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171B1 -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171B1
KR102313171B1 KR1020190151414A KR20190151414A KR102313171B1 KR 102313171 B1 KR102313171 B1 KR 102313171B1 KR 1020190151414 A KR1020190151414 A KR 1020190151414A KR 20190151414 A KR20190151414 A KR 20190151414A KR 102313171 B1 KR102313171 B1 KR 10231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viscosity
microbubbles
skin permeability
improv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020A (ko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171B1/ko
Priority to US17/777,175 priority patent/US20220387267A1/en
Priority to PCT/KR2020/015200 priority patent/WO2021101128A2/en
Publication of KR2021006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피부를 통하여 성분이 흡수되는 화장품 용액과, 상기 화장품 용액에 함유되는 미세기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흡수가 빠른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과, 이러한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Cosmetics containing ultra-microporous foam for improving skin permeability, cosmetic production system containing ultra-micro-foam foam for improving skin permeability, cosmetic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ultra-micro-foam foam for improving skin permeability}
본 발명은 미세기포가 함유되어 피부투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품과, 이러한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과,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표피(S1), 진피(S2), 피하조직(S3)으로 이루어지고, 표피는 각질층(1)과 새 피부층(2)을 포함하며, 진피(3) 상에는 땀샘(4), 모공(5), 피지선(6)이 형성되어,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면 화장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질층(1)을 구성하는 각질세포(1-1) 사이에 형성된 지질층(1-2)을 투과하거나, 땀샘(4), 피지선(5) 등을 통하여 새 피부층(2)과, 새 피부층(2)과 진(3) 사이에 위치되는 기저층(6)과, 진피(S2), 및 피하조직(S3)으로 흡수된다.
이때, 화장품의 흡수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곳은 지질층(1-2)으로, 이러한 지질층(1-2)은 피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지질층(1-2)에 미세한 자극을 인가 시 지질층(1-2)을 통한 화장품 투과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화장품 투과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화장품을 바르는 과정에서 손을 이용하여 피부를 자극하거나, 특별한 장비를 이용하여 피부를 자극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피부 자극을 위한 별도의 시간 및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9-0110887호(명칭: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공개일: 2019.10.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를 자극하여 화장품의 피부투과 능력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화장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은, 인체의 피부를 통하여 성분이 흡수되는 화장품 용액(10); 및 상기 화장품 용액(10)에 함유되는 미세기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20)는 0.06Mm~9Mm의 입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기체 입자(21)가 모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체 입자(21)는 산소 또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베이스 용액이 저장되는 초순수 저장부(100); 상기 초순수 저장부(100)에 저장된 베이스 용액에 혼합되는 화장품 원료가 저장되는 조성물 저장부(200); 베이스 용액과 화장품 원료가 혼합되어 화장품 조성물이 만들어지는 교반기(300); 제조된 화장품이 저장되는 화장품 저장부(400); 상기 교반기(300)에서 만들어진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측정부(500); 상기 점도 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점도와 저장된 임의의 점도를 비교하여 미세기포 형성 위치를 결정하는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 및 상기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에서 결정된 위치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미세기포 형성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는 측정되는 점도 수치가 동일 온도에서의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 초과일 경우 점도가 측정된 교반기 이전에 위치되는 교반기 또는 초순수 저장부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고, 이하일 경우 이후에 위치되는 교반기 또는 화장품 저장부(400)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기로 투입되는 베이스 용액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온도, 습도,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조건 조절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품 저장부(400)로 이송되는 화장품 조성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베이스 용액을 준비하는 베이스 용액 준비단계(S100); 상기 베이스 용액 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베이스 용액에 화장품 원료를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형성하는 조성물 형성단계(S200); 상기 조성물 형성단계(S200)에서 형성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를 파악하는 점도 파악단계(S300); 및 상기 점도 파악단계(S300)에서 파악된 점도를 기반으로 미세기포 형성 시점을 결정하는 미세기포 형성 시점 결정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기포 형성 시점 결정단계(S400)는 상기 점도 파악단계(S300)에서 파악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가 동일 온도에서의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 초과일 경우, 마지막으로 혼합된 화장품 원료 혼합 이전에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점도 파악단계(S300)에서 파악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가 동일 온도에서의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 이하일 경우, 최종 화장품 원료가 혼합된 화장품 조성물에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은, 미세기포가 함유되어 피부를 통한 화장품의 투과 능력을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장품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기포가 피부를 자극하게 되어 피부를 통하여 화장품이 보다 빠르게 흡수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미세기포의 입경을 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크기로 제한하여, 화장품의 피부관리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점도에 대응하여 미세기포가 혼합되는 시점을 조절하므로 미세기포 형성을 보다 원활하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인체의 피부 층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인체의 피부 층 중 각질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을 나타낸 개념도.
