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843B1 -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843B1
KR100638843B1 KR1020040028764A KR20040028764A KR100638843B1 KR 100638843 B1 KR100638843 B1 KR 100638843B1 KR 1020040028764 A KR1020040028764 A KR 1020040028764A KR 20040028764 A KR20040028764 A KR 20040028764A KR 100638843 B1 KR100638843 B1 KR 100638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landfill
branch pipe
leac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567A (ko
Inventor
한기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4002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84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집수조로 모아지도록 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립토가 퇴적되어 막히는 유공관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유공관에 누적된 세립토가 배출되도록 하여 원활한 침출수의 배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는 쓰레기 매립장의 저부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집배수하여 집수조로 배수토록 하는 저부 집배수관과, 상기 저부 집배수관으로부터 연장되고, 매립장의 바닥 경사면을 따라 연장된 분기 집배수관과, 상기 저부 집배수관 또는 분기 집배수관으로부터 쓰레기 더미 외측으로 연장되고,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가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다수 개가 연결 가능하도록 한 분기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배수장치, 호기성, 이물질 제거수단

Description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DRAIN APPARATUS FOR WASTE RECLAIM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분기관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기관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기관 및 마개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유동관 및 커플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분기관 및 유동관의 연장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이물질 제거수단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저부 집배수관 20 : 분기 집배수관
30 : 분기관 32 : 유입홀부
34 : 단차 36 : 제 1 나사산
40 : 집수조 50 : 마개
70 : 이물질 제거수단 72 : 유동관
72a : 개폐홀부 72b : 단차
72c : 제 2 나사산 72d : 홈부
74 : 커플러 74a : 손잡이
74b : 돌기 76 : 송풍기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집수조로 모아지도록 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립토가 퇴적되어 막히는 유공관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유공관에 누적된 세립토가 배출되도록 하여 원활한 침출수의 배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처리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소각하기 어려운 폐기물은 주로 매립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폐기물 매립에 있어서 매립장 건설 시에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매립된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로 인하여 주변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매립장은 조성된 원지반에 구축되는 차수벽과 그 위에 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방수시 트가 설치되며 상기 차수벽은 폐기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소정의 압축강도를 갖도록 점토, 고화토, 혼합토들과 같은 차수재를 50㎝ 이상 포설하여 폐기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고 방수시트에 의해 침출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건설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침출수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침출수가 매립시설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차수층을 적어도 이중으로 시공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쓰레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쓰레기층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하게 배수하도록 침출수의 집수 및 배수장치를 갖추도록 한다.
이러한 폐기물 매립장용 침출수 배수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지의 저부에는 침출수를 집배수하는 저부 집배수관(1)이 배치되고, 매립지의 바닥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는 분기 집배수관(2) 및 수직방향으로 침출수를 집배수하기 위하여 하단이 저부 집배수관(1)에 접속되는 입형 집배수관(3)을 포함하고, 상기 저부의 집배수관(1)의 말단은 집수조(4)에 연결되어 매립지에서 발생된 침출수를 모아 환경오염을 야기하지 않도록 별도로 처리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집배수관들의 연결부에는 돌망태(5)가 형성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저부 집배수관(1)과 입형 집배수관(3)의 연결부분에 제공된 돌망태(5)는 토사에 의해 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의 주위를 덮도록 자갈과 쇄석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망태(5)는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히려 침출수의 유동을 방해하여 침출수의 원활한 유동을 방해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침출수가 저부 및 수직 집수관들에서 고여 있게 되고 따라서 침출수의 혐기적인 부패를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기 집배수관에 다수 개의 분기관이 설치되고, 이 분기관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가 형성되므로 효과적인 침출수의 집수 및 배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분기관에 이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유입홀부가 막히면 이물질을 제거토록 하여 그 관리가 용이하고,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는 쓰레기 매립장의 저부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집배수하여 집수조로 배수토록 하는 저부 집배수관과, 