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956B1 -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956B1
KR102311956B1 KR1020170085535A KR20170085535A KR102311956B1 KR 102311956 B1 KR102311956 B1 KR 102311956B1 KR 1020170085535 A KR1020170085535 A KR 1020170085535A KR 20170085535 A KR20170085535 A KR 20170085535A KR 102311956 B1 KR102311956 B1 KR 10231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outlet
air
pip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138A (ko
Inventor
도시미츠 나가사카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2Disposition of air supply not passing throug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2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2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4Balanced-flue arrangements, i.e. devices which combine air inlet to combustion unit with smok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과제) 외장 케이스(1)의 상면에, 배기 덕트(4)에 연통하며 배기관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배기 접속구(5)와, 배기관이 내부에 수납된 2중관 방식의 급기관이 접속 가능하며 배기 접속구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제 1 급기 접속구(6)와, 배기관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2본관 방식의 급기관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제 2 급기 접속구(7)가 형성된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로서, 제 1과 제 2의 어느 급기 접속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동일한 급기 필터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저비용의 것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6, 7)에 연통하는 급기 박스(8)를 형성한다. 급기 박스(8)의 저판(81)의 1개소에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6, 7) 중 임의의 급기 접속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장 케이스(1)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82)를 형성하고, 이 유출구(82)에 급기 필터(83)를 장착한다.

Description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INDOOR INSTALLATION TYPE COMBUS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외장 케이스 내에 버너와, 버너에서 분출되는 혼합기의 연소 공간을 둘러싸는 연소 하우징과, 연소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연소배기가스가 흐르는 배기 덕트가 수납된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로서, 외장 케이스 내로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관으로서, 배기관이 내부에 수납된 2중관 방식의 급기관과, 배기관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2본관 방식의 급기관의 양자를 사용 가능하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종류의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에서는 외장 케이스의 상면에, 배기 덕트에 연통하며 배기관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배기 접속구와, 2중관 방식의 급기관이 접속 가능하며 배기 접속구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제 1 급기 접속구와, 2본관 방식의 급기관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제 2 급기 접속구를 형성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이것에 있어서, 출하 단계에서는 제 1과 제 2의 각 급기 접속구를 각 덮개 부재로 폐색하여 두고, 2중관 방식의 급기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 1 급기 접속구에 이것을 폐색하는 덮개 부재를 떼어낸 상태에서 급기관을 접속하고, 또 2본관 방식의 급기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 2 급기 접속구에 이것을 폐색하는 덮개 부재를 떼어낸 상태에서 급기관을 접속하고 있다.
그런데, 급기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는 이물질이 포함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이 이물질이 외장 케이스 내로 침입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제 1과 제 2의 각 급기 접속구의 외장 케이스 내에 연통하는 출구부에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급기 필터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서는 제 1 급기 접속구용과 제 2 급기 접속구용의 2종류의 급기 필터가 필요하게 되므로 코스트 업을 초래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15-183887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제 1과 제 2의 어느 급기 접속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동일한 급기 필터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장 케이스 내에, 버너와, 버너에서 분출되는 혼합기의 연소 공간을 둘러싸는 연소 하우징과, 연소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연소배기가스가 흐르는 배기 덕트가 수납된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로서, 외장 케이스의 상면에, 배기 덕트에 연통하며 배기관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배기 접속구와, 배기관이 내부에 수납된 2중관 방식의 급기관이 접속 가능하며 배기 접속구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제 1 급기 접속구와, 배기관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2본관 방식의 급기관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제 2 급기 접속구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에 연통하는 급기 박스가 형성되고, 급기 박스의 저판의 1개소에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 중 임의의 급기 접속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장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에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착하는 급기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과 제 2의 어느 급기 접속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급기 박스의 유출구에 장착한 동일한 급기 필터에 의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착함으로써, 청정한 공기를 외장 케이스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급기 접속구용과 제 2 급기 접속구용의 2종류의 급기 필터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급기 박스의 일부는 외장 케이스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외장 케이스의 일부가 급기 박스의 일부 구성부재를 겸용하게 되므로, 경량화와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과 제 2의 어느 급기 접속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외장 케이스 내에 대한 공기의 공급 개소는 급기 박스의 유출구가 되며, 그곳에서부터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부딪치는 위치에 동작 중에 발열하는 부품(발열부품)을 배치하여 두면, 제 1과 제 2의 어느 급기 접속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발열 부품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어 유리하다.
