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176B1 -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176B1
KR102314176B1 KR1020190105426A KR20190105426A KR102314176B1 KR 102314176 B1 KR102314176 B1 KR 102314176B1 KR 1020190105426 A KR1020190105426 A KR 1020190105426A KR 20190105426 A KR20190105426 A KR 20190105426A KR 102314176 B1 KR102314176 B1 KR 10231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information
block chain
placement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411A (ko
Inventor
주성훈
Original Assignee
주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훈 filed Critical 주성훈
Priority to KR102019010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06F16/278Data partitioning, e.g. horizontal or vertical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수행 과정; 사용자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임플란트 시술받은 임플란트의 제조사 정보, 임플란트 부품 직경, 임플란트 부품 길이, 임플란트 부품 모델번호, 임플란트 부품의 생산고유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구강내 모식도를 통하여 입력받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입력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 서버로 전송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전송 과정; 상기 블록체인 노드 서버가,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다른 블록체인 노드 서버에 전파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저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Method for saving implant information component based block chain}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으로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의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치과 치료에 있어서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임플란트는 이미 널리 알려지고 시술되어지고 있다. 유소년기에는 주로 치아가 썩는 이유로, 성인에 이르러서는 잇몸이 점차적으로 나빠지는 이유로 치아를 하나둘씩 잃게 되는 경우들이 흔하게 일어나는데, 이러한 경우에 임플란트는 추천되는 치과 치료 방법이다. 적절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방향, 임플란트의 크기와 유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치료하는 절차가 성공적인 시술을 위해 중요하지만, 시술을 한 후 지속적인 유지, 관리 또한 임플란트의 높은 생존율에 중요하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시에는 고정체(fixture)와 지대주(abutement), 나사(screw)등 많은 부품이 사용되며, 사용된 임플란트 재료 등의 처치 정보는 의무기록부에 기록되어 병의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치과 임플란트의 경우, 이러한 치료 과정이 진료기록부에 기록되어지기 때문에, 개인의 경우 본인이 따로 기록하지 않으면, 진료기록부 열람을 하지 않고서는, 본인의 인체내의 치과 임플란트의 정보를 알 수가 없다.
또한 이러한 진료기록부는 한국의 경우 의무보관기간인 10년이 지나면 소멸되며, 만일 10년이내라도 시술 병의원이 없어진 경우에 사라질 수 있으며, 해외에 체류 중인 경우에는 진료기록부 열람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23356 (2016.05.1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임플란트에 관련된 정보를 진료기록부 상에 국한하지 않고,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필요시 언제 어디서나 열람 하여 사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수행 과정; 사용자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임플란트 시술받은 임플란트의 제조사 정보, 임플란트 부품 직경, 임플란트 부품 길이, 임플란트 부품 모델번호, 임플란트 부품의 생산고유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구강내 모식도를 통하여 입력받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입력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 서버로 전송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전송 과정; 상기 블록체인 노드 서버가,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다른 블록체인 노드 서버에 전파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저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 입력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구강내 모식도를 표시하는 구강내 모식도 표시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구강내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를 구강내 모식도에서 선택받는 시술 치아 위치 선택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시술 치아 위치에서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시술 정보 입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술 정보 입력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수동 입력 모드; 임플란트 시술을 한 의료기관에서 운영하는 의료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에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받는 네트워크 입력 모드; 임플란트 부품을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스캔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캔 입력 모드는, 임플란트 부품에 내부에 삽입된 NFC칩을 무선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캔 입력 모드는, 임플란트 부품의 표면에 표시된 고유 코드를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임플란트 제조사 서버는,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판독하여 리콜 대상의 임플란트 부품으로 시술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가지는 리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여, 추출된 리콜 대상 사용자에게 임플란트 시술 리콜을 통보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저장 과정이 있은 후,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가 표시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표시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은,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들을 구강내 시술후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과정; 구강내 시술후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치아 