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313B1 -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313B1
KR102312313B1 KR1020210030271A KR20210030271A KR102312313B1 KR 102312313 B1 KR102312313 B1 KR 102312313B1 KR 1020210030271 A KR1020210030271 A KR 1020210030271A KR 20210030271 A KR20210030271 A KR 20210030271A KR 102312313 B1 KR102312313 B1 KR 10231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lica hydrogel
mask pack
eggshell membra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은
Original Assignee
송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은 filed Critical 송성은
Priority to KR102021003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에 적합하고, 재생이 필요한 피부로의 영양전달성이 우수하며, 천연 바이오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Silica Hydrogel Mask Pack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Soluble Egg Shell Membrane Protein and Soluble Polymer Chitos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에 적합하고, 재생이 필요한 피부로의 영양전달성이 우수하며, 천연 바이오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에서 쉽게 피부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기능성 마스크팩이 사용되고 있다. 피부재생용 기능성 마스크팩은 안면에 부착하기만 해도 피부를 재생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기능성 마스크팩에 토핑된 기능성 화장료조성물은 보습력이 비교적 좋지 않아, 기능성 화장료조성물의 대부분이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피부의 온도에 의하여 공기 중으로 빠르게 증발되어 마스크팩의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마스크팩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이드로겔 재질의 기능성 마스크팩이 사용되고 있다. 하이드로겔 재질의 기능성 마스크팩은 보습력이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료조성물이 피부로 흡수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다만, 하이드로겔 재질의 기능성 마스크팩은 팩을 부착하는 동안 피부로의 산소공급을 막으므로 피부재생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기능성 마스크팩의 피부재생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수한 보습력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산소전달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산소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통기가 되어야 하므로 보습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기되는 것을 억제해야 하므로 산소전달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이 모두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료조성물의 영양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팩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에 적합하고, 재생이 필요한 피부로의 영양전달성이 우수하며, 천연 바이오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으로서, 물유리,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혼합하여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는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고, 상기 난각막을 분말화하고 겔화하여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제조하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 게의 외피로부터 키토산분말을 수득하고, 상기 키토산분말을 겔화하여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제조하는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 상기 습윤실리카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에 UV를 조사하여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 를 통해 제조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은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상부면에 해당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타면은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하부면에 해당하여 피부에 직접 접착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40 내지 60g의 습윤실리카겔, 90 내지 100g의 수용성난각막단백질, 40 내지 60g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 40 내지 60g의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5 내지 15g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는,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포함하는 묽은염산을 제조하는 묽은염산제조단계; 상기 묽은염산, 및 물유리를 포함하는 습윤상태의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는 습윤실리카겔제조단계;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세척하여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습윤실리카겔세척단계; 및 세척된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습윤실리카겔가공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는,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난각막분리단계; 상기 난각막을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난각막분말을 수득하는 난각막분말가공단계; 상기 난각막분말, 및 약산용액을 포함하는 제1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혼합액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난각막용액을 제조하는 난각막용액제조단계; 및 상기 약산용액을 제거하여 상기 난각막용액으로부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수득하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수득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는, 게의 외피를 세척 및 분쇄하여 게분말을 수득하는 게분말준비단계; 무기질, 단백질, 및 색소를 제거하여 상기 게분말로부터 키틴을 수득하는 키틴수득단계; 상기 키틴을 탈아세틸화하고 탈수하여 키토산분말을 수득하는 키토산수득단계; 및 상기 키토산분말, 및 산성용액을 포함하는 제2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혼합액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수득하는 수용성고분자키토산수득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는, 습윤실리카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 및 수화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수득단계;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냉각 및 가공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가공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에서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섬유지지체의 상면, 및 하면에 도포하여 냉각시켜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고, 상기 섬유지지체는 부직포, 메쉬, 및 한지부직포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은 기설정된 비율로 혼합된 편백, 및 올방개를 나노 사이즈로 균질화하여 수득된 분말에 해당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으로서, 물유리,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혼합하여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는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고, 상기 난각막을 분말화하고 겔화하여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제조하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 게의 외피로부터 키토산분말을 수득하고, 상기 키토산분말을 겔화하여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제조하는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 상기 습윤실리카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에 UV를 조사하여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에 적합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천연 바이오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무해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습윤실리카겔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포함하는 부위로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유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카겔이 습윤겔의 형태로 제조됨에 따라,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보습력이 향상된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습윤실리카겔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하여 습윤실리카겔의 수화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곡면으로 구성된 피부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상처를 치유하거나 피부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이 실리카하이드로겔에 첨가됨에 따라,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의 대조군과 실험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상처부위를 드레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의 대조군의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의 실험군의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이 수행된 후 30일차의 대조군의 상처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이 수행된 후 24일차의 실험군의 상처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의 대조군 및 실험군의 상처 치유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반응 안전성 실험을 수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관능 평가를 수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능 실험의 진피치밀도의 평가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능 실험의 보습개선평가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능 실험의 각질개선평가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으로서, 물유리,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혼합하여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는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S100);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고, 상기 난각막을 분말화하고 겔화하여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제조하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S200); 게의 외피로부터 키토산분말을 수득하고, 상기 키토산분말을 겔화하여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제조하는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S300); 상기 습윤실리카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S400);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에 UV를 조사하여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S500); 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상기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S100),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S200),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S300),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S400),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 (S500)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S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유리,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혼합하여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할 수 있다.
