제어 유닛(130)은 RTS 프레임이 송신된 것으로 결정한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송신)
STA(100)는 설정되어 있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통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STA(100)에서 설정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명시하는 정보를 갖는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데이터 처리 유닛(110)으로 하여금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고 AP(200)에 어드레싱된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생성하게 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유닛(120)은 생성된 파라미터 통보 프레임을 송신한다.
{AP의 기능}
본 실시예에 따른 AP(200)의 기능은, 검출 감도가 송신 전력으로 대체될 때의 제3 실시예에 따른 AP(200)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6-2. 프로세스의 흐름>
그 다음,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가 도 18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술된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들 S361 내지 S363의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63에서 아니오),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64).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AP(200)로부터 파라미터 배포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또 다른 이웃 STA(100)의 송신 전력 값이 취득된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64에서 예),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65). 구체적으로는, 또 다른 STA(100)의 송신 전력 값이 취득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유닛(130)은 취득된 송신 전력 값이 임계 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65에서 예),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66). 한편,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거나(단계 S364에서 아니오),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수신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65에서 아니오),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S368).
<6-3. 제4 실시예의 결론>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는 상이한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검출 감도의 경우와 유사하게,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변경되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송신 전력의 상대적인 관계가 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따라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제1 신호의 송신 제어를 송신 전력의 상대적 관계에서의 변화에 적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충돌이 더욱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일 때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미리 결정된 정도 미만일 때에만, 즉,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송신 전력이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보다 미리 결정된 정도만큼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만 제1 신호가 송신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주파수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6-4. 수정된 예>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가 전술되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자신의 송신 전력 및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제어 유닛(130)은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이 수정된 예의 프로세스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STA(100)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술된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들 S371 내지 S373의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데이터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73에서 아니오),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STA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74).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STA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74에서 예), STA(100)는 설정된 파라미터와 수신된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취득한다(단계 S375).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 값과 STA(100)에서 설정된 송신 전력 값의 차이를 계산한다.
그 다음, STA(100)는 취득된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76).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130)은 계산된 송신 전력 값들 사이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또 다른 STA로부터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되거나(단계 S374에서 아니오), 취득된 차이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76에서 아니오),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77). 구체적으로는, 계산된 송신 전력 값들 사이의 차이가 임계 값 미만일 때는, 제어 유닛(130)은 또한, STA(100)의 송신 전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취득된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거나(단계 S376에서 예),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77에서 예),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78). 한편, 송신 전력에 관련된 설정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단계 S377에서 아니오), STA(100)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단계 S380).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는 상이한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경우에도, 송신 전력의 상대적인 관계에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제어를 송신 전력의 상대적 관계의 변화에 더욱 정확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설정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송신 전력에서 미리 결정된 정도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때에만 제1 신호가 송신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
<7. 응용 예>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휴대용 게임 단말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텔레비전 수신기, 프린터, 디지털 스캐너 등의 고정형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또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등의 자동차 탑재형 단말기로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계측기, 자동 판매기, 원격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판매 시점 관리(POS) 디바이스 등의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MTC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단말기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에 구성된 집적 회로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는 라우터 기능을 갖지 않거나 라우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무선 기지국이라고도 함)로서 실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는 이동 무선 LAN 라우터로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는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에 구성된 집적 회로 모듈)일 수 있다.
<7-1. 제1 응용 예>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적으로 접속된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 안테나 스위치(914), 안테나(915),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제어기(91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또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일 수 있고,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다른 계층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를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적으로 접속된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부적으로 부착되는 디바이스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촬영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 예를 들어, 전하 결합 소자(CCD) 및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를 갖는다. 센서(907)는, 예를 들어, 위치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한 센서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 폰(900)에 입력된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909)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턴, 및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는, 스마트 폰(900)의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스크린을 갖는다. 스피커(911)는 스마트 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무선 LAN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IEEE 802.11a, 11b, 11g, 11n, 11ac, 11ad 중 하나 이상의 무선 LAN 표준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서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또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애드혹 모드, Wi-Fi Direct(등록 상표) 등과 같은 직접 통신 모드에서 다른 장치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Wi-Fi Direct는 애드 혹 모드와는 상이하므로, 2개의 단말기 중 하나가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한다. 그러나, 통신은 단말기들 사이에서 직접 수행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전형적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 무선 주파수(RF) 회로, 전력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 회로가 통합된 단일 칩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무선 랜 방식 외에도, 셀룰러 통신 방식,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또는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등의 또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914)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위한 회로)에 대한 안테나(915)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915)는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에 이용된다.
