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923B1 - 스프링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스프링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923B1
KR102311923B1 KR1020140152204A KR20140152204A KR102311923B1 KR 102311923 B1 KR102311923 B1 KR 102311923B1 KR 1020140152204 A KR1020140152204 A KR 1020140152204A KR 20140152204 A KR20140152204 A KR 20140152204A KR 102311923 B1 KR102311923 B1 KR 10231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ok
inclined portion
coupling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213A (ko
Inventor
서태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9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는 정면부와 측면부를 구비하는 결합부 및 로드를 이동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를 구비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후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은 입구부위에서 안착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입구부위에 위치시,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홀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따라 상기 안착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링 장착 구조{Spring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스프링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에서 스프링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착홀을 구비한 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 글로브 박스는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내부에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1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에서 스프링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글로브 박스(1)는 내부의 로드(2)를 이용하여 수납함이 닫힘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글로브 박스(1)의 닫힘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외력(f)이 필요하며, 외력(f)를 제거했을 때 기존의 위치로 돌아가야 다시 닫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로드(2)의 원상복귀를 위해 글로브박스(1) 내측에 마련된 고정부(3)와 로드(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부(5) 사이에 스프링(4)이 연결된다.
고정부(3)의 본체(3a)에 형성되는 고정홀(3b)에 스프링(4)을 연결해야 하는데, 고정홀(3b)의 크기가 작아 조립이 곤란하며, 가조립 상태의 납품으로 인하여 작동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고정홀의 길이방향을 증대하려 하였으나, 주변공간 협소 및 남는 살이 없어 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도 4와 같이 본체의 모서리부분에 고정홀을 구비하여 이를 개선하려 하였으나, 조립성이 향상되더라도 외부 충격 및 작동내구 반복 등의 특이한 경우 스프링이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품질 및 작동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 장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조립불량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스프링 이탈로 인한 품질문제나 성능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 장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스프링 장착 구조는, 정면부와 측면부를 구비하는 결합부; 로드를 이동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를 구비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에는 상기 후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은 입구부위에서 안착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입구부위에 위치시,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홀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따라 상기 안착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홀은 상기 측면부의 일 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턱의 높이는 후크의 직경의 1/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부는 경사각이 9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부는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제1 경사부보다 경사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에 의하면, 스프링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불량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에서 스프링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에서 개선된 스프링의 장착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에서 개선된 스프링의 장착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에서 스프링과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에서 스프링과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위치하는 글로브 박스(미도시) 내부의 스프링 장착 구조(100)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100)는 결합홀(30)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스프링(84)과 후크(82)를 구비하는 탄성체(8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글로브 박스(미도시) 내부에 구비되며, 정면부(20)와 측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에는 글로브 박스(미도시)를 닫는 경우 로드(미도시)의 원상회복을 위해 스프링(84)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에는 스프링(84)이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30)이 형성된다.
결합홀(30)은 정면부(20)의 일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30)은 입구부위에서 안착부(60)를 향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30)은 측면부(10)의 일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결합홀(30)의 단부에는 후크(82)가 고정되는 안착부(60)를 가진다. 안착부(60)는 후크(82)가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안착부(6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일실시예로, 결합홀(30)은 제1 정면부(20a)와 제2 정면부(20b)가 결합홀(30)의 외측벽을 형성하며, 결합홀(30)은 입구부위에서 안착부(60)로 갈수록 제1 정면부(20a)와 제2 정면부(20b)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구부위란 스프링(84)과 결합시 후크(82)가 위치하는 곳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프링(84)과 결합시 후크(82)가 위치하는 곳에 따라 입구부위는 변할 수 있다.
결합홀(30)의 입구부위를 넓게 형성하는 것은 후크(82)와 결합부의 결합시 구멍이 좁아 조립시 시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정면부(20a)는 결합홀(30)을 형성하는 정면부(20)의 상부면을 의미하며, 제2 정면부(20b)는 결합홀(30)을 형성하는 정면부(20)의 하부면을 의미한다. 제1 정면부(20a)와 제2 정면부(20b)는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구분한 것이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면부(20a)는 결합홀(3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형상에 제한이 없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2 정면부(20b)는 결합홀(30)을 형성하는 면이 기준선(90)을 기준으로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은 후크(82) 부분이 입구부위에 위치될 때, 스프링(84)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84)이 압축되고, 스프링(84)의 압축력에 따라 후크(82)부분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안착부(60)에 위치하기 위함이다.
경사부는 제1 경사부(40)와 제2 경사부(50)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경사부(50)는 제1 경사부(40)보다 기준선(90)을 기준으로 측정한 경사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50)의 경사각(h)이 제1 경사부(40)의 경사각(g)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은, 후크(82)가 제1 경사부(40)를 이동시 경사각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2 경사부(50)를 이동시 제1 경사부(40)보다 큰 경사각에 의해 이동속도가 줄어들면서 안착부(6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로, 경사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부는 포물선으로 형성되며, 기준선을 기준으로 한 접선의 경사각이 안착부(60)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70)은 경사부가 끝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안착부(60)에 안착되는 후크(8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걸림턱(70)은 제2 정면부(2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턱(70)의 높이는 후크(8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82)의 직경의 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7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후크(8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정면부(20a)와 제2 정면부(20b)에 의해서 형성되는 걸림홀은 일정 간격(f)를 유지하다가 제1 경사부(40)를 따라 걸림홀의 폭이 좁아지며, 제2 경사부(50)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홀의 각도가 변경되면서 폭이 좁아진다.
탄성체(80)의 후크(82)가 입구부위에 위치시, 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부를 따라 안착부(60)로 이동하게 된다. 안착부(60)로 이동한 후에는 걸림턱(7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 구조에 의하면, 스프링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불량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측면부
20 : 정면부 20a : 제1 정면부
20b : 제2 정면부
30 : 결합홀
40 : 제1 경사부
50 : 제2 경사부
60 : 안착부
70 : 걸림턱
80 : 탄성체 82 : 후크
84 : 스프링
90 : 기준선
100 : 스프링 장착 구조