실리카겔은 규소와 산소가 주 성분인 다공성 물질로, 수분을 흡수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한 특징이 있다. 상기 실리카겔은 일반적으로 물유리(규산염 수용액)를 산(acid)처리한 후에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고, 고형입자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실리카겔이 하이드로겔에 첨가되는 경우, 하이드로겔의 보습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고형입자의 형태를 갖는 실리카겔은 하이드로겔(Hydrogel; 수화겔)과의 반응이 비교적 수월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습윤겔 형태를 갖는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실리카겔은 아래와 같은 물유리 염산반응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21027167976-pat00001
이 때, NaOSiO2는 물유리에 해당하고, H2O는 정제수에 해당하고, HCl은 의료용염산에 해당하고, Si(OH)4 + 2NaCl은 습윤실리카겔에 해당한다.
상기 물유리 염산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습윤실리카겔은 하이드로겔과 반응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생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은 하이드로겔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즉, 상기 습윤실리카겔은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과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성 마스크팩의 피부재생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수한 보습력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산소전달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습윤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하였다.
이 경우,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피부 재생에 필요한 산소를 노화나 흉터에 의한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포함하는 부위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포함하는 부위로 유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습윤실리카겔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포함하는 부위로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유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S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고, 상기 난각막을 분말화하고 겔화하여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다.
난각막은 계란 껍데기의 안쪽에 위치하는 투명한 막으로, 대부분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부의 탄력과 신축성을 좋게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난각막은 단백질의 일종인 케라틴(Keratin)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탄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난각막은 상처를 효과적으로 지혈할 수 있고, 흉터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상처치료, 피부재생, 및 셀 배양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상기 난각막을 활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난각막으로부터 수용성난각막단백질(Souluble Egg Shell Membrane Protein; SEP)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은 하이드로겔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 전술한 습윤실리카겔과 원활하게 반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이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하였다.
이 경우,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곡면으로 구성된 피부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곡면으로 구성된 피부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상처를 치유하거나 피부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S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게의 외피로부터 키토산분말을 수득하고, 상기 키토산분말을 겔화하여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제조할 수 있다.
키틴, 및 키토산은 면역력을 활성화하고, 생체친화성이 우수하며, 창상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인간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상처를 자가치유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을 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키틴은 게의 외피로부터 수득될 수 있고, 상기 키토산은 상기 키틴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키틴은 물이나 유기용매에 녹지 않아 수용액 상태로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게의 외피로부터 키토산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키토산분말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에 쉽게 용해되는 특징이 있어, 본 발명의 상기 습윤실리카겔, 및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과 원활하게 반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게의 외피로부터 키토산분말을 수득하고, 상기 키토산분말을 겔화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이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하였다.
이 경우,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상처를 치유하거나 피부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상처를 치유하거나 피부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S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습윤실리카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은 하이드로겔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하이드로겔은 공유결합 등의 응집력에 의해 가교된(cross-linked) 친수성 고분자로, 3차원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하이드로겔은 수용액 상에서 많은 양의 물을 내부에 함유하여 팽윤할 수 있으며, 물을 흡수한 상태에서는 생체조직과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겔은 비교적 고온(90 ℃이하)에서 내구성이 우수하며, 충격이 가해져 분자구조가 파괴된 경우에도 스스로 분자구조를 재배열하여 회복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상기 하이드로겔을 적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상기 하이드로겔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즉,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S400)에서는, 상기와 같은 습윤실리카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혼합 및 수화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주로 콘텍트 렌즈에 사용되는 물질로, 산소 전달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투과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포함하는 부위에 부착하는 마스크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액체의 투과를 억제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실리카 성분으로 인하여 규소 및 산소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피부 재생인자가 필요로 하는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습윤실리카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제조함으로써,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재생이 필요한 피부부위로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유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은, 기설정된 비율로 혼합된 편백, 및 올방개를 나노 사이즈로 균질화하여 수득된 분말에 해당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생분해성을 갖는 자연유래 고분자물질로, 원료인 목재 혹은 비목재 바이오매스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나노셀룰로오스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이 고분자에 첨가되는 경우에, 상기 고분자의 기계적 강도, 및 생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이 실리카하이드로겔에 첨가됨에 따라,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편백 및 올방개는 1:3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은 편백 15 내지 25 중량%, 및 올방개 75 내지 8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비율로 혼합된 편백 및 올방개로부터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을 수득함에 따라,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투명하게 조성될 수 있어 우수한 심미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율보다 많은 비율로 혼합된 편백으로부터 수득된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을 첨가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화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색상은 갈색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겔 마스크팩은 갈색을 띌 수 있어, 비교적 좋지 않은 심미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율보다 많은 비율로 혼합된 올방개로부터 수득된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을 첨가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화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이 투명하게 조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투명하게 조성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비교적 좋지 않은 심미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은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은 1 내지 3 중량%의 목재 및 증류수가 혼합된 혼합액을 고압 균질기에 장입하고, 장입된 상기 혼합액을 나노 사이즈로 균질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점성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상기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리카 성분의 상기 습윤실리카젤과 하이드로겔의 형태를 갖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이 혼합됨으로써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할 수 있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상기 글리세린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S400)에서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섬유지지체의 상면, 및 하면에 도포하여 냉각시켜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고, 상기 섬유지지체는 부직포, 메쉬, 및 한지부직포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S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에 UV를 조사하여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할 수 있다.
