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805B1 -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805B1
KR102045805B1 KR1020190108153A KR20190108153A KR102045805B1 KR 102045805 B1 KR102045805 B1 KR 102045805B1 KR 1020190108153 A KR1020190108153 A KR 1020190108153A KR 20190108153 A KR20190108153 A KR 20190108153A KR 102045805 B1 KR102045805 B1 KR 10204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sweat
drying
micro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일 filed Critical 박성일
Priority to KR102019010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3D15/0083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247Discontinuous hollow structure or microporous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1Treatment with 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X-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8Treatment with radioactive elements or with neutrons, alpha, beta or gamma 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5Resistance to light or sun, i.e. protection of the textile itself as well as UV shielding materials or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Anti-yellowing treat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원사를 제직 또는 편직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거나 상기 원사를 원단화 형성한 후에 라미네이팅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 (D) 상기 염색을 마친 원단을 후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a) 소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1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b) 소수성 물질과 친수성 물질 및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2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c) 친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3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에 대해 추출용매를 사용하되 25~40℃의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침지 처리함으로써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출해냄에 의해 각 원사 내에 미세기공에 의한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 (e)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을 열처리하여 건조시킴과 더불어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원사를 이용하여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착용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FABRIC MANUFACTURING METHOD WITH SWEAT ABSORPTION AND QUICK DRYING PROPERTY AS WELL AS VENTILATION}
본 발명은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원사를 이용하여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착용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흡수성이 양호한 면사나 면/폴리에스테르 등의 혼방사가 의류용 원사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땀이 많이 나게 되면 상기 원사가 땀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축축하고 차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몸에 의류가 휘감기고 끈적거림 등이 발생하는 등 착용 쾌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 흡한속건(吸汗速乾)성 및 통풍성을 구비한 의류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흡한속건성 및 통풍성을 구비한 의류는 몸에서 발생되는 땀을 제어함으로써 착용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부연하여, 상기 흡한속건성 및 통풍성은 일상생활이나 작업 또는 레저활동에 있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땀으로 인한 불쾌감을 줄이고 외부에서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습기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흡한속건성 및 통풍성을 위한 의류에 사용되는 원단은 땀과 같은 액체나 기체 상태의 수분을 신속하게 체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섬유의 공극률을 높여 모세관현상을 이용하거나 또는 소재에 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수분의 흡수, 확산, 증발의 양과 속도를 높이는 기능을 하도록 제조된다.
즉, 땀이 즉시 원단으로 흡수되도록 하며 원단에 흡수된 수분이 활발하게 외부로 배출 또는 증발시킬 수 있도록 제조되며, 원단의 안쪽으로 적절한 발수가공을 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점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영역을 만들도록 하고, 이를 통해 모세관현상에 의해 땀을 순간적으로 발산시킴으로써 우수한 속건성을 갖게 하며 땀이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아 끈적임이 없도록 한다.
종래 흡한 속건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원사의 단면을 이형단면사로 하여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흡수성과 합성섬유의 저수분율에 의한 속건성을 가지도록 하는 기술이 있고, 친수성 화학구조 도입에 의한 흡한속건성을 도입하는 기술 등이 있다.
한편, 흡한속건(吸汗速乾)성 및 통풍성을 갖는 의류의 수요는 계절적인 요인이나 환경 등에 의해 점차적으로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흡한속건(吸汗速乾)성 및 통풍성을 높여 착용 쾌적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개발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46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41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원사를 이용하여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착용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은, (A)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원사를 제직 또는 편직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거나 상기 원사를 원단화 형성한 후에 라미네이팅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 (D) 상기 염색을 마친 원단을 후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a) 소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1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b) 소수성 물질과 친수성 물질 및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2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c) 친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3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에 