Claims (8)

  1. 정면부와 측면부를 구비하는 결합부;
    로드를 이동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를 구비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에는 상기 후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은 입구부위에서 안착부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입구부위에 위치시,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홀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따라 상기 안착부로 이동하고,
    상기 정면부의 제1 정면부 및 제2 정면부가 상기 결합홀의 외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는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제1 경사부보다 경사각이 크며,
    상기 결합홀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다가 상기 제1 경사부를 따라 폭이 좁아지고, 상기 제2 경사부를 따라 각도가 변경되면서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착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측면부의 일 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착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착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높이는 후크의 직경의 1/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착 구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은 경사각이 9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착 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52204A 2014-11-04 2014-11-04 스프링 장착 구조 KR102311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204A KR102311923B1 (ko) 2014-11-04 2014-11-04 스프링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204A KR102311923B1 (ko) 2014-11-04 2014-11-04 스프링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13A KR20160052213A (ko) 2016-05-12
KR102311923B1 true KR102311923B1 (ko) 2021-10-12

Family

ID=5602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204A KR102311923B1 (ko) 2014-11-04 2014-11-04 스프링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9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72Y1 (ko) * 2005-08-17 2005-11-15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661B1 (ko) * 2009-06-15 2016-0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KR20110000863A (ko) * 2009-06-29 2011-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72Y1 (ko) * 2005-08-17 2005-11-15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13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814B2 (en) Charger bracket for reducing impact load
EP2927126B1 (en) Divider element for an aircraft cabin
JP6423859B2 (ja) 自動車の一時閉鎖装置のための保護接続器
US9662964B1 (en) Car door protector
US10287813B2 (en) Bump stop for vehicle hood
US20140215769A1 (en) Connecting device of door trim and pull handle for vehicle
KR102311923B1 (ko) 스프링 장착 구조
US10829021B2 (en) Impact-resilient mounted table device
US10444692B2 (en) Assembling apparatus and multicomponent structure using the same
JP5620360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US9745152B2 (en) Impact buffer
KR101340434B1 (ko)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JP5600663B2 (ja) コンソールドア
US20140110203A1 (en) Structure of case
US9057212B2 (en) Lock arrangement for a convertible top of a cabriolet
US9796570B2 (en) Lift arrangement of a lift truck with mast damping devices and lift truck
WO2017018962A2 (en) A cabin lock mechanism
US20140298614A1 (en) Device for slowing and blocking one vehicle element relative to another
JP6548444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7023163B2 (ja) トノボード
US20190052017A1 (en) Movable connector
CN204586554U (zh) 后排座椅座垫卡套,相应的后排座椅及汽车
KR200474809Y1 (ko) 슬라이딩도어의 후크 브라켓 구조
US20160153680A1 (en) Spring fixing structure
KR102119649B1 (ko) 차량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