도 4 는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과 미세기포가 함유되지 않은 화장품의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5 는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과 미세기포가 함유되지 않은 화장품의 효과를 비교한 표.
도 6은 미세기포의 부상속도와 브라운운동속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미세기포의 입경에 따른 부력과 브라운운동의 백분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8 및 도 9는 미세기포의 입경에 대한 버블 부상속도 변화를 나타낸 표.
도 10은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을 제조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C)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며, 도면에 도시된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버블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기체 입자는 서로 동일한 개념으로 정의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C)이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 케에스(H)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은 인체의 피부를 통과하여 성분이 흡수되는 화장품 용액(10)과, 화장품 용액(10)에 함유되는 미세기포(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장품은 피부를 구성하는 많은 구성요소 중 각질층 사이에 형성된 지질층(1-2)을 통하여 가장 많은 양이 흡수되며, 이러한 지질층(1-2)을 통과하는 양은 지질층(1-2)의 상태에 대응하여 가변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화장품 용액(10)에 미세기포(20)를 함유시켜, 사용자가 화장품(C)을 피부에 바를 시 화장품 용액(10)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기포(20)가 각질층 및 지질층을 브라운 운동에 의한 무작위 운동으로 부착 및 파괴됨에 따라 지질층을 자극하여 화장품의 유효성분 투과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4에는 화장품 용액(10)에 미세기포(20)을 첨가하지 않을 경우 나타나는 화장품 용액(10)의 피부투과성을 나타낸 3개의 대조군과, 화장품 용액(10)에 미세기포(20)을 첨가할 경우 나타나는 화장품 용액(10)의 피부투과성을 나타낸 3의 실험군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의 (a)에는 이러한 3개의 실험군과 3개의 대조군의 시간에 따른 피부투과성을 나타낸 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b)에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피부투과성 향상율을 비교한 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액(10)에 미세기포(20)을 첨가할 경우 화장품을 바른 후 시간이 흐를수록 미세기포(20)을 첨가하지 않은 화장품 용액(10)과 비교하여 피부투과성 향상율이 커짐을 알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세기포(20)의 경우 각질세포 사이에 형성된 지질층(1-2)에 부착하거나 떨어지거나 파괴되며 지질층(1-2)에 미세한 자극을 지속적으로 인가하므로, 자극 효과가 시간이 지나며 천천히 지속적으로 나타나는데 반하여, 미세기포(20)가 첨가되지 않은 화장품은 이러한 효과를 가질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은 매우 미세한 자극으로 지질층(1-2)을 자극하므로, 피부가 민감한 사람도 거부감 없이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에는 부력에 의한 미세기포(20)의 부상(종말속도와 브라운운동속도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미세기포(20)의 입경에 따른 부력과 브라운운동의 백분율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및 도 9에는 미세기포(20)의 입경에 대한 버블 부상(종말속도 변화를 나타낸 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미세기포(20)은 다양한 입경을 가지는 기체 입자(21)가 모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화장품 용액(10)상에 보다 오랜시간 미세기포(20)가 함유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기체 입자(21)의 입경은 0.06Mm 이상 내지 10Mm 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하며, 보다 최적화된 입경은 0.1Mm 내지 0.3Mm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장품 용액(10)에 함유된 미세기포(20)의 잔존시간은 미세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기체 입자(21)의 부상(종말)속도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기체 입자(21)의 부상(종말) 속도는 기체 입자(21)의 브라운운동속도와 서로 교차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브라운운동속도가 높을수록 이에 의해 기체 입자(21)의 부상(종말)속도가 느려져 기체 입자(21)가 버블 상태로 화장품 용액(10)에 함유되어 있을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이러한 기체 입자(21)의 브라운운동속도와 부상(종말) 속도는 기체 입자(21)의 입경에 의해 결정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체 입자(21)의 입경을 보다 오랜시간 화장품 용액(10)에 잔존할 수 있는 크기로 결정하여 준 것이다.