대해 추출용매를 사용하되 25~40℃의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침지 처리함으로써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출해냄에 의해 각 원사 내에 미세기공에 의한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 (e)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을 열처리하여 건조시킴과 더불어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제1원사를 신체 피부에 접촉되는 내층으로 배치하여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는 땀흡수층으로 기능하게 하고, 상기 제2원사를 제1원사에 의한 땀흡수층 위에 중간층으로 배치하여 땀을 외부로 이동하는 땀이동층으로 기능하게 하며, 상기 제3원사를 제2원사에 의한 땀이동층 위에 외층으로 배치하여 땀을 배출하는 땀발산층으로 기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D)단계에서는, (a) 퍼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몬모릴나이트, 게르마늄, 맥반석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공성 광물입자를 0.1~10㎛ 입자 크기로 구비하되, 200~300℃의 온도에서 12~18시간 열처리하여 원적외선 방사효율을 높임과 더불어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b) 비스무스차질산염, 아크리놀, 베르베린, 유칼립투스, 황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균성담지체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c) 항균성담지체가 용해된 증류수에 다공성 광물입자를 투입한 후 10~12시간 교반하여 항균성담지체를 다공성 광물입자에 담지시키는 단계; (d) 항균성담지체가 담지된 다공성 광물입자를 바인더와 혼합한 후 원단의 내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e) 코팅을 마친 원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와 더불어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D)단계에서는, (a) 다공성 및 친수성 수지인 폴리우레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은이나 알루미늄 입자 또는 이들이 혼합된 입자 50~100중량부를 함유하도록 분산시킨 광반사체를 제조하는 단계; (b) 광반사체를 원단의 외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c) 코팅을 마친 원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고준위 감마선을 조사하여 건조와 더불어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소수성 물질은,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고; 상기 친수성 물질은, 면, 마, 레이온, 모, 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고; 상기 미세다공형성제는, 스테아릴알콜, 디부틸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며; 상기 미세다공형성제는 각 원사 내에서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기공률이 30~60%를 차지하도록 총 100중량 대비 10~30중량%를 첨가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원사를 이용하여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착용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 탈취 및 자외선 반사 기능을 부가적으로 갖는 통풍성 흡한속건성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 원사 구비단계를 나타낸 상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 후가공 단계의 일 예시를 나타낸 상세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 후가공 단계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상세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사 구비단계(S100), 원단 제조단계(S200), 염색단계(S300), 및 후가공단계(S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사 구비단계(S100)는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사 구비단계(S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원사 제조단계(S110), 제2원사 제조단계(S120), 제3원사 제조단계(S130), 미세다공성형성제 용출단계(S140), 및 열처리단계(S150)로 순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원사 제조단계(S110)는 소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1원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소수성 물질은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세다공형성제는 스테아릴알콜, 디부틸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다공형성제는 제1원사 내에서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기공률이 30~60%를 차지하도록 총 100중량 대비 10~30중량%를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원사 제조단계(S120)는 소수성 물질과 친수성 물질 및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2원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소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내용을 준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친수성 물질은 면, 마, 레이온, 모, 견 섬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다공형성제는 제2원사 내에서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기공률이 30~60%를 차지하도록 총 100중량 대비 10~30중량%를 첨가함이 바람직하며, 나머지 70~90중량%의 범위 내에서 소수성 물질과 친수성 물질을 1:1의 중량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제3원사 제조단계(S130)는 친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3원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친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내용을 준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사 내지 제3원사를 제조하여 구비시, 상기 미세다공형성제의 첨가량에 대해서는 제1원사 < 제2원사 < 제3원사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성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 제조시 내층에서 외층으로 갈수록 미세기공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땀 배출을 가능하게 하되 수분 유입은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다공성형성제 용출단계(S140)는 상기와 같이 각 단계에 의해 제조된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에 대해 추출용매를 사용하되 25~40℃의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침지 처리함으로써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출해내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부타놀, 헥산 중에서 적어도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에서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출해냄에 의해 각각의 원사 내에 미세기공에 의한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원사로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미세다공형성제의 첨가량에 대해서 제1원사 < 제2원사 < 제3원사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출 후에는 내층에서의 미세기공에 대해 20~30㎛의 크기로, 중간층에서의 미세기공에 