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319B1 -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 Google Patents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319B1
KR102298319B1 KR1020200188871A KR20200188871A KR102298319B1 KR 102298319 B1 KR102298319 B1 KR 102298319B1 KR 1020200188871 A KR1020200188871 A KR 1020200188871A KR 20200188871 A KR20200188871 A KR 20200188871A KR 102298319 B1 KR102298319 B1 KR 10229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ttern
silicone
uni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원 filed Critical 박지원
Priority to KR102020018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원단의 일 면에,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실리콘 용액의 인쇄 및 건조 과정을 반복하여 패턴을 형성하되, 마지막 인쇄 후 건조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표면이 습윤 상태인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단계; 베이스 필름에 제2 원단이 부착된 제2 원단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원단 유닛의 제2 원단면이 상기 제1 원단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제1 원단의 일면에 압착하는 압착단계; 및 상기 제2원단 유닛을 상기 제1 원단으로부터 분리하되, 상기 패턴에 대응한 상기 제2 원단이 상기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도록 하는 박리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연속공정에 의하여 주 원단에 이질적인 패턴 원단을 효율적으로 결합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CLOTHES HAVING SUEDE-SILICON PATTERN AND FABRIC FOR CLOTHES HAVING SUEDE-SILICON PATTERN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기술은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포츠 의류 등 탄성을 갖는 의류 원단에 상기 의류 원단과 이종의 재질을 갖는 원단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재질이나 디자인에 의하여 구별되는 고전적인 의류의 개념을 넘어 다양한 첨단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원단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도 1은 기능성 스포츠 의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의류는 운동 시 하체에 착용하는 기능성 의류로서, 효과적인 땀 배출 등 기본적인 스포츠 의류의 기능성 범주를 넘어 근육의 운동 기작을 고려한 기능성 패턴을 포함하는 의류이다. 즉, 상기 패턴은 단순한 디자인이 아니며, 패턴 형성 부위와 기본 원단이 서로 탄성 등의 물성이 상이함에 기인하여, 패턴을 통하여 근육 활동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과학적 요소이다.
이와 같이,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패턴은 디자인 외의 다양한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의류 원단에 부착된 패턴의 안정성 향상 및 패턴에 의한 착용감 저하 방지 등을 고려할 때, 패턴의 형성 과정은 매우 중요한 기술적 단계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의 기능성 패턴의 형성은 주로 열에 의한 전사, 접착제에 의한 부착, 봉제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패턴의 원활한 기능성 발휘를 위하여 내구성 등 여러 물성 면에서 취약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방식의 원단 패턴 형성 방법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통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성 패턴의 발굴이 가속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형성된 패턴의 안정성 및 기능 발현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 패턴의 결합 안정성이 극대화됨으로써 패턴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패턴 형성 부위와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이질감이 적어 착용감이 우수하며 나아가 패턴의 기능성 발현이 촉진될 수 있는 패턴 의류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은 제1 원단의 일 면에,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실리콘 용액의 인쇄 및 건조 과정을 반복하여 패턴을 형성하되, 마지막 인쇄 후 건조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표면이 습윤 상태인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단계; 베이스 필름에 제2 원단이 부착된 제2 원단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원단 유닛의 제2 원단면이 상기 제1 원단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제1 원단의 일면에 압착하는 압착단계; 및 상기 제2원단 유닛을 상기 제1 원단으로부터 분리하되, 상기 패턴에 대응한 상기 제2 원단이 상기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도록 하는 박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 과정은 250 내지 350℃의 온도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는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단계는 180℃ 내지 230℃의 온도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패턴의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나아가 후술할 제2 원단의 원활한 박리를 가능하게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용액은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0.8 중량부의 다공성 열처리 광물로 이루어진 미세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열처리 광물은, 질석, 세피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장석 및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물을 용융점 미만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형성된 광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용액은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단으로서는 스웨이드(suede) 원단 등 제1 원단과 이질적인 소재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의류 원단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탄성을 갖는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 상에 형성되고, 실리콘 수지 및 다공성 열처리 광물의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실리콘 패턴층; 및 상기 실리콘 패턴층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턴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원단과 이종의 재질을 갖는 제2 원단으로 이루어진 원단 패턴층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패턴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본 