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12B1 -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12B1
KR102309612B1 KR1020210011569A KR20210011569A KR102309612B1 KR 102309612 B1 KR102309612 B1 KR 102309612B1 KR 1020210011569 A KR1020210011569 A KR 1020210011569A KR 20210011569 A KR20210011569 A KR 20210011569A KR 102309612 B1 KR102309612 B1 KR 102309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garbage
effluent
inlet
clea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철
Original Assignee
(주)삼중나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중나비스 filed Critical (주)삼중나비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04B1/340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 소각장에서 쓰레기저장조의 터파기 공사에 대한 굴착공사 및 토목공사를 종래만큼 매우 깊은 깊이로 진행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건설비용이 절감되고 공사기간도 단축되도록 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쓰레기수거차량이 수거한 쓰레기를 쓰레기투입구측으로 투입되어 쓰레기를 집하하는 쓰레기저장조; 상기 쓰레기저장조에 집하된 쓰레기를 들어올리는 크레인장치; 상기 크레인장치로부터 들려진 쓰레기를 투입구로 입력받고, 투입된 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로; 상기 소각로와 연결되어 상기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상부일부에 가열수 수용구가 구비되어 가열수 수용구에서 증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폐열보일러; 상기 소각로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각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소각용 공기공급기; 지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측의 높이까지 배치되고, 상기 쓰레기수거차량이 상기 쓰레기투입구로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정차하는 장소로 이용되는 반입층; 상기 반입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입층을 지지하는 반입층 기둥부; 지면에서 상기 반입층의 일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쓰레기수거차량이 상기 반입층으로 진입하는 길목으로 이용되는 입구측경사로; 상기 입구측경사로를 지지하는 입구측 기둥부; 지면에서 상기 반입층의 타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입구측경사로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쓰레기수거차량이 상기 반입층의 쓰레기투입구로 쓰레기를 투입한 이후에 출차하는 길목으로 이용되는 출구측경사로; 및, 상기 출구측경사로를 지지하는 출구측 기둥부; 상기 입구측경사로와 상기 출구측경사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구측경사로와 상기 출구측경사로에서 유입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출수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도록 경사로를 형성하는 유출수 받이대; 상기 유출수 받이대의 하부과 지면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유출수 받이대를 지지하는 받이대 기둥부; 지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수 받이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수 받이대의 경사로를 통해 흐르는 유출수를 공급받는 유출수 보관부; 일단이 상기 유출수 보관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보관부에 저장된 유출수를 공급받는 유출수 배관부; 상기 유출수 배관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출수를 청소수로 여과하는 유출수 재여과기; 및,상기 유출수 재여과기와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재여과기에 의해 여과된 청소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청소수 저장탱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ODOR BLOCKING SYSTEM FOR GARBAGE INCINERATOR}
본 발명은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소각장 내에 소각을 위해 저장된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쓰레기 반입장측에서 실외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쓰레기 소각장은 주로 스토커형 소각로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소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쓰레기 소각장의 구조를 살펴보면, 종래 쓰레기 소각장의 저장조는 쓰레기를 충분히 저장하기 위하여 행정구역별로 배출되는 양의 몇일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종래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조는 쓰레기 소각장 건설시에 쓰레기저장조를 확보하기 위하여 저장조가 형성될 위치에 굴착공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저장조는 지표면으로부터 10m정도의 깊이로 굴착이 진행된다.
이에 대한 종래 특허문헌1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2521호(2014. 11. 11)에서는 폐기물 또는 고형연료를 소각하여 발생된 배기가스에서 유해가스를 흡수하고, 수분 함유 미립자를 갖는 함진가스를 배출하는 습식 스크러버; 상기 습식 스크러버의 후단쪽에 위치하고,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배출가스에서 분진을 집진하는 후단연소로; 및 상기 습식 스크러버와 상기 후단연소로의 사이에 결합되고, 함진가스에 포함된 수분 함유 미립자를 관성충돌과 다공판 충돌로 제거하여 상기 후단연소로 쪽으로 수분이 제거된 상기 배기가스를 제공하는 다공판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폐기물 및 고형 연료 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1의 도면 1을 참조하여 보면, 특허문헌1의 도면 1에서는 쓰레기저장조에 해당하는 폐기물 공급부(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0)가 개시되어 있으며, 폐기물 공급부(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0)는 행정구역별로 배출되는 매우 많은 양의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서, 지표면의 아래로 굴착공사 및 토목공사를 진행하게 되며, 그에 따라 10m정도의 매우 깊은 깊이의 폐기물 공급부(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0)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많은 양의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폐기물 공급부(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0)의 깊이 뿐만 아니라, 폭을 넓히는 설계 방식을 채택할 수 도 있지만, 스토카 방식 소각장치는 그 규격이 대부분 정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크레인과 같은 주변시설도 폭을 넓히는등의 설계변경을 채택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 쓰레기 소각장은 쓰레기 소각장의 폭을 충분히 넓히지 못하기 때문에, 지표면 아래로 굴착하는 방식만을 채택할 수 밖에 없어 매우 높은 굴착공사 비용이 소요된다.
특히, 종래 쓰레기 저장조는 지표면 아래로 10m 정도의 굴착공사를 진행하려면, 굴착공사 진행시에 벽의 토사가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토목공사를 진행해야 하므로, 건설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쓰레기 저장조는 지표면 아래로 10m 정도의 굴착공사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 쓰레기저장조를 포함한 공간의 전체 체적도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소각로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는 쓰레기저장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소각로에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쓰레기저장조의 상부 공간은 매우 큰 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쓰레기저장조가 거의 개구되어 있는 상태와 같이 부압이 매우 약한 상태이므로 쓰레기저장조의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쓰레기투입구측으로 새어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쓰레기저장조에 위치한 쓰레기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소각시설로 이동시키는 작업은 크레인조정실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에 대한 종래 특허문헌2를 살펴보면, 특허문헌2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1344호에서는 화학폐기물 소각에서의 다이옥신,퓨란 등의 유해물질 제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2의 도면 1에서는 크레인조정실에서 크레인을 조정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크레인조정실은 이미 기설계된 스토커 소각시설의 투입구로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높이가 쓰레기투입구보다 높은 위치로 배치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몇 분마다 쓰레기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스토카 소각 장치의 화격자 쓰레기 투입통로로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 쓰레기저장조는 지표면 아래의 매운 깊은 깊이로 굴착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인 조정실의 높은 위치에서 쓰레기저장조를 바라보면, 고소공포증이 없는 사람도 아찔한 감정을 느낄 정도이기 때문에, 몇 분마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투입해야 하는 작업자는 불안감이 가중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 쓰레기 소각장의 경우 공사 완료 이후에 쓰레기저장조의 쓰레기 수용 용량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더욱 깊은 깊이로 쓰레기저장조의 하부를 굴착해야 하는데, 이는 이론상으로는 가능하나, 쓰레기 소각장의 가동을 중지해야 하며, 매우 깊은 깊이에서 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너무나 많은 공사비용이 소요되고, 공사 작업도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문헌 3인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64728호(2000. 02. 15 공고)에서는 폐기물 반입장을 2층 높이로 설치하고 차량이 2층 높이의 램프웨이를 통해 쓰레기를 반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 벙커의 깊이 감소에 의해 쓰레기 크레인의 권양양정을 감소시켜 경제성 측면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문헌 3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저장조의 깊이가 너무 깊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쓰레기저장조의 깊이를 너무 깊은 깊이로 굴착하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경제성을 확보하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폐기물 반입장을 2층 높이로 설치하는 방식은 2층 높이의 소각로 입구까지 쓰레기를 운반하기 위하여 쓰레기 수거 차량이 2층의 쓰레기 투입구까지 반입로를 통해 진입하여 쓰레기를 운반하게 되며, 쓰레기 투입 이후에 2층에서 반출로를 통해 진출하게 된다.