그런데, 외장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커버로 구성된다. 이 경우, 급기 필터는 유출구에 급기 박스의 전방에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장 케이스의 전면 커버에 급기 필터의 전단에 대향하여 급기 필터를 빠짐 방지하는 필터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급기 필터를 고정하는 나사 등의 고정구가 필요 없게 되므로, 급기 필터의 착탈 작업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급기관으로 침입한 빗물이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 중 급기관이 접속되는 급기 접속구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이 빗물이 유출구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출구는 급기 박스의 저판의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의 직하 위치로부터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급기 박스의 저판을 유출구 측이 높게 되도록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적어도 일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급기관이 접속되는 급기 접속구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이 저판을 타고서 유출구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 또한, 급기 박스의 저판에,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의 직하 위치 중 유출구에 인접하는 급기 접속구의 직하 위치와 유출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저판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 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조를 형성하면, 유출구로의 빗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연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의 연소장치의 요부 절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으로 절단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요부 절단 측면도.
도 5는 급기 박스의 박스 본체와 급기 필터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기를 하향으로 분출하는 버너(2)와, 버너(2)에서 분출되는 혼합기의 연소 공간을 둘러싸는 버너(2) 하측의 연소 하우징(3)과, 연소 하우징(3)에서 배출되는 연소배기가스가 흐르는 배기 덕트(4)가 외장 케이스(1)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1)는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본체(11)와, 케이스 본체(1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 커버(12)로 구성되어 있다.
버너(2)는 하향으로 개구되는 상자형의 버너 보디(21)와, 버너 보디(21)의 하향의 개구면을 덮는 연소판(22)을 구비하고 있다. 버너 보디(21)의 상부에는 팬(23)을 접속하는 유입구(21a)가 형성되어 있다. 팬(23)은 후술하는 급기관에서 외장 케이스(1) 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 가스를 혼합하여 혼합기를 생성하는 예(豫)혼합기(24)의 하류 측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예혼합기(24)로부터의 혼합기를 팬(23)을 통해서 버너 보디(21) 내로 공급하고, 이 혼합기를 연소판(22)에 형성한 혼합기 분출부(22a)에서 하향으로 분출시켜서 전(全)1차 연소(2차 공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연소)하도록 하고 있다.
연소 하우징(3)은, 상단부가 버너 보디(21)의 하면 주연부에 체결되며, 상하 양면이 개방된 상부 하우징(31)과; 상부 하우징(31)의 하단에 체결되는 편평한 접시형상의 중간 하우징(32)과; 중간 하우징(32)의 저판부에 체결되는 상판부를 가지며, 상하 양면이 폐색된 하부 하우징(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하우징(32)의 저판부 및 하부 하우징(33)의 상판부의 전방 부분에는 중간 하우징(32)의 내부 공간과 하부 하우징(33)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통기구(3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부 하우징(33)의 후면에는 배기구(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배기가스가 상부 하우징(31) 내에서 중간 하우징(32)과 통기구(34)와 하부 하우징(33)과 배기구(35)를 통해서 배기 덕트(4)로 흐르도록 하고 있다.
