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991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991B1
KR100536991B1 KR10-2003-0021859A KR20030021859A KR100536991B1 KR 100536991 B1 KR100536991 B1 KR 100536991B1 KR 20030021859 A KR20030021859 A KR 20030021859A KR 100536991 B1 KR100536991 B1 KR 10053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terminal
service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456A (ko
Inventor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9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기지국 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중인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 중첩하여 링크를 유지하는 모든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 기지국 및 신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신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기존 기지국으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시스템 내의 기지국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시점과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 사이에 차이로 인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율(throughput)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HANDOFF PROCES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시스템 내의 기지국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시점과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 사이에 차이로 인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 기지국(11,12), 기지국제어기(13)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시스템 중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1x EV(EVolution)-DO(Data Only)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1x EV-DO 시스템은 고속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순방향의 경우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고정된 위치에서 2Mbps, 단말기가 이동할 시에는 1.25Mbps에서 600kbps 까지 가변적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단말기는 다수 개의 기지국을 동시에 중첩(Add)하여 링크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들의 파일럿(pilot) 채널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즉 C/I(Carrier to Interference)를 측정하여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DRC, Data Rate Control) 채널로 상기 기지국에게 채널환경에 적합한 순방향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요구한다.
그리고, 기존의 이동통신 시스템과는 달리 1x EV-DO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어느 한 순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나의 타임슬롯(Time Slot)만이 할당되어, 타임슬롯이 할당된 동안에는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은 해당 패킷 호의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단말기가 데이터를 가장 잘 수신할 수 있는 기지국으로만 단말기가 요구하는 전송속도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는 이동성이 있어 그 단말기가 속한 기지국의 영역과 채널환경이 변하게 되므로, 순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시 시스템은 기지국 및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로 서비스를 제공할 기지국 및 데이터 전송속도를 수시로 변경할 것이 요구된다.
즉, 도1과 같이 특정 단말기(11)에 대하여 다수 개의 기지국(11,12)이 중첩하여 링크를 유지하는 경우, 핸드오프(Handoff)시 기지국제어기(13)는 순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서비스중인 기지국(11,12)를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핸드오프 기능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10)가 현재의 서비스 영역(영역 A)을 벗어나 인접한 다른 서비스 영역(영역 B)으로 이동할 때, 서비스 중인 통화 또는 데이터가 절단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말한다.
단말기(10)가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존 기지국에 해당하는 기지국1(11)로부터 신규 기지국인 기지국2(12)로 이동하여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먼저 기지국1(11)의 서비스 영역인 영역 A에 위치한 단말기(10)는 채널 개통을 위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기지국1(11)로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1(11)과 채널을 개통할 것임을 지정하는 정보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수신을 위해 상기 단말기(10)측에서 요구하는 전송속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1(11)은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기지국1(11)은 기지국제어기(13)로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XmitOnReq)를 전송하고, 이에 상기 기지국제어기(13)는 기지국1(11)이 서비스 중인 기지국임을 인식하게 된다.
그 후, 단말기(10)가 기지국2(12)의 서비스 영역인 영역 B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기지국2(12)로부터의 파일럿 채널의 C/I 세기가 강하게 측정되면,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2(12)와 채널을 개통할 것임을 지정하는 정보와 데이터 수신을 위해 요구하는 전송속도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2(12)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2(12)도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태가 되어, 기지국제어기(13)로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XmitOnReq)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태에 있음을 보고한다.