위치에서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은,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이용하여 시술된 임플란트 부품의 적법 여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임플란트 부품 제조사 서버에 문의하여 임플란트 부품의 정품 사용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임플란트 부품 제조사 서버에 문의하거나, 블록체인상의 여러 차례 등록여부를 체크하여, 1회용 부품의 1회용 사용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데이터는 환자가 필요시, 데이터에 접근하여 자신의 임플란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자신의 임플란트의 정보를 전세계 어디에서든지 접근하여 알 수 있고,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사후처치 등을 받는데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동안 여러가지 이유로 부품정보를 알 수 없었던 경우에는, 사후처치를 받을 수 없이 발거해야만 했던 많은 환자들이, 부품정보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사후처치를 시술병원이 아닌 다른 병의원에서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록체인 상에 임플란트 생산고유번호(LOT번호)가 등록되게 되고 환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어, 현재에 생산번호 스티커를 붙여서 환자에게 전달되는 종이 정품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게 되므로, 환자 자신의 임플란트의 진위여부를 환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가 블록체인 상에 저장 및 열람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의 사용자 개인 정보가 표시된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강내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를 구강내 모식도에서 선택받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술 정보를 입력받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 제조사의 서버가 블록체인 노드로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가 블록체인 상에 저장 및 열람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알려진 바와 같이 공공거래장부라고도 불리우며, 공공장부이며, 암호화될 수 있고, 접근권한이 있으면 어디서든 열람할수 있다. 따라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대의 노드 단말(서버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저장기술로서, 여러대의 노드 단말이 기록을 검증하여 위변조를 막는다.
즉, 블록체인은 분산 공개 장부로서, 이 분산 공개장부는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다수의 노드 단말(컴퓨터)에 복사돼 있고 다수의 노드 단말은 P2P로 연결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나의 거래 정보가 발생하면 이 거래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돼 있는 수많은 노드에 전파돼야 한다. 따라서 중앙 집중형 서버에 내역을 기록하지 않고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노드 단말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기 때문에, 모든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로서, 블록체인에 치과 임플란트 데이터를 저장시 각 환자는 필요한 경우 자신의 임플란트의 정보를 전세계 어디에서든지 접근하여 알 수 있고,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사후처치 등을 받는데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파절, 찢어짐, 나사풀림 등으로 AS를 위해 각 부품 정보가 필요할 시에 활용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다른 노드 단말과 블록체인 전파 및 저장이 이루어지는 서버(단말)로서, 여기서 노드 서버라 함은, 컴퓨터 또는 서버 등의 블록체인 노드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서버(단말)을 말한다. 예컨대, 블록체인 제1노드 서버는, 제1의료기관에서 이루어진 임플란트 시술된 임플란트 부품 정보만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블록체인 제2노드 서버는, 제2의료기관에서 이루어진 임플란트 시술된 임플란트 부품 정보만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블록체인 제3노드 서버는, 제3의료기관에서 이루어진 임플란트 시술된 임플란트 부품 정보만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는,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다른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에 전파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저장한다. 여기서 임플란트 식립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임플란트 시술받은 임플란트의 제조사 정보, 임플란트 부품 직경, 임플란트 부품 길이, 임플란트 부품 모델번호, 임플란트 부품의 생산고유번호(LOT번호) 등의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식립 정보의 기록을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에게 요청한다.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는, 수신한 public key 및 private key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 뒤, 해시값으로 가공하여 정보 기록을 위한 transaction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transaction블록을 다른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들에게 전달한다. 이때, transaction의 전파는 통신규약(protocol)에 의해 약속된 것으로, 새로운 transaction의 생성시 1개의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가 지정된 다수의 노드로 전파시키며, 그 비트코인 결제용 트랜잭션정보를 전송받은 다수의 노드마다 각각 지정된 다수의 노드로 반복 전파하는 피라미드식전파 를 통해 모든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에게 전파된다. 모든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가 transaction블록을 승인하고, transaction블록을 추가하면,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의 기록이 완료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기록 및 열람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앱(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은,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플란트 시술받은 임플란트의 제조사 정보, 임플란트 부품 직경, 임플란트 부품 길이, 임플란트 부품 모델번호, 임플란트 부품의 생산고유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시술에 사용된 임플란트 부품 정보)를 구강내 모식도를 통하여 입력받아, 다른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에 전파하여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전파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저장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9와 함께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의 사용자 개인 정보가 표시된 예시 