스마트폰(900)은, 도 20의 예로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안테나(예를 들어, 무선 LAN용 안테나 또는 근접 무선 통신 방식용 안테나 등)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914)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적으로 접속된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 및 보조 제어기(9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표시된 전원 라인을 통해 도 20에 도시된 스마트폰(900)의 블록들 각각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제어 유닛(919)은,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서 스마트 폰(900)의 최소 기능이 동작되게 한다.
도 20에 나타낸 스마트폰(900)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처리 유닛(110), 무선 통신 유닛(120) 및 제어 유닛(13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01) 또는 보조 제어기(919)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데이터 처리 유닛(110) 및 무선 통신 유닛(120)에 송신한다. 그 결과,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확인되기 때문에, 스마트폰(900)과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서 상이한 때에 통신 충돌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가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할 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3)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7-2. 제2 응용 예>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재생기(927),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디바이스(9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안테나 스위치(934), 안테나(935), 및 배터리(93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의 네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의 기능을 제어하는 CPU 또는 SoC일 수 있다. 메모리(922)는,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 및 ROM을 포함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기압 센서 등을 포함한 센서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차 속도 데이터 등의 차량 측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차량내 네트워크(in-vehicle network)(941)에 접속된다.
콘텐츠 재생기(927)는,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928) 내에 삽입된 (CD 및 DVD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929)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3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턴,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30)는,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스크린을 갖는다. 스피커(931)는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된 콘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무선 LAN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IEEE 802.11a, 11b, 11g, 11n, 11ac, 11ad 중 하나 이상의 무선 LAN 표준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서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또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애드혹 모드, Wi-Fi Direct 등과 같은 직접 통신 모드에서 다른 장치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 RF 회로, 전력 증폭기 등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 회로가 통합된 단일 칩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무선 랜 방식 외에도,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셀룰러 무선 통신 방식 등의 또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934)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에 대한 안테나(935)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935)는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가지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에 이용된다.
또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는 도 21의 예로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934)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배터리(938)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표시된 전원 라인을 통해 도 21에 도시된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의 블록들 각각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938)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축적한다.
도 21에 나타낸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데이터 처리 유닛(110), 무선 통신 유닛(120), 및 제어 유닛(13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21)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데이터 처리 유닛(110) 및 무선 통신 유닛(120)에 송신한다. 그 결과,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확인되기 때문에,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와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서 상이한 때에 통신 충돌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로서 동작할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기의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복수의 단말기가 혼재되어 있을 때, 단말기들이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있어서 상이한 경우에도 통신 충돌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전술된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920), 차량내 네트워크(941) 및 차량측 모듈(942)의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차량내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차량측 모듈(942)은, 차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내 네트워크(941)에 출력한다.
<7-3. 제3 응용 예>
도 22는 본 개시내용에 관련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950)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950)는, 제어기(951), 메모리(952), 입력 디바이스(95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5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57),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63), 안테나 스위치(964), 및 안테나(965)를 포함한다.
제어기(95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일 수 있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950)의 인터넷 프로토콜(IP) 계층 및 상위 계층들의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액세스 제한, 라우팅, 암호화, 방화벽, 및 로그 관리)을 동작시킨다. 메모리(95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제어기(95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각종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기 목록, 라우팅 테이블, 암호화 키, 보안 설정, 및 로그)를 저장한다.
입력 디바이스(954)는, 예를 들어, 버턴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55)는 LED 램프 등을 포함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95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57)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950)를 유선 통신 네트워크(958)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57)는 복수의 접속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958)는 Ethernet(등록 상표)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 등의 LAN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63)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근처에 위치한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 11b, 11g, 11n, 11ac 및 11ad 중 하나 이상의 무선 LAN 표준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63)는, 전형적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 RF 회로, 전력 증폭기 등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63)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 회로가 통합된 단일 칩 모듈일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964)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63)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에 대한 안테나(965)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965)는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가지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63)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에 이용된다.