이 경우, 쓰레기 수거 차량은 경사진 반입로를 통해 진입하기 때문에, 수거한 쓰레기도 쓰레거 수거 차량의 후방으로 밀려진 상태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쓰레기 수거차량의 쓰레기 저장 공간 내부에 침출수가 잔존하게 되는 경우, 쓰레기 수거차량의 후방으로 침출수가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쓰레기 수거 차량의 후방으로 배출된 침출수는 경사진 반입로 상에 흐르게 되어 경사진 반입로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그에 따라, 반입로의 상부면에 침출수가 흐르게 되면, 청소 작업을 통해 반입로를 청소하는 작업을 진행해야만 하며, 이때, 살수작업등으로 반입로를 청소하게 되면, 경사진 반입로에서 외부로 쓰레기의 침출수가 흐르는 문제점을 유발하기 때문에, 청소 작업 진행시 살수작업 대신에 마대등을 이용한 작업만으로 청소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청소 작업 효율이 매우 저조한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2층 높이에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어 경사진 반입로가 형성되는 쓰레기 소각장은 청소 작업시에 살수 작업을 진행하여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되, 살수 작업에 이용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나아가, 쓰레기 수거 차량이 진입하는 반입로는 덤프 트럭과 같은 고중량의 차량이 진입하기 때문에, 고중량을 버틸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특성상 노후화가 진행시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게 되면, 반입로에 흐른 침출수가 스며들게 되어 청소 작업만으로 침술수를 제거할 수 없게 되므로, 반입로에서 지속적인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입로에 형성된 미세한 크랙에 침출수가 유입되었을 경우, 냄새제거를 위하여 화학 약품을 이용하는 방안이 있으나, 이와 같이 화학 약품을 이용하는 방식은 청소 비용을 증가시킬 뿐더러, 화학 약품으로 인한 환경 오염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2층 높이에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어 경사진 반입로가 형성되는 쓰레기 소각장은 반입로에 미세한 크랙이 형성되어 침출수가 스며드는 경우에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고도 미세한 크랙에 스며든 침출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되, 침출수 제거시 침출수가 반입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9245호(2009.12.0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11231호(2004.12.31 공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64728호(2000. 02. 15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 소각장에서 쓰레기저장조의 터파기 공사에 대한 굴착공사 및 토목공사를 종래와 같이 매우 깊은 깊이로 진행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건설비용이 절감되고 공사기간도 단축되도록 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 소각장에서 쓰레기저장조를 건설하는 경우, 쓰레기저장조 바닥에서 크레인조정실까지의 높이가 종래보다 적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낮아질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 소각장의 가동을 중지하지 않고도 쓰레기저장조의 저장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저장조의 상부 공간 체적을 종래보다 매우 적은 체적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소각용 공기공급기의 흡기시 쓰레기저장조에 공간에 걸리는 부압이 종래보다 높은 부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저장조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쓰레기저장조의 악취가 소각용 공기공급기에 의해 용이하게 흡기되도록 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2층 높이에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어 경사진 반입로가 형성되는 쓰레기 소각장을 청소 작업시에 살수 작업을 진행하여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되, 살수 작업에 이용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2층 높이에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어 경사진 반입로가 형성되는 쓰레기 소각장에서 반입로에 미세한 크랙이 형성되어 침출수가 스며드는 경우에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고 살수작업만으로 미세한 크랙에 스며든 침출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되, 살수 작업시에 배출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쓰레기수거차량(1g)이 수거한 쓰레기를 쓰레기투입구(1a)측으로 투입되어 쓰레기를 집하하는 쓰레기저장조(1); 상기 쓰레기저장조(1)에 집하된 쓰레기를 들어올리는 크레인장치(2); 상기 크레인장치(2)로부터 들려진 쓰레기를 투입구로 입력받고, 투입된 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로(3); 상기 소각로(3)와 연결되어 상기 소각로(3)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상부일부에 가열수 수용구가 구비되어 가열수 수용구에서 증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폐열보일러(4); 상기 소각로(3)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각로(3)로 공기를 공급하는 소각용 공기공급기(5); 지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의 높이까지 배치되고, 상기 쓰레기수거차량(1g)이 상기 쓰레기투입구(1a)로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정차하는 장소로 이용되는 반입층(6); 상기 반입층(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입층(6)을 지지하는 반입층 기둥부(7); 지면에서 상기 반입층(6)의 일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쓰레기수거차량(1g)이 상기 반입층(6)으로 진입하는 길목으로 이용되는 입구측경사로(8); 상기 입구측경사로(8)를 지지하는 입구측 기둥부(9); 지면에서 상기 반입층(6)의 타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입구측경사로(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쓰레기수거차량(1g)이 상기 반입층(6)의 쓰레기투입구(1a)로 쓰레기를 투입한 이후에 출차하는 길목으로 이용되는 출구측경사로(10); 상기 출구측경사로(10)를 지지하는 출구측 기둥부(11); 상기 입구측경사로(8)와 상기 출구측경사로(10)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구측경사로(8)와 상기 출구측경사로(10)에서 유입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출수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도록 경사로를 형성하는 유출수 받이대(30);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부과 지면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유출수 받이대(30)를 지지하는 받이대 기둥부(31); 지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의 경사로를 통해 흐르는 유출수를 공급받는 유출수 보관부(32); 일단이 상기 유출수 보관부(32)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보관부(32)에 저장된 유출수를 공급받는 유출수 배관부(33); 상기 유출수 배관부(33)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배관부(33)로부터 공급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출수를 청소수로 여과하는 유출수 재여과기(34); 및, 상기 유출수 재여과기(34)와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재여과기(34)에 의해 여과된 청소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청소수 저장탱크(35); 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상기 반입층(6)의 상부 외곽영역 가운데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과 상기 입구측경사로(8) 및 상기 출구측경사로(10)를 제외한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입층외벽(12); 상기 반입층(6)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공간을 밀폐하는 반입층지붕(13); 상기 반입층외벽(12)과 상기 반입층지붕(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입층지붕(13)을 지지하는 반입층 창호기둥(14); 상기 반입층외벽(12)과 상기 반입층지붕(13) 및 상기 반입층 창호기둥(14)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반입층창호(15); 상기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 외곽영역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입구측경사로 외벽(16); 상기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를 밀폐하는 입구측경사로 지붕(17); 상기 입구측경사로 외벽(16)과 상기 입구측경사로 지붕(17)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측경사로 외벽(16)을 지지하는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 상기 입구측경사로 외벽(16)과 상기 입구측경사로 지붕(17) 및 상기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입구측경사로(8)의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입구측경사로 창호(19); 상기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 