화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강내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를 구강내 모식도에서 선택받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술 정보를 입력받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 제조사의 서버가 블록체인 노드로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인 인증 수행 과정(S310), 임플란트 식립 정보 입력 과정(S320), 임플란트 식립 정보 전송 과정(S330), 및 블록체인 저장 과정(S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S350)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인 인증 수행 과정(S310)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사용자식별정보는, 지문/홍채 등의 생체정보, 공인인증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미리 등록된 사용자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완료될 시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표시된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임플란트 식립 정보 입력 과정(S320)은, 사용자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가 임플란트 시술받은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이다. 여기사 임플란트 식립 정보는, 사용자가 시술받은 임플란트에 대한 제조사 정보, 임플란트 부품 직경, 임플란트 부품 길이, 임플란트 부품 모델번호, 임플란트 부품의 생산고유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보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의 입력을 수월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구강내 모식도를 통하여 입력도록 한다.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입력할 시에 사용자가 착오로 잘못 입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구강내 모식도를 통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 입력 과정(S320)은, 구강내 모식도 표시 과정(S321), 시술 치아 위치 선택 과정(S322), 시술 정보 입력 과정(S3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내 모식도 표시 과정(S321)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구강내 모식도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구강내 모식도 화면이라 함은, 임플란트 시술이 이루어지기 전에 구강내 치아를 표시한 화면으로서, 일반적인 사람의 이상적인 구강내를 나타낸 이미지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시술받은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구강 엑스레이 사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구강 엑스레이 사진일 경우 정확한 사용자의 구강 상태를 함께 제공해주는 셈이 된다.
시술 치아 위치 선택 과정(S322)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구강내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를 구강내 모식도 화면에서 선택받는 과정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내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치아 선택을 통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시술 정보 입력 과정(S323)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시술 치아 위치에서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이다. 즉,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를 선택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선택된 치아에서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시술 치아 위치에서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시술 정보 입력 과정(S323)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모드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수동 입력 모드로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즉, 사용자로부터 직접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두 번째 방식은, 네트워크 입력 모드로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즉, 임플란트 시술을 한 의료기관에서 운영하는 의료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에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입력받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로 사용자가 입력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시술한 의료기관 정보와 사용자 정보만 있으면,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이 자동으로 의료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불편과 입력 착오를 없앨 수 있다.
세 번째 방식은, 스캔 입력 모드로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임플란트 부품을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이러한 스캔 입력 모드는, 임플란트 부품에 내부에 삽입된 NFC칩을 무선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각 임플란트 부품마다 출고될 시에 내부에 임플란트 식립 정보가 기록된 NFC칩이 삽입되어 있도록 하여, 이러한 임플란트에 식재된 NFC칩을 판독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후에 자신에게 시술된 임플란트를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NFC 판독함으로써, 손쉽게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캔 입력 모드는, 임플란트 부품의 표면에 표시된 고유 코드(예컨대, 바코드 패턴, QR패턴)을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술된 임플란트의 부품을 스캐너,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손쉽게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임플란트 식립 정보 전송 과정(S330)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블록체인 저장 과정(S340)은,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가, 다른 블록체인 노드 서버(100)에 전파하여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전파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참고로, 알려진 바와 같이 블록체인상에서 전파됨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노드 단말 간에 블록체인 저장됨을 의미한다. 즉, 블록에 포함되는 정보는, 고유번호, 헤더블록, 데이터블록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헤더블록에는 Version, Rre Block Hash, Merkle Hash, Timestamp, Bits, Nonce의 정보가 기록되며, 데이터블록에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가 저장된다.
데이터블록에 저장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정보가 발생하면 이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는 수많은 노드 단말에 전파되어야 한다.