앞서 수행된 단계에서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된 실리카하이드로겔은 단순히 냉각된 하이드로겔에 해당한다. 즉,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된 실리카하이드로겔 자체는 마스크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고형화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이 단단한 얽힘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면에 UV를 조사하였다. 이 경우,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고형화되어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마스크팩 패드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 마스크팩 패드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실리키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6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실리키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UV조사에 의하여 멸균처리되고, 독성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능성 실리키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재생이 필요한 피부부위에 적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은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상부면에 해당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타면은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하부면에 해당하여 피부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하부면은 UV에 의해 경화되지 않아 우수한 부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우수한 부착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 (S500)는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재생화장료조성물을 이용하여 마사지 토핑하는 마스크팩토핑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상기 마스크팩토핑단계에서 상기 재생화장료조성물에 의해 마사지 토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생화장료조성물은 식물성유지형 화장료조성물, 점증제, 및 유탁화제 또는 용해화제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유지형 화장료조성물은 살구씨오일, 호호바씨오일, 달맞이꽃오일, 두송열매오일, 라벤더꽃오일, 오렌지껍질오일, 티트리잎오일, 마조람꽃오일, 센티드제라늄오일, 오렌지꽃오일, 캐모마일꽃오일, 및 커먼자스민꽃오일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탁화제 또는 용해화제는 물,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카보네이트, 이소프로판올, 벤질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재생화장료조성물은 젤, 로션, 크림, 오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젤, 로션, 크림, 및 오일 중 1의 제형으로 제조된 재생화장료조성물에 의하여 마사지 토핑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재생화장료조성물은 상기 식물성유지형 화장료조성물, 상기 점증제, 및 상기 유탁화제 또는 용해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고형체이며, 영양전달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실리카하이드로겔에 의해 우수한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을 구현함과 동시에, 재생화장료조성물에 의해 주름개선, 각질제거, 및 유수분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에 적합하고, 재생이 필요한 피부로의 영양전달성이 우수하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천연 바이오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무해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기 위한 각 단계의 세부단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S100)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S100)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S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포함하는 묽은염산을 제조하는 묽은염산제조단계(S110); 상기 묽은염산, 및 물유리를 포함하는 습윤상태의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는 습윤실리카겔제조단계(S120);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세척하여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습윤실리카겔세척단계(S130); 및 세척된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습윤실리카겔가공단계(S14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묽은염산제조단계(S1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포함하는 묽은염산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묽은염산제조단계(S110)에서는 상기 정제수 10 내지 20g, 및 상기 의료용염산 60 내지 70g을 혼합하여 상기 묽은염산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제수, 및 상기 의료용염산의 첨가량은 전술한 물유리 염산반응식의 몰비율을 분자량 비로 환산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실리카겔제조단계(S12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묽은염산, 및 물유리를 포함하는 습윤상태의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윤실리카겔제조단계(S120)에서는 상온에서 상기 물유리 290 내지 310g을 진탕배양기 위에서 회전시키고, 진탕배양기 위에서 회전 교반되고 있는 상기 물유리에 상기 묽은염산을 혼합하여 습윤상태의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제수, 상기 의료용염산, 및 상기 물유리의 첨가량은 전술한 물유리 염산반응식의 몰비율을 분자량 비로 환산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유리 염산반응이 균일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물유리를 진탕배양기 위에서 회전 교반시키면서 상기 묽은염산을 혼합하였다.
다만, 상기 물유리를 회전 교반시키는 장비를 진탕배양기로 한정하지 않고, 제조 환경에 따라 상기 물유리를 회전 교반시킬 수 있는 모든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실리카겔세척단계(S13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세척하여 염화나트륨을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윤실리카겔세척단계(S130)에서는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물을 이용하여 4 내지 6회 세척하였다. 이 때, 상기 세척은 상온에서 수행되었다.
도 3(a)는 상기 습윤실리카겔세척단계(S130) 이후의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때, 상기 습윤실리카겔은 1 중량% 이하의 상기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실리카겔가공단계(S14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척된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할 수 있다.