대해 30~40㎛의 크기로, 외층에서의 미세기공에 대해 40~6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단계(S150)는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제1원사 내지 제3원사를 제조한 상태에 이들 각각을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열처리단계(S150)는 열풍이나 원적외선 조사 또는 감마선 조사를 통해 열처리함으로써 각각의 원사에 대해 건조시킴과 더불어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처리단계(S150)는 열풍이나 원적외선 조사방식의 경우 110~150℃에서 30~60초 동안 열처리하고, 감마선 조사방식의 경우 30초당 1kGy의 선량율로 10kGy까지 조사하는 형태로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원단 제조단계(S200)는 상기 원사 구비단계(S100)에서 구비한 원사를 가지고 제직 또는 편직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거나 상기 원사를 직물로 원단화하여 형성한 후에 라미네이팅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원단 제조단계(S200)는 상술한 내용으로 제조된 메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제1원사 내지 제3원사를 사용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원단 제조단계(S200)에서는 상기 제1원사를 신체 피부에 접촉되는 내층으로 배치하여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는 땀흡수층으로 기능하게 하고, 상기 제2원사를 제1원사에 의한 땀흡수층 위에 중간층으로 배치하여 땀을 외부로 이동하는 땀이동층으로 기능하게 하며, 상기 제3원사를 제2원사에 의한 땀이동층 위에 외층으로 배치하여 땀을 배출하는 땀발산층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색단계(S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에 대해 염색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염색단계(S300)는 원단을 소재 또는 원하는 색상에 따라 침염 또는 날염에 의한 방식으로 염색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에 의한 염색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후가공단계(S400)는 상기 염색까지 마친 원단을 후가공하여 기능성을 갖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후가공단계(S400)는 일 예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성 광물입자 구비단계(S410), 항균성담지체 구비단계(S420), 담지 처리단계(S430), 코팅단계(S440), 및 건조단계(S450)로 순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광물입자 구비단계(S410)는 퍼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몬모릴나이트, 게르마늄, 맥반석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공성 광물입자를 0.1~10㎛ 입자 크기로 구비하되, 200~300℃의 온도에서 12~18시간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다공성 광물입자에 대해 열처리함으로써 광물입자가 갖는 원적외선 방사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수분을 제거함에 의해 이후 담지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공성 광물입자를 사용함에 따라 통풍성 및 습한속건성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형태로 후가공하면서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항균성담지체 구비단계(S420)는 항균성 및 살균성을 갖는 물질인 비스무스차질산염, 아크리놀, 베르베린, 유칼립투스, 황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균성담지체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담지 처리단계(S430)는 항균성담지체가 용해된 증류수에 다공성 광물입자를 투입한 후 10~12시간 교반하여 항균성담지체를 다공성 광물입자에 담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코팅단계(S440)는 항균성담지체가 담지된 다공성 광물입자를 아크릴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수성 바인더와 교반 혼합한 후 이를 원단의 내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단계(S450)는 코팅을 마친 원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와 더불어 고착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후가공단계(S400)는 다른 예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반사체 구비단계(S460), 코팅단계(S470), 및 건조단계(S480)로 순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체 구비단계(S460)는 다공성이면서 친수성을 갖는 수지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바인더로 하여 광반사 기능을 하도록 은이나 알루미늄 입자를 분산 및 혼합 조성함으로써 액상의 광반사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광반사체 구비단계(S460)는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은이나 알루미늄 입자 또는 이들이 혼합된 입자 50~100중량부를 함유하도록 분산시킨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코팅단계(S470)는 상술한 내용을 갖는 광반사체를 원단의 외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단계(S480)는 코팅을 마친 원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고준위 감마선을 조사하여 건조와 더불어 고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S480)에서는 고준위 감마선을 조사하는 경우 30분당 5kGy의 선량율로 25kGy까지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후가공단계(S40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일 예시와 다른 예시를 모두 수행하는 단계로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 원단 제조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은 실시예로 원단을 제조한 후 흡수성 및 속건성을 테스트하였다.
(실시예 1)
폴리에스터 90중량%와 스테아릴알콜 10중량%를 용융 혼합한 후 방사하여 제1원사를 제조하고, 폴리에스터 40중량% 및 면 40중량%와 스테아릴알콜 20중량%을 용융 혼합한 후 방사하여 제2원사를 제조하며, 면 70중량%와 스테아릴알콜 30중량%을 용융 혼합한 후 방사하여 제3원사를 제조한 다음에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을 30℃의 에탄올 3시간 동안 침지시켜 스테아릴알콜을 용출해냄으로써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원사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제1원사 제3원사를 제직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되, 제1원사를 내층, 제2원사를 중간층, 제3원사를 외층에 배치한 형태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스터 85중량%와 디부틸프탈레이트 15중량%를 용융 혼합한 후 방사하여 제1원사를 제조하고, 폴리에스터 40중량% 및 면 40중량%와 디부틸프탈레이트 20중량%을 용융 혼합한 후 방사하여 제2원사를 제조하며, 면 75중량%와 디부틸프탈레이트 25중량%을 용융 혼합한 후 방사하여 제3원사를 제조한 다음에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을 30℃의 에탄올에 3시간 동안 침지시켜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용출해냄으로써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원사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제1원사 제3원사를 제직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되, 제1원사를 내층, 제2원사를 중간층, 제3원사를 외층에 배치한 형태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면 100% 원단을 사용하였다.
