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489B1 -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489B1
KR102314489B1 KR1020210076417A KR20210076417A KR102314489B1 KR 102314489 B1 KR102314489 B1 KR 102314489B1 KR 1020210076417 A KR1020210076417 A KR 1020210076417A KR 20210076417 A KR20210076417 A KR 20210076417A KR 102314489 B1 KR102314489 B1 KR 102314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anufacturing
weight ratio
powde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영
Original Assignee
박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영 filed Critical 박은영
Priority to KR102021007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o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사 효능이 우수하면서도, 해마다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서 트렌디(trandy)하면서 우수한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FOR CLOTHING}
본 발명은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사 효능이 우수하면서도, 해마다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서 트렌디(trandy)하면서 우수한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의 패션 및 섬유 시장의 규모는 해마다 급성장하고 있다.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인터넷 등의 정보 공유 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으로 인해서, 패션 또는 섬유 산업의 유행이 짧은 주기로 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제품의 스타일, 색상, 재질, 장식, 원단 소재 등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needs)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소비자들은 주로 섬유 제품의 스타일, 장식류 등의 변화에 대해 주목하였으나, 최근에는 원단 자체의 성분, 재질, 기능성, 색감 등에도 초점을 맞춰 패션 트랜드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한편, 섬유 제품, 예컨대, 일상용 또는 심미성이 강조된 의복; 이너웨어; 흡습, 방수, 발열, 축열 및 항균 등의 기능성이 강조된 의류; 및 이불, 베개 등의 침구류; 등은 섬유로 제직, 편직된 원단을 가공하여 제작된다. 원단(Fabric)의 종류는, 예를 들어, 면, 면혼방, 린넨, 마, 옥스포드, 캔버스, 쟈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레이온, 기모, 시보리, 사틴, 모달, 부직포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원단의 종류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처리, 가공, 염색 등의 제조공정을 거친다. 그 중에서도, 원단의 심미성을 높이는 방법 중에 하나로, 원단의 표면에 각종 색을 염색하거나, 원단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문양에 스크린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게 된다. 원단의 염색은 전면 염색하는 침염과, 부분 염색하는 나염이 있으며, 염색 재료 측면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식물 및 광물로부터 색소를 얻고 이것을 이용하여 염색하는 자연염색과, 합성염료를 이용하여 염색하는 합성 염색이 있다.
오늘날 대부분은 합성염색 방식으로 염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풍부한 색상과 염색공정의 용이성, 견뢰도가 높은 염색물을 획득하고 있다. 이때문에, 염색과 관련된 염료의 개발은 주로 색감을 다양하고 미려하면서 화려하게 내는 방법이나 혹은 인체 무해한 염료를 합성하는 방법이나 혹은 염색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방법 등에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웰빙의 문화가 확산되면서 패션제품의 고급화, 친환경화, 기능성화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원단 자체의 항균성을 높이거나 소취성, 항알레르기성, 음이온 방출, 원적외선 방출 등의 기능성을 통하여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원단 제조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에 부응하면서도,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단 제조방법을 연구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11653호