도 3(b)는 상기 습윤실리카겔가공단계(S140) 이후의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습윤실리카겔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과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공기 중에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고체 상태로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하여 상기 습윤실리카겔의 수화력을 유지시키고자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하여 습윤실리카겔의 수화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S200)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S200)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S200)는,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난각막분리단계(S210); 상기 난각막을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난각막분말을 수득하는 난각막분말가공단계(S220); 상기 난각막분말, 및 약산용액을 포함하는 제1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혼합액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난각막용액을 제조하는 난각막용액제조단계(S230); 및 상기 약산용액을 제거하여 상기 난각막용액으로부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수득하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수득단계(S24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각막분리단계(S2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계란에 구멍을 뚫어 내부의 난황 및 난백을 제거하고, 상기 계란을 식용 아세트산 용액에 넣어 난각을 연화시키고, 연화된 난각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고, 상기 난각막을 흐르는 물에 세척할 수 있다. 도 5(a)는 상기 난각막분리단계(S210) 이후의 상기 난각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난각막분말가공단계(S22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각막을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난각막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도 5(b)는 상기 난각막분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각막분말가공단계(S220)에서는 상기 난각막을 건조하여 분말가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난각막은 5% 미만의 수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각막용액제조단계(S23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각막분말, 및 약산용액을 포함하는 제1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혼합액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난각막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혼합액은 상기 난각막분말 8 내지 12g, 및 상기 약산용액 90 내지 110ml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약산용액은 티오글리콘산 85 내지 95중량% 및 아세트산 8 내지 12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난각막은 단백질의 일종인 케라틴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케라틴은 특정한 산과 반응하여 겔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난각막분말, 및 상기 약산용액을 포함하는 상기 제1혼합액을 교반하여 겔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혼합액은 자력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될 수 있고, 모두 겔화될 때까지 교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혼합액으로부터 상기 난각막용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수득단계(S24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약산용액을 제거하여 상기 난각막용액으로부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도 5(c)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앞서 수행된 난각막용액제조단계(S230)를 통해 수득된 상기 난각막용액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케라틴과 반응한 약산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수득단계(S240)에서는 상기 난각막용액을 원심분리하여 순수한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S300)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S300)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S300)는, 게의 외피를 세척 및 분쇄하여 게분말을 수득하는 게분말준비단계(S310); 무기질, 단백질, 및 색소를 제거하여 상기 게분말로부터 키틴을 수득하는 키틴수득단계(S320); 상기 키틴을 탈아세틸화하고 탈수하여 키토산분말을 수득하는 키토산수득단계(S330); 및 상기 키토산분말, 및 산성용액을 포함하는 제2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혼합액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수득하는 수용성고분자키토산수득단계(S34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분말준비단계(S3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게의 외피를 세척 및 분쇄하여 게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도 7(a)는 상기 게분말준비단계(S310) 이후의 상기 게분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키틴수득단계(S32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기질, 단백질, 및 색소를 제거하여 상기 게분말로부터 키틴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틴수득단계(S320)에서는 상기 게의 외피를 1 내지 5%의 의료용염산에 넣어 무기질을 제거하였고, 무기질이 제거된 상기 게의 외피를 3 내지 5%의 수산화나트륨용액에 넣고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단백질을 제거하였고, 무기질 및 단백질이 제거된 상기 게의 외피를 에탄올 용액에 넣어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색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게의 외피에 포함된 무기질, 단백질, 및 색소를 차례로 제거하여 상기 게분말로부터 상기 키틴을 수득할 수 있다.
다만, 단백질 및 색소 제거 시의 가열온도는 상기 온도로 한정되지 않고, 제조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수득단계(S33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틴을 탈아세틸화하고 탈수하여 키토산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토산수득단계(S330)에서는 상기 키틴을 40 내지 50%의 수산화나트륨용액에 넣어 5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탈아세틸화를 수행하고, 면보에 받쳐 탈수하여 상기 키토산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도 7(b)는 상기 키토산수득단계(S330) 이후의 상기 키토산분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만, 탈아세틸화 시의 가열온도는 상기 온도로 한정되지 않고, 제조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수득단계(S34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토산분말, 및 산성용액을 포함하는 제2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혼합액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분말은 pH 7 이상의 알칼리성 용매에 잘 용해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키토산분말은 pH 6 이하의 낮은 pH에서 겔화가 촉진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토산분말, 및 상기 산성용액을 포함하는 상기 제2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산성용액은 pH 6 이하의 산성을 띄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5이하의 산성을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혼합액으로부터 하이드로겔 형태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수득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혼합액을 50℃의 온도로 가열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다만, 상기 제2혼합액의 가열온도는 상기 온도로 한정되지 않고, 제조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c)는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수득단계(S340) 이후의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S400)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S400)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S400)는, 습윤실리카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 및 수화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수득단계(S410);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냉각 및 가공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가공단계(S4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수득단계(S4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습윤실리카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 및 수화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할 수 있다.