외곽영역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출구측경사로 외벽(20); 상기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출구측경사로 지붕(21); 상기 출구측경사로 외벽(20)과 상기 출구측경사로 지붕(2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출구측경사로 외벽(20)을 지지하는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 및, 상기 출구측경사로 외벽(20)과 상기 출구측경사로 지붕(21) 및 상기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출구측경사로(10)의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측경사로 창호(2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상기 청소수 저장탱크(35)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수 저장탱크(35)에 저장된 청소수를 펌핑하는 청소수 공급펌프(36); 상기 청소수 공급펌프(36)와 연결되고, 밸브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청소수 공급펌프(36)를 통해 펌핑되는 청소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반입로 청소수 공급밸브(37); 상기 청소수 공급밸브(37)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수 공급밸브(37)를 통해 유출되는 청소수를 공급하는 청소수 호스(38); 및, 상기 청소수 호스(38)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수 호수에서 공급되는 청소수를 압축시켜 분사하는 청소수 노즐부(39);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출수 보관부(32)는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유출수 유입홀(32a1)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수 유입홀(32a1)의 하부에 유출수 배출홀(32a2)이 형성되되 상기 유출수 배출홀(32a2)에 상기 유출수 배관부(33)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유출수 보관통체(32a); 상기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개구된 상방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프레임이 교차하는 격차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유출수가 통과되도록 하되 쓰레기 수거 차량의 바퀴가 상기 유출수 보관통체(32a)에 인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유출수 덮개(32b); 및, 상기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유출수 유입홀(32a1)과 상기 유출수 배관부(33) 사이에서 돌출되며,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에서 배출되는 유출수를 상기 유출수 유입홀(32a1)을 통해 상기 유출수 보관부(32)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출수 안내벽체(32c);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쓰레기저장조를 건설시 지면에서 상부공간으로 쌓아올린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쓰레기저장조의 건설을 위하여 쓰레기저장조가 위치한 곳의 지면에 대해 터파기 공사와 굴착공사 및 토목공사를 종래와 같이 매우 깊은 깊이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쓰레기소작장의 건설비용이 절감되고 공사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과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 소각장에서 쓰레기저장조를 건설하는 경우, 지면을 매우 깊은 깊이로 파내는 공사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쓰레기저장조 바닥에서 크레인조정실까지의 높이가 종래보다 적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쓰레기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크레인으로 쓰레기를 들어올리는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종래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저장조의 상부 공간 체적을 종래보다 매우 적은 체적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쓰레기저장조에 공간에 걸리는 부압이 종래보다 높은 부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저장조의 악취가 소각용 공기공급기에 의해 용이하게 흡기되기 때문에 쓰레기저장조의 쓰레기투입구측에 설치되는 쓰레기저장조 투입측 개폐도어가 개구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쓰레기저장조의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투입구를 밀폐할 필요없이 반입층의 상부공간에 다른 층을 준설하면 되기 때문에, 쓰레기 소각장의 가동을 중지하지 않고도 쓰레기저장조의 저장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를 발생시키되 온도가 실외보다 높은 쓰레기배출구의 높이를 2층으로 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높이를 1층으로 함으로써, 쓰레기배출구에서 악취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창문을 열어 환기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층 높이에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어 경사진 반입로가 형성되는 쓰레기 소각장을 청소 작업시에 살수 작업을 진행하여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되, 살수 작업에 이용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사용되는 청소수를 이용하여 청소하기 때문에, 반입로에 미세한 크랙이 형성되어 침출수가 스며드는 경우에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고 살수작업만으로 미세한 크랙에 스며든 침출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되, 살수 작업시에 배출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의 부분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방향을 절개하여 바라 본 상태의 부분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방향을 절개하여 바라 본 상태의 부분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C방향을 절개하여 바라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D방향을 절개하여 바라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의 변형예에 대한 부분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의 반입로 부근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출수 받이대 및 유출수 보관부가 서로 간에 인접하는 부위를 사시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E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F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G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의 비교예에 대한 부분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방향을 절개하여 바라 본 상태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방향을 절개하여 바라 본 상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C방향을 절개하여 바라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D방향을 절개하여 바라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의 변형예에 대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의 반입로 부근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출수 받이대 및 유출수 보관부가 서로 간에 인접하는 부위를 사시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E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F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G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쓰레기저장조(1), 크레인장치(2), 소각로(3), 폐열보일러(4), 소각용 공기공급기(5), 반입층(6), 반입층 기둥부(7), 입구측경사로(8), 입구측 기둥부(9), 출구측경사로(10) 및, 출구측 기둥부(11)를 포함한다.
쓰레기저장조(1)는 쓰레기수거차량(1g)이 수거한 쓰레기를 쓰레기투입구(1a)측으로 투입되어 쓰레기를 집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쓰레기저장조(1)는 콘트리트로 타설되어 옹벽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시에 형성된다. 여기서, 쓰레기저장조(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영역에 개구되되 쓰레기투입구(1a)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영역의 옹벽 일부가 연장되어 후술하는 소각로투입구(3a)에 맞닿게 된다.
크레인장치(2)는 쓰레기저장조(1)에 집하된 쓰레기를 들어올리게 되며, 구체적으로, 쓰레기저장조(1)의 상부에 설치되어 평면상에서 이동하는 오버헤드크레인(2a), 오버헤드크레인(2a)에서 줄형태로 내려오는 크레인와이어(2b), 크레인와이어(2b)와 연결되어 쓰레기를 집어 올리는 너클크레인(2c), 오버헤드크레인(2a) 및 너클크레인(2c)와 연동하여 오버헤드크레인(2a) 및, 너클크레인(2c)을 원격조정하는 크레인제어기(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크레인장치(2)는 크레인조정실(2e)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크레인제어기(2d)를 조작하여 쓰레기저장조(1)에 집적된 쓰레기를 너클크레인(2c)으로 집어 크레인와이어를 감아 들어올린 후 오버헤드 크레인(2a)의 이동에 의해 후술하는 소각로 투입구로 쓰레기를 투입하게 된다.
