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541B1 -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 Google Patents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541B1
KR102313541B1 KR1020200031425A KR20200031425A KR102313541B1 KR 102313541 B1 KR102313541 B1 KR 102313541B1 KR 1020200031425 A KR1020200031425 A KR 1020200031425A KR 20200031425 A KR20200031425 A KR 20200031425A KR 102313541 B1 KR102313541 B1 KR 102313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rear wheel
front wheel
master cylin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771A (ko
Inventor
봉필준
송락현
김민재
조우훈
강세형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은, 자작자동차의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되, 전륜 푸시로드가 결합되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와 후륜 푸시로드가 결합되는 후륜 마스터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마스터 실린더; 브레이크 페달,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 상기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페달부; 및 양 단부에 장홀이 형성되고 중심에 제1 힌지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밸런스 플레이트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제2 힌지공이 중심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판을 포함하는 제동력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에 의하면, 자작자동차의 하중 분포를 고려하여 제동력 분배부를 조절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전륜 마스터 실린더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로 적절히 분배할 수 있으므로 자작자동차의 제동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Brake module for self-made car}
본 발명은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페달을 통한 답력을 전륜 마스터 실린더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로 적절히 분배할 수 있는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작자동차는 동호회 회원 및 학생 등이 경주를 목적으로 자체 제작한 자동차이다.
상기 자동차는 하부 패널(20)에 전륜(60)과 후륜(70)이 배치되며, 전륜(60)과 후륜(70)을 구동시키는 가속부(미도시)와 전륜(60)과 후륜(70)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종래의 상기 감속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30), 전륜 마스터 실린더(40), 제1 작동 로드(41), 후륜 마스터 실린더(50), 제2 작동 로드(51)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 패널(20) 상에 배치된 전륜(60)과 후륜(70)에 전륜 마스터 실린더(40)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50)가 각각 유압 호스(42)(52)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30)과 전륜 마스터 실린더(40)는 제1 작동 로드(41)를 통해 연결되고, 브레이크 페달(30)과 후륜 마스터 실린더(50)는 제2 작동 로드(51)를 통해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작자동차는 차량의 하중 분배가 전륜측과 후륜측이 같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통한 답력이 전륜 마스터 실린더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에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하고 있어 하중이 더 나가는 측의 유압회로에 상대적으로 적은 유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결과가 되므로 하중이 더 나가는 측에 적절한 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6811호(2016. 2. 22.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작자동차의 전륜측 및 후륜측의 하중 불균형을 고려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통한 답력을 전륜 마스터 실린더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로 적절히 분배할 수 있는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은, 자작자동차의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되, 전륜 푸시로드가 결합되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와 후륜 푸시로드가 결합되는 후륜 마스터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마스터 실린더; 브레이크 페달,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 상기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페달부; 및 양 단부에 장홀이 형성되고 중심에 제1 힌지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밸런스 플레이트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제2 힌지공이 중심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판을 포함하는 제동력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에는 복수의 천공부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의 삽입을 위한 밸런스 플레이트 홀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의 삽입을 위한 고정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전륜 푸시로드의 말단에는 전륜 작용구가 상기 후륜 푸시로드의 말단에는 후륜 작용구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전륜 작용구 및 후륜 작용구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통공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에 의하면, 자작자동차의 하중 분포를 고려하여 제동력 분배부를 조절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전륜 마스터 실린더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로 적절히 분배할 수 있으므로 자작자동차의 제동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용길이의 조절을 통하여 전륜 마스터 실린더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유압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경주용 자작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경주용 자작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은 하우징(100), 마스터 실린더(200), 브레이크 페달부(300) 및 제동력 분배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의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브레이크 모듈을 자작자동차의 차체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마스터 실린더(200)의 일부가 관통되기 위한 홀을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130)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130)에 연결 고정되되 브레이크 페달부(300) 및 제동력 분배부(40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면 플레이트(130)와 측면 플레이트(150)에는 다수의 천공부가 형성되는데, 이는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의 경량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스터 실린더(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되 전륜측 브레이크 회로에 유압을 형성하기 위한 전륜 마스터 실린더(230)와 후륜측 브레이크 회로에 유압을 형성하기 위한 후륜 마스터 실린더(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230)에는 전륜 푸시로드(233)가 후륜 마스터 실린더(250)에는 후륜 푸시로드(253)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전륜, 후륜 푸시로드(233, 253)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힘 즉, 답력이 전륜 마스터 실린더(230)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250)로 전달된다.