도 9(a)는 습윤실리카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이 혼합된 혼합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때, 상기 혼합물을 믹서하는 단계에서 열이 올라 변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b)는 상기 혼합물을 수화하여 수득된 실리카하이드로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40 내지 60g의 습윤실리카겔, 90 내지 100g의 수용성난각막단백질, 40 내지 60g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 40 내지 60g의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5 내지 15g의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성분 및 조성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포함하는 부위로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유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성분의 습윤실리카겔과 하이드로겔 형태의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포함하는 부위로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유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성분 및 조성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우수한 신축성 및 탄성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포함함으로써, 곡면으로 구성된 피부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성분 및 조성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상처치유에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함으로써,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보습력이 우수하여 상처를 치유하거나 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성분 및 조성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이 실리카하이드로겔에 첨가됨에 따라, 실리카 하이드로겔 패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이용하여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함에 따라,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에 적합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천연 바이오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무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수득단계 (S410)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기설정된 조건에서 호모믹서로 교반되어 수화됨에 따라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호모믹서에 의한 교반은 85 내지 95℃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제조 환경에 따라 상기 온도는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물은 9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되어 수화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가공단계(S42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냉각 및 가공할 수 있다. 도 9(c)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가공단계(S420) 이후의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10 내지 20℃의 온도로 냉각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냉각온도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조 환경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섬유지지체의 상면, 및 하면에 도포하여 냉각시켜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고, 상기 섬유지지체는 부직포, 메쉬, 및 한지부직포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상기 섬유지지체의 상면, 및 하면에 5 내지 7mm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고 냉각하여 4mm의 두께를 갖도록 가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하이드로겔패치제조단계(S500)를 실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a)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에 UV를 조사하고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b)는 UV조사 이후에 수득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패치제조단계(S500) 이후에 수득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에 포함된 습윤실리카겔,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등에 의하여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산성을 띌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 (S500)는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재생화장료조성물을 이용하여 마사지 토핑하는 마스크팩토핑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물성유지형 화장료조성물을 이루는 상기 오일들의 중량비는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팩에 요구되는 필요기능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화 피부부위 개선기능이 우수한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물성유지형 화장료조성물은 살구씨오일, 오렌지껍질오일, 및 오렌지꽃오일을 비교적 많은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실리카하이드로겔에 의해 우수한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을 구현함과 동시에, 재생화장료조성물에 의해 주름개선, 각질제거, 및 유수분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으로 이루어진 피부에 창상이 발생되는 경우, 창상의 치유를 위하여 세균 등 외부 인자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을 억제함과 동시에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창상이 치유되는 과정은 염증기, 육아기, 상피화기, 섬유증식기, 및 수축기 순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창상의 조직,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위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각 환경에 특화된 순서대로 일어날 수 있다. 다만, 상기 과정은 공통적으로 적절한 수준으로 활성화되어야 올바르게 창상이 치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을 테스트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피부 표피세포에 대한 재생능을 테스트하고, 인체 피부에 적용하기 전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테스트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시중에서 판매하는 습윤 폼형 드레싱 패치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환경
습도: 35% 내외
온도: 20℃ 내외
조도: 150LX, 및 30LX
상기 실험환경에 있어서, 상기 습도는 대조군 및 실험군의 상처부위 보습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고자 다소 건조한 환경을 유지하였다.
상기 실험환경에 있어서, 상기 조도는 대조군 및 실험군의 계측을 위하여 오후 1시 내지 오후 2시에는 150LX를 유지하고 그 외의 시간에는 3,000k의 황색전구색에 대응되는 30LX를 유지하여 대조군 및 실험군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창상유도
본 실험은 대조군 4개체(대조군1, 대조군2, 대조군3, 및 대조군4), 및 실험군 4개체(실험군1, 실험군2, 실험군3, 및 실험군4)의 검체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각 검체에는 오른쪽 등 부위를 면도 및 소독한 후에 20mm의 지름을 갖는 원형으로 절개하여 창상을 유도하였다. 창상 유도 시, 소독된 동물수술용 기구를 이용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의 대조군과 실험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는 대조군 마우스에 창상이 유도된 사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1(b)는 실험군 마우스에 창상이 유도된 사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창상드레싱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상처부위를 드레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는 대조군 마우스의 상처부위를 드레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 마우스의 상처부위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습윤 폼형 드레싱 패치를 사용하여 1차 드레싱을 수행하였다.
도 12(b)는 실험군 마우스의 상처부위를 드레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군 마우스의 상처부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여 1차 드레싱을 수행하였다.
다만, 동물의 경우 몸에 붙은 이물감을 인지하면 본능적으로 떼어내려는 습성이 있어 드레싱을 제거하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험에서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 및 실험군 모두 1차 드레싱을 물리적으로 뗄 수 없도록 2차 드레싱을 수행하였다. 상기 2차 드레싱은 통기성이 확보된 의료용 부착붕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너무 세게 감지 않도록 느슨하게 감아 피가 안통하거나 가쁜 숨을 쉬는 등의 압박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상처부위에 부착된 드레싱은 대조군 및 실험군 모두 3일에 한번씩 교체하였고, 드레싱 방식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드레싱 과정에서 상처부위를 촬영하여 상처치유과정을 기록하였다.