도 22에 나타낸 무선 액세스 포인트(950)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데이터 처리 유닛(210), 무선 통신 유닛(220), 및 제어 유닛(23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63)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기(951)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30)은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기에 대한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처리 유닛(210) 및 무선 통신 유닛(220)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그 결과, 무선 액세스 포인트(950)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기가 혼재되어 있을 때, 단말기들이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있어서 상이한 때에도, 통신 충돌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8. 결론>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감도에 따라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확인되기 때문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검출 감도에 있어서 상이한 때 통신 충돌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검출 감도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검출 감도가 가변적일 때, 무선 통신 자원의 공간 이용률을 증가시키면서 통신 충돌을 방지하는 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확인되기 때문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송신 전력에 있어서 상이한 때 통신 충돌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송신 전력들을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통신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송신 전력이 가변적일 때, 무선 통신 자원의 공간 이용률을 증가시키면서 통신 충돌을 방지하는 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따라 제1 신호의 송신이 제어됨으로써, 제1 신호의 송신 제어를 검출 감도의 상대적인 관계의 변화에 적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충돌은 더욱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따라 제1 신호의 송신이 제어됨으로써, 제1 신호의 송신 제어를 송신 전력의 상대적인 관계의 변화에 적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충돌은 더욱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들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설계 요건 및 기타의 요인들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하위조합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들에서,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통보가 AP(200)로부터 주어지지만, 본 기술은 이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또 다른 STA(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00)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저장된 헤더(예를 들어, 물리 계층(PHY)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주변 디바이스들의 밀도에 따라 상기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 제어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주위에 미리 결정된 수의 또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있을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RTS 프레임의 송신 제어를 온으로 한다. 이것은, 주변 디바이스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파라미터에 기초한 제1 신호의 송신 제어의 효과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를 갖는 사람이 많은 경기장 등에서 그 효과가 촉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효과는 단지 예시적인 또는 예시화된 효과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즉,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은 본 명세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다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단계들은 설명된 순서대로 시간 순서로 수행되는 프로세스 뿐만 아니라 시간 순서적이 아니라 병렬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들이 시간 순서대로 처리되더라도, 상황에 따라 순서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0 및 200)에 설치된 하드웨어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0 및 200)의 기능적 구성의 기능들과 동등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도 역시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본 기술은 또한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 및
상기 취득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확인에 관련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설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검출 감도에 관련된 상기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송신 전력에 관련된 상기 파라미터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이한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일 때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임계 값 미만일 때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설정된 상기 파라미터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이한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설정된 상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상기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설정된 상기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상기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설정된 상기 파라미터를 명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의 임계 값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이한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임계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파라미터에서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에서의 변화는 상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와 상기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상관적 변화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 또는 상기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대한 복수의 임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감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신호 검출 임계 값 및 에너지 검출 임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 및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8)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취득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확인에 관련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전자 디바이스로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 또는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제1 파라미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에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
(22)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검출 감도에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일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5)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송신하라는 요청을 송신하기로 결정될 때 CTS(Clear to Send)를 수신한 후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검출 감도에서의 변화에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신호 검출 감도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신호 검출 감도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으로 감소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신호 검출 감도가 증가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신호 검출 감도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위로 증가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1)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일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파라미터를 제3 미리 결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제3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일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제3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클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작을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클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작을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클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신호 검출 감도 임계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검출 감도 임계를 나타내는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검출 감도 임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지 않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지 않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검출 감도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파라미터들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며;
상기 차이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클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검출 감도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파라미터들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며;
상기 차이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이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검출 감도가 제3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차이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이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검출 감도가 제3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7)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송신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8)
전자 디바이스로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 또는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송신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송신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TS(clear to send)를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CTS를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한 후에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9)
