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175B1 - Plc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문제를 방지하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Plc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문제를 방지하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175B1
KR100750175B1 KR1020060039286A KR20060039286A KR100750175B1 KR 100750175 B1 KR100750175 B1 KR 100750175B1 KR 1020060039286 A KR1020060039286 A KR 1020060039286A KR 20060039286 A KR20060039286 A KR 20060039286A KR 100750175 B1 KR100750175 B1 KR 10075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idden
node
transmission
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605,307 priority Critical patent/US796163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3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PLC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상에서 스테이션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히든-노드(Hidden-Node)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a)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네트워크에 RTS/CTS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데이터 전송 충돌 및 데이터 처리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PLC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문제를 방지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n PLC network by preventing Hidden-Node Problem}
도 1은 PLC 네트워크상에서 코디네이터(coordinator)와 스테이션(station)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스테이션간 데이터 통신시 데이터 전송전에 네트워크에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를 전송함으로써 히든-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PLC 네트워크상에서 스테이션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스테이션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는 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스테이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PLC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스테이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PLC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상에서 스테이션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히든-노드(Hidden-Node)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 네트워크의 통신망 구성방식 중의 하나로 PLC 네트워크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PLC 네트워크 기술은 이미 배선되어 있는 기존의 전력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더넷과 달리 별도의 배선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통신 방식과 달리 지하나 전파 비도달 영역까지 용이하게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PLC 네트워크상에서 코디네이터(coordinator)와 스테이션(station)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은 코디네이터의 통신가능 셀(cell) 영역을 나타내고 좌측의 원은 스테이션 A의 통신 가능 셀 영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측의 원은 스테이션 B의 통신 가능 셀 영역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 A는 스테이션 B의 통신 가능 셀 영역 밖에 위치하고 스테이션 B는 스테이션 A의 통신 가능 셀 영역 밖에 위치한다. 따라서 스테이션 A, B는 서로의 통신 상황을 인지하지 못한다. 그래서 스테이션 A의 입장에서 스테이션 B는 스테이션 A의 히든-노드가 되며, 스테이션 B의 입장에서 스테이션 A는 스테이션 B의 히든-노드가 된다. 상호간 히든-노드 관계로 인해 스테이션 A, B가 동일 시점에 코디네이터 혹은 다른 스테이션으로 데이터 전송을 동시에 시도하는 경우 데이터의 전송 충돌(collision)이 발생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히든-노드 문제(Hidden-Node Problem)"라고 간략히 칭한다.
상호 히든-노드의 관계인 스테이션 A, B가 코디네이터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매커니즘이 작용하여 데이터의 재전송(Data Retransmission)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데이터 재전송으로 인해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네트워크내에 히든-노드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 충돌이 매우 빈번히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경우에 따라서는 빈번한 데이터 전송 충돌로 인해 30% 내지 40%의 처리량 저하가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히든-노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요구된다.
도 2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스테이션간 데이터 통신시 데이터 전송전에 네트워크에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를 전송함으로써 히든-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RTS/CTS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전송매체의 예약(Medium Reservation)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송신 스테이션은 수신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에 RTS를 전송하고, 그 RTS를 수신한 수신 스테이션은 네트워크에 CTS를 전송한다. 송신 스테이션은 RTS 전송에 뒤이어 수신 스테이션에 실제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 스테이션은 데이터 수신이 종료하면 송신 스테이션과 네트워 크에 Ack를 전송하여 이를 알린다.