본 발명은,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사 효능이 우수하면서도, 해마다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서 트렌디(trandy)하면서 우수한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직물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직물 원재료를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직물을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염료 조성물에 침지하여 염색 직물을 얻는 단계, 상기 염색 직물을 워싱(washing)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워싱 및 건조된 염색 직물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후처리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단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토르말린 분말, 실리카 입자 및 은나노 입자를 각각 1: 1.5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세라믹 분말 혼합물; 쑥 분말, 황토 분말 및 대나무 숯 분말을 2: 1: 2.5 의 중량비로 혼합한 천연 재료 분말; 및 유칼립투스 오일인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분말 혼합물, 천연 재료 분말 및 상기 오일 성분은 1 : 1.5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참나무 숯, 게르마늄 입자 및 구리입자를 1:1:1의 중량비로 배합한 제1 혼합물과,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1:1의 중량비로 배합한 제2 혼합물을 3:7의 중량비로 배합한 코팅액을 상기 염색 직물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사 효능이 우수하면서도, 해마다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서 트렌디(trandy)하면서 우수한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방법은, 원단의 소재, 재질, 염색 및 디자인 요소 등의 측면에서, 최근 20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필터링 및 분석한 다음, 분석된 데이터 중에서 유효 데이터를 초이스(choice)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당해년도의 패션 트렌드를 빠르게 예측하여 이에 부응하는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원단 제조방법은, 직물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직물 원재료를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직물을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염료 조성물에 침지하여 염색 직물을 얻는 단계, 상기 염색 직물을 워싱(washing)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워싱 및 건조된 염색 직물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후처리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직물 원재료는, 섬유(fiber)를 방적 또는 제사하여 얻어진 실(yarn)이거나, 상기 실(yarn)을 제직 또는 편직하여 얻어진 직물 생지(또는 피륙)를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직물 원재료는, 예를 들어, 무명(cotton), 모직(wool), 실크(silk), 삼(hemp), 리넨(linen), 라미(ramie) 등과 같은 천연 섬유이거나, 쿠프라(cupra), 레이온(rayon), 아세테이르계와 같은 재생 섬유이거나,폴리아미드계(나일론), 폴리에스터계, 폴리우레탄(스판덱스),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아크릴, 모드아크릴), 폴리비닐알콜계, 폴리프로필렌계(올레핀)와 같은 합성 섬유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얻어진 혼방사(mix)일 수 있고, 이들을 제직 또는 편직하여 얻어진 직물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직물 원재료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재질, 특성 등을 가지는 직물 등도 본 발명의 원단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물 원재료는, 최근 20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필터링 및 분석한 다음, 분석된 데이터 중에서 당해년도의 트렌드를 예측하여, 이에 부합하는 유효 데이터를 초이스(choice)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상기 직물 원재료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추후 수행될 염색, 가공 등의 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작업공정으로, 직물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 그 방법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공정은 예컨대, 모소(singeing), 호발(desizing), 정련(scouring), 표백(Bleaching), 머서라이징(Mercerizing)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공정은 원단 제조 분야에서 이미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법에 따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색 직물은, 상기 전처리된 직물을 염료 조성물에 침지하여 나염(부분 염색) 또는 침염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염색 직물은, 색상 및 그 조합과, 채도, 명도, 패턴, 문양, 레터링, 등의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나타낼 수 있으며, 당해년도에 유행할 수 있는 원단의 스타일을 예측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요소는 전술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염색 직물의 디자인 요소, 즉, 색상, 패턴, 채도, 명도, 패턴, 문양, 레터링 등과, 염색 방법 측면에서, 최근 20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필터링 및 분석한 다음, 분석된 데이터 중에서 당해년도의 트렌드를 예측하여, 이에 부합하는 유효 데이터를 초이스(choice)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염료 조성물은, 염료 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 성분은, 천연염료 또는 합성염료일 수 있다.