상기 전륜 푸시로드(233)의 말단에는 전륜 작용구(235)가 후륜 푸시로드(253)의 말단에는 후륜 작용구(255)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전륜, 후륜 작용구(235, 25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심에 통공(2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륜, 후륜 작용구(235, 255)와 전륜, 후륜 마스터 실린더(230, 25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부(300)는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마스터 실린더(20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운전자가 발로 밟게 되는 브레이크 페달(310), 상기 브레이크 페달(310)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330), 상기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3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350),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350)의 양단에 결합되는 베어링(370)을 포함하여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330)에는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의 경량화를 위한 복수의 천공부와, 후술하는 밸런스 플레이트(410)의 삽입을 위한 밸런스 플레이트 홀(333)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350)의 삽입을 위한 고정홀(335)이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의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330) 중에서 적어도 두 개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브레이크 페달(310)에 고정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350)은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3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페달(3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370)은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35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이 구비되고 각각 측면 플레이트에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동력 분배부(400)는 브레이크 페달(310)의 답력을 전륜 마스터 실린더(230)와 후륜 마스터 실린더(250)로 각각 분배하여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의 밸런스 플레이트(410), 복수의 회전 지지판(430), 힌지핀(450) 및 고정수단(4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410)는 전륜, 후륜 작용구(235, 255)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 단부에 장홀(413)이 형성되고 중심에 힌지핀(450)이 삽입되는 제1 힌지공(415)이 형성되며, 상하로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 지지판(430)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410)의 중심부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힌지핀(450)이 삽입되는 제2 힌지공(435)이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470)은 전륜, 후륜 작용구(255)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270)에 삽입되는 고정볼트(473)와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75)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동력 분배부(400)를 통한 제동력 분배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A)와 같이 자작자동차의 하중 분포에 있어 전륜측 하중 보다 후륜측 하중이 더 크다고 하면, 전륜측 작용길이는 Lf로 후륜측 작용길이는 Lr로 하여 전륜 작용구(235)와 후륜 작용구(255)를 Lf Lr의 관계를 갖도록 상하의 밸런스 플레이트(410)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 후, 고정볼트(473)를 전륜, 후륜 작용구(255)의 통공(270)에 삽입시키고 그 단부에 고정너트(475)를 체결하여 상하로 위치한 밸런스 플레이트(410)가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0)을 밟으면, 그 답력 F는 전륜 푸시로드(233)에 힘 Ff로 전달되고 후륜 푸시로드에 힘 Fr로 전달되는데, 이때 전륜측 작용길이 Lf가 후륜측 작용길이 Lr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힘 Fr은 힘 Ff보다 크게 된다.