송수신 스테이션 이외의 다른 스테이션들은 RTS/CTS를 수신하는 경우 송신 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 종료시까지 VCS(Virtual Carrier Sense)를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PLC 네트워크내의 송수신 스테이션 이외의 다른 스테이션들은 현재 진행중인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 후에 자기의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려고 대기하는 상태(이른바 'Defer Access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VCS는 해당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RTS를 수신한 스테이션의 Defer Access 기간은 RTS 수신시로부터 VCS 수행 기간 종료후 IFS(Inter Frame Space)까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VCS 수행 기간은 송신 스테이션의 RTS 전송시부터 수신 스테이션의 Ack 전송시까지이다. 이와 같은 Defer Access 기간 이후에는 송수신 스테이션 이외의 RTS를 수신한 다른 스테이션들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CTS를 수신한 스테이션의 Defer Access 기간은 CTS 수신시로부터 VCS 수행 기간 종료후 IFS(Inter Frame Space)까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VCS 수행 기간은 수신 스테이션의 CTS 전송시부터 수신 스테이션의 Ack 전송시까지이다. 이와 같은 Defer Access 기간 이후에는 송수신 스테이션 이외의 CTS를 수신한 다른 스테이션들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제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를 전체 PLC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송수신 스테이션 이외의 다른 스테이션들을 데이터 전송 대기 상태(Defer Access)로 유지하면 히든-노드로 인한 데이터 전송 충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 다. 특히, RTS/CTS를 이용하는 방법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처리량(throughput)이 그다지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닌 경우에 히든-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유리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RTS/CTS가 네트워크상에서 오버헤드(overhead)로 작용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량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처리량이 중요한 고려사항인 경우에는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군다나 전송되는 데이터의 패킷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RTS/CTS 사용으로 인한 데이터 처리량의 손실이 RTS/CTS 미사용시의 히든-노드로 인한 데이터 처리량 손실 보다 클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PLC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RTS/CTS가 오버헤드로 작용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량의 저하를 야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데이터 전송전에 네트워크에 RTS/CTS를 전송함으로써,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데이터의 전송 품질(QoS)이 소정 값보다 낮은 경우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를 전송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내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 또는 히든-노드의 위치를 이동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a)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네트워크에 RTS/CTS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단계 (b)에서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작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RTS/CTS의 전송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소정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기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a)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네트워크에 RTS/CTS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전송 스테이션으 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QoS)이 소정 값 보다 작은 경우 RTS/CTS의 전송을 중단하고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d)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상기 전송 스테이션 또는 히든-노드의 위치 이동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소정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기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값은 데이터 전송 품질의 요구 수준에 따라 정해지는 기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 전력은 표준 규격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단계 (b)에서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작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상기 단계 (d)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한 경우, 네트워크에 RTS/CTS의 전송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QoS)이 소정 값 보다 큰 경우 RTS/CTS 전송을 유지한 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스테이션은,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히든-노드 검출부;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소정 크기와 비교하는 데이터 크기 비교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상기 소정 크기 보다 큰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가 전송되도록 RTS/CTS 전송을 활성화시키는 RTS/CTS 온오프부;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소정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기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히든-노드 검출부;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소정 크기와 비교하는 데이터 크기 비교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상기 소정 크기 보다 큰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가 전송되도록 RTS/CTS 전송을 활성화시키는 RTS/CTS 온오프부; 상기 RTS/CTS 전송을 활성화시킨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QoS)을 소정 값과 비교하는 데이터 전송 품질 비교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이 상기 소정 값 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전송 전력 증감부; 상기 전송 전력 증가후 히든-노드가 검출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전송 스테이션 또는 히든-노드를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소정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기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값은 데이터 전송 품질의 요구 수준에 따라 정해지는 기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 전력은 표준 규격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PLC 네트워크상에서 스테이션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PLC 네트워크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각 노드들(스테이션들)을 턴-온(Turn-on)시켜 PLC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RTS/CTS는 디폴트 값(default)으로 "오프(off)" 상태로 유지한다(301). 그리고 PLC 네트워크내에 히든-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데(303), 탐지 결과 네트워크내에 히든-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우 데이터 전송시 RTS/CTS를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RTS/CTS의 전송없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309). 그러나 탐지 결과 네트워크내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된 경우에는 일단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게 된다(305). 여기서 데이터 패킷의 크기와 비교되는 기준값은 데이터 패킷이 그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교 결과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RTS/CTS 사용없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를 먼저 전송(RTS/CTS "온(on)")하게 된다(307).
