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453B1 -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453B1
KR102162453B1 KR1020180021060A KR20180021060A KR102162453B1 KR 102162453 B1 KR102162453 B1 KR 102162453B1 KR 1020180021060 A KR1020180021060 A KR 1020180021060A KR 20180021060 A KR20180021060 A KR 20180021060A KR 102162453 B1 KR102162453 B1 KR 10216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manufacturing
mask
serum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110A (ko
Inventor
김재현
홍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모트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모트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모트메디컬
Priority to KR102018002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4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하기 위한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원료를 일정 크기의 비드(bead) 타입으로 형성하고, 얼굴의 특정 부위를 대상으로 비드를 탭핑함으로써 피부에 영양과 수분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공정을 통해 화장품 원료를 일정한 크기의 비드(bead) 형태로 형성함으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비드를 탭핑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MASK B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하기 위한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원료를 일정 크기의 비드(bead) 타입으로 형성하고, 얼굴의 특정 부위를 대상으로 비드를 탭핑함으로써 피부에 영양과 수분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고,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거나 환경오염으로 인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피부 혈색도 나빠지고, 피부 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검버섯이 증가하는 등의 피부 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피부 노화를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피부 개선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의 피부에 효과적인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탐색하는 연구와 마스크 팩과 같은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 연구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 10-1464043 호 (카무카무분말이 포함된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는 카무카무 분말이 포함된 마스크 팩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고, 등록특허공보 제 10-1409764 호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우뭇가사리 주정추출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는 우뭇가사리 주정추출 유산균 발효물을 원료로 하는 발명이며, 등록특허공보 제 10-1704504 호 (미더덕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더덕껍질 추출물을 원료로 하는 발명이고,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66806 호 (전복 점액 및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하이드로겔 팩) 는 전복 추출물을 원료로 하는 발명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는 방법은 피부 개선 효과를 기능성 소재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마스크 팩과 같은 기능성 제품은 부직포와 같은 다공질재로 구성된 기재층과 젤라틴(gelatin),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2종 이상 포함하는 팩제층으로 구성된 시트로 구성하고, 부직포에 화장품 원료를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기재층에 팩제층을 도포하거나 전사하는 공정이 필요하고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팩제액의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폐기시에 부직포와 함께 처리해야 하므로 쓰레기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 중 하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 10-1012289 호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에서는 PVA 등이 포함된 알지네이트를 동결 및 해동을 함으로써 물리적 가교를 형성한 마스크 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얼굴 표면 전체에 한꺼번에 사용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제품이 낭비되는 단점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으며, 마스크 팩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해 동결과 해동이라는 섬세한 공정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제조 비용 및 원가가 증가하며, 캡슐 형성을 위한 점증제의 사용을 추가적으로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464043 호 (2014.11.20) 등록특허공보 제 10-1409764 호 (2014.06.29) 등록특허공보 제 10-1704504 호 (2017.02.10)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66806 호 (2017.06.15) 등록특허공보 제 10-1012289 호 (2011.02.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공정을 통해 화장품 원료를 일정한 크기의 비드(bead)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국소 부위를 대상으로 비드를 탭핑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은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장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화장품 원료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용매에 드롭하여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를 선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세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화장품 원액에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0.3 ~ 1% 함량의 히알루론산 분말, 또는 0.5 ~ 3%의 농도의 히알루론산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점도는 150 cps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원료는 0.7 ~ 3.5%의 총 히알루론산 함유량, 또는 50 ~ 150만의 히알루론산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알긴산 나트륨 일 수 있다.
상기 알긴산 나트륨은 1 ~ 2.5%의 질량 퍼센트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장품 원료와 상기 해조류 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9:1 에서 1:9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바륨(BaCl2) 및 젖산칼슘(C6H10O6Ca·5H2O) 용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1 ~ 5%의 질량 퍼센트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드는 내부의 액상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해조류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를 보관하는 수조의 온도는 5 ~ 40도의 범위이고, 상기 혼합물이 상기 수조 내에서 잔류하는 시간은 15 ~ 30 초의 시간 범위이며, 상기 혼합물은 0.1 ~ 1cc의 부피로 상기 수조에 드롭될 수 있다.