이때, 기체 입자(21)입경이 작을수록 브라운운동속도가 증가하고 부상(종말)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미세기포(20) 화장품 용액(10) 상에 오래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미세기포(20)을 형성하는 기체 입자(21)의 입경이 0.6Mm 미만일 경우 기체 입자(21)가 화장품 용액(10)에 용해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기체 입자(21)의 입경은 0.6Mm이상인 것을 권장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입자(21)의 입경이 10Mm일 경우 브라운운동 속도와 부상(종말) 속도가 서로 평형을 이루게 되므로, 브라운운동 속도가 기체 입자(21)의 운동에 보다 큰 영향을 끼치게 되는 10Mm 이하인 것을 권장한다.
즉, 기체 입자(21)의 입경을 0.6마이크로미터 이상 ~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으로 결정하여, 기체 입자(21)가 화장품 용액(10)에 용해되지 않고, 브라운운동이 기체 입자(21)의 이동을 지배하여 기체 입자(21)의 부상(종말)이 천천히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보다 올바른 기체 입자(21)의 입경은 0.1Mm 내지 0.3Mm인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체 입자(21)의 입경을 일정 이하로 만들기 위해서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체 입자(21)의 크기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기체 입자(21)의 입경을 쉽게 조절 가능하고, 기체 입자의 부상(종말)속도가 브라운운동 속도에 끼치는 영향이 최소화 되는 범위로 설정하여 준 것이다.
도 10에는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을 제조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1000)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베이스 용액이 저장되는 초순수 저장부(100)와, 상기 초순수 저장부(100)에 저장된 베이스 용액에 혼합되는 화장품 원료가 저장되는 조성물 저장부(200)와, 베이스 용액과 화장품 원료가 혼합되어 화장품 조성물이 만들어지는 교반기(300)와, 제조된 화장품이 저장되는 화장품 저장부(400)와, 상기 교반기(300)에서 만들어진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측정부(500)와, 상기 점도 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점도와 저장된 임의의 점도를 비교하여 미세기포 형성 위치를 결정하는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와, 상기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에서 결정된 위치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미세기포 형성부(700)와, 상기 교반기로 투입되는 베이스 용액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온도, 습도,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조건 조절부(800)와, 상기 화장품 저장부(400)로 이송되는 화장품 조성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장품의 제조는 상기 초순수 저장부(100)에서 순수와 같은 화장품 제작에 사용되는 베이스 용액을 제조하며 시작되며, 상기 초순수 저장부(100) 상의 베이스 용액은 상기 교반기(300)에서 상기 조성물 저장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화장품 원료와 순차적으로 혼합되어 점진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화장품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로 바뀌게 되며, 화장품 조성물에 모든 화장품 원료가 혼합되어 만들고자 하는 화장품과 동일한 성질을 가지게 되면, 상기 화장품 저장부(400)로 이송 후 용기에 주입되어 판매된다.
그리고, 베이스 용액에 화장품 원료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공정 과정에서 화장품 조성물이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과 동일한 성질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조건 조절부(800)에서 베이스 용액과, 화장품 원료와, 화장품 조성물의 온도, 습도, 압력과 같은 조건을 지정된 임의의 수치로 조절하며, 상기 교반기(300)에서 최종 화장품 원료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화장품 조성물은, 멤브레인과 같은 상기 불순물 제거부(900)를 통과하며 혼합 과정에서 발생한 불순물이 제거된다. 즉, 혼합, 화학적 환경조건의 조절, 불순물 제거 등의 다양한 공정을 통하여 화장품이 제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화장품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점도를 가지며, 점도가 높을 경우 화장품에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미세한 크기의 기체 입자(21)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점도가 낮은 상기 베이스 용액에 미세기포를 형성 시 화장품 제조를 위해 다양한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미세기포가 파괴되거나, 개체수가 감소되거나, 조대화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도 측정부(500)를 통하여 교반기(300)에서 만들어진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고, 상기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에서 거쳐야 하는 화장품 제조 공정이 최소화 됨과 동시에, 미세 기포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점도를 가지는 최적화된 미세기포 형성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미세기포 형성부(700)에서 지정된 위치에 미세기포를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미세기포 형성부(700)가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베이스 용액, 상기 화장품 조성물, 제조된 화장품을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대기에 위치된 특정 대상물과 부딪히게 만들어 낙하하는 과정에서 미세기포 입자가 함유되게 하는 방법과, 대기에서 순환되는 조성물을 분무 후 서로 부딪히게 하여 분무되는 입자 사이에 미세기포 입자가 포획되게 하는 방법과, 베이스 용액, 상기 화장품 조성물, 제조된 화장품에 미세기포 입자가 함유된 용액을 추가로 주입하여 미세기포가 함유되게 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는 측정되는 점도 수치가 동일 온도에서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퍼센트 초과일 경우 점도가 측정된 교반기 이전에 위치 이전에 위치되는 상기 교반기(300) 또는 상기 초순수 저장부(100)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고, 150퍼센트 이하일 경우 이후에 위치되는 교반기 또는 화장품 저장부(400)를 형성할 수 있게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세기포 형성은 미세기포가 형성되는 대상물의 점도가 일정 이상일 경우 미세기포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대상물의 점도를 미세기포가 잘 혼합될 수 있는 점도인 1.5센티포아즈로 한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합한 점도를 가지되 가장 적은 공정을 거칠 수 있는 공정의 후단에서 미세기포가 형성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다시한번 설명하면, 최종 제작된 후 상기 화장품 저장부(400)에 저장된 화장품의 점도가 1.5센티포아즈 미만일 경우 화장품 저장부(400)에 저장된 화장품에 직접 미세기포를 형성하여 주고, 화장품 저장부(400)에 저장된 화장품의 점도가 1.5센티포아즈 이상일 경우 마지막에 혼합된 화장품 조성물 혼합 전에 위치된 교반기(300)에 위치된 화장품 조성물에 미세기포를 형성하고, 초순수 저장부(100)에 인접한 교반기에 위치된 화장품 조성물의 농도가 1.5센티포아즈 이상일 경우 초순수 저장부에 저장된 베이스 용액에 미세기포를 형성하여 준 것이다.