실험 후 결과 분석을 위한 지표는 실험 상 평균이 되었던 대조군2 마우스, 및 실험군3 마우스를 지정하여 분석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의 대조군의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j)는 각각 창상 3일차, 6일차, 9일차, 12일차, 15일차, 18일차, 21일차, 24일차, 27일차, 및 30일차에 촬영한 대조군의 상처부위에 해당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은 3일차 내지 6일차부터 상피화기가 진행되었으며, 9일차에 수축기가 시작되어 27일차까지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의 실험군의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h)는 각각 창상 3일차, 6일차, 9일차, 12일차, 15일차, 18일차, 21일차, 및 24일차에 촬영한 실험군의 상처부위에 해당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군은 3일차 내지 6일차부터 상피화기가 진행되었고, 6일차부터 섬유증식기 및 수축기가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18일차에 대부분의 수축이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이 수행된 후 30일차의 대조군의 상처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이 수행된 후 24일차의 실험군의 상처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은 실험군 대비 상처부위의 치유가 미미하게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험군의 경우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 주변이 중앙으로 빠르게 모여들어 24일차에는 상처를 알아보기 힘들었으나, 대조군의 경우 도 1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일차에서도 상처부위의 치유가 완료되었다고 볼 수 없을 만큼 치유가 미미하게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의 상처 삼출물 보존 정도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험군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고 있어 보습력이 뛰어나 생체 삼출물을 마르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반면, 시중에서 판매하는 습윤 폼형 드레싱 패치는 보습력이 떨어져 상처의 삼출물을 보호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험군의 상처부위 대비 대조군의 상처부위가 말라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보습력이 우수하여 상처를 효과적을 치유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검체 창상 드레싱 실험의 대조군 및 실험군의 상처 치유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의 Control aspect는 대조군의 상처 치유 양상에 해당하고, Experimental aspect는 실험군의 상처 치유 양상에 해당한다. 또한, 도 17의 Control Quantity는 대조군의 상처 크기에 해당하고, Experimental Quantity는 실험군의 상처 크기에 해당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시중에서 판매하는 습윤 폼형 드레싱 패치에 의하여 상처의 치유가 일부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습윤 폼형 드레싱 패치에 의하여 대조군의 상처부위에 외부 오염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수준의 보습이 이루어진 결과에 해당한다. 다만, 실험군의 상처 치유 양상 대비 대조군의 상처 치유는 현저히 느리게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군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의하여 상처의 치유가 효과적으로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보습력이 향상되어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한 결과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보습력, 산소전달력 및 밀착력이 우수하여 상처치료, 및 피부재생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피부반응 안정성 실험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피부반응 안전성을 테스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참여자 6명에 대하여 첩포시험을 실시하여,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피부자극지수를 평가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참여자 6명의 피부에 각각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첩포하고 24시간 후에 48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이 때, 피부에 나타나는 홍반, 부종, 발진 등의 발생 및 지속여부를 관찰하여 피부자극성 여부를 판정하였다. 판정은 국제 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반응 안전성 실험을 수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 내지 (f)는 각각 이氏(여성), 박氏(여성), 최氏(여성), 유氏(남성), 박氏(남성), 및 지氏(남)의 피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첩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때, 참여자들의 원활한 일상생활을 위하여, 도 1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밴드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드레싱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참여자의 피부에 염증반응, 부어오름,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피부 자극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산소전달력 실험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산소전달력을 테스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산소투과도시험기(Oxygen Transmission Rate Tester)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산소투과도시험기는 플라스틱 필름, PET병, 봉지, 종이컵 등의 식품 포장재 및 반도체 Display 등에 사용되어지는 산소가스가 투과되는 정도를 측정 및 분석하는 장비에 해당한다.
상기 산소투과도시험기는 식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식품의 보관수명 및 반도체 Display 소재의 수명을 판단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종 인자를 제공하여 포장된 식품의 보관조건, 및 유효기간 등을 예측하고 반도체 Display 소재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연구개발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산소투과도시험기 OX-TRAN Model 2/61 MOCON(USA)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환경
시험방법: ASTM D 3985
시험온도: 23 ± 2℃
시험횟수: 5회
시험시간: 30분/1회
시험압력: 760mmHg
투과면적: 50cm2
본 실험은 5개의 시료를 준비하여 진행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험환경에서 수행된 산소전달성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시료명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1 산소투과도 cc/(m2·day·atm) ASTM D3985 33.250
2 산소투과도 cc/(m2·day·atm) ASTM D3985 33.170
3 산소투과도 cc/(m2·day·atm) ASTM D3985 34.420
4 산소투과도 cc/(m2·day·atm) ASTM D3985 35.050
5 산소투과도 cc/(m2·day·atm) ASTM D3985 34.210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산소투과도는 33.250 내지 35.050 cc/(m2·day·at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산소전달력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중금속 및 유해물질 검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대한 중금속 및 유해물질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출 기준은 하기 표 2와 같다.
항목 결과
pB 검출 한도 20ppm 이하
비소 검출 한도 10ppm 이하
수은 검출 한도 1ppm 이하
1,4-디옥산 검출 한도 불검출
포름알데하이드 검출 한도 불검출
상기 표 2를 기준으로 중금속 및 유해물질을 측정한 결과,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모두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중금속 및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패널 관능 평가
본 평가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사용감에 대한 설문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실험환경
실내온도: 20℃
실내습도: 50%
실험시간: 2시간
본 실험은 상기와 같은 실험환경에서, 앞서 수행한 피부반응 안정성 실험에 참여한 실험 참여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편리성, 향, 흡수력, 끈적임, 피부자극, 사용후느낌, 피부밀착성, 및 보습력에 대해 10점 만점을 척도로 평가하였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관능 평가를 수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a) 내지 (f)는 각각 이氏(여성), 박氏(여성), 최氏(여성), 유氏(남성), 박氏(남성), 및 지氏(남)의 안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착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패널 관능 평가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항목 편리성 흡수력 끈적임 피부자극 사용후느낌 피부밀착성 보습력
점수 30 48 54 30 0 48 48 60
평균값 5 8 9 5 0 8 8 10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보습력, 및 피부자극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흡수력, 향, 사용후느낌, 및 피부밀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일반적인 팩보다 다소 두껍고 무거웠다, 일반적인 팩은 30분 정도면 수분이 모두 말라버리는 반면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2시간이 경과하여도 수분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팩을 하고 난 후에도 다음날 아침까지도 촉촉한 느낌이 지속되는, 지속적인 보습효과가 있다, 어떠한 자극이나 불편함이 없었다, 아로마틱한 향이 좋다는 의견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사용감이 대체로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노화/소실성 피부 재생능 실험
본 평가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에 대한 피부 재생능을 테스트하고자 하였다.