이때, 기지국1(11)은 상기 단말기(10)와 더 이상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태에 있지 않으므로, 상기 단말기(10)는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1(11)과의 데이터 전송을 중단함을 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1(11)은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를 기지국제어기(13)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제어기(13)는 다른 기지국2(12)로부터는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XmitOnReq)를 수신하고, 현재 서비스 중인 기지국1(11)로부터는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를 수신하게 되므로, 현재 서비스할 기지국을 기지국1(11)에서 기지국2(12)로 변경하여 상기 단말기(10)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시스템 내의 기지국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시점과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기가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신규 기지국과 기지국제어기에서 관리하는 서비스중인 기존 기지국 사이에 불일치하는 시간이 발생하여, 그 불일치하는 시간 동안에는 기존 기지국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하고 신규 기지국으로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이미 기존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 채널의 C/I 세기가 약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기존 기지국을 통해 해당 단말기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받게 되므로,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율(throughput)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시스템 내의 기지국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시점과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 사이에 차이로 인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기지국 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중인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 중첩하여 링크를 유지하는 모든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 기지국 및 신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신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기존 기지국으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를 구현한 기술적 구성은 도1의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기지국(11,12)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기(10)가 이동하여 핸드오프가 발생한 경우, 기지국제어기(13)로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를 전송할 시 상기 메시지에 기지국 제어기(13)로부터 수신된 최후의 RLP(Radio Link Protocol) 데이터 값을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제어기(13)는 해당 단말기(10)로 현재 서비스 중인 기존 기지국 및 새로 서비스 준비상태에 있는 신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신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기존 기지국으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1x EV(EVolution)-DO(Data Only) 시스템을 예로 들어 첨부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10)가 기지국1(11) 및 기지국2(12)와 중첩(Add)하여 링크를 유지하며, 최초에 단말기(10)가 기지국1(11)의 서비스 영역(영역 A)에 위치한 후 기지국1(12)의 서비스 영역(영역 B)으로 이동하면서 핸드오프(Handoff)가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기존 기지국이라 함은 해당 단말기(10)에 대해 현재 서비스 중인 기지국1(11)을, 신규 기지국이라 함은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에 있는 기지국2(12)를 말하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기지국1(11)의 서비스 영역인 영역 A에 위치한 단말기(10)는 상기 기지국1(11)로부터 파일럿 채널의 C/I 세기가 강하게 측정되면,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1(11)과 채널을 개통할 것임을 지정하는 정보와 데이터 수신을 위해 요구하는 전송속도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1(11)로 전송하여, 채널 개통을 위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기지국1(11)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1(11)은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기지국1(11)은 기지국제어기(13)로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XmitOnReq)를 전송하고, 이에 상기 기지국제어기(13)는 기지국1(11)이 서비스 중인 기지국임을 인식하게 되어 상기 기지국1(11)을 통해 상기 단말기(10)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 후, 단말기(10)가 기지국2(12)의 서비스 영역인 영역 B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기지국2(12)로부터의 파일럿 채널의 C/I 세기가 강하게 측정되면,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2(12)와 채널을 개통할 것임을 지정하는 정보와 데이터 수신을 위해 요구하는 전송속도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2(12)로 전송한다.
이로써, 단말기(10)의 핸드오프가 발생하는데, 그러면 이후로는 상기 기지국2(12)가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태가 되어, 기지국제어기(13)로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XmitOnReq)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에 있음을 보고하여(S20), 기지국제어기(13)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이때, 상기 기지국1(11)은 상기 단말기(10)와 더 이상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태에 있지 않으므로, 상기 기지국1(11)은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없음을 인식하고, 일정 데이터 이상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10)와의 링크가 단절되었다고 한정하여, 상기 단말기(10)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를 기지국제어기(13)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제어기(13)는 서비스 중인 기존 기지국(11)으로부터 상기 해당 단말기(10)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를 수신하기까지는(S21), 중첩(Add)하여 링크를 유지하는 모든 기지국(11,12)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S22), 상기 단계(S21)에서 기존 기지국(11)으로부터 상기 메시지(StopServing)를 수신한 경우 아직 신규 기지국(12)으로 최초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이므로, 곧바로 상기 신규 기지국(12)를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S27).
그리고, 상기 단계(S22)에서, 모든 기지국(11,12)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 기존 기지국(11) 또는 신규 기지국(12)로부터 해당 단말기(10)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신규 기지국(12) 또는 기존 기지국(11)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기존 기지국(11) 및 신규 기지국(12)으로 전송하는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존 기지국(11) 또는 신규 기지국(12)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제어기(13)가 기존 기지국(11)으로부터 상기 메시지(StopServing)를 수신하여 신규 기지국(12)으로 데이터 전송하기로 결정한 경우,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기지국(12)으로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 유무를 확인한 후, 그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상기 신규 기지국(12)으로 전송한다(S23,S24).
그리고, 상기 기지국제어기(13)가 신규 기지국(12)으로부터 상기 메시지(StopServing)를 수신하여 기존 기지국(11)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기존 기지국(11)으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S25,S26).
한편, 상기 단계(S22)에서 신규 기지국(12)과 기존 기지국(11) 모두로 데이터를 송신한 후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기지국(12) 또는 기존 기지국(11)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지국제어기(13)는 상기 신규 기지국(12)으로 전송하는 최초의 RLP 데이터 값을 저장한다(S30).
그리고, 기존 기지국(11)으로부터 해당 단말기(10)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를 수신하면(S31), 상기 메시지로부터 기존 기지국(11)이 기지국제어기(13)로부터 수신한 최후의 RLP 데이터 값을 확인한다(S32).