상기 비드는 0.5 cm 이상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품화하는 단계는 상기 비드를 상기 수조에서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화장품 비드를 증류수가 담긴 용기에서 5 ~ 10초 동안 흔들어서 세정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비드는 내부의 액상과, 상기 액상을 둘러싸고 있는 해조류 막으로 이루어지는 비드 타입 화장품으로서, 상기 비드 타입 화장품은 화장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화장품 원료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용매에 드롭하여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를 선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공정을 통해 화장품 원료를 일정한 크기의 비드(bead) 형태로 형성함으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비드를 탭핑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세럼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세럼 원료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세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세럼 혼합물을 용매에 드롭하여 세럼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알긴산 나트륨과 염화칼슘 용매가 결합되어 세럼 비드를 생성하는 경우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조 방법을 통해 생성된 세럼 비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품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 비드는 사용자의 얼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비드 타입의 마스크 팩을 포괄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화장품으로 사용되는 소재 중 하나로서 세럼(Serum)의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은 세럼 이외에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여,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소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은 세럼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S100), 세럼 원료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세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 세럼 혼합물을 용매에 드롭하여 세럼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S300), 및 세럼 비드를 선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럼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S100)는 본 발명의 비드 타입 마스크 팩에 사용할 세럼 원액에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비드(bead)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점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세럼 원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은 아미노산과 우론산으로 이루어지는 다당류로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세럼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인데, 도 2를 참조하여, 세럼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S100)의 세부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럼 원료(110)에 첨가되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히알루론산(120)은 분말(powder) 또는 용액(solution)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120)을 분말 형태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0.3 ~ 1%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용액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0.5 ~ 3%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함량의 히알루론산(120) 분말이나 용액을 세럼 원액(110)에 첨가하여 세럼 원료(100)를 제조하는 경우, 세럼 원료(100)는 150 cps(centi poise ; g/cm*s) 이상의 점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0.5 c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비드 타입의 세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세럼 원액(110)에 히알루론산(120)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세럼만으로 내기 힘들었던 물광 효과(피부에 촉촉하고 반짝이는 수막을 생성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우수한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렇게 제조된 세럼 원료(100)는 총 히알루론산 함유량이 0.7 ~ 3.5% 수준에 해당할 수 있고, 히알루론산 분자량은 분말을 기준으로 50 ~ 150만 Mw(Molecular weight)의 범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세럼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S100)는 이후의 단계(S200 ~ S400)와 동일한 제조 라인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외부의 다른 업체를 통하여 세럼 원료(100)를 제조하도록 하고 이를 공급받아 나머지 단계(S200 ~ S400)를 수행함으로써 비드 타입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세럼 원료(100)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세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는 세럼 원료(100)가 이온 가교 결합을 통해 비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이온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해조류 추출물을 세럼 원료(100)에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세럼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세럼 원료(100)에 첨가하기에 적합한 해조류 추출물은 이후 단계에서 용매로 사용되는 용액과 이온의 치환을 통해 캡슐레이션(capsulation)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세럼 원료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세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럼 원료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세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세럼 원료(100)와 교반할 해조류 추출물(210)은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을 사용할 수 있다. 해조류 추출물(210) 중에서 알긴산 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 용매로 사용될 염화칼슘 등의 용액 내에서 Na 이온과 Ca 이온이 치환되면서 이온 가교 결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온 가교 결합에 의해서 세럼 혼합물(200)은 안정한 비드 타입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된다.
이 때, 세럼 원료(100)와 해조류 추출물(210)의 혼합 비율은 9:1 에서 1:9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9:1 에서 7:3의 혼합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적정하다. 또한, 해조류 추출물(210)로 사용하는 알긴산 나트륨의 질량 퍼센트 농도는 1 ~ 2.5% 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럼 혼합물을 용매에 드롭하여 세럼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용매가 담긴 수조에 세럼 혼합물(200)을 일정한 조건으로 드롭하여 세럼 비드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세럼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세럼 혼합물(200)을 드롭하기 위한 수조(310)에 용매(320)를 공급한다. 용매(320)는 세럼 혼합물(200)의 알긴산 나트륨에 포함된 나트륨 성분과 이온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바륨(BaCl2), 및 젖산칼슘(C6H10O6Ca·5H2O) 용액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용매(320)의 질량 퍼센트 농도는 1 ~ 5%의 범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럼 비드(300)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과 같은 별도의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알긴산 나트륨과 염화칼슘 용매(320)가 결합되어 세럼 비드(300)를 생성하는 경우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긴산 나트륨은 다당류의 글루론산(guluronic acid)과 만유론산(mannuronic acid)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용매(320)의 칼슘 이온이 치환되어 이온 가교 결합이 이루어지고, 비드 타입의 세럼 비드(300)가 생성된다.