(테스트 1 - 흡수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2에 의해 제조된 원단과 비교예 1의 원단 각각에 대해 길이 30cm, 폭 5cm로 절단한 후 일측 끝단부를 용기에 담긴 증류수에 접촉시키고 타측 끝단부를 세워 고정한 상태에 15분 경과 후 증류수의 상승한 높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흡수성(mm)
실시예 1 65mm
실시예 2 68mm
비교예 1 32mm
상기 표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이 비교예 1의 면 원단에 비해 흡수성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즉 땀 등의 수분을 신속히 흡수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테스트 2 - 속건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2에 의해 제조된 원단과 비교예 1의 원단 각각에 대해 202.5㎠ 크기의 규정된 모양으로 절단하여 구비하고, 이를 증류수에 침지한 후 꺼내어 각 원단에 대해 중량변화를 측정하였으며, KS K0815의 건조속도시험법 B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각 원단에 대해 남은 수분의 양이 1g이 될 때부터 5분 간격으로 30분 동안 중량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시료에 1g의 수분이 남았을 때를 기준으로 각 시료와의 무게 차이를 산출하는 형태로 수분증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수분증발율(%)
건조시간(분) 0 5 10 15 20 25 30
실시예 1 0 52.8 71.5 89.3 95.7 97.2 98.4
실시예 2 0 51.4 71.2 88.9 95.5 96.9 98.3
비교예 1 0 35.6 56.1 62.8 70.2 79.8 83.5
상기 표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이 비교예 1의 면 원단에 비해 속건성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즉 땀 등의 수분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통해서는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원사를 이용하여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착용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S100: 원사 구비단계
S200: 원단 제조단계
S300: 염색단계
S400: 후가공단계

Claims (6)

  1. (A)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원사를 제직 또는 편직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거나 상기 원사를 원단화 형성한 후에 라미네이팅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원단으로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
    (D) 상기 염색을 마친 원단을 후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a) 소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1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b) 소수성 물질과 친수성 물질 및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2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c) 친수성 물질과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방사하여 제3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에 대해 추출용매를 사용하되 25~40℃의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침지 처리함으로써 미세다공형성제를 용출해냄에 의해 각 원사 내에 미세기공에 의한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
    (e) 미세다공섬유 구조를 갖는 제1원사 내지 제3원사 각각을 열처리하여 건조시킴과 더불어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제1원사를 신체 피부에 접촉되는 내층으로 배치하여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는 땀흡수층으로 기능하게 하고,
    상기 제2원사를 제1원사에 의한 땀흡수층 위에 중간층으로 배치하여 땀을 외부로 이동하는 땀이동층으로 기능하게 하며,
    상기 제3원사를 제2원사에 의한 땀이동층 위에 외층으로 배치하여 땀을 배출하는 땀발산층으로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a) 퍼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몬모릴나이트, 게르마늄, 맥반석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공성 광물입자를 0.1~10㎛ 입자 크기로 구비하되, 200~300℃의 온도에서 12~18시간 열처리하여 원적외선 방사효율을 높임과 더불어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b) 비스무스차질산염, 아크리놀, 베르베린, 유칼립투스, 황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균성담지체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c) 항균성담지체가 용해된 증류수에 다공성 광물입자를 투입한 후 10~12시간 교반하여 항균성담지체를 다공성 광물입자에 담지시키는 단계;
    (d) 항균성담지체가 담지된 다공성 광물입자를 바인더와 혼합한 후 원단의 내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e) 코팅을 마친 원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와 더불어 고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a) 다공성 및 친수성 수지인 폴리우레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은이나 알루미늄 입자 또는 이들이 혼합된 입자 50~100중량부를 함유하도록 분산시킨 광반사체를 제조하는 단계;
    (b) 광반사체를 원단의 외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c) 코팅을 마친 원단에 원적외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고준위 감마선을 조사하여 건조와 더불어 고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은,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고;
    상기 친수성 물질은,
    면, 마, 레이온, 모, 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고;
    상기 미세다공형성제는,
    스테아릴알콜, 디부틸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며;
    상기 미세다공형성제는 각 원사 내에서 미세다공섬유 구조의 기공률이 30~60%를 차지하도록 총 100중량 대비 10~30중량%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사와 제2원사 및 제3원사는 각각,
    상기 미세다공형성제의 첨가량에 대해 제1원사 < 제2원사 < 제3원사의 조건으로 하여 내층에서 외층으로 갈수록 미세기공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땀 배출을 가능하게 하되 수분 유입은 방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 및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KR1020190108153A 2019-09-02 2019-09-02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KR10204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53A KR102045805B1 (ko) 2019-09-02 2019-09-02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53A KR102045805B1 (ko) 2019-09-02 2019-09-02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805B1 true KR102045805B1 (ko) 2019-11-19