상기 천연염료는, 식물의 껍질이나 열매, 꽃, 잎 등에서 얻어질 수 있고, 일례로, 샤프란, 로그우드, 천연 인디고, 해너, 카민, 트리자색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합성염료는, 산성 염료, 아조익 염료, 염기성 염료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료 성분은, p-페닐렌디아민, m-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o-아미노페놀, 톨루엔-2,5-디아민 및 p-메틸아미노페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의 화합물과, 항산화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금속 봉쇄제, 컨디셔닝제, 보습제 및 대전방지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 성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단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료 성분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원단을 제직 또는 편직하여 제조되는 직물에 함 유되는 첨가제로 작용하여 직물 본연의 기능, 예컨대, 염색성, 부착성, 경화성, 고정 안정성은 해치지 않으면서 기능성을 보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상기 염료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어, 0.5 내지 3 중량부, 구체적으로, 0.6 내지 2 중량부, 일례로, 1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세라믹 분말 혼합물, 천연 재료 분말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분말 혼합물은, 토르말린 분말, 실리카 입자 및 은나노 입자를 각각 1: 1.5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 혼합물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효능을 발휘하고, 염색 고착율을 향상시키며 원단의 항균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재료 분말은 쑥 분말, 황토 분말 및 대나무 숯 분말을 2: 1: 2.5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재료 분말이 전술된 범위로 혼합되면, 원단의 탈취, 항균, 항알레르기 및 방습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은,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또는 로즈마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일 성분은 유칼립투스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유칼립투스 오일은 상기 기능성 성분인, 천연 재료 분말 및 세라믹 분말 혼합물의 상용성을 높이고, 염료 성분과 상기 기능성 성분이 콜로이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여 염료 고착성을 향상시키고, 원단의 탈취 성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 혼합물, 천연 재료 분말 및 상기 오일 성분은 1 : 1.5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의 조합 및 배합비는, 최근 20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필터링 및 분석한 다음, 분석된 데이터 중에서 당해년도의 트렌드를 예측하여, 이에 부합하는 유효 데이터를 초이스(choice)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염료 조성물은, 그 밖에도, 실리콘유, 아민 4차 암모늄, 2- (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염색 직물은, 염료 조성물에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외에도, 프린팅 인쇄하여 직물에 색감 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프린팅 인쇄는, 프린팅 장비를 사용하여 직물에 용도나 유행에 맞게 디자인 되도록 여러가지 형태 또는 무늬를 형성하거나, 직물 전체에 색감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인쇄를 할 경우에는, 전술된 전처리 공정들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염색 직물에 수세 및 샴푸를 수행하는 워싱(washing)과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워싱 공정은 첨가물 없이 반복적인 수세를 이용하여 유연성을 얻을 수 있거나, 또는 섬유 유연제 등을 이용하여 수세를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워싱 및 건조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염색과, 워싱 및 건조가 모두 수행된 직물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전술된 기능성 성분의 효능과 함께 항균성 및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데 시너지를 발휘하면서 투습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직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2 내지 8 중량%, 더 구체적으로, 5 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참나무 숯, 게르마늄 입자 및 구리입자를 1:1:1의 중량비로 배합한 제1 혼합물과,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1:1의 중량비로 배합한 제2 혼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은 3:7의 중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처리 가공은, 상기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한 후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하여 상기 코팅층이 직물에 더욱 견고하게 융착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후처리 가공은, 또한, 기능성 코팅층 내에 구리입자가 직물에 강하게 융착되도록 하여 우수한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 가공된 직물은 통상의 기술에 의하여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원단은, 예를 들어, 데님, 가죽, 레이스, 비드, 레이스, 망사, 리본, 패브릭 소품, 장식 소품 등의 부가 소재를 더 포함하여 원단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재의 예시는 일 예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부가 소재 또한, 최근 20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필터링 및 분석한 다음, 분석된 데이터 중에서 당해년도의 트렌드를 보다 빠르게 예측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방법은, 해마다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서 트렌디(trandy)하면서 우수한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직물 원재료, 염색, 기능성 성분 및 부가 소재는, 최근 20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필터링 및 분석한 다음, 분석된 데이터 중에서 당해년도의 트렌드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여, 이에 부합하는 유효 데이터를 초이스(choice)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방법은, 트렌디한 심미성을 확보하면서도, 항균성, 원적외선 방출, 항알레르기 등의 건강 증진 기능성과, 내구성 및 투습성 등의 물성을 더욱 증대시켜 보다 고품질의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원단은, 예컨대,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교복, 스포츠 의류, 이너웨어, 작업복 등의 다양한 용도의 의복에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여성용 티셔츠, 블라우스, 니트, 조끼, 점퍼, 자켓, 코트, 패딩 등의 상의; 스커트, 팬츠, 드레스, 점프수트, 수트 등의 하의; 이너웨어; 파티복; 연주복; 예식용 드레스; 수영복, 운동복 등의 스포츠 의류; 등의 다양한 의류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 적용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복을 형성할 수 있는 원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방사로 직조된 직물을 준비한 다음, 전처리한 후, 염료 조성물에 침지하여 염색하였다. 상기 염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염료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성분 1 중량부로 함유한 염료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토르말린 분말, 실리카 입자 및 은나노 입자를 각각 1: 1.5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세라믹 분말 혼합물, 쑥 분말, 황토 분말 및 대나무 숯 분말을 2: 1: 2.5 의 중량비로 혼합한 천연 재료 분말 및 유칼립투스 오일 성분으로, 상기 세라믹 분말 혼합물, 천연 재료 분말 및 상기 오일 성분은 1 : 1.5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었다.