소각로(3)는 크레인장치(2)로부터 들려진 쓰레기를 소각로투입구(3a)로 입력받고, 투입된 쓰레기를 소각하게 되는데, 소각시 화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소각로투입구(3a)에서 화격자까지 쓰레기를 가득채운 상태로 운용된다. 이와 같은 소각로(3)는 화격자를 이용한 스토커식 소각로로써, 크레인장치(2)로부터 들려진 쓰레기를 소각로투입구(3a)로 지속적으로 입력받고, 투입된 쓰레기를 소각함으로써, 쓰레기의 소각에 의한 연소가스로 후술하는 폐열보일러(4)를 가열하게 된다. 한편, 소각로(3)는 쓰레기의 소각시에 발생되는 재를 수거할 수 있도록 소각로(3)의 하부 일단에 재를 수거하는 설비(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폐열보일러(4)는 소각로(3)와 연결되어 소각로(3)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상부 일부에 가열수 수용구가 구비되어 가열수 수용구에서 증기를 배출하도록 하게 된다.
소각용 공기공급기(5)는 소각로(3)의 하부에 연결되어 소각로(3)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각용 공기공급기(5)는 쓰레기저장조(1)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쓰레기저장조(1)의 내부공기를 흡기하여 소각로(3)에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소각용 공기공급기(5)는 쓰레기저장조(1)의 상부공간에 부압을 실외보다 높은 부압으로 형성함으로서, 쓰레기저장조(1)에 수용된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소각로(3)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때문에, 악취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반입층(6)은 지면에서 이격되어 쓰레기투입구(1a)측의 하부 높이까지 배치되고, 쓰레기수거차량(1g)이 쓰레기투입구(1a)로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정차하는 장소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반입층(6)은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 형성된다. 여기서, 반입층(6)은 쓰레기투입구(1a)측과 맞닿도록 쓰레기저장조(1)의 상부 일부 옹벽과 연결되며, 쓰레기저장조(1)와 연결되는 영역의 일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쓰레기 투입시 쓰레기가 경사면을 통해 쓰레기저장조(1)에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반입층(6)에는 쓰레기투입구(1a)측으로 방지턱이 형성되어 쓰레기수거차량(1g)이 쓰레기저장조(1)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입층(6)은 지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쓰레기수거차량(1g)이 일정 높이에서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면을 매우 깊게 굴착하는 굴착공사 및 토목공사를 시행하지 않고도 쓰레기저장조(1)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반입층 기둥부(7)는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 형성되며, 지면에서 반입층(6)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반입층(6)을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반입층 기둥부(7)가 위치한 반입층(6)과 지면 사이의 공간에는 파쇄기와 같은 고형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는 장치나 쓰레기 선별장치등이 배치되어 빈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입구측경사로(8)는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 형성되고, 지면에서 반입층(6)의 일측까지 연장되며, 쓰레기수거차량(1g)이 반입층(6)으로 진입하는 길목으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입구측경사로(8)는 지면을 수직하게 바라보는 경우, 굴곡이 형성되도록 하여 쓰레기수거차량(1g)의 진입경로가 차지하는 면적이 쓰레기소각장의 폭을 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구측 기둥부(9)는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 형성되고, 입구측경사로(8)를 지지하여 입구측경사로(8)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출구측경사로(10)는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 형성되고, 지면에서 반입층(6)의 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출구측경사로(10)는 입구측경사로(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쓰레기수거차량(1g)이 반입층(6)으로 쓰레기를 투입한 이후에 출차하는 길목으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출구측경사로(10)는 지면을 수직하게 바라보는 경우, 굴곡이 형성되도록 하여 쓰레기수거차량(1g)의 진출경로가 차지하는 면적이 쓰레기소각장의 폭을 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구측 기둥부(11)는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 형성되고, 출구측경사로(10)를 지지하여 출구측경사로(10)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쓰레기저장조(1)를 건설시 지면에서 상부공간으로 쌓아올린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쓰레기저장조(1)의 건설을 위하여 쓰레기저장조(1)가 위치한 곳의 지면에 대해 터파기 공사와 굴착공사 및 토목공사를 비교예인 도 12와 같이 매우 깊은 깊이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쓰레기소작장의 건설비용이 절감되고 공사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비교예에 따른 쓰레기소각장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저장조(1)가 지면을 굴착공사하여 터파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크레인조정실(2e)에서 쓰레기저장조(1) 바닥 까지의 높이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보다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크레인조정실(2e)에서 크레인을 조정하는 작업자는 작업시 고속작업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등에 의해 높은 피로도를 보이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쓰레기 소각장에서 쓰레기저장조(1)를 건설하는 경우, 지면을 매우 깊은 깊이로 파내는 공사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쓰레기저장조(1) 바닥에서 크레인조정실(2e)까지의 높이가 비교예보다 적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쓰레기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크레인으로 쓰레기를 들어올리는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비교예보다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비교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소각로투입구(3a)까지의 경로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보다 매우 긴 경로로 형성되어 쓰레기저장조(1)의 상부공간 체적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저장조(1)의 상부공간 체적보다 매우 큰 체적을 형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12의 쓰레기저장조(1)에서는 소각용 공기공급기(5)에 의해 쓰레기저장조(1)에 부압을 형성하여도 부압이 크게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악취가 유출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비교예에 따른 도 12의 쓰레기 소각장은 쓰레기저장조(1)의 악취가 쓰레기투입구(1a)측으로 새어나오게 되고, 이를 위하여 개폐도어(미도시)를 설치하긴 하나, 개폐도어는 틈이 존재할 수 밖에 없고 쓰레기 투입시에 개구시켜 놓아야 하기 때문에, 쓰레기저장조(1)에서 새어나오는 악취를 원척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쓰레기투입구(1a)측이 반입층(6)의 높은 위치에 있어 소각로투입구(3a)까지의 경로가 비교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보다 매우 짧아 쓰레기저장조(1)의 상부 공간 체적을 도 12의 비교예보다 매우 적은 체적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소각용 공기공급기(5)의 흡기시 쓰레기저장조(1)에 공간에 걸리는 부압이 종래보다 높은 부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저장조(1)의 악취가 소각용 공기공급기에 의해 용이하게 흡기되기 때문에 쓰레기저장조(1)의 쓰레기투입구측(1a)에 설치되는 쓰레기저장조 투입측 개폐도어가 개구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쓰레기저장조(1)의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예에 쓰레기 소각장은 쓰레기저장조(1)의 저장용량을 증설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 경우, 지면을 다시 깊이파고 옹벽을 다시세우는 건설 공사나 쓰레기투입구(1a)가 높은 위치로 배치되도록 하는 공사를 수행해야 하며, 이때, 쓰레기투입구(1a)는 필수적으로 차단될 수 밖에 없어 쓰레기수거차량(1g)이 쓰레기를 투입하기 어려워 쓰레기 소각장의 가동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쓰레기투입구(1a)를 밀폐할 필요없이 반입층(6)의 상부공간에 다른 층을 준설하면 되기 때문에, 쓰레기 소각장의 가동을 중지하지 않고도 쓰레기저장조(1)의 저장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반입층외벽(12), 반입층지붕(13), 반입층 창호기둥(14), 반입층창호(15), 입구측경사로 외벽(16), 입구측경사로 지붕(17),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 입구측경사로 창호(19), 출구측경사로 외벽(20), 출구측경사로 지붕(21),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 및, 출구측경사로 창호(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입층외벽(12)은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써, 반입층(6)의 상부 외곽영역 가운데 쓰레기투입구(1a)측과 입구측경사로(8) 및 출구측경사로(10)를 제외한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다.