원단과 패턴 원단의 매개층으로서의 실리콘 패턴층의 기본 원단 및 패턴 원단과의 결합력이 매우우수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 패턴층 자체의 내구성이 우수한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실리콘 패턴층은 접착 특성 뿐만 아니라 다공성 열처리 광물로 이루어진 미세입자를 포함함으로써, 패턴의 압착특성은 유지하되 패턴의 유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어 제조되는 패턴 의류의 착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리콘 패턴층은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므로써, 실리콘 패턴층의 유연성 및 완충특성을 개선하여 패턴 원단과 베이스 원단 간의 탄성의 이질성에 기인한 부자연스러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패턴 원단에 해당하는 스웨이드 등의 원단을 패턴형상으로 가공하여 부착하거나 봉제하는 방식이 아닌, 패턴 원단으로부터 해당 패턴에 대응한 원단만을 선택적으로 박리하는 방식을 포함하므로 전체적인 패턴 형성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원단 제조방법은 대량 생산을 위한 연속공정 및 자동화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델이다.
도 1은 기능성 스포츠 의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제1 원단에 실리콘 패턴이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연속 장치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단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압착단계 완료 이후 제1 원단에 제2 원단 유닛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리단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도 7의 박리단계를 통하여 제1 원단에 제2 원단 패턴이 형성된 모습을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을 요약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의류 원단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에 의하여 제조된 패턴 의류 원단의 층상 구조에 대해서도 충분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명들이며, 하기 설명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이 당연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오직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제한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하기 설명을 위하여 참조되는 일부 도면의 각 층들의 스케일은 설명을 위하여 개념적으로 과장된 것일 수 있으므로, 도면의 스케일에 의하여 본 발명 패턴 의류 원단의 크기나 두께의 기술요소가 도면에 의하여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패턴 의류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S100)을 수행하기 위해서 우선 의류 원단인 제1 원단의 표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 형성단계(S110)를 수행한다. 상기 의류 원단이 기능성 스포츠 의류일 경우,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 탄성을 갖는 다양한 합성 섬유가 의류 원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원단을 이루는 섬유 또는 직물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다.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실리콘 용액을 스크린 인쇄 방식 등에 의하여 인쇄함으로써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실리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용액은 고형분인 실리콘 또는 실리콘 계열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 경화제, 지연제, 발포제 등의 공지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콘 용액은 고형분인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0.8 중량부의 다공성 열처리 광물로 이루어진 미세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미세 분말은 광물을 용융점 미만인 온도에서 열처리하고 상기 열처리된 광물을 수 ~ 수십 ㎛ 수준으로 분말화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 광물은 열처리를 통하여 다공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광물로서는, 질석, 세피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장석, 현무암 등의 광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된 광물로 이루어진 미세 분말은 실리콘 패턴의 내구성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제1 원단과 패턴 원단으로서 기능하는 제2 원단의 이질적인 탄성 특성에도 불구하고 패턴 의류의 우수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다공성 광물 입자들이 실리콘 패턴의 완충 특성을 증가시키고 및 상기 실리콘 패턴에 부착되는 패턴 원단인 제2 원단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실리콘 용액은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2-메틸 스티렌, 3-메틸 스티렌, 4-메틸 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텐타지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 역시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실리콘 패턴의 유연성을 보다 극대화 함으로써, 패턴 원단인 제2 원단과 베이스 원단인 제1 원단 간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의류의 주 원단인 제1 원단에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용액을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하여 제 1 원단 표면에 인쇄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상기 실리콘 패턴의 인쇄는 대략 7회 내지 10회 반복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의 반복회수는 형성되는 의류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상기 패턴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인자로서 작용한다. 1회의 패턴 인쇄 이후에는 건조 과정을 거친다. 건조는 형성된 실리콘 패턴의 경화 및 패턴을 이루는 고형분인 실리콘 수지나 다공성 광물로 이루어진 미세 분말의 균일한 분산을 유지하기 위하여 짧은 시간 고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건조는 250℃ 내지 350℃의 온도로 10 내지 2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의 인쇄 및 건조는 연속공정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습윤 상태의 패턴이 방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패턴 형성단계(S110)에서 이루어지는 반복 인쇄 및 반복 건조 과정 중, 마지막 패턴 인쇄 과정 이후에는 건조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마지막 적층되는 패턴은 습윤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후술할 제2 원단의 압착단계(S130)가 습윤 상태의 실리콘 패턴 상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마지막 습윤 상태의 실리콘 패턴은 압착단계(S130)에서 이루어지는 압착 및 가열을 통하여 제2 원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층으로서 작용한다.