여기서, RLP는 기지국(11,12)에서 단말기(1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의 전송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에 일련번호(Sequence Number)를 추가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후 그 오류를 치유하는 프로토콜로서, 상기 RLP 데이터 값은 기지국(11,12)에서 전송한 데이터에 부가된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RLP Signaling Sequence)와 단말기(1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 오류가 발생할 시 상기 단말기(10)측에서 오류가 발생한 부분의 재전송을 요구한 정보(RLP Nak)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지국(11,12)에서 해당 단말기(10)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를 기지국제어기(13)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RLP 데이터 값은 기지국(11,12)이 상기 메시지(StopServing)에 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기지국제어기(13)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제어기(13)는 상기 단계(S32)에서 확인된 기존 기지국(11)이 최후에 수신한 RLP 데이터 값과 신규 기지국(12)이 최초에 수신한 RLP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S33), 상기 신규 기지국(12)이 어느 시점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기 시작했는지를 알 수 있고, 또한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확인하여 재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에서, 기지국제어기(13)는 기존 기지국(11)이 최후에 수신한 RLP 데이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신규 기지국(12)이 최초에 수신한 RLP 데이터 값의 시작 시점 이후로 누락된 데이터가 있는 지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두 데이터 값을 비교하게 되며, 상기 비교 결과 신규 기지국(12)으로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신규 기지국(12)으로 전송한다(S34,S35).
그리고, 상기 비교 결과, 신규 기지국(12)으로 전송된 데이터 값 중 누락된 것이 없는 경우, 그 데이터는 이미 단말기(100)로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으므로 별도의 처리는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단계(S31)에서, 기존 기지국(11)으로부터 해당 단말기(10)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 기지국(12)으로부터 해당 단말기(10)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topServing)가 수신되면(S36), 기지국제어기(13)는 상기 신규 기지국(12)으로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기존 기지국(11)으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S3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신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중인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 중첩하여 링크를 유지하는 모든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다음, 상기 기존 기지국 및 신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신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기존 기지국으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내의 기지국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시점과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 사이에 차이로 인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여,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율(throughput)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3은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에서,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신규 기지국 및 기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11,12 : 기지국
13 : 기지국제어기

Claims (4)

  1. 단말기의 핸드오프 동작시, 기지국 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중인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 중첩하여 링크를 유지하는 모든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 기지국 및 신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신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기존 기지국으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LP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기존 기지국 및 신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기지국 제어기에서 신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최초의 RLP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시,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기존 기지국이 수신한 최후의 RLP 데이터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최초의 RLP 데이터 값과 상기 확인된 최후의 RLP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신규 기지국으로 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기존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신규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신규 기지국으로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기존 기지국으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의 RLP 데이터 값은, 기존 기지국에서 해당 단말기와 서비스가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최초의 RLP 데이터 값과 상기 확인된 최후의 RLP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 과정은, 기지국 제어기에서 기존 기지국이 최후에 수신한 RLP 데이터 값을 기준으로, 신규 기지국이 최초에 수신한 RLP 데이터 값의 시작 시점 이후로 누락된 데이터가 있는 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KR10-2003-0021859A 2003-04-08 2003-04-0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KR10053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859A KR100536991B1 (ko) 2003-04-08 2003-04-0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859A KR100536991B1 (ko) 2003-04-08 2003-04-0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456A KR20040087456A (ko) 2004-10-14
KR100536991B1 true KR100536991B1 (ko) 2005-12-14

Family

ID=3736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859A KR100536991B1 (ko) 2003-04-08 2003-04-0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838B1 (ko) * 2005-10-10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시 패킷 유실을 방지하는 패킷 포워딩 방법, 경로재설정 방법 및 상태 전이 방법
KR100879985B1 (ko) 2007-02-12 200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손실 모바일 ip 패킷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87555B1 (ko) * 2008-06-04 2010-10-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터넷 망에서의 바이캐스팅을 이용한 sip핸드오버 방법 및 이동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456A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5040B2 (en) Selection of connection type in cellular system
US9622243B2 (en) Context transfers and multi-band operation for wireless networks
CN100468985C (zh) 移动通信系统、移动通信终端、功率控制方法
WO2017012434A1 (zh) 一种波束更新的方法和装置
KR10095067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망
EP2262156B1 (en) A method for use in a mobile station during handover
US81895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1106822B (zh) 移动通信系统、切换控制方法、基站和移动台
US7330700B2 (en) Radio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timing of a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based on CQI update and CQI repetition count information
US7656838B2 (en) Method for managing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equipmen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2007536854A (ja) 通信方法、パケット無線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ユーザ端末
KR10140280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 전환 지연시간 감소 방법 및장치
EP1916864B1 (en) Method of vertical handover by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terminal and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er
KR2008004610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의수신방법 및 장치
KR20080009146A (ko) 효율적인 핸드오프 시그널링에의 할당 메세지 이용
KR2007005561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USRE46960E1 (en)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system,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system including the communication device
US200801322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transport layer to provide measurement opportunities for the physical layer in a multi-mode network
WO2009117944A1 (zh) 一种多载波/小区系统中的载频控制方法和装置
CN102300233B (zh) 传输间隙样式序列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053699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GB2417862A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ARQ mechanism located in link layer
CN113015202A (zh) 侧链路测量配置和报告方法和用户设备
GB2416963A (en) A tele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data uplink channel
US11785516B1 (en) Proactive control of UE service based on quality of an access node's RF-circuitry as to frequency bands on which the access node operates in coverage zones through which the UE is predicted to m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