반입층지붕(13)은 반입층(6)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이 경우, 반입층지붕(13)은 조립식패널이나 아크릴지붕과 같은 구조물로 형성된다.
반입층 창호기둥(14)은 반입층외벽(12)과 반입층지붕(13) 사이에 배치되어 반입층지붕(13)을 지지하게 된다.
반입층창호(15)는 반입층외벽(12)과 반입층지붕(13) 및 반입층 창호기둥(14)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입구측경사로 외벽(16)은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써,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 외곽영역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입구측경사로 지붕(17)은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 경우, 입구측경사로 지붕(17)은 조립식패널이나 아크릴지붕과 같은 구조물로 형성된다.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은 입구측경사로 외벽(16)과 입구측경사로 지붕(17) 사이에 배치되어 입구측경사로 외벽(16)을 지지하게 된다.
입구측경사로 창호(19)는 입구측경사로 외벽(16)과 입구측경사로 지붕(17) 및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입구측경사로(8)의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출구측경사로 외벽(20)은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이나 조립식 구조물로써,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 외곽영역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출구측경사로 지붕(21)은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 경우, 출구측경사로 지붕(21)은 조립식패널이나 아크릴지붕과 같은 구조물로 형성된다.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은 출구측경사로 외벽(20)과 출구측경사로 지붕(21) 사이에 배치되어 출구측경사로 외벽(20)을 지지하게 된다.
출구측경사로 창호(23)는 출구측경사로 외벽(20)과 출구측경사로 지붕(21) 및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출구측경사로(10)의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반입층외벽(12), 반입층지붕(13), 반입층 창호기둥(14), 반입층창호(15), 입구측경사로 외벽(16), 입구측경사로 지붕(17),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 입구측경사로 창호(19), 출구측경사로 외벽(20), 출구측경사로 지붕(21),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 및, 출구측경사로 창호(23)는 쓰레기투입구(1a)에서 미세하게 새어나오는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반입층(6)과, 입구측경사로(8) 및, 출구측경사로(10)를 밀폐하게 되며, 측면과 상부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이로 인해, 쓰레기배출구로 유입되는 공기는 쓰레기수거차량(1g)이 입출입하는 입구측경사로(8)의 입구와 출구측경사로(10)의 출구로 유입된다. 이 경우, 입구측경사로(8)의 입구의 높이와 출구측경사로(10)의 출구 높이는 1층 높이이고, 쓰레기배출구의 높이는 2층 높이이다. 여기서, 쓰레기배출구의 온도는 소각로(3)의 영향으로 인해 외기보다 높아 악취를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악취가 1층 높이의 입구측경사로(8) 입구와 출구측경사로(10) 출구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반입층창호(15)와 입구측경사로 창호(19) 및 출구측경사로 창호(23)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입층(6)과 입구측경사로(8) 및 출구측경사로(10)를 청소시 환기용도나 화재상황등에 인명대피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악취를 발생시키되 온도가 실외보다 높은 쓰레기배출구의 높이를 2층으로 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높이를 1층으로 함으로써, 쓰레기배출구에서 악취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창문을 열어 환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반입층외벽(12), 반입층지붕(13), 반입층 창호기둥(14), 반입층창호(15), 입구측경사로 외벽(16), 입구측경사로 지붕(17),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 입구측경사로 창호(19), 출구측경사로 외벽(20), 출구측경사로 지붕(21),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 및, 출구측경사로 창호(23)는 우천시에 빗물등이 반입로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반입로에 유출된 침출수가 빗물에 의해 다른 작업장등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 및, 개폐제어부(26)를 더 포함한다.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는 입구측경사로(8) 및 반입층(6)이 만나는 경계면에 설치되며, 개구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개구되고 폐쇄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폐쇄된다. 이와 같은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는 입력신호에 따라 내부 모터의 구동하여 셔터를 롤링시킴으로써, 셔터가 내려오도록 하거나 올라가도록 하여 경계면을 개구 및 페쇄시키게 된다.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는 출구측경사로(10) 및 상기 반입층(6)이 만나는 경계면에 설치되며, 개구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개구되고 폐쇄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는 입력신호에 따라 내부 모터의 구동하여 셔터를 롤링시킴으로써, 셔터가 내려오도록 하거나 올라가도록 하여 경계면을 개구 및 페쇄시키게 된다.
개폐제어부(26)는 쓰레기수거차량(1g)들의 쓰레기 수거완료에 의해 쓰레기수거차량(1g)의 진입시 개구신호를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에 전송하여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가 개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개폐제어부(26)는 쓰레기수거차량(1g)들의 쓰레기 투입완료에 의해 쓰레기수거차량(1g)의 출차시 폐쇄신호를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에 전송하여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개폐제어부(26)는 수동으로 소각장 관리자가 제어하거나 프로그램 설정등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수동 또는 자동 작업시 쓰레기 소각장의 관제실에 설치되는 중앙제어기와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 및, 개폐제어부(26)는 개폐제어부(26)의 제어신호에 의해 입구측경사로(8)와 반입층(6) 사이의 경계면과 출구측경사로(10)와 반입층(6) 사이의 경계면을 차단하기 때문에, 여름과 같이 실외온도가 높아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는 상황에서도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게 되므로, 쓰레기수거차량(1g)이 진입하는 경우에만 진입로를 개구시키고, 야간과 같이 쓰레기수거차량(1g)이 운용되지 않은 시간대에서 주변 시설로 악취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투입구측 개폐도어(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입구측 개폐도어(27)는 반입층(6)의 상부에 설치되되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반입층(6)이 위치한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쓰레기투입구(1a)측과 반입층(6) 사이에 설치되며, 개구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개구되고 폐쇄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투입구측 개폐도어(27)는 두 개의 여닫이 자동문이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 투입구측 개폐도어(27)의 예를 상기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투입구측 개폐도어(27)는 쓰레기수거차량(1g)이 쓰레기투입구(1a)를 통해 쓰레기를 투입하는 경우에만 개폐되도록 하고, 쓰레기투입구(1a)를 통해 쓰레기를 투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쓰레기투입구(1a)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쓰레기투입구(1a)를 통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작업자가 쓰레기투입구(1a)에서 낙사되는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개폐제어부(26)는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로 개구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투입구측 개폐도어(27)로도 개구신호를 전송하여 투입구측 개폐도어(27)를 개구시키고,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로 폐쇄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투입구측 개폐도어(27)로도 폐쇄신호를 전송하여 투입구측 개폐도어(27)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제어부(26)는 쓰레기수거차량(1g)의 진입시점에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를 개구시키는 제어구동을 실행시키면, 쓰레기투입구(1a)측의 투입구측 개폐도어(27)도 개구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투입구측 개폐도어(27)를 제어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쓰레기수거차량(1g)은 쓰레기투입구(1a)측으로 쓰레기를 투입하는 작업시 관리자의 조작실수나 쓰레기수거차량(1g)의 운반자에 의한 조작실수로 인해 투입구측 개폐도어(27)가 닫힌 상태에서 쓰레기수거차량(1g)의 적재함이 투입구측 개폐도어(27)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게 되며, 쓰레기수거차량(1g)들의 쓰레기 투입완료 이후에 출차하는 경우에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와 함께 투입구측 개폐도어(27)를 닫히도록 하여 야간시간대와 같은 경우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외부 비인가자가 쓰레기 소각시설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입구측경사로 에어커튼(28) 