또한, 염색된 직물에 참나무 숯, 게르마늄 입자 및 구리입자를 1:1:1의 중량비로 배합한 제1 혼합물과,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1:1로 배합한 제2 혼합물을 3:7의 중량비로 배합한 코팅액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하여 코팅층을 견고하게 융착시켰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염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되,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고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되, 기능성 코팅층에서 구리 입자를 미포함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되,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하지 않고,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기능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들의 원단의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측정하였다.
항균성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원단의 샘플 표면에 곰팡이 균주를 각각 1㎖씩 3군데 나누어 떨어뜨린 후 5 일, 10일, 15일간 항균 활성여부를 체크하였다. 시험방법은 ASTMG-21에 따랐고, 활성여부는 배양된 균주의 성장 유무로 확인하였으며, 시험한 곰팡이 균주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CC 9642, 페니실리움 피노필럼(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5일, 10일, 15일간 실시예 1의 샘플에서는 균주의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들의 샘플에서는 균주의 성장이 관측되었다.
원적외선 방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원단 샘플에 FT-IR 스펙트로메터를 이용하여 KFIA-F1-1005에 의거 원적외선 방사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0℃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유효 원적외선 파장대: 5-20㎛)은 실시예 1은 0.641로 확인되었으나, 비교예들의 경우는 0.2 미만으로 낮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여성용의 티셔츠, 블라우스, 니트 또는 조끼의 제작용으로 사용되는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명(cotton), 모직(wool), 실크(silk), 삼(hemp), 리넨(linen) 또는 라미(ramie) 인 천연 섬유; 쿠프라(cupra), 레이온(rayon) 또는 아세테이르계인 재생 섬유; 또는, 나일론, 폴리에스터계, 폴리우레탄(스판덱스), 아크릴, 모드아크릴, 폴리비닐알콜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인 합성 섬유;인 직물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직물 원재료를 모소(singeing), 호발(desizing), 정련(scouring), 표백(Bleaching) 또는 머서라이징(Mercerizing)를 수행하여 전처리된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직물을 염료 성분, 항균 기능 성분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염료 조성물에 침지하여 나염 또는 침염하되, 패턴, 문양 또는 레터링인 디자인 요소를 갖는 염색 직물을 얻는 단계;
    상기 염색 직물을 섬유 유연제를 이용하여 워싱(washing)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워싱 및 건조된 염색 직물의 표면에 항균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항균성 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하여, 상기 상기 항균성 코팅층 내의 함유된 구리입자가 상기 직물의 표면에 견고하여 융착되도록 하는, 후처리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후처리 가공된 직물을 원단으로 제조하되, 상기 원단에 데님, 가죽, 레이스, 비드, 레이스, 망사, 리본 또는 패브릭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단 제작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염료 성분은, 샤프란, 로그우드, 천연 인디고, 해너, 카민, 트리자색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고,
    상기 항균 기능 성분은, 상기 염료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항균 기능 성분은, 토르말린 분말, 실리카 입자 및 은나노 입자를 각각 1: 1.5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세라믹 분말 혼합물; 쑥 분말, 황토 분말 및 대나무 숯 분말을 2: 1: 2.5 의 중량비로 혼합한 천연 재료 분말; 및 유칼립투스 오일인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분말 혼합물, 천연 재료 분말 및 상기 오일 성분은 1 : 1.5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첨가제는, 실리콘유, 아민 4차 암모늄 또는 2- (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이고,