상기 저부 집배수관으로부터 연장되고, 매립장의 바닥 경사면을 따라 연장된 분기 집배수관과, 상기 저부 집배수관 또는 분기 집배수관으로부터 쓰레기 더미 외측으로 연장되고,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가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다수 개가 연결 가능하도록 한 분기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 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의 분기 집배수관 및 분기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는 쓰레기 매립장의 중앙 저부에 설치되고, 그 최하측 단부는 집수조(40)에 연결되어 침출수를 집배수토록 하는 저부 집배수관(10)과, 상기 저부 집배수관(10)으로부터 연장되고, 매립장의 바닥 경사면을 따라 연장된 분기 집배수관(20)과, 상기 분기 집배수관(20)으로부터 매립장의 쓰레기 더미 외측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유입홀부(32)가 형성된 분기관(3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 집배수관(20)은 저부 집배수관(10)으로부터 분기된 관으로서, 저부 집배수관(10)에 침출수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관이며, 이러한 분기 집배수관(20)이 많을수록 매립된 쓰레기와 집배수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므로 침출수의 집수 및 배수가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쓰레기와 집배수관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시키기 위해 분기 집배수관(20)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 개의 분기관(10)이 더 설치되는 바, 상기 분기관(30)은 그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32)가 일정한 규칙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침출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단부는 분기 집배수관(20)에 연결되고, 타 측 단부가 개방되어 그 내부로 쓰레기 더미 외 측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호기성 작용에 의해 쓰레기의 부식이 가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기관(30)은 외측 단부에 단차(34)가 형성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분기관(3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쓰레기 매립장에 쓰레기 더미가 쌓일수록 분기관(30)의 길이를 연장시켜 쓰레기 더미 외측으로 개방된 단부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외측의 공기가 쓰레기 더미 내부로 유입되어 호기성 부식 현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쓰레기 매립장의 환경적인 조건이나 기후에 따라 분기관(30) 단부의 폐쇄가 요구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34)에 마개(50)를 삽입하여 분기관(30)의 외측 단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저부 집배수관(10) 및 분기 집배수관(20), 분기관(3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동일하나 상기 분기관(30')에 이물질 제거수단(70)이 설치됨으로써, 분기관(30') 및 분기 집배수관(20) 내부에 미세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누적되어 배수 기능이 저하되면 분기관(30')의 유입홀부(32)를 폐쇄하고 분기관(30')의 내부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토록 하여 이물질을 제거토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분기관(30')의 구조 에도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분기관(30')은 내벽에 일 측에 제 1 나사산(36)이 형성됨으로써, 분기관(30')의 내, 외측으로 출몰되는 유동관(72)이 직선운동과 함께 회전 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70)은, 분기관(30')의 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유입홀부(32)와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개폐홀부(72a)가 형성되며, 제 1 나사산(36)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나사산(72c)이 형성되고, 외측 단부에 단차(72b)가 형성된 유동관(72)과, 상기 유동관(72)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외벽에 손잡이(74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유동관(7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커플러(74)와, 상기 커플러(74)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송풍기(76)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커플러(74)를 회전시켜 유동관(72)을 이동시키면 상기 유입홀부(32)와 개폐홀부(72a)가 이격되어 유입홀부(32)가 폐쇄됨으로써, 송풍기(76)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분기관(30')에 누적된 이물질이 분기 집배수관(20) 및 저부 집배수관(1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관(72)은 분기관(3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그 지름이 작게 형성되는 바, 분기관(30)의 내벽에서 회전 가능하고 내, 외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한 지름을 이루며, 다수 개의 개폐홀부(72a)가 상기 유입홀부(32)와 동일한 규칙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동관(72)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으로 각각의 유입홀부(32)와 개폐홀부(72a)가 대응되거나 이격되게 할 수 있어 상기 유입홀부(3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유입홀부(32)와 개폐홀부(72a)가 대응되도록 하여 침출수가 유동관(72)으로 유입된 후에 분기 집배수관(20) 및 저부 집배수관(10)을 따라 집수조(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입홀부(32) 및 분기관(30'), 분기 집배수관(20)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침출수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지지 않을 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입홀부(32)와 개폐홀부(72a)가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 송풍기(76)에 의해 분기관(3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플러(7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관(72)과 송풍기(76) 사이에 개재되는 관으로서, 그 둘레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74a)가 형성되어 유동관(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유동관(72)에 삽입되는 단부 외벽에는 다수 개의 