상부 하우징(31) 내에는 다수의 흡열핀(36a)과 이들 흡열핀(36a)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흡열 파이프(36b)로 이루어지는 핀 앤드 튜브형의 메인 열교환기(36)가 배치되어 있다. 또, 하부 하우징(23) 내에는 전후방향으로 사행(蛇行)하여 연장되는 상하 복수개의 흡열 파이프(37a)로 이루어지는 잠열 회수형의 서브 열교환기(3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물이 서브 열교환기(37)에 의해서 가열된 후, 메인 열교환기(36)에 의해서 더 가열됨으로써, 설정 온도의 온수가 되어 급탕 단말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외장 케이스(1)의 상면에는, 도 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며, 옥외로 연장되는 배기관(도시생략)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배기 접속구(5)와; 배기관이 내부에 수납된 2중관 방식의 급기관(도시생략)이 접속 가능하며, 배기 접속구(5)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제 1 급기 접속구(6);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좌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위치하며, 배기관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2본관 방식의 급기관(도시생략)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제 2 급기 접속구(7)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 접속구(5)는 배기 덕트(4)의 상단의 전방으로의 굴곡부(41)의 상면에 세워지게 형성한 연결통(42)에 그 하단부를 끼워 맞춘 상태로 배기 덕트(4)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굴곡부(41)에는 연결통(42) 내에 위치하며 배기 접속구(5)에 임하는 배기 유출구(43)를 형성하여, 배기 접속구(5)가 배기 유출구(43)를 통해서 배기 덕트(4)에 연통되도록 하고 있다. 또, 제 1과 제 2의 각 급기 접속구(6, 7)에는 이것을 폐색하는 각 덮개 부재(61, 7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급기관으로서 2중관 방식의 급기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 1 급기 접속구(6)에 덮개 부재(61)를 떼어낸 상태에서 2중관 방식의 급기관을 접속하고, 또 급기관으로서 2본관 방식의 급기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 2 급기 접속구(7)에 덮개 부재(71)를 떼어낸 상태에서 2본관 방식의 급기관을 접속한다.
그런데, 급기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는 이물질이 포함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이 이물질이 외장 케이스(1) 내로 침입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제 1과 제 2의 각 급기 접속구(6, 7)의 외장 케이스(1) 내에 연통하는 출구부에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급기 필터를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에서는 제 1 급기 접속구(6)용과 제 2 급기 접속구(7)용의 2 종류의 급기 필터가 필요하게 되므로 코스트 업을 초래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케이스(1)의 상면을 따라서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6, 7)에 연통하는 급기 박스(8)를 형성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박스(8)의 1개소, 구체적으로는 급기 박스(8)의 저판(81)의 우측 전방 부분에는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6, 7) 중 임의의 급기 접속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장 케이스(1)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8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출구(82)에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착하는 급기 필터(83)를 장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과 제 2의 어느 급기 접속구(6, 7)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급기 박스(8)의 유출구(82)에 장착한 동일한 급기 필터(83)에 의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착함으로써, 청정한 공기를 외장 케이스(1)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급기 접속구(6)용과 제 2 급기 접속구(7)용의 2종류의 급기 필터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과 제 2의 어느 급기 접속구(6, 7)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외장 케이스(1) 내에 대한 공기의 공급 개소는 급기 박스(8)의 유출구(82)가 되며, 그곳에서부터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출구(82)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부딪치는 위치, 즉 유출구(82)의 직하 위치에 동작 중에 발열하는 부품인 팬(23)의 모터(23a)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과 제 2의 어느 급기 접속구(6, 7)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발열 부품인 팬(23)의 모터(23a)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급기 박스(8)의 저판(81)의 유출구(82)를 형성한 우측 전방 부분은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6, 7)의 직하 위치로부터 벗어난 부분이다. 