도 6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세럼 비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을 통해 생성된 세럼 비드(300)는 내부의 세럼 액상(304)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해조류 막(3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럼 액상(304)은 세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에서 만들어진 세럼 혼합물(200)에 해당하고, 해조류 막(302)은 해조류 추출물(210)에 해당하는 알긴산 나트륨과 용매(320)의 이온 치환으로 인해 생성된 점성을 가진 막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세럼 비드(300)는 세럼 액상(304)과 해조류 막(302)이 모두 피부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에 해조류 막(302)과 세럼 액상(304)이 모두 피부에 침투되며 사용 후에 폐기하여야 하는 잔여 성분이 없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세럼 비드(300)는 외부의 해조류 막(302)이 세럼 액상(304)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약한 탭핑으로 세럼 액상(304)과 해조류 막(302)을 함께 피부에도 도포하여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캡슐을 형성하고, 액상 사용 후 캡슐을 폐기하는 기술과도 차별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세럼 혼합물(200)이 점성을 가진 세럼 비드(300)로 형성되는데 적합한 수조의 온도는 5 ~ 40도의 범위이며, 세럼 혼합물(200)이 수조(310) 내에서 잔류하는 시간은 15 ~ 30 초의 시간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때, 세럼 혼합물(200)을 0.5 c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비드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조(310) 내에 드롭할 때, 0.1 ~ 1cc의 부피로 드롭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0.5 c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세럼 비드(300)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세럼 혼합물(200)을 드롭하는 니들의 끝 부분 내경이 클수록 효과적이며, 가급적 세럼 혼합물(200)의 잔류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약리 성분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세럼 비드를 선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S400)는 생성된 세럼 비드(300)를 수조(310) 내에서 건져 내어 세정하고, 제품으로 구성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생성되는 세럼 비드(30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채망을 이용하여 세럼 비드(300)를 수조(310)에서 건져내고, 건져낸 세럼 비드(300)를 증류수와 같은 세정액이 담긴 별도의 수조에서 약 5 ~ 10초 동안 흔들어서 세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세정이 완료된 세럼 비드(300)는 별도의 용기에 담아서 마스크 팩 제품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비드의 제품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스크 비드는 뚜껑이 있는 용기에 세럼 비드(300)를 담아서 사용자가 필요한 수량만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포장하거나(도 7(a)), 튜브 형태의 용기에 세럼 비드(300)를 담아서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여 소량의 세럼 비드(300)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포장할 수도 있다(도 7(b)).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에 담긴 세럼 비드(300)를 1회 사용에 적합한 수량(약 2 ~ 5개)으로 추출하여 얼굴 등의 피부에 도포한 상태로 가볍게 태핑함으로써, 원하는 부위에 세럼 혼합물과 해조류 추출물로 이루어진 영양 성분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스크 비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마스크 팩을 버려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세럼 비드를 피부에 도포한 후에 수면을 취함으로써 마스크 비드의 효과를 유지하고 피부에 탄력과 보습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세럼 비드(300)를 구성하는 세럼 액상(304)과 해조류 막(302)이 모두 피부 영양 성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잔여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세럼 원료 110: 세럼 원액
120: 히알루론산 200: 세럼 혼합물
210: 해조류 추출물 300: 세럼 비드
302: 해조류 막 304: 세럼 액상
310: 수조 320: 용매

Claims (16)

  1. 마스크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장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화장품 원료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용매에 드롭하여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드를 선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를 보관하는 수조의 온도는 5 ~ 40도의 범위이고,
    상기 혼합물이 상기 수조 내에서 잔류하는 시간은 15 ~ 30 초의 시간 범위이며,
    상기 혼합물은 0.1 ~ 1cc의 부피로 상기 수조에 드롭되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세럼을 포함하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화장품 원액에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점도를 증가시키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0.3 ~ 1% 함량의 히알루론산 분말, 또는 0.5 ~ 3%의 농도의 히알루론산 용액인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는 150 cps 이상인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원료는 0.7 ~ 3.5%의 총 히알루론산 함유량, 또는 50 ~ 150만의 히알루론산 분자량을 가지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알긴산 나트륨인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나트륨은 1 ~ 2.5%의 질량 퍼센트 농도를 가지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장품 원료와 상기 해조류 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9:1 에서 1:9 사이의 값을 가지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바륨(BaCl2), 및 젖산칼슘(C6H10O6Ca·5H2O) 용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1 ~ 5%의 질량 퍼센트 농도를 가지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내부의 액상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해조류 막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0.5 c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화하는 단계는
    상기 비드를 상기 수조에서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비드를 증류수가 담긴 용기에서 5 ~ 10초 동안 흔들어서 세정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비드 제조 방법.