도 3은 제1 원단에 실리콘 패턴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흑색의 실리콘 패턴이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1 원단의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패턴의 형상은 디자인적인 측면 외에 의학적 또는 과학적 정보에 기초한 기능적 패턴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실리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연속 장치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패턴은 연속 라인을 이동하면서 복수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진의 공정에서 인쇄와 건조가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원단에 대한 연속적 실리콘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패턴 형성단계(S110)가 완료되면, 제2 원단 유닛과 패턴이 형성된 제1 원단이 마주보도록 하여 압착하는 압착단계(S130)를 거친다. 압착단계(S130)를 수행하기 전에 미리 제2 원단 유닛을 준비하는 제2 원단 유닛 준비단계(S120)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원단 유닛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에 부착된 제2 원단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제2 원단을 부착하기 위한 이형지 필름일 수 있으며, 제2 원단이 효과적으로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베이스 필름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상기 제2원단 유닛 준비단계(S120)는 베이스 필름에 상기 제1 원단과 탄성 등 물리적 특성 면에서 이질적인 제2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원단으로서는 스웨이드(suede)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압착단계(S130)에서는, 실리콘 패턴이 형성된 제1 원단을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원단 유닛을 적층하고 압착하는 단계이다. 물론, 상기 제2 원단 유닛의 베이스 필름에 부착된 제2 원단면이 상기 제1 원단과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압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단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착기 내부로 제1 원단에 제2 원단 유닛이 적층되어 있고, 압착기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압착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4의 압착단계 완료 이후 제1 원단에 제2 원단 유닛이 압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압착 압력은 실리콘 패턴의 두께 등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으나, 압착 온도는 180℃ 내지 230℃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 온도는 실리콘 패턴을 이루는 조성 및 제2 원단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압착단계(S130)를 통하여, 제2 원단 유닛의 제2 원단과 제1 원단 상의 실리콘 패턴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상기 압착단계(S130)는 복수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압착단계(S130)가 완료되면, 압착된 제2 원단 유닛으로부터 제1 원단의 실리콘 패턴에 대응한 제2 원단을 박리하는 박리단계(S140)가 이루어진다. 박리단계(S140)에서는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실리콘 패턴의 형상에 대응한 제2 원단만이 선택적으로 박리됨으로써, 상기 제1 원단의 실리콘 패턴 상에 제2 원단이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제1 원단은 제2 원단에 의한 패턴을 갖는 의류 원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리단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원단 유닛을 제1 원단과 박리함으로써, 제1 원단의 실리콘 패턴 상에는 제2 원단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제2 원단 유닛으로부터는 실리콘 패턴에 대응한 제2 원단이 선택적으로 분리된다.