상기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는 노화나 흉터에 의하여 피부가 함몰되거나 상한 피부부위에 해당한다. 상기 피부부위는 진피치밀도가 낮아지고 각질층의 수분소실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험에서는 진피치밀도평가, 보습개선평가, 및 각질개선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피부부위의 피부 재생능을 평가하였다. 이 때, 전술한 패널 관능 평가를 수행했던 참여자들 중에서, 비교적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가지고 있는 50대 여성 1명, 60대 여성 1명, 및 50대 남성 1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환경
실내온도: 20℃
실내습도: 50%
실험시간: 2시간
본 실험은 상기와 같은 실험환경으로 연일 28회, 즉 4주 간 수행되었다.
진피치밀도 평가결과
진피치밀도 평가는 진피치밀도가 개선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해상도의 초음파를 영상화하는 장치인 DUB-Skin Scanner(tpm taberna pro medicum, Germany)를 사용하였다. 시험부위는 실험 참여자의 왼쪽 눈 아래 부위이며, 시험부위에 초음파 검사용 젤을 바르고 DUB-Skin Scanner의 probe를 피부와 직각이 되도록 한 후에,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상기 시험부위를 동일한 낮은 압으로 눌러 진피치밀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진피치밀도가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전,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에 상기 시험부위의 진피치밀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참여자의 시험부위의 진피치밀도를 측정한 값의 평균값은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사용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평균 (density) 20.81 23.27 25.05
개선률(%) 0 11.0 20.0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든 참여자의 시험부위의 진피치밀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전 대비, 사용 2주 후에는 11% 개선되었고, 사용 4주 후에는 20%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능 실험의 진피치밀도의 평가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a)는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전의 시험부위의 측정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부위는 검은 부분이 많이 측정되었으며, 이는 진피치밀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특히, 원형으로 표시된 부분은 검은 부분의 비율이 많은 것으로 보아 함몰 소실부가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b) 및 도 20(c)는 각각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의 시험부위의 측정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b) 및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부위의 진피치밀도가 점차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원형으로 표시된 부분은 도 20(a) 대비 검은 부분이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함몰 소실부가 리프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능 실험의 보습개선평가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각각 각각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전,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의 시험부위의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a) 대비 도 21(c)에 도시된 시험부위의 주름이 비교적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진피치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영양물질이 피부 세포에 효과적으로 침투이행되어 진피부를 리프팅하여 주름을 개선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보습개선 평가결과
보습개선 평가는 Epsilon E100 (Biox Systems Ltd., UK)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Epsilon E100은 센서에 접촉된 피부 표면의 수분을 Epsilon 값으로 산정하며, 이를 Epsilon E100 Software Installer V2를 이용하여 피부수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때,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보습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전,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에 상기 시험부위의 피부수분을 측정하였다. 모든 참여자의 시험부위의 진피치밀도를 측정한 값의 평균값은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사용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평균 (Epsilon) 18.60 21.80 23.20
개선률(%) 0 17.2 24.7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든 참여자의 시험부위의 피부수분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전 대비, 사용 2주 후에는 17.2% 개선되었고, 사용 4주 후에는 24.7%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능 실험의 각질개선평가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각각 각각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전,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의 시험부위를 200배 확대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a) 대비 도 22(c)에 도시된 시험부위의 각질이 다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각질층의 수분소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피부의 보습 및 각질을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습력, 및 산소전달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에 적합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천연 바이오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무해한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습윤실리카겔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노화피부 및 소실성피부를 포함하는 부위로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유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카겔이 습윤겔의 형태로 제조됨에 따라,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보습력이 향상된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습윤실리카겔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하여 습윤실리카겔의 수화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곡면으로 구성된 피부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로부터 수득됨으로써, 상처를 치유하거나 피부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이 실리카하이드로겔에 첨가됨에 따라,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 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100: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 S110: 묽은염산제조단계
S120: 습윤실리카겔제조단계 S130: 습윤실리카겔세척단계
S140: 습윤실리카겔가공단계
S200: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 S210: 난각막분리단계
S220: 난각막분말가공단계 S230: 난각막용액제조단계
S240: 수용성난각막단백질수득단계
S300: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 S310: 게분말준비단계
S320: 키틴수득단계 S330: 키토산수득단계
S340: 수용성고분자키토산수득단계
S400: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 S410: 실리카하이드로겔수득단계
S420: 실리카하이드로겔가공단계
S500: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

Claims (10)

  1.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으로서,
    물유리,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혼합하여 습윤겔 형태를 갖는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는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고, 상기 난각막을 분말화하고 겔화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를 갖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제조하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
    게의 외피로부터 키토산분말을 수득하고, 상기 키토산분말을 겔화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를 갖는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제조하는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