및, 출구측경사로 에어커튼(2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구측경사로 에어커튼(28)은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의 주변에 설치되며, 입구측경사로(8) 및 반입층(6)이 만나는 경계면에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출구측경사로 에어커튼(29)은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의 주변에 설치되며, 출구측경사로(10) 및 반입층(6)이 만나는 경계면에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입구측경사로 에어커튼(28) 및 출구측경사로 에어커튼(29)은 쓰레기수거차량(1g)이 입출차시에 전술한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가 구동되어 개구되면, 입구측경사로(8)와 반입층(6)의 경계면 사이와 출구측경사로(10)와 반입층(6)의 경계면 사이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24) 및,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25)가 개구된 경우에도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미세하게 흘러나오는 악취가 실외로 세어나오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2층 높이에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어 경사진 반입로가 형성되는 쓰레기 소각장을 청소 작업시에 살수 작업을 진행하여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살수 작업에 이용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반입로에 미세한 크랙(8a)이 형성되어 침출수가 스며드는 경우에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고 살수작업만으로 미세한 크랙(8a)에 스며든 침출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되, 살수 작업시에 배출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유출수 받이대(30), 받이대 기둥부(31), 유출수 보관부(32), 유출수 배관부(33), 유출수 재여과기(34), 청소수 저장탱크(35), 청소수 공급펌프(36), 청소수 공급밸브(37), 청소수 호스(38) 및, 청소수 노즐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출수 받이대(30)는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출수 받이대(30)는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와 같은 유출수 받이대(30)는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에서 유입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유출수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도록 경사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에 유출된 침출수 가운데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에 형성된 미세한 크랙(8a)을 통해 흐르는 침출수가 지면으로 흐르지 않고 유출수 받이대(30)를 통해 집적되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유출수 받이대(30)는 상방에서 하방까지 길이 방향으로의 중앙부근이 오목하게 패이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출수 받이대(30)에 유출수가 흘러들게 되는 경우 유출수가 유출수 받이대(30)의 길이방향인 아닌 측부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유출수 받이대(30)는 길이방향의 중앙 부근을 오목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U'자 형상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받이대 기둥부(31)는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부과 지면 사이를 지지하여 유출수 받이대(30)를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받이대 기둥부(3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로 유출수 받이대(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이대 기둥부(31)는 유출수 받이대(30)를 지지함으로써, 유출수 받이대(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유출수 보관부(32)는 지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유출수 받이대(30)의 경사로를 통해 흐르는 유출수를 공급받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출수 보관부(32)는 유출수 보관통체(32a), 유출수 덮개(32b) 및, 유출수 안내벽체(3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출수 보관통체(32a)는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유출수 유입홀(32a1)이 형성되며, 유출수 유입홀(32a1)의 하부에 유출수 배출홀(32a2)이 형성되되 유출수 배출홀(32a2)에 유출수 배관부(33)가 연통하도록 연결된다. 이 경우, 유출수 보관통체(32a)는 콘크리트나 수지재질의 저수조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출수 보관통체(32a)는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최하단 부근의 하부에 설치되며,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면을 흐른 침출수와 유출수 받이대(30)를 통해 흐른 침출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유출수 보관통체(32a)는 하부면이 유출수 배출홀(32a2)이 형성된 방향으로 깊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유출수 보관통체(32a)는 유출수 보관통체(32a)에 유출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경사면을 통해 유출수 배출홀(32a2)측으로 유출수가 치우칠 수 있도록 하여 유출수 보관통체(32a) 내부에 유출수가 잔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출수로 인한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유출수 배출홀(32a2)에는 격자형태의 망체가 장착되어 유출수 보관통체(32a)에 유입된 이물질을 필티링할 수 있다.
유출수 덮개(32b)는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개구된 상방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프레임이 교차하는 격차 형태로 구성되어 유출수가 통과되도록 하되 쓰레기 수거 차량의 바퀴가 유출수 보관통체(32a)에 인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유출수 덮개(32b)는 상부면이 지면과 동일한 동일한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유출수 덮개(32b)는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를 통해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쓰레기 수거 차량의 바퀴가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개구영역에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를 통해 흐른 침출수만이 유출수 보관통체(32a)로 유입되도록 하게 된다.
유출수 안내벽체(32c)는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유출수 유입홀(32a1)과 유출수 배관부(33) 사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유출수 안내벽체(32c)는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출수 받이대(30)에서 배출되는 유출수를 유출수 유입홀(32a1)을 통해 유출수 보관부(32)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출수 받이대(30)를 통해 흐른 유출수를 유출수 보관통체(32a)에 집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유출수 안내벽체(32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영역이 형성되어 유출수 받이대(30)에서 흐르는 유출수가 흘러들도록 형성되고, 측부영역이 외곽영역을 두르도록 벽체를 형성하여 유출수가 측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출수가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유출수 유입홀(32a1)측으로만 흘러들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유출수 배관부(33)는 일단이 유출수 보관부(32)의 유출수 배출홀(32a2)과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유출수 보관부(32)에 저장된 유출수를 공급받게 된다. 또한, 유출수 배관부(33)는 타단이 유출수 재여과기(34)와 연결되어 유출수 보관부(32)에 저장된 유출수가 유출수 재여과기(34)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유출수 배관부(33)는 유출수 보관부(32)과 연결되는 부위보다 유출수 재여과기(34)와 연결된 부위가 더 낮아지도록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유출수 보관부(32)에 저장된 유출수가 자연적으로 유출수 재여과기(34)측에 흘러들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유출수 배관부(3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관부속으로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도 운용될 수 있다.
유출수 재여과기(34)는 유출수 배관부(33)의 타단과 연결되어 유출수 배관부(33)로부터 공급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유출수를 청소수로 여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출수 재여과기(34)는 활성탄을 이용하여 청소수를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유출수 재여과기(34)는 유출수 배관부(33)와 연결되는 부위에 스트레이너(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유출수 배관부(33)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출수 재여과기(34)는 유출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청소용과 같은 용도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청소수 저장탱크(35)는 유출수 재여과기(34)와 연결되어 유출수 재여과기(34)에 의해 여과된 청소수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된다. 이 경우, 청소수 저장탱크(35)는 생활용수등과 같은 별도의 배관이 더 연결되어 유출수 재여과기(34)에 의해 여과된 유출수와 함께 청소수를 보충할 수 있다.