Family

ID=6877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53A KR102045805B1 (ko) 2019-09-02 2019-09-02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80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83B1 (ko) * 2020-03-26 2020-10-14 박두성 통풍성을 가지는 기능성 원단 제조 방법
KR102298319B1 (ko) * 2020-12-31 2021-09-03 박지원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KR102314489B1 (ko) * 2021-06-14 2021-10-18 박은영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KR102446427B1 (ko) * 2022-02-23 2022-09-23 (주)네오피에스 유해물질 대체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262058A (zh) * 2022-08-05 2022-11-01 南通纬和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导湿快干型多层散热纺织面料的制备方法
KR20230100384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플러스앤파트너스 흡한속건의 기능을 나타내는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KR20230125388A (ko)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플러스앤파트너스 합성 단섬유를 이용하여 함기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KR102661441B1 (ko) 2023-10-19 2024-04-30 주식회사 리비저너리 친환경 생분해성 원단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681A (ko) * 2013-07-12 2015-01-21 최창용 고기능성 코팅 직물의 제조 방법
KR101884179B1 (ko) 2017-12-22 2018-08-01 주식회사 아루마루 하계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1936552B1 (ko) * 2018-10-04 2019-01-08 봉중목 배낭용 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낭용 원단
KR20190066672A (ko) * 2017-12-06 2019-06-1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다공성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04671B1 (ko) 2019-01-08 2019-07-29 구홍림 수분 침투성 및 확산성이 향상된 흡한속건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681A (ko) * 2013-07-12 2015-01-21 최창용 고기능성 코팅 직물의 제조 방법
KR20190066672A (ko) * 2017-12-06 2019-06-1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다공성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884179B1 (ko) 2017-12-22 2018-08-01 주식회사 아루마루 하계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1936552B1 (ko) * 2018-10-04 2019-01-08 봉중목 배낭용 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낭용 원단
KR102004671B1 (ko) 2019-01-08 2019-07-29 구홍림 수분 침투성 및 확산성이 향상된 흡한속건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83B1 (ko) * 2020-03-26 2020-10-14 박두성 통풍성을 가지는 기능성 원단 제조 방법
KR102298319B1 (ko) * 2020-12-31 2021-09-03 박지원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KR102314489B1 (ko) * 2021-06-14 2021-10-18 박은영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KR20230100384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플러스앤파트너스 흡한속건의 기능을 나타내는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KR20230125388A (ko)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플러스앤파트너스 합성 단섬유를 이용하여 함기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KR102446427B1 (ko) * 2022-02-23 2022-09-23 (주)네오피에스 유해물질 대체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262058A (zh) * 2022-08-05 2022-11-01 南通纬和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导湿快干型多层散热纺织面料的制备方法
CN115262058B (zh) * 2022-08-05 2023-10-17 南通纬和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导湿快干型多层散热纺织面料的制备方法
KR102661441B1 (ko) 2023-10-19 2024-04-30 주식회사 리비저너리 친환경 생분해성 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805B1 (ko)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US7169720B2 (en) Moisture management system
US10767297B2 (en) Unidirectional wicking substrate
CN106120015B (zh) 一种铜基金属有机骨架抗菌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327755B1 (ko) 발열 기능을 갖는 직편물 원단의 제조방법
KR100973539B1 (ko) 흡수속건 및 발수성을 갖는 이중구조의 다기능성 원단
CN1638710A (zh) 体液吸收制品和尿布
KR101234043B1 (ko) 자외선 경화형 투습발수 기능을 갖는 코팅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74697B (zh) 一种抗菌吸湿发热复合面料及其制备方法
KR100504675B1 (ko)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초발수 흡수속건성 원단
KR20110088281A (ko) 수분제어원사 및 원단
KR100783179B1 (ko) 수분전이 기능을 갖는 통기성 방제용 원단 및 그 제법
KR102409573B1 (ko) 소수성 및 친수성을 가지는 항균성 편직물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제품
KR102337316B1 (ko) 항균소취성을 갖는 흡한속건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457480B (zh) 单面拨水及单面吸湿的透气布处理方法
KR100566043B1 (ko) 다기능 보온원단
JP2009102761A (ja) 吸水性と拡散蒸発性に優れる多層構造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CN110835801B (zh) 一种纳米金属抗菌纤维面料及其制备方法
KR20090050578A (ko) 이중표면구조의 천연광물 함유 다기능성 원단
KR101403675B1 (ko) 흡한속건성 다층구조 직물
KR102496974B1 (ko) 온도조절기능을 갖는 삼중조직의 합포형 흡습 속건 원단
KR100756406B1 (ko) 옷 내피용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7964A (ko) 흡습 발열섬유
KR20100010682A (ko) 방오성 농작업복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57568A (ko) 다이어트용 조성물을 함유한 땀복용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