따라서, 급기관으로 침입한 빗물이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6, 7) 중 급기관이 접속되는 급기 접속구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이 빗물이 유출구(82)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급기 박스(8)의 저판(81)은 유출구(82) 측이 높게 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경사, 즉 전방 오르막으로 경사지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급기관이 접속되는 급기 접속구로부터 떨어진 빗물이 저판(81)을 타고서 유출구(82)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박스(8)의 저판(81)에는,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6, 7)의 직하 위치 중 유출구(82)에 인접하는 급기 접속구인 제 1 급기 접속구(6)의 직하 위치와 유출구(82)의 사이에 위치하며, 저판(81)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84)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급기 접속구(6)로부터 떨어진 빗물이 유출구(82) 측으로 향하더라도, 이 빗물은 오목홈(84)을 타고서 하측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유출구(82)로의 빗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기 박스(8)의 저판(81)을 유출구(82) 측이 높게 되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 즉 우측 오르막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혹은 전방 오르막 또한 우측 오르막이 되도록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요점은 급기 박스(8)의 저판(81)을 유출구(82) 측이 높게 되도록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적어도 일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좋다. 또한, 급기 박스(8)의 저판(81)에는 오목홈(84) 대신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조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판(81)의 제 1 급기 접속구(6)의 직하 위치와 제 2 급기 접속구(7)의 직하 위치와의 사이의 부분 및 제 2 급기 접속구(7)의 직하 위치의 좌측에도 오목홈(84')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들 오목홈(84')은 생략하여도 좋다. 또, 저판(81)의 후부에는 배기 덕트(4)의 상단의 굴곡부(41)의 후부 상면의 돌기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상측으로 오목한 도피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판(81)과 전판부와 좌우 측판부를 가지는 박스 본체(8a)를 케이스 본체(11)의 상판부와 후판부에 의해서 상방 및 후방을 덮음으로써 급기 박스(8)를 구성하고 있다. 즉, 케이스 본체(11)의 상판부와 후판부가 급기 박스(8)의 상판부와 후판부의 구성 부재를 겸용하게 된다. 따라서, 경량화와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1)의 상판부의 하면에는 패킹(11a)가 장착되어 있다. 또, 배기 덕트(4)의 상단의 굴곡부(41)의 전단에는 급기 박스(8)의 전판부에 체결되는 고정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급기 필터(83)는 유출구(82)에 급기 박스(8)의 전방에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출구(82)의 좌우의 각 측연부에 급기 필터(83)의 좌우의 각 측연부의 하면을 받치는 지지부(82a)를 형성하고, 이 지지부(82a)에 의해서 급기 필터(83)가 전후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 외장 케이스(1)의 전면 커버(12)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필터(83)의 전단에 대향하여 급기 필터(83)를 빠짐 방지하는 필터 누름부(12a)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급기 필터(83)를 고정하는 나사 등의 고정구가 필요 없게 되므로, 급기 필터(83)의 착탈 작업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혼합기(24)에서 팬(23)을 통해서 공급되는 혼합기를 버너(2)에서 분출시켜서 전1차 연소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2차 공기를 필요로 하는 분젠 연소식의 버너를 이용하는 연소장치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박스(8)의 저판(81)에 유출구(82)를 형성하고 있으나, 급기 박스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면, 급기 박스의 좌우 일측의 측판에 유출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외장 케이스 12 : 전면 커버
12a : 필터 누름부 2 : 버너
3 : 연소 하우징 4 : 배기 덕트
5 : 배기 접속구 6 : 제 1 급기 접속구
7 : 제 2 급기 접속구 8 : 급기 박스
81 : 저판 82 : 유출구
83 : 급기 필터 84 : 오목홈

Claims (7)

  1. 외장 케이스 내에, 버너와, 버너에서 분출되는 혼합기의 연소 공간을 둘러싸는 연소 하우징과, 연소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연소배기가스가 흐르는 배기 덕트가 수납된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로서,
    외장 케이스의 상면에, 배기 덕트에 연통하며 배기관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배기 접속구와, 배기관이 내부에 수납된 2중관 방식의 급기관이 접속 가능하며 배기 접속구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제 1 급기 접속구와, 배기관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2본관 방식의 급기관이 접속 가능한 통형상의 제 2 급기 접속구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에 연통하는 급기 박스가 형성되고,
    급기 박스의 저판의 1개소에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 중 임의의 급기 접속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장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에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착하는 급기 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급기 박스의 일부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부딪치는 위치에, 동작 중에 발열하는 부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로서,