청소수 공급펌프(36)는 청소수 저장탱크(35)와 연결되어 청소수 저장탱크(35)에 저장된 청소수를 펌핑하게 된다.
청소수 공급밸브(37)는 청소수 공급펌프(36)와 연결되고, 밸브형태로 구성되어 청소수 공급펌프(36)를 통해 펌핑되는 청소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또한, 청소수 공급밸브(37)는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 공간 주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청소수 공급밸브(37)는 작업자에 의해 닫힌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 청소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고, 작업자가 청소등을 시행하고자 하여 열린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 청소수 공급펌프(36)에 의해 펌핑된 청소수를 공급하게 된다.
청소수 호스(38)는 청소수 공급밸브(37)와 연결되어 청소수 공급밸브(37)를 통해 유출되는 청소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청소수 호스(38)는 작업자가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 늘어뜨린 상태로 이용하여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전체 영역을 청소수로 청소할 수 있도록 연장하게 하게 된다.
청소수 노즐부(39)는 청소수 호스(38)와 연결되어 청소수 호수에서 공급되는 청소수를 압축시켜 분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청소수 노즐부(39)는 청소수를 강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청소수의 토출압으로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출수 받이대(30), 받이대 기둥부(31), 유출수 보관부(32), 유출수 배관부(33), 유출수 재여과기(34), 청소수 저장탱크(35), 청소수 공급펌프(36), 청소수 공급밸브(37), 청소수 호스(38) 및, 청소수 노즐부(39)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에 유출된 침출수를 청소하는 청소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쓰레기 차량이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을 통해 유출입하는 동안 쓰레기 차량에서 침출수가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경로상에 유출되면, 침출수는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면과 미세한 크랙(8a)이 형성되는 영역에 유입된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일정 주기로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청소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는 청소수 공급밸브(37)를 열게 된다.
이 경우, 청소수 공급펌프(36)는 청소수 저장탱크(35)에 저장된 청소수를 펌핑하여 청소수 공급밸브(37)를 통해 청소수 호스(38)로 공급하게 되고, 청소수 호스(38)에서 공급되는 청소수는 청소수 노즐부(39)를 통해 강한 압력으로 배출되며, 이때, 작업자는 청소수 노즐부(39)의 분사 방향을 조절해 가며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영역 전체를 이동해가며 청소수를 분사함으로써,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를 청소하게 된다.
그러면,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에서 분사된 청소수 가운데 대부분은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노면을 타고 흘러서 유출수 보관부(32)로 흘러든 상태로 유출수 보관부(32)에 수용되고,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에서 분사된 청소수 가운데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에 형성된 미세한 크랙(8a)에 침투된 청소수는 입구측경사로(8)와 출구측경사로(10)의 미세한 크랙(8a)에 침추된 침출수와 함께 유출수 받이대(30)로 흘러들게 된다.
다음, 유출수 받이대(30)로 흘러든 침출수와 청소수는 유출수 받이대(30)의 경사진 경로를 따라 유출수 보관부(32)의 유출수 안내벽체(32c)측으로 흐르게 되고, 유출수 안내벽체(32c)측으로 흘러든 유출수와 침술수는 유출수 유입홀(32a1)을 통해 유출수 보관통체(32a)에 수용된다.
다음, 유출수 보관통체(32a)에 수용된 유출수와 침출수는 유출수 배출홀(32a2)을 통해 유출수 배관부(33)으로 흘러들게 되며, 유출수 배관부(33)으로 흘러든 유출수 및 침출수는 유출수 재여과기(34)를 거쳐 여과된 후, 유출수 저장탱크에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2층 높이에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어 경사진 반입로가 형성되는 쓰레기 소각장을 청소 작업시에 살수 작업을 진행하여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되, 살수 작업에 이용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재활용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은 재사용되는 청소수를 이용하여 청소하기 때문에, 반입로에 미세한 크랙(8a)이 형성되어 침출수가 스며드는 경우에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고 살수작업만으로 미세한 크랙(8a)에 스며든 침출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되, 살수 작업시에 배출된 청소수가 반입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쓰레기저장조 1a : 쓰레기투입구
1g : 쓰레기수거차량 2 : 크레인장치
2a : 오버헤드크레인 2b : 크레인와이어
2c : 너클크레인 2d : 크레인제어기
2e : 크레인조정실 3 : 소각로
3a : 소각로투입구 4 : 폐열보일러
5 : 소각용 공기공급기 6 : 반입층
7 : 반입층 기둥부 8 : 입구측경사로
9 : 입구측 기둥부 10 : 출구측경사로
11 : 출구측 기둥부 12 : 반입층외벽
13 : 반입층지붕 14 : 반입층 창호기둥
15 : 반입층창호 16 : 입구측경사로 외벽
17 : 입구측경사로 지붕 18 :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
19 : 입구측경사로 창호 20 : 출구측경사로 외벽
21 : 출구측경사로 지붕 22 :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
23 : 출구측경사로 창호 24 : 입구측경사로 개폐셔터
25 : 출구측경사로 개폐셔터 26 : 개폐제어부
27 : 투입구측 개폐도어 28 : 입구측경사로 에어커튼
29 : 출구측경사로 에어커튼 30 : 유출수 받이대
31 : 받이대 기둥부 32 : 유출수 보관부
32a : 유출수 보관통체 32a1 : 유출수 유입홀
32a2 : 유출수 배출홀 32b : 유출수 덮개
32c : 유출수 안내벽체 33 : 유출수 배관부
34 : 유출수 재여과기 35 : 청소수 저장탱크
36 : 청소수 공급펌프 37 : 청소수 공급밸브
38 : 청소수 호스 39 : 청소수 노즐부

Claims (4)

  1. 쓰레기수거차량(1g)이 수거한 쓰레기를 쓰레기투입구(1a)측으로 투입되어 쓰레기를 집하하는 쓰레기저장조(1);
    상기 쓰레기저장조(1)에 집하된 쓰레기를 들어올리는 크레인장치(2);
    상기 크레인장치(2)로부터 들려진 쓰레기를 투입구로 입력받고, 투입된 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로(3);
    상기 소각로(3)와 연결되어 상기 소각로(3)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상부일부에 가열수 수용구가 구비되어 가열수 수용구에서 증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폐열보일러(4);
    상기 소각로(3)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각로(3)로 공기를 공급하는 소각용 공기공급기(5);
    지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의 높이까지 배치되고, 상기 쓰레기수거차량(1g)이 상기 쓰레기투입구(1a)로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정차하는 장소로 이용되는 반입층(6);
    상기 반입층(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입층(6)을 지지하는 반입층 기둥부(7);
    지면에서 상기 반입층(6)의 일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쓰레기수거차량(1g)이 상기 반입층(6)으로 진입하는 길목으로 이용되는 입구측경사로(8);
    상기 입구측경사로(8)를 지지하는 입구측 기둥부(9);
    지면에서 상기 반입층(6)의 타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입구측경사로(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쓰레기수거차량(1g)이 상기 반입층(6)의 쓰레기투입구(1a)로 쓰레기를 투입한 이후에 출차하는 길목으로 이용되는 출구측경사로(10);
    상기 출구측경사로(10)를 지지하는 출구측 기둥부(11);
    상기 입구측경사로(8)와 상기 출구측경사로(10)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구측경사로(8)와 상기 출구측경사로(10)에서 유입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출수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도록 경사로를 형성하는 유출수 받이대(30);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부과 지면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유출수 받이대(30)를 지지하는 받이대 기둥부(31);
    지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의 경사로를 통해 흐르는 유출수를 공급받는 유출수 보관부(32);