도 4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스테이션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는 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PLC 네트워크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각 노드들(스테이션들)을 턴-온(Turn-on)시켜 PLC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RTS/CTS는 디폴트 값(default)으로 "오프(off)" 상태로 유지한다(401). 그리고 PLC 네트워크내에 히든-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데(403), 탐지 결과 네트워크내에 히든-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RTS/CTS를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RTS/CTS 사용없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417). 그러나 탐지 결과 네트워크내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었다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게 된다(405). 여기에서 데이터 패킷의 크기와 비교되는 기준값은 데이터 패킷이 그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교 결과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RTS/CTS 사용없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를 먼저 전송(RTS/CTS "온(on)")하게 된다(407). 그리고 네트워크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QoS)이 소정 값과 비교 되는데(409),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이 상기 소정 값 보다 큰 경우 데이터 전송전 RTS/CTS 전송이 유지된다. 그러나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이 소정 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RTS/CTS의 전송을 중단(RTS/CTS "오프(off)")하고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킨다(411). 여기에서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과 비교되는 소정 값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품질 요구 수준에 따라 정해지는 기준 값이다. 따라서 그 품질 요구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기준 값이 높아지고 품질 요구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기준 값도 낮아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준 값을 적절히 활용하면,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면 전송 스테이션의 통신 가능 셀 크기(cell size)가 증가하여 통신 도달 능력(reachability)이 증가한다. 따라서 기존의 히든-노드가 비히든-노드(Non Hidden-Node)로 바뀔 수 있다. 그러면 RTS/CTS를 사용하지 아니한 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도 히든-노드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켜 전송 스테이션의 통신 가능 셀 크기를 증가시킨 후에, 네트워크내에 히든-노드가 여전히 존재하는지를 다시 한번 탐지한다(413). 탐지 결과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하면 RTS/CTS의 전송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탐지 결과 히든-노드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전송 스테이션이나 수신 스테이션 등의 노드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것을 제안하게 된다(415). 이와 같은 노드 이동 제안은 PLC 모뎀이나 PLC관련 제품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도 있고 TV나 PC 등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드 이동 제안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의 데이터 충돌 문제나 낮은 전송 품질이 노드 이동을 통해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니면 PLC 모뎀 등 네트워크 관련 제품 자체의 성능에 관련된 문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PLC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스테이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전송 스테이션(500)은 히든-노드 검출부(501), 데이터 크기 비교부(503), RTS/CTS 온오프부(505), 및 데이터 전송부(507)를 포함한다.
히든-노드 검출부(501)는 네트워크상에 히든-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히든-노드의 검출을 시도한다. 히든-노드를 검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한다. 데이터 크기 비교부(503)는 히든-노드 검출부(501)에 의해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5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전송 스테이션(50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 보다 큰 경우, RTS/CTS 온오프부(505)는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가 전송되도록 RTS/CTS 전송을 활성화(enable)시킨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부(507)는 RTS/CTS의 전송에 뒤이어 데이터 패킷을 수신 스테이션에 전송하게 된다.
히든-노드 검출부(501)에 의해서도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하거나, 데이터 크기 비교부(503)에 의한 비교 결과 전송 스테이션(500)이 기준 크기 보다 작은 크기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RTS/CTS 온오프부(505)는 RTS/CTS 전송을 비활성화(disable)시켜 네트워크에 RTS/CTS의 전송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기준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데이터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PLC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스테이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전송 스테이션(600)은 히든-노드 검출부(601), 데이터 크기 비교부(603), RTS/CTS 온오프부(605), 데이터 전송 품질 비교부(607), 전송 전력 증감부(609), 사용자 안내부(611), 및 데이터 전송부(613)를 포함한다.
히든-노드 검출부(601)는 네트워크상에 히든-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히든-노드의 검출을 시도한다. 히든-노드를 검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한다. 데이터 크기 비교부(603)는 히든-노드 검출부(601)에 의해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6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전송 스테이션(60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 보다 큰 경우, RTS/CTS 온오프부(605)는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가 전송되도록 RTS/CTS 전송을 활성화(enable)시킨다. 데이터 품질 비교부(607)는 RTS/CTS를 활성화시켜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가 전송되도록 한 후 전송 스테이션(60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한다. 전송 전력 증감부(609)는 데이터 품질 비교부(607)에서의 비교 결과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이 기준 값 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데, 이 때 RTS/CTS 온오프부(605)는 RTS/CTS를 비활성화("오 프(off)")시켜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가 전송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사용자 안내부(611)는 전송 전력 증가후에도 히든-노드 검출부(601)에 의해 히든-노드가 검출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전송 스테이션(600) 또는 히든-노드를 이동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데이터 전송부(613)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 스테이션에 전송하게 된다.