장치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버퍼;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길이 또는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회로; 및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취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0, 200: 무선 통신 디바이스, STA
110, 210: 데이터 처리 유닛
120, 220: 무선 통신 유닛
130, 230: 제어 유닛
140, 240: 저장 유닛

Claims (31)

  1. 전자 디바이스로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에 관련된, 그리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검출 감도의 변화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검출 감도가 제1 미리 결정된 검출 감도 임계 값 위로 증가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기로 결정될 때 CTS(Clear to Send)를 수신한 후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신호 검출 감도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신호 검출 감도가 제2 미리 결정된 검출 감도 임계 값 미만으로 감소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신호 검출 감도가 증가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신호 검출 감도 임계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검출 감도 임계를 나타내는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검출 감도 임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8.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송신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에 관련하고 그리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신호 검출 감도의 변화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검출 감도가 제1 미리 결정된 검출 감도 임계 값 위로 증가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장치로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버퍼;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회로; 및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취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장치의 검출 감도에 관련되고, 그리고 상기 장치의 신호 검출 감도의 변화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장치의 상기 검출 감도가 제1 미리 결정된 검출 감도 임계 값 위로 증가하였음을 나타낼 때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전자 디바이스로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에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데이터 길이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지 않았다고 결정될 때,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다고 결정될 때, 상기 제2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 임계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송신하게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되었다고 결정될 때,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검출 감도 또는 송신 전력 임계 값보다 클 경우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87002264A 2016-06-03 2017-03-22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314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2042A JP6699369B2 (ja) 2016-06-03 2016-06-03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JP-P-2016-112042 2016-06-03
PCT/JP2017/011446 WO2017208578A1 (en) 2016-06-03 2017-03-22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166A KR20190015166A (ko) 2019-02-13
KR102314528B1 true KR102314528B1 (ko) 2021-10-20

Family

ID=5854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264A KR102314528B1 (ko) 2016-06-03 2017-03-22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0292183B2 (ko)
EP (2) EP3286980B1 (ko)
JP (1) JP6699369B2 (ko)
KR (1) KR102314528B1 (ko)
CN (1) CN107852756B (ko)
BR (1) BR112018001889A2 (ko)
CA (1) CA2993915A1 (ko)
ES (1) ES2702073T3 (ko)
RU (1) RU2733801C1 (ko)
TR (1) TR201819303T4 (ko)
TW (1) TWI750177B (ko)
WO (1) WO2017208578A1 (ko)
ZA (1) ZA2017069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426286B2 (en) * 2019-01-31 2023-06-01 Ne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500A1 (en) * 2006-12-15 2008-06-19 Motorola, Inc. Control frame feature on deman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44725A2 (en) 2014-09-18 2016-03-24 Qualcomm Incorporated Using rts/cts to enhance network performan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0229B1 (en) * 1994-08-22 2006-06-28 Fujitsu Limited Connectionless communications system, test method, and intra-station control system
US7876729B1 (en) * 1998-07-20 2011-01-25 Qualcomm Incorporated Intersystem base station handover
US7272361B2 (en) 1999-12-24 2007-09-18 Ntt Docomo,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burst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controller
JP3922571B2 (ja) * 2003-03-26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041616A1 (en) * 2003-08-21 2005-02-24 Boris Ginzburg Method and apparatus to adapt threshold of data frame protect mechanism
JP2006050519A (ja) * 2003-10-24 2006-02-16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GB2414637B (en) * 2004-05-24 2006-08-23 Toshiba Res Euro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KR100750175B1 (ko) * 2006-02-23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Plc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문제를 방지하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E102006014308A1 (de) * 2006-03-10 2007-09-13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r Multi-Hop-Datenübertragung in einem ad-hoc-Netz mit versteckten Knoten
US8681810B2 (en) 2006-04-1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arrier sensing thresholds
US8619752B2 (en) * 2007-03-16 2013-12-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9278507A (ja) * 2008-05-16 2009-11-26 Nec Electronics Corp ホスト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RU2474062C2 (ru) * 2008-06-05 2013-01-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нутриполосного мод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цифровых сетя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02148743B (zh) * 2010-02-05 2013-08-21 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流量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2005697A1 (en) * 2010-07-09 2012-01-12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sending a message
JP5703906B2 (ja) * 2011-03-31 2015-04-2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20140064169A1 (en) * 2012-09-05 2014-03-06 Qualcomm Incorporated Duty cycled transmissions
KR20140062980A (ko) * 2012-11-15 2014-05-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쟁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노드 및 이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WO2014148970A1 (en) * 2013-03-20 2014-09-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ocedures for controlling alternative radio-access technology (rat) in multi-rat capable terminals
CN104378828B (zh) * 2013-08-15 2018-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接入的方法、装置和系统
US9736850B2 (en) * 2013-08-28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TS/CTS in high-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s
JP6398728B2 (ja) * 2014-07-11 2018-10-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473284B2 (en) * 2014-07-14 2016-10-18 Nokia Corporation Contention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network
US10362434B2 (en) * 2014-10-31 2019-07-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500A1 (en) * 2006-12-15 2008-06-19 Motorola, Inc. Control frame feature on deman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44725A2 (en) 2014-09-18 2016-03-24 Qualcomm Incorporated Using rts/cts to enhance network performance
WO2016044725A3 (en) 2014-09-18 2016-05-06 Qualcomm Incorporated Using rts/cts to enhance network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43349B2 (en) 2020-08-11
EP3286980B1 (en) 2018-11-28
TWI750177B (zh) 2021-12-21
CN107852756B (zh) 2023-03-10
US20180235009A1 (en) 2018-08-16
JP6699369B2 (ja) 2020-05-27
BR112018001889A2 (pt) 2018-09-18
CN107852756A (zh) 2018-03-27
WO2017208578A1 (en) 2017-12-07
JP2017220722A (ja) 2017-12-14
ZA201706959B (en) 2022-05-25
US20190223218A1 (en) 2019-07-18
US10292183B2 (en) 2019-05-14
CA2993915A1 (en) 2017-12-07
EP3451783B1 (en) 2020-10-28
EP3286980A1 (en) 2018-02-28
TW201811082A (zh) 2018-03-16
EP3451783A1 (en) 2019-03-06
RU2733801C1 (ru) 2020-10-07
KR20190015166A (ko) 2019-02-13
TR201819303T4 (tr) 2019-01-21
ES2702073T3 (es)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5841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67822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6465397B (zh) 终端设备、基站和程序
JP6690641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210227584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200934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220009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5784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2314528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JP2019220979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