    상기 외장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커버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급기 필터는 상기 유출구에 상기 급기 박스의 전방에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장 케이스의 전면 커버에 급기 필터의 전단에 대향하여 급기 필터를 빠짐 방지하는 필터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급기 박스의 저판의 상기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의 직하 위치로부터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급기 박스의 저판은 상기 유출구 측이 높게 되도록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적어도 일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기 박스의 저판에, 상기 제 1과 제 2의 양 급기 접속구의 직하 위치 중 상기 유출구에 인접하는 급기 접속구의 직하 위치와 유출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저판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 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KR1020170085535A 2016-07-05 2017-07-05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KR102311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3025A JP6730112B2 (ja) 2016-07-05 2016-07-05 屋内設置型燃焼装置
JPJP-P-2016-133025 2016-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138A KR20180005138A (ko) 2018-01-15
KR102311956B1 true KR102311956B1 (ko) 2021-10-12

Family

ID=5926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535A KR102311956B1 (ko) 2016-07-05 2017-07-05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93376B2 (ko)
EP (1) EP3267106B1 (ko)
JP (1) JP6730112B2 (ko)
KR (1) KR102311956B1 (ko)
CN (1) CN107576066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8306A1 (en) * 2005-10-27 2007-05-17 Rinnai Corpor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US20090314275A1 (en) * 2008-06-18 2009-12-24 Rinnai Corporation Warm air furnace
JP2015183910A (ja) * 2014-03-24 2015-10-22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0710A (en) * 1967-12-14 1970-11-17 Tokyo Gas Co Ltd Gas annealing furnace
US3601116A (en) * 1970-02-06 1971-08-24 Coleman Co Mobile home furnace with air circulator outlet means
US3974784A (en) * 1975-04-17 1976-08-17 Anti-Pollution Systems, Inc. Solid-liquid waste incinerator utilizing liquid catalysts
JPH0113247Y2 (ko) * 1984-08-28 1989-04-18
US5697330A (en) * 1995-04-04 1997-12-16 Rheem Manufacturing Company Power-vented, direct-vent water heater
JPH1114037A (ja) * 1997-06-24 199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燃焼装置
JP3286904B2 (ja) * 1997-06-24 2002-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屋外燃焼機器
JPH11182837A (ja) * 1997-12-24 1999-07-06 Gastar Corp 給気フィルタおよびそれが取り付けられた燃焼装置
JP5993890B2 (ja) 2014-03-20 2016-09-14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および燃焼装置の据え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8306A1 (en) * 2005-10-27 2007-05-17 Rinnai Corpor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US20090314275A1 (en) * 2008-06-18 2009-12-24 Rinnai Corporation Warm air furnace
JP2015183910A (ja) * 2014-03-24 2015-10-22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3376B2 (en) 2019-08-27
EP3267106A2 (en) 2018-01-10
CN107576066B (zh) 2020-09-01
US20180010793A1 (en) 2018-01-11
JP2018004186A (ja) 2018-01-11
JP6730112B2 (ja) 2020-07-29
CN107576066A (zh) 2018-01-12
KR20180005138A (ko) 2018-01-15
EP3267106A3 (en) 2018-01-24
EP3267106B1 (en)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981B1 (ko) 연소장치
AU2018200043B2 (en) Reverse combustion type combustion apparatus
KR102580551B1 (ko) 급탕기
KR102413305B1 (ko) 강제 급기식 연소장치
US10746397B1 (en) Combustion apparatus
JP2018109485A (ja) 逆燃焼式燃焼装置
KR102505658B1 (ko) 급탕기
KR102311956B1 (ko) 옥내 설치형 연소장치
JP6841619B2 (ja) 燃焼装置
CN107421122B (zh) 排气管道
JP5513352B2 (ja) 燃焼装置
JP6534811B2 (ja) 燃焼装置
JP6841673B2 (ja) 排気ダクト
JP5457577B1 (ja) 排熱ボイラユニット及び排熱ボイラ
JP6910064B2 (ja) 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給湯装置
JP6750948B2 (ja) 燃焼装置
JP6164460B2 (ja) 温水装置
JP6616105B2 (ja) 給湯用熱源機
JP2018112348A (ja) 温水装置
JP4716011B2 (ja) 温水機器
JP4762859B2 (ja) ガス器具
JP2023019517A (ja) 給湯器
JP2018179315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16133246A (ja) 燃焼装置
JP2006002950A (ja) 空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