이 때 데이터 크기 비교부(603)에서 사용되는 기준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기준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데이터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품질 비교부(607)에서 사용되는 기준 값은 데이터 전송 품질의 요구 수준에 따라 임의로 정해질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전송 전력 증감부(609)에 의한 전송 전력의 증감은 표준 규격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서 증감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든-노드 검출부(601)에 의해서도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하거나, 데이터 크기 비교부(603)에 의한 비교 결과 전송 스테이션(600)이 기준 크기 보다 작은 크기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RTS/CTS 온오프부(605)가 RTS/CTS 전송을 비활성화(disable)시켜 네트워크에 RTS/CTS의 전송없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품질 비교부(607)에 의한 비교 결과 전송 스테이션(600)이 기준 값 보다 우수한 품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RTS/CTS 온오프부(605)는 RTS/CTS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 채로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청구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전송전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에 RTS/CTS를 전송함으로써,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데이터 전송 충돌 및 데이터 처리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품질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감시킴으로써,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데이터 전송 충돌 및 데이터의 전송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내에서 히든-노드 검출시 전송 스테이션 또는 히든-노드의 위치를 이동시킬 것을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히든-노드로 인해 유발되는 데이터 전송 충돌 및 데이터 전송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 처리량이나 데이터 전송 품질 저하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15)

  1. (a)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네트워크에 RTS/CTS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단계 (b)에서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작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RTS/CTS의 전송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소정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기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a)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네트워크에 RTS/CTS를 전송 하는 단계;
    (c) 상기 전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QoS)이 소정 값 보다 작은 경우 RTS/CTS의 전송을 중단하고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d)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상기 전송 스테이션 또는 히든-노드의 위치 이동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소정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기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값은 데이터 전송 품질의 요구 수준에 따라 정해지는 기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은 표준 규격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단계 (b)에서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크기 보다 작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상기 단계 (d)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지 아니한 경우, 네트워크에 RTS/CTS의 전송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QoS)이 소정 값 보다 큰 경우 RTS/CTS 전송을 유지한 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히든-노드 검출부;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소정 크기와 비교하는 데이터 크기 비교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상기 소정 크기 보다 큰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가 전송되도록 RTS/CTS 전송을 활성화시키는 RTS/CTS 온오프부;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스테이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소정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기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스테이션.
  12.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검출을 시도하는 히든-노드 검출부;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가 검출되면, 전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소정 크기와 비교하는 데이터 크기 비교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상기 소정 크기 보다 큰 경우, 데이터 전송전에 RTS/CTS가 전송되도록 RTS/CTS 전송을 활성화시키는 RTS/CTS 온오프부;
    상기 RTS/CTS 전송을 활성화시킨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QoS)을 소정 값과 비교하는 데이터 전송 품질 비교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품질이 상기 소정 값 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전송 전력 증감부;
    상기 전송 전력 증가후 히든-노드가 검출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전송 스테이션 또는 히든-노드를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스테이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소정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히든-노드로 인한 처리량(throughput) 저하 보다 RTS/CTS 전송으로 인한 처리량 저하가 더 크게 되는 기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스테이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값은 데이터 전송 품질의 요구 수준에 따라 정해지는 기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스테이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은 표준 규격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스테이션.