이때, 화장품 공정의 초기 단계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여 줄수록 미세기포가 많은 공정을 거치며 개체수가 줄어들고 조대화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미세기포의 입경을 작게 하고 개체수를 증가시켜 주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11에는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S1000)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베이스 용액을 준비하는 베이스 용액 준비단계(S100)와, 상기 베이스 용액 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베이스 용액에 화장품 원료를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형성하는 조성물 형성단계(S200)와, 상기 조성물 형성단계(S200)에서 형성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를 파악하는 점도 파악단계(S300)와, 상기 점도 파악단계(S300)에서 파악된 점도를 기반으로 미세기포 형성 시점을 결정하는 미세기포 형성 시점 결정단계(S400)와, 결정된 시점에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미세기포 형성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미세기포의 경우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 화장품으로 바뀌면서 거치는 공정이 많아질수록 개체수가 줄어들고 조대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대상 물질의 점도가 일정 이상일 경우 미세기포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미세기포 형성 시점 결정단계(S400)에서 점도 평가단계(S300)에서 파악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가 동일 온도에서의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 초과할 경우, 마지막으로 혼합된 화장품 원료 ??바 이전에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점도 파악단계(S300)에서 파악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가 동일 온도에서의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 이하일 경우, 최종 화장품 원료가 혼합된 화장품 조성물에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 입자는 다양한 기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수소로 기체 입자를 형성하여 피부 노화 예방 효과(안티에이징 효과)를 가지게 할 수 있고, 산소로 기체 입자를 형성 시 피부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여 세포를 활성화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공기 및 타 기체의 경우 자극을 통한 유효성분 투과성 효과가 있다. 즉, 화장품 효능 목적에 따라 보다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체가 상기 기체 입자를 형성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화장품 용액 20 : 미세기포
21 : 기체 입자
100 : 초순수 저장부 200 : 조성물 저장부
300 : 교반기 400 : 화장품 저장부
500 : 점도 측정부 600 :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
700 : 미세기포 형성부 800 : 조건 조절부
900 : 불순물 제거부
S100 : 베이스 용액 준비단계 S200 : 조성물 형성단계
S300 : 점도 파악단계 S400 : 미세기포 형성 시점 결정단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베이스 용액과 화장품 원료가 혼합되어 화장품 조성물이 만들어지는 교반기(300);
    제조된 화장품이 저장되는 화장품 저장부(400);
    상기 교반기(300)에서 만들어진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측정부(500);
    상기 점도 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점도와 저장된 임의의 점도를 비교하여 미세기포 형성 위치를 결정하는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 및
    상기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에서 결정된 위치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미세기포 형성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기포 형성 위치 결정부(600)는 측정되는 점도 수치가 동일 온도에서의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 초과일 경우 점도가 측정된 교반기 이전에 위치되는 교반기 또는 초순수 저장부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고, 이하일 경우 이후에 위치되는 교반기 또는 화장품 저장부(400)에서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로 투입되는 베이스 용액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온도, 습도,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조건 조절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저장부(400)로 이송되는 화장품 조성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8.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를 파악하는 점도 파악단계(S300); 및