    상기 습윤실리카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에 UV를 조사하여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 를 통해 제조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40 내지 60g의 습윤실리카겔, 90 내지 100g의 수용성난각막단백질, 40 내지 60g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 40 내지 60g의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5 내지 15g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은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상부면에 해당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타면은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하부면에 해당하여 피부에 직접 접착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는,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포함하는 묽은염산을 제조하는 묽은염산제조단계;
    상기 묽은염산, 및 물유리를 포함하는 습윤상태의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는 습윤실리카겔제조단계;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세척하여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습윤실리카겔세척단계; 및
    세척된 상기 습윤실리카겔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습윤실리카겔가공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는,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난각막분리단계;
    상기 난각막을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난각막분말을 수득하는 난각막분말가공단계;
    상기 난각막분말, 및 약산용액을 포함하는 제1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혼합액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난각막용액을 제조하는 난각막용액제조단계; 및
    상기 약산용액을 제거하여 상기 난각막용액으로부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수득하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수득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는,
    게의 외피를 세척 및 분쇄하여 게분말을 수득하는 게분말준비단계;
    무기질, 단백질, 및 색소를 제거하여 상기 게분말로부터 키틴을 수득하는 키틴수득단계;
    상기 키틴을 탈아세틸화하고 탈수하여 키토산분말을 수득하는 키토산수득단계; 및
    상기 키토산분말, 및 산성용액을 포함하는 제2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혼합액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수득하는 수용성고분자키토산수득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는,
    습윤실리카겔,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 및 수화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수득단계;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냉각 및 가공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가공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에서는,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섬유지지체의 상면, 및 하면에 도포하여 냉각시켜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고,
    상기 섬유지지체는 부직포, 메쉬, 및 한지부직포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셀룰로오스분말은 기설정된 비율로 혼합된 편백, 및 올방개를 나노 사이즈로 균질화하여 수득된 분말에 해당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0.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으로서,
    물유리, 정제수, 및 의료용염산을 혼합하여 습윤겔 형태를 갖는 습윤실리카겔을 제조하는 습윤실리카겔준비단계;
    계란으로부터 난각막을 분리하고, 상기 난각막을 분말화하고 겔화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를 갖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을 제조하는 수용성난각막단백질준비단계;
    게의 외피로부터 키토산분말을 수득하고, 상기 키토산분말을 겔화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를 갖는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제조하는 수용성고분자키토산준비단계;
    상기 습윤실리카겔, 상기 수용성난각막단백질, 상기 수용성고분자키토산,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실리카하이드로겔을 수득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을 마스크팩 형태로 가공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제조단계; 및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의 일면에 UV를 조사하여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수득하는 실리카하이드로겔마스크팩제조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하이드로겔은 40 내지 60g의 습윤실리카겔, 90 내지 100g의 수용성난각막단백질, 40 내지 60g의 수용성고분자키토산, 40 내지 60g의 나노셀룰로오스분말, 및 5 내지 15g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210030271A 2021-03-08 2021-03-08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71A KR102312313B1 (ko) 2021-03-08 2021-03-08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71A KR102312313B1 (ko) 2021-03-08 2021-03-08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313B1 true KR102312313B1 (ko) 2021-10-12

Family

ID=7807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271A KR102312313B1 (ko) 2021-03-08 2021-03-08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524B1 (ko) 2023-03-14 2024-01-09 주식회사 티센바이오팜 난각 및 난각막을 분리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151A (ko) * 2013-04-08 2014-10-17 주식회사 우리나노 상처 치유용 하이드로 겔의 제조방법
KR101921612B1 (ko) * 2018-06-08 2018-1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151A (ko) * 2013-04-08 2014-10-17 주식회사 우리나노 상처 치유용 하이드로 겔의 제조방법
KR101921612B1 (ko) * 2018-06-08 2018-1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시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C, vol. 103, 109815, 2019.5.28. 공개*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524B1 (ko) 2023-03-14 2024-01-09 주식회사 티센바이오팜 난각 및 난각막을 분리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spar-Pintiliescu et al. Natural composite dressings based on collagen, gelatin and plant bioactive compounds for wound healing: A review
CN108014366B (zh) 一种海洋生物材料复合水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Moraes et al. Bacterial cellulose/collagen hydrogel for wound healing
KR100676937B1 (ko)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10421777B2 (en) Process for extraction of fish collagen and formulations of 3D matrices of collagen for biomedical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of
US7799352B2 (en) Therapeutic hydrogel for atopic dermatiti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1249274B (zh) 促进伤口愈合的白芨多糖水凝胶的制备及其应用
KR101582660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CN103520764A (zh) 功能性敷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678656B1 (ko)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JP6716841B2 (ja) 止血材
CN111481735A (zh) 一种医用抗菌护创水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KR102246788B1 (ko)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용 실리카 하이드로겔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6005A (ko) 단일 또는 이종의 피부활성성분의 공급제어 기능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312313B1 (ko)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실리카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Gokarneshan Application of natural polymers and herbal extracts in wound management
KR100542875B1 (ko) 상처치료용 드레싱 또는 팩제로 이용할 수 있는 수화겔드레싱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891615B (zh) 一种液体创口贴及其制备方法
CN105727360A (zh) 用于手术皮肤切口、感染性和非感染性创面的生物材料及其应用
JP2005095331A (ja) 魚皮真皮コラーゲンを含有する発泡体シートおよびその用途
RU2370270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KR20210027627A (ko)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
CN112023110B (zh) 一类基于竹荪蛋提取物的活性抑菌敷料
Imran et al. Tualang honey hydrogel in the treatment of split-skin graft donor sites
KR102596069B1 (ko) 진피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