KR1020060039286A 2006-02-23 2006-05-01 Plc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문제를 방지하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5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05,307 US7961639B2 (en) 2006-02-23 2006-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while preventing hidden node probl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580206P 2006-02-23 2006-02-23
US60/775,802 2006-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175B1 true KR100750175B1 (ko) 2007-08-21

Family

ID=3861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286A KR100750175B1 (ko) 2006-02-23 2006-05-01 Plc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문제를 방지하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61639B2 (ko)
KR (1) KR100750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428B1 (ko) 2015-10-02 2017-02-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선 통신에서 우선순위 역전 방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140B2 (en) * 2006-10-19 2014-07-0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hidden node protection
US8320358B2 (en) * 2007-12-12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blinded-node problems in wireless networks
US8477689B2 (en) * 2009-03-26 2013-07-02 The John Hopkins University System and methods for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and QOS scheduling in mobile ad-hoc networks
GB2481421B (en) * 2010-06-23 2016-10-26 Gigle Networks Ltd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9860851B2 (en) 2013-03-01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ccess to transmission medium in a wireless environment
US9730234B2 (en) * 2015-07-07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election at small cell access points based on detection of hidden nodes
JP6699369B2 (ja) * 2016-06-03 2020-05-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394A (ko) * 2002-04-22 2003-10-30 주식회사 젤라인 숨은노드의 감지에 의한 적응형 데이터 흐름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4905A (en) * 1996-07-09 1998-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sions to distributed MAC protocols with collision avoidance using RTS/CTS exchange
US6374117B1 (en) * 1999-12-22 2002-04-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ueue based power control scheduling
US7184407B1 (en) * 2002-05-10 2007-02-27 Cisco Systems Wireless Networking (Australia) Pty Limited Detecting, reporting and mitigating hidden nodes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7519032B2 (en) 2002-09-04 2009-04-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oS service schedule and bandwidth allocation to a wireless station
US7046651B2 (en) 2003-04-04 2006-05-16 Nokia Corporation System topologies for optimum capacity transmission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321614B2 (en) * 2003-08-08 2008-01-2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using symbol-modulated subcarriers
US20050041616A1 (en) * 2003-08-21 2005-02-24 Boris Ginzburg Method and apparatus to adapt threshold of data frame protect mechanism
KR20050052816A (ko) 2003-12-01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망에서 히든 스테이션 문제의 해결 방법
US20080144493A1 (en) * 2004-06-30 2008-06-19 Chi-Hsiang Yeh Method of interference management for interference/collision prevention/avoidance and spatial reuse enhancement
US20090225682A1 (en) * 2006-04-04 2009-09-10 Alex Peter Grote-Lopez Optim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Networks Operating in Infrastructure Mode with Standard Protocol IEEE 802.11
US20080144500A1 (en) * 2006-12-15 2008-06-19 Motorola, Inc. Control frame feature on deman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394A (ko) * 2002-04-22 2003-10-30 주식회사 젤라인 숨은노드의 감지에 의한 적응형 데이터 흐름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428B1 (ko) 2015-10-02 2017-02-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선 통신에서 우선순위 역전 방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US9935686B2 (en) 2015-10-02 2018-04-03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of preventing priority inversion in power line communic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5812A1 (en) 2007-08-23
US7961639B2 (en)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175B1 (ko) Plc 네트워크상에서 히든-노드 문제를 방지하고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5767283B2 (ja) マルチチャネルにおける動作用の向上したキャリア検知
JP5665694B2 (ja) 無線通信装置
KR101708937B1 (ko)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 링크 복구 방법 및 장치
CA2747924C (en) Contention for wireless access using two types of channels
JP4762007B2 (ja) 中継装置、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80945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using relay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centralized MAC
KR101123533B1 (ko) 액세스 중재 방법 및 트랜시버 시스템
JP5852128B2 (ja) バースト的ノイズ環境に対する通信技術
CN111294837B (zh) 自适应空间复用
US20170026819A1 (en) Out-of-band hidden node detection
JP5340279B2 (ja) 無線通信装置に用いるチャネル開放のための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80042728A (ko) 채널 상태들에 근거하여 컨커런트 간섭 전송 파라미터들을적응시키는 무선 네트워크
US7756055B2 (en) Method of transmission
KR20040081518A (ko) 무선 랜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노드의 전력 제어 방법
JP200905524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0889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ffecting power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KR101710428B1 (ko) 전력선 통신에서 우선순위 역전 방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1181577B1 (ko) 중앙 제어식 mac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6178378B2 (ja) 無線通信装置
US9839008B2 (en) Avoiding extended interframe space
US20150312319A1 (en) Access point with limited range
US8903320B1 (en)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close proximity
KR10053699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US20160330759A1 (en) Modified cts or block acknowledgement for coexist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