    상기 점도 파악단계(S300)에서 파악된 점도를 기반으로 미세기포 형성 시점을 결정하는 미세기포 형성 시점 결정단계(S400);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기포 형성 시점 결정단계(S400)는 상기 점도 파악단계(S300)에서 파악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가 동일 온도에서의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 초과일 경우, 마지막으로 혼합된 화장품 원료 혼합 이전에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점도 파악단계(S300)에서 파악된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가 동일 온도에서의 초순수 점도를 기준으로 150% 이하일 경우, 최종 화장품 원료가 혼합된 화장품 조성물에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190151414A 2019-11-22 2019-11-22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 KR10231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14A KR102313171B1 (ko) 2019-11-22 2019-11-22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
US17/777,175 US20220387267A1 (en) 2019-11-22 2020-11-03 Fine bubble-containing cosmetic for improving dermal penetration, manufacturing system of fine bubble-containing cosmetic for improving dermal penet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ine bubble-containing cosmetic for improving dermal penetration
PCT/KR2020/015200 WO2021101128A2 (en) 2019-11-22 2020-11-03 Fine bubble-containing cosmetic for improving dermal penetration, manufacturing system of fine bubble-containing cosmetic for improving dermal penet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ine bubble-containing cosmetic for improving dermal penet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14A KR102313171B1 (ko) 2019-11-22 2019-11-22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20A KR20210063020A (ko) 2021-06-01
KR102313171B1 true KR102313171B1 (ko) 2021-10-15

Family

ID=7598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414A KR102313171B1 (ko) 2019-11-22 2019-11-22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87267A1 (ko)
KR (1) KR102313171B1 (ko)
WO (1) WO2021101128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4613A (ja) * 2016-08-10 2018-02-15 株式会社新菱 化粧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水素ガス含有粘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5544B2 (ja) * 2006-08-25 2013-06-19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KR101409649B1 (ko) * 2013-12-30 2014-06-18 주식회사 수아띠 수소화장품 제조장치
JP2017002020A (ja) * 2015-06-09 2017-01-05 株式会社ウォーターデザイン 水素添加高粘度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392907B2 (ja) * 2016-04-14 2018-09-19 株式会社新菱 ガス含有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57022B1 (ko) 2018-03-21 2019-12-19 (주)일진코스메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4613A (ja) * 2016-08-10 2018-02-15 株式会社新菱 化粧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水素ガス含有粘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87267A1 (en) 2022-12-08
WO2021101128A3 (en) 2021-07-22
WO2021101128A2 (en) 2021-05-27
KR20210063020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7451B (zh) 多层化妆品组合物
CN101155594B (zh) 含贝类烧结粉末的乳霜及其制备方法
CN110327282A (zh) 一种可改善头皮表皮微生物菌群的去屑洗发水及制备工艺
US20080081324A1 (en) Two-phase oxygenated solution and method of use
CN107920963B (zh) 包含多孔性多面体粉末的油包水型化妆品组合物
KR20110040869A (ko) 폼 스킨 케어 크림
KR102313171B1 (ko)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시스템, 피부투과성 향상을 위한 미세기포가 함유된 화장품 제조 방법
CN104983607A (zh) 一种按摩精油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03049706A2 (en) Wrinkle cream comprising hydrophillic and hydrophobic particles
JP2016124801A (ja) カプセ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280257A1 (en) Liquid drop releasing cosmetic
EP2786737A1 (en) Reducing agent containing sodium borohydride
CN105640786A (zh) 外用液态水、纳米营养液及其制备方法
CN105796466B (zh) 一种珍珠粉气雾剂
DE3613280A1 (de) Koerperpackung, vorzugsweise gesichtsmaske fuer kosmetische und/oder therapeutische zwecke
CN103720613A (zh) 一种介孔硅泥膜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DE202011110581U1 (de) Vorrichtung zur Imprägnierung von Wasser mit Gas
KR20180067062A (ko) 미세 홀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DE102004032516A1 (de) Mittel zur Anregung von Haarwachstum und zur Behandlung von Haarausfall, Schuppen, Milchschorf, Ekzemen, Flechten, Reitungen und Rötungen
JP4586131B2 (ja) ホイップクリー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330721B1 (ko) 산호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기능생리활성 음이온공기제조장치
KR100330722B1 (ko) 산호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기능생리활성 음이온공기제조방법
KR102162453B1 (ko)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57079A (ko) 풍화산호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기능생리활성 음이온 공기
CN106420401A (zh) 一种祛斑化妆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