  16. 내부의 액상; 및
    상기 액상을 둘러싸고 있는 해조류 막으로 이루어지는 비드 타입 화장품으로서,
    상기 비드 타입 화장품은 화장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화장품 원료와 해조류 추출물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용매에 드롭하여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를 선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로 제조되되,
    상기 비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를 보관하는 수조의 온도는 5 ~ 40도의 범위이고,
    상기 혼합물이 상기 수조 내에서 잔류하는 시간은 15 ~ 30 초의 시간 범위이며,
    상기 혼합물은 0.1 ~ 1cc의 부피로 상기 수조에 드롭되는 마스크 비드.
KR1020180021060A 2018-02-22 2018-02-22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60A KR102162453B1 (ko) 2018-02-22 2018-02-22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60A KR102162453B1 (ko) 2018-02-22 2018-02-22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10A KR20190101110A (ko) 2019-08-30
KR102162453B1 true KR102162453B1 (ko) 2020-10-07

Family

ID=6777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060A KR102162453B1 (ko) 2018-02-22 2018-02-22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4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289B1 (ko) * 2010-08-07 2011-02-10 성 준 유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17518310A (ja) * 2014-06-04 2017-07-06 リカルダ、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Likarda,Llc マイクロカプセル化技術及びその生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43B1 (ko) 2012-09-25 2014-11-20 우익중 카무카무분말이 포함된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1409764B1 (ko) 2013-02-21 2014-06-19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우뭇가사리 주정추출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704504B1 (ko) 2014-12-26 2017-02-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더덕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6806A (ko) 2015-12-07 2017-06-15 (주)뷰티화장품 전복 점액 및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하이드로겔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289B1 (ko) * 2010-08-07 2011-02-10 성 준 유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17518310A (ja) * 2014-06-04 2017-07-06 リカルダ、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Likarda,Llc マイクロカプセル化技術及びその生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10A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70469A (zh) 一种鱼胶原蛋白肽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WO2020186068A1 (en) Mycelium biopolymers for health and beauty applications
KR101012289B1 (ko)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N108366662A (zh) 利用薄膜的化妆用粉扑的制造方法及利用上述方法制造的化妆用粉扑
KR20160056005A (ko) 단일 또는 이종의 피부활성성분의 공급제어 기능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N103784339A (zh) 一种不含乳化剂的磨砂皮肤清洁产品
TW201313155A (zh) 乾性面膜組及有機酸乾性面膜
KR102162453B1 (ko) 마스크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CN110200885A (zh) 一种魔芋面膜基布及其制备方法、以及魔芋面膜
CN104311848A (zh) 一种再生丝素-纳米氧化钛复合膜的制备方法
CN107753347A (zh) 一种水凝胶酸石榴粉末护肤品及其制备方法、应用
CN109646704A (zh) 医用烧伤抗菌防粘连型纱布绷带的制备方法
CN108294978A (zh) 一种矿物盐洁面盐乳及其制备方法
CN107419430A (zh) 一种功能性蚕丝无纺布及其生产方法
KR20160066299A (ko) 엠보싱 형상 표면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617014B1 (ko) 세정용 천연 스펀지의 제조방법 및 그 스펀지
CN107802519A (zh) 一种基于复合酶解技术的草本精华固体香水及其制备方法
CN104761736A (zh) 一种不对称结构的交联透明质酸钠凝胶的制备方法
CN102405293A (zh) 生物纤维膜及其用途
CN105997598A (zh) 一种剥离型o-壳聚糖季铵盐面膜及制备方法
CN101249048B (zh) 高原黄土的处理方法及在生产美容用品中的应用
CN206102827U (zh) 一种分级缓释泪点塞
CN108653042A (zh) 一种无添加的抗衰与防辐射的脱乙酰壳多糖纤维精华液
KR20140120648A (ko) 당나귀 우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8578258A (zh) 一种胶囊精华露及制造该胶囊精华露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