    상기 항균성 코팅층은, 참나무 숯, 게르마늄 입자 및 상기 구리입자를 1:1:1의 중량비로 배합한 제1 혼합물과,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1:1의 중량비로 배합한 제2 혼합물을 3:7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코팅액을 상기 염색 직물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10076417A 2021-06-14 2021-06-14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KR102314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417A KR102314489B1 (ko) 2021-06-14 2021-06-14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417A KR102314489B1 (ko) 2021-06-14 2021-06-14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489B1 true KR102314489B1 (ko) 2021-10-18

Family

ID=7827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417A KR102314489B1 (ko) 2021-06-14 2021-06-14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5551A (zh) * 2022-08-03 2022-12-06 浙江荡湾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余热回收利用的面料印染用烧毛机
WO2023146171A1 (ko) * 2022-01-28 2023-08-03 한원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합지원단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129A (ko) * 2011-09-28 2013-04-05 김범조 천연염색물에 대한 고효율 문양 형성방법
KR20150007685A (ko) * 2013-07-12 2015-01-21 최창용 토르말린 촉매체로 처리된 기능성 원단
KR101811653B1 (ko) 2016-03-09 2017-12-27 (주)에프티이앤이 침구류 나노섬유 원단 제조방법
KR102045805B1 (ko) * 2019-09-02 2019-11-19 박성일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129A (ko) * 2011-09-28 2013-04-05 김범조 천연염색물에 대한 고효율 문양 형성방법
KR20150007685A (ko) * 2013-07-12 2015-01-21 최창용 토르말린 촉매체로 처리된 기능성 원단
KR101811653B1 (ko) 2016-03-09 2017-12-27 (주)에프티이앤이 침구류 나노섬유 원단 제조방법
KR102045805B1 (ko) * 2019-09-02 2019-11-19 박성일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171A1 (ko) * 2022-01-28 2023-08-03 한원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합지원단 제조방법
CN115435551A (zh) * 2022-08-03 2022-12-06 浙江荡湾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余热回收利用的面料印染用烧毛机
CN115435551B (zh) * 2022-08-03 2024-03-01 浙江荡湾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余热回收利用的面料印染用烧毛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489B1 (ko)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Yusuf et al. Dyeing studies with henna and madder: A research on effect of tin (II) chloride mordant
US7841022B2 (en) Garment having various functional finishes
CN105908539B (zh) 一种涤纶欧根纱织物的染整工艺
Udale Basics fashion design 02: Textiles and fashion
CN110130127A (zh) 一种有机-金属离子复合抗菌剂的应用
Ahsan et al. Extraction and application of natural dyes on natural fibers: an eco-friendly perspective
CN104233860B (zh) 一种指甲花色素对真丝织物的铁盐后媒染工艺
CN110424163A (zh) 具有深浅交替颜色纹理及仿旧风格的纯棉针织面料及制法
CN107747237B (zh) 染色织物及其制备方法
CN108385390A (zh) 一种抗菌防霉针织物的制备方法
CN106435888A (zh) 一种具有三防功效的竹纤维面料的制备方法
CN105970678A (zh) 一种冬季衬衫面料的制备方法
CN108866705A (zh) 一种亚麻色纺长麻纱的制备工艺流程
KR102286458B1 (ko) 내구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의류 제조방법
Ammayappan et al. Value addition of pashmina products: pres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a review.
CN110106718B (zh) 一种双色效应经编绒类织物的制备方法
CN105507038A (zh) 一种牛奶蛋白复合纤维针织面料染色方法
Patel et al. Azadirachta indicaMediated Bioactive Lyocell Yarn: Chemical and Colour Characterization
Pandey et al. Luxurious Sustainable Fibers
KR20230148452A (ko) 내구성 및 착용감이 뛰어난 의류 제조 방법
Sharma et al. Cotton and wool blends-a review
Khattak et al. Evaluation of fastness and tensile properties of cotton fabric dyed with root extracts of Acacia Catechu by pad-steam procedure
JP4799021B2 (ja) ナイロン繊維又は羊毛に用いられる染料で非染色性の糸を染色可能とする方法
Singhee et al. Dyeing of silk fabric with onion peel waste using unconventional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