    일단이 상기 유출수 보관부(32)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보관부(32)에 저장된 유출수를 공급받는 유출수 배관부(33);
    상기 유출수 배관부(33)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배관부(33)로부터 공급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출수를 청소수로 여과하는 유출수 재여과기(34);
    상기 유출수 재여과기(34)와 연결되어 상기 유출수 재여과기(34)에 의해 여과된 청소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청소수 저장탱크(35);
    상기 청소수 저장탱크(35)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수 저장탱크(35)에 저장된 청소수를 펌핑하는 청소수 공급펌프(36);
    상기 청소수 공급펌프(36)와 연결되고, 밸브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청소수 공급펌프(36)를 통해 펌핑되는 청소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반입로 청소수 공급밸브(37);
    상기 청소수 공급밸브(37)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수 공급밸브(37)를 통해 유출되는 청소수를 공급하는 청소수 호스(38); 및,
    상기 청소수 호스(38)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수 호스(38)에서 공급되는 청소수를 압축시켜 분사하는 청소수 노즐부(39);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출수 보관부(32)는 상방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유출수 유입홀(32a1)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수 유입홀(32a1)의 하부에 유출수 배출홀(32a2)이 형성되되 상기 유출수 배출홀(32a2)에 상기 유출수 배관부(33)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유출수 보관통체(32a); 상기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개구된 상방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프레임이 교차하는 격차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유출수가 통과되도록 하되 쓰레기 수거 차량의 바퀴가 상기 유출수 보관통체(32a)에 인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유출수 덮개(32b); 및, 상기 유출수 보관통체(32a)의 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유출수 유입홀(32a1)과 상기 유출수 배관부(33) 사이에서 돌출되며,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수 받이대(30)에서 배출되는 유출수를 상기 유출수 유입홀(32a1)을 통해 상기 유출수 보관부(32)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출수 안내벽체(32c);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층(6)의 상부 외곽영역 가운데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과 상기 입구측경사로(8) 및 상기 출구측경사로(10)를 제외한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입층외벽(12);
    상기 반입층(6)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공간을 밀폐하는 반입층지붕(13);
    상기 반입층외벽(12)과 상기 반입층지붕(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입층지붕(13)을 지지하는 반입층 창호기둥(14);
    상기 반입층외벽(12)과 상기 반입층지붕(13) 및 상기 반입층 창호기둥(14)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반입층창호(15);
    상기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 외곽영역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입구측경사로 외벽(16);
    상기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측경사로(8)의 상부를 밀폐하는 입구측경사로 지붕(17);
    상기 입구측경사로 외벽(16)과 상기 입구측경사로 지붕(17)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측경사로 외벽(16)을 지지하는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
    상기 입구측경사로 외벽(16)과 상기 입구측경사로 지붕(17) 및 상기 입구측경사로 창호기둥(18)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입구측경사로(8)의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입구측경사로 창호(19);
    상기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 외곽영역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출구측경사로 외벽(20);
    상기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출구측경사로(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출구측경사로 지붕(21);
    상기 출구측경사로 외벽(20)과 상기 출구측경사로 지붕(2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출구측경사로 외벽(20)을 지지하는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 및,
    상기 출구측경사로 외벽(20)과 상기 출구측경사로 지붕(21) 및 상기 출구측경사로 창호기둥(22)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투입구(1a)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출구측경사로(10)의 외부측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출구측경사로 창호(23); 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11569A 2020-06-08 2021-01-27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 KR102309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91 2020-06-08
KR20200068991 2020-06-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612B1 true KR102309612B1 (ko) 2021-10-07

Family

ID=7811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569A KR102309612B1 (ko) 2020-06-08 2021-01-27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728Y1 (ko) 1999-07-20 2000-02-15 삼성중공업주식회사 폐기물소각장의폐기물반입장
KR20040111231A (ko) 2004-11-13 2004-12-31 윤종욱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KR100929245B1 (ko) 2009-05-28 2009-12-01 이신열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해충퇴치기
KR20100033823A (ko) * 2008-09-22 2010-03-31 (주)태성트라텍 악취차단기능이 있는 빗물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728Y1 (ko) 1999-07-20 2000-02-15 삼성중공업주식회사 폐기물소각장의폐기물반입장
KR20040111231A (ko) 2004-11-13 2004-12-31 윤종욱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KR20100033823A (ko) * 2008-09-22 2010-03-31 (주)태성트라텍 악취차단기능이 있는 빗물받이
KR100929245B1 (ko) 2009-05-28 2009-12-01 이신열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해충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07437A (zh) 一种具有环境风险管控功能的模块化prb修复方法
CN113833309A (zh) 一种建筑楼群机械拆除施工方法及应用
JPH06292874A (ja) 廃棄物処分場
KR102309612B1 (ko) 쓰레기 소각장 악취 차단 시스템
CN216007052U (zh) 一种垃圾刚性填埋场
CN110067521B (zh) 一种矿井内含挥发性有毒质固废旋挖处理系统和处理方法
JP7132104B2 (ja) 廃棄物処分場
CN215539437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扬尘治理设备
JP2004144392A (ja) 煙突解体工法
JP2007217104A (ja) ごみ処理施設
KR200358081Y1 (ko) 건설현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륜 세척장치
JP2884229B2 (ja) 廃棄物の埋立て処理方法
KR20100093865A (ko) 폐기물 매립장 시공방법
KR100638843B1 (ko)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JP4179403B2 (ja) 廃棄物処分場及びその構築方法
JP2013126639A (ja) 廃棄物処分施設
JP5839560B2 (ja) 廃棄物処分施設
JP2004237256A (ja) ピット構造
US5575585A (en) Multiple well contaminant recovery apparatus
JP7444810B2 (ja) 廃棄物処分場の浸出水集水設備
KR102401653B1 (ko) 산업시설용 집진 장치
CN217579750U (zh) 桥梁排水用线侧式应急蓄毒池
CN216841803U (zh) 特长深埋隧道长距离反坡排水装置
CN220536604U (zh) 一种封闭式多功能垃圾栈桥
JP2000015209A (ja) 廃棄物処分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