다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전파가 이루어질 때, 각 노드 서버에서는 유효성 검증을 하게 된다. 즉, 노드 서버 A가 입력된 정보에 대하여 유효성 검증한 후 검증 완료되면 인접한 다른 노드 서버 B에 전파한다. 노드 서버 B 역시 전파받은 정보에 대하여 유효성을 검증한 후 검증 완료되면 인접한 다른 노드 서버에 전파하게 되는 것이다. 블록체인에서의 유효성 검증은, 알려진 바와 같이 PoW(Proof of Work) 즉, 작업증명이라 불리는데, Version, Rre Block Hash, Merkle Hash, Timestamp, Bits, Nonce로 이루어진 헤더블록에서, Nonce값을 이용하여 유효성 검증을 하게 된다.
한편, 임플란트는 치아를 대체하여 구강 내 식립되는 제품의 특성상 수술 후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치아손실 위치 및 치아 상태에 따른 다양한 임상적 조건과 상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매우 많은 수의 임플란트 제품 모델이 제조, 판매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임플란트 업체 중 한 업체에서만 제조, 판매하는 임플란트 종류도 픽스처 4860 여종, 지대주 4780 여종에 이르며, 그 외 임플란트 부품도 470 여종에 이른다. 여기에 임플란트 제품을 생산하는 다수의 제조사가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면, 현재 존재하는 임플란트 제품 모델의 수는 더욱 방대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종류의 임플란트가 생산되기 때문에 임플란트 생산품에 대한 리콜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 진료 기록을 일일이 조회하여 환자에게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한 리콜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우며 경비도 많이 들며, 경우에 따라서 리콜 통보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생산고유번호 등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서 등록하여 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임플란트 제조사 서버는,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판독하여 리콜 대상의 임플란트 부품으로 시술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가지는 리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여, 추출된 리콜 대상 사용자에게 임플란트 시술 리콜을 통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노드로서 임플란트 제조사 서버가 동작하기 때문에, 허가받은 임플란트 제조사 서버는 블록체인에 등록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읽어들여 리콜 대상을 추려내어 손쉽게 리콜 통보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블록체인 저장 과정(S340)이 있은 후,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가 표시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표시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S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S350)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들을 구강내 시술후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과정과,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내 시술후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치아 위치에서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인 사용자는 자신의 구강에 시술된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을 통하여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S3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 상세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S350)은,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이용하여 시술된 임플란트 부품의 적법 여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은,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임플란트 부품 제조사 서버에 문의하여 임플란트 부품의 정품 사용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 앱은,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임플란트 부품 제조사 서버에 문의하여 1회용 부품의 1회용 사용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고유부품이 여러 환자에게 사용시 블록체인상에서 여러 번 등록되기 때문에, 다회 사용 여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본인은, 자신에게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하여 임플란트 부품의 정품 사용 여부, 1회용 임플란트 부품일 경우 1회용 사용 여부를 손쉽게 알 수 있어, 임플란트 부품의 적법한 사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블록체인 노드 서버
200: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수행 과정;
    사용자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임플란트 시술받은 임플란트의 제조사 정보, 임플란트 부품 직경, 임플란트 부품 길이, 임플란트 부품 모델번호, 임플란트 부품의 생산고유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구강내 모식도 화면을 통하여 입력받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입력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 서버로 전송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전송 과정;
    상기 블록체인 노드 서버가,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다른 블록체인 노드 서버에 전파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저장 과정; 및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가 표시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임플란트 부품 제조사 서버에 문의하거나, 블록체인상의 여러 차례 등록여부를 체크하여, 1회용 부품의 1회용 사용 여부를 표시하는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 입력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구강내 모식도를 표시하는 구강내 모식도 표시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구강내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를 구강내 모식도에서 선택받는 시술 치아 위치 선택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시술 치아 위치에서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시술 정보 입력 과정;
    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술 정보 입력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수동 입력 모드;
    임플란트 시술을 한 의료기관에서 운영하는 의료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에 사용자의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받는 네트워크 입력 모드;
    임플란트 부품을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는 스캔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모드로 동작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캔 입력 모드는,