도 7은 도 6의 박리단계를 통하여 제1 원단에 제2 원단 패턴이 형성된 모습을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원단의 패턴이 실리콘 패턴에 대응한 제1 원단 상에 결합되어 제2 원단에 의한 패턴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제2 원단에 의한 패턴이 형성된 제1 원단은 추가적인 가공 및 성형 과정을 통하여 기능성 의류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을 요약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원단(100)에 제2 원단 패턴(320)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제2 원단 유닛(300)과 제1 원단(100)의 압착단계를 통하여 상기 제1 원단의 실리콘 패턴에 대응한 제2 원단(310)이 제2 원단 유닛(300)으로부터 박리된다. 박리된 제2 원단(310) 하부에는 베이스필름(200)이 노출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원단 패턴(320)과 제1 원단(100) 사이에는 실리콘 패턴이 매개층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실리콘 패턴을 이루는 조성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의 안정성 및 최종 의류의 패턴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의류 원단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패턴 의류 원단(900)은 제1 원단(910), 상기 제1 원단 상에 형성된 실리콘 패턴층(920) 및 상기 실리콘 패턴층(920)에 대응하여 상기 실리콘 패턴층(920)을 매개로 상기 제1 원단(910)에 결합된 제2 원단 패턴(930을 포함한다.
제1 원단(910)은 의류 제품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인 의류가 스포츠 의류일 경우 상기 제1 원단(910)으로서는, 땀 배출이 용이하고 탄성을 갖는 화학섬유 또는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패턴층(9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용액의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는 층으로서, 고형의 실리콘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지의 첨가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경화제, 지연제,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콘 패턴층(920)은 광물의 열처리를 통하여 형성된 다공성 광물로 이루어진 세라믹 미세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물의 열처리를 통하여 다공성이 부여된 상기 세라믹 미세 입자들은 제1 원단(910) 및 제2 원단 패턴(930)의 접합 특성을 유지하면서, 패턴의 유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어 제조되는 패턴 의류의 착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패턴과 주 원단의 탄성 차이에 의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열처리 광물로서는, 질석, 세피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장석, 현무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열처리 광물로서 복수종의 광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원단 패턴(930)은 제1 원단(910)과 탄성 등 물리적인 특성 면에서 이질적인 원단으로서, 제조되는 의류에 패턴을 통하여 추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단 패턴(930)은 예를 들면, 스웨이드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단 패턴(930)은 실리콘 패턴층(920)에 의하여 제1 원단(91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착용시 제2 원단 패턴(930) 고유의 탄성은 유지하되 제1 원단(910)에 대하여 유연한 신축성을 갖는다.
상기 제2 원단 패턴(93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미싱 공정을 통하여, 상기 제1 원단(9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원단의 일 면에,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실리콘 용액의 인쇄 및 건조 과정을 반복하여 패턴을 형성하되, 마지막 인쇄 후 건조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표면이 습윤 상태인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단계;
    베이스 필름에 제2 원단으로서 스웨이드 원단이 부착된 제2 원단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원단 유닛의 제2 원단면이 상기 제1 원단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제1 원단의 일면에 압착하는 압착단계; 및
    상기 제2 원단 유닛을 상기 제1 원단으로부터 분리하되, 상기 패턴에 대응한 상기 제2 원단이 상기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도록 하는 박리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과정은 250℃ 내지 350℃의 온도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계는 180℃ 내지 230℃의 온도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용액은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0.8 중량부의 다공성 열처리 광물로 이루어진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열처리 광물은,
    질석, 세피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장석 및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물을 용융점 미만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형성된 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용액은 첨가제로서,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탄성을 갖는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 상에 형성되고, 실리콘 수지 및 다공성 열처리 광물의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실리콘 패턴층; 및
    상기 실리콘 패턴층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턴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원단과 이종의 재질을 갖는 제2 원단으로 이루어진 원단 패턴층을 포함하는 패턴 의류 원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패턴층은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의류 원단.