이로 인하여 후륜 마스터 실린더(250)로 인한 유압력이 전륜 마스터 실린더(230)로 인한 유압력 보다 크게 되어 하중이 더 나가는 후륜측 제동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B)와 같이 자작자동차의 하중 분포에 있어 후륜측 하중 보다 전륜측 하중이 더 크다고 하면, Lf Lr의 관계를 갖도록 전륜 작용구(235)와 후륜 작용구(255)를 상하의 밸런스 플레이트(410)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 후, 고정볼트(473)와 고정너트(475)를 체결하여 전륜 작용구(235)와 후륜 작용구(255)가 밸런스 플레이트(410) 사이에서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0)을 밟으면, 후륜측 작용길이 Lr가 전륜측 작용길이 Lf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힘 Ff은 힘 Fr보다 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륜 마스터 실린더(230)로 인한 유압력이 후륜 마스터 실린더(250)로 인한 유압력 보다 크게 되어 하중이 더 나가는 전륜측 제동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하우징 200: 마스터 실린더
230: 전륜 마스터 실린더 233: 전륜 푸시로드
250: 후륜 마스터 실린더 253: 후륜 푸시로드
270: 통공 300: 브레이크 페달부
310: 브레이크 페달 330: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
333: 밸런스 플레이트 홀 335: 고정홀
350: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 370: 베어링
400: 제동력 분배부 410: 밸런스 플레이트
413: 장홀 415: 제1 힌지공
435: 제2 힌지공 430: 회전 지지판
400: 고정수단 473: 고정볼트
475: 고정너트

Claims (4)

  1. 자작자동차의 차체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고정되되, 전륜 푸시로드(233)가 결합되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230)와 후륜 푸시로드(253)가 결합되는 후륜 마스터 실린더(250)로 이루어지는 마스터 실린더(200);
    브레이크 페달(310), 상기 브레이크 페달(310)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330), 상기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3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350),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350)의 양단에 결합되는 베어링(370)으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페달부(300); 및
    양 단부에 장홀(413)이 형성되고 중심에 제1 힌지공(415)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밸런스 플레이트(410)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410)의 중심부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제2 힌지공(435)이 중심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판(430)을 포함하는 제동력 분배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 푸시로드(233)의 말단에는 구형상의 전륜 작용구(235)가 상기 후륜 푸시로드(253)의 말단에는 구형상의 후륜 작용구(255)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전륜 작용구(235) 및 후륜 작용구(255)에는 통공(270)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270)에는 고정볼트(473)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473)의 단부에 고정너트(475)가 체결되며,
    상기 전륜, 후륜 작용구(235, 255)는 밸런스 플레이트(410)의 장홀(413)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하 한 쌍의 밸런스 플레이트(410)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지지판(330)에는 복수의 천공부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410)의 삽입을 위한 밸런스 플레이트 홀(333)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 회전축(350)의 삽입을 위한 고정홀(33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3. 삭제
  4. 삭제
KR1020200031425A 2020-03-13 2020-03-13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KR10231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25A KR102313541B1 (ko) 2020-03-13 2020-03-13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25A KR102313541B1 (ko) 2020-03-13 2020-03-13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771A KR20210116771A (ko) 2021-09-28
KR102313541B1 true KR102313541B1 (ko) 2021-10-19

Family

ID=7792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25A KR102313541B1 (ko) 2020-03-13 2020-03-13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5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845B1 (ko) * 1997-07-10 1999-07-15 정몽규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력 배분장치
KR20010066542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장착구조
KR101230885B1 (ko) * 2006-08-18 201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밀림 방지 장치
KR101596811B1 (ko) 2014-12-09 2016-02-22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밸브 제어 장치 및 밸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771A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6733A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10112672B2 (en) Frame mechanism for a vehicle with at least three wheels
KR102313541B1 (ko) 자작자동차용 브레이크 모듈
CN211869154U (zh) 一种踏板总成调节机构
DE112020004586T5 (de) Fahrzeug vom Grätschtyp und Steuervorrichtung
JP3145001U (ja) 車椅子のブレーキ装置
JP3897221B2 (ja) 車両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CN1572648A (zh) 联合制动系统
DE2112645A1 (de) Mit Muskelkraft anzutreibendes Fahrzeug
DE4216461A1 (de) Schwingungsdämpfer für Zweirad-Kombibremsen
DE19920848A1 (d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zumindest einer elektromechanischen Betriebseinrichtung eines Kfz.
ATE458653T1 (de) Pedalbock
JP4507857B2 (ja)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200326895Y1 (ko) 모터 보드
JPH1133928A (ja) ガバナマシン用ベアリングおよびブッシュの交換装置
KR20210045831A (ko)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KR10020784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력 배분장치
JP2748606B2 (ja) エンジンの支持装置
JPH0428865Y2 (ko)
KR100536317B1 (ko) 차량 페달의 높이 조절 구조
JPH055693U (ja) 騎乗車両のレバー取り付け構造
KR0120074Y1 (ko) 자동차용 페달의 장착구조
JPH0446495Y2 (ko)
JPH0619382Y2 (ja) 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等の産業車輌におけるエンジンの支持構造
JPH04293606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