    임플란트 부품에 내부에 삽입된 NFC칩을 무선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캔 입력 모드는,
    임플란트 부품의 표면에 표시된 고유 코드를 스캔하여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임플란트 제조사 서버는,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판독하여 리콜 대상의 임플란트 부품으로 시술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가지는 리콜 대상 사용자를 추출하여, 추출된 리콜 대상 사용자에게 임플란트 시술 리콜을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은,
    임플란트 시술된 치아 위치들을 구강내 시술후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과정;
    구강내 시술후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치아 위치에서 시술된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립 정보 표시 과정은,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이용하여 시술된 임플란트 부품의 적법 여부를 함께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임플란트 식립 정보를 임플란트 부품 제조사 서버에 문의하여 임플란트 부품의 정품 사용 여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11. 삭제
KR1020190105426A 2019-08-27 2019-08-27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KR10231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426A KR102314176B1 (ko) 2019-08-27 2019-08-27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426A KR102314176B1 (ko) 2019-08-27 2019-08-27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411A KR20210025411A (ko) 2021-03-09
KR102314176B1 true KR102314176B1 (ko) 2021-10-18

Family

ID=7517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426A KR102314176B1 (ko) 2019-08-27 2019-08-27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419B1 (ko) 2021-04-12 2023-01-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연합학습을 이용한 지도자 선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663189B1 (ko) * 2021-11-02 2024-05-03 주식회사 이노바이드 치과용 기공물 데이터 관리서버 및 그에 대한 방법
KR102549328B1 (ko) * 2022-06-15 2023-06-29 주식회사 커스토먼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46486A1 (en) * 2015-08-14 2017-02-16 Carol A. CUNNINGHAM Coordination of Dental Implant Information
KR101882207B1 (ko) * 2018-03-23 2018-07-26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블록체인 기반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병의원 보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356B1 (ko) 2014-12-31 2016-05-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계획 가이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EP3261580A4 (en) * 2015-02-23 2018-11-14 Universal Implant Technologies Pty Limi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KR102026707B1 (ko) * 2017-03-17 2019-09-30 엄상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임플란트 픽스쳐 자동 검색 및 드라이버 제안 방법
WO2019132069A1 (ko) * 2017-12-28 2019-07-04 (재)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 의료 데이터 전송 인증 서버, 의료 데이터 전송 단말 및 의료 데이터 수신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46486A1 (en) * 2015-08-14 2017-02-16 Carol A. CUNNINGHAM Coordination of Dental Implant Information
KR101882207B1 (ko) * 2018-03-23 2018-07-26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블록체인 기반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병의원 보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411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17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US20220229827A1 (en) Method for Building Cloud-Based Medical Image Database for Protection of Patient Information and Reading Medical Image Therefrom
US202001683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electronic medical and health records
JP4747749B2 (ja) ドキュメ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5293273A (ja) 個人情報開示システム、カルテ情報開示システム、個人情報開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893027B2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TW202022666A (zh) 健康資訊之存取系統、存取裝置及存取方法
JP7121401B2 (ja) システムへのログイン方法
CA2736360A1 (fr) Procede d'acces a des donnees nominatives, tel qu'un dossier medical personnalise, a partir d'un agent local de generation
WO2016206637A1 (zh) 植入性医疗器械的医疗信息识别卡生成系统和方法
CN110147676A (zh) 一种用于医疗信息的安全管理系统和方法
JP2009301131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データ管理方法
WO2014201599A1 (zh) 一种用于信息的认证授权和安全使用的方法与系统
JP2000331101A (ja) 医療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TWI603283B (zh) Electronic medical recor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2488139B1 (ko) 백신 접종의 인증 및 접종 후 사후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60955B1 (ko)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US9129099B1 (en) Portable health record system and method
KR102063893B1 (ko) 환자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환자정보 관리시스템
JP6616868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3536027A (ja) データ、特にバイオテクノロジー・ラボラトリのデータをセキュア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23149189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作動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478963B1 (ko) 백신 접종 디지털 인증서를 발급하고 증명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91773B1 (ko) 코로나 19 항체 인증서 발급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81889A (ko) 블록체인 기반의 주문형 3d 의료기기 제조 이력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