KR1020200188871A 2020-12-31 2020-12-31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KR10229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71A KR102298319B1 (ko) 2020-12-31 2020-12-31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71A KR102298319B1 (ko) 2020-12-31 2020-12-31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319B1 true KR102298319B1 (ko) 2021-09-03

Family

ID=7778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71A KR102298319B1 (ko) 2020-12-31 2020-12-31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3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112A (ko) * 2007-11-26 2010-09-01 니나 페이퍼, 인크. 섬유기판 상에 이미지를 스크린 인쇄하는 방법
KR101297086B1 (ko) * 2012-02-29 2013-08-27 박장원 원단에 입체감 있는 발포 무늬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1468895B1 (ko) * 2014-04-03 2014-12-04 권도윤 기반이 되는 제 1 섬유에 일정 패턴으로 제 2 섬유를 접착시키는 방법
KR20160147847A (ko) * 2014-04-18 2016-12-23 블루스타 실리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실리콘 조성물을 사용한 유연성 지지체의 코팅 방법
KR20170066960A (ko) * 2015-12-07 2017-06-15 김수홍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실리콘 합성 피혁 제조 방법
KR20190073776A (ko) * 2017-12-19 2019-06-27 베스트트레이드 주식회사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혈전방지용 실리콘 압박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045805B1 (ko) * 2019-09-02 2019-11-19 박성일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112A (ko) * 2007-11-26 2010-09-01 니나 페이퍼, 인크. 섬유기판 상에 이미지를 스크린 인쇄하는 방법
KR101297086B1 (ko) * 2012-02-29 2013-08-27 박장원 원단에 입체감 있는 발포 무늬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1468895B1 (ko) * 2014-04-03 2014-12-04 권도윤 기반이 되는 제 1 섬유에 일정 패턴으로 제 2 섬유를 접착시키는 방법
KR20160147847A (ko) * 2014-04-18 2016-12-23 블루스타 실리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실리콘 조성물을 사용한 유연성 지지체의 코팅 방법
KR20170066960A (ko) * 2015-12-07 2017-06-15 김수홍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실리콘 합성 피혁 제조 방법
KR20190073776A (ko) * 2017-12-19 2019-06-27 베스트트레이드 주식회사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혈전방지용 실리콘 압박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045805B1 (ko) * 2019-09-02 2019-11-19 박성일 통풍성과 흡한속건성을 구비한 원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4127B1 (en) Polyurethane elastic fiber nonwoven fabric and its production and synthetic leather using the same
GB1589716A (en) Footwear components
JP3226030U (ja) クッション複合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靴パッドと個人用保護具
KR102298319B1 (ko)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스웨이드-실리콘 패턴 의류 원단
WO2017065354A1 (ko) 레이스 원단과 접착심지가 합포된 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
US3100733A (en) Polymeric sheet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220096422A (ko)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테이핑 의류 원단
KR20050027150A (ko) 시트상 물질, 기체 충전형 볼 및 장갑
KR100331722B1 (ko) 다기능성 원단
KR100680887B1 (ko) 신축성을 가진 샤넬 사
WO2001092010A1 (en) Heat-storing dotted sheet, heat-storing cotton wadding, heat-storing fiber structure, heat-storing laminate and heat-storing cloth product
JP3101572B2 (ja) 合成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M618793U (zh) 具圖樣之熱塑性織物複合材結構及其製成之相關護具
CN208359649U (zh) 一种网布革
CN106617421A (zh) 一种抗菌保暖炭银面料及其制备工艺
KR100345161B1 (ko) 다기능성 보온 섬유 시이트
JPS6183363A (ja) プリントタイプ自動車内装材
US3687775A (en) Process for producing pliable air permeable laminar material
KR100422461B1 (ko) 환경대응 기능일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33214B1 (ko) 은층을 가진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JP2002011747A (ja)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JPH08337975A (ja) 皮革様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2216450A (zh) 具圖樣之熱塑性織物複合材結構及其製成之相關護具
CN115447231A (zh) 一种反光面料及其生产工艺
JPH016059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