돌기(74b)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관(72)의 단부 내벽에는 돌기(74b)와 대응되는 부분에 홈부(72d)가 형성되어 커플러(74)가 유동관(72)에 삽입된 후에 사용자가 손잡이(74a)를 잡고 회전시킬 때에 커플러(74)가 유동관(72)의 내부에서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송풍기(76)는 통상의 송풍기로서 상기 유동관(72)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유동관(72) 및 분기 집배수관(20) 내부에 축적된 토사나 미분의 쓰레기를 저부 집배수관(10)을 통해 집수조(40)로 배출시킬 수 있는 송풍기라면 어떠한 송풍기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쓰레기 더미 외측으로 돌출된 분기관(30)에 의해 외부 공기가 분기관(30)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쓰레기의 호기성 부식이 촉진되고,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는 분기관(30)의 유입홀부(32)를 통해 분기관(30) 및 분기 집배수관(20), 저부 집배수관(10)을 따라 집수조(40)로 이동되어 배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쓰레기 더미가 장기간 동안 누적되어 분기관(30)의 연장이 요구될 때에는 분기관(3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단차(34)에 다른 분기관(30)의 내측 단부를 삽입하여 분기관(30)의 길이를 연장하는 바, 분기관(30)의 연장을 위한 구조는 기존에 공개된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그 구조 또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상기한 일 시실 예와 그 동작이 동일하나 유입홀부(32)를 통해 유입되는 침출수와 같이 토사나 미세 이물질이 유입되어 누적되면 배수 기능이 저하되는데, 이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관(72)의 단부에 커플러(74)를 삽입한 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74a)를 잡아 유동관(72)을 회전시킴으로써, 유입홀부(32)와 개폐홀부(72a)를 이격시켜 유입홀부(32)를 폐쇄시키고, 커플러(74)의 외측 단부에 송풍기(76)를 설치하여 유동관(74)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토록 한다.
이로써, 분기관(30) 및 분기 집배수관(20), 저부 집배수관(10)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배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는 분기 집배수관으로부터 연장되는 분기관이 설치되고, 분기관에 형성된 유입홀부를 개폐토록 함과 동시에 분기관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쓰레기 더미 외부의 공기가 쓰레기 더미 내부로 공급되어 호기성 부식 작업이 촉진되면서 침출수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분기관 및 분기 집배수관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배수 기능이 저하되면 이물질 제거수단을 구동시켜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므로 침출수의 효과적인 배수를 이루며, 배수장치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쓰레기 매립장의 저부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집배수하여 집수조(40)로 배수토록 하는 저부 집배수관(10)과;
    상기 저부 집배수관(10)으로부터 연장되고, 매립장의 바닥 경사면을 따라 연장된 분기 집배수관(20)과;
    상기 저부 집배수관(10) 또는 분기 집배수관(20)으로부터 쓰레기 더미 외측으로 연장되고,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32)가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단차(34)가 형성되어 다수 개가 연결 가능하도록 한 분기관(30)과;
    분기관(30)의 외측 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개(50)가 포함된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는,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입홀부(32)를 개폐토록 하고, 상기 분기관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분기관의 막힘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제거수단(7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내벽 일 측에 제 1 나사산(36)이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70)이 상기 분기관의 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70)은,
    상기 분기관의 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유입홀부(32)와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개폐홀부(72a)가 형성되며, 제 1 나사산(36)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나사산(72c)이 형성되고, 외측 단부에 단차(72b)가 형성된 유동관(72)과;
    상기 유동관(72)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외벽에 손잡이(74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유동관(7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커플러(74)와;
    상기 커플러(74)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송풍기(7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KR1020040028764A 2004-04-26 2004-04-26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KR10063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64A KR100638843B1 (ko) 2004-04-26 2004-04-26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64A KR100638843B1 (ko) 2004-04-26 2004-04-26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567A KR20050103567A (ko) 2005-11-01
KR100638843B1 true KR100638843B1 (ko) 2006-10-25

Family

ID=3728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64A KR100638843B1 (ko) 2004-04-26 2004-04-26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07B1 (ko) * 2008-05-09 2009-05-11 플러스이앤씨(주) 폐기물 매립지 사면부를 이용한 침출수 배수시설 시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987B1 (ko) * 2006-03-14 2007-03-12 이옥신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KR101039417B1 (ko) * 2009-05-22 2011-06-07 이정주 필터 세척부를 가지는 지하수 배수장치
CN110528543A (zh) * 2019-08-05 2019-12-03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降水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07B1 (ko) * 2008-05-09 2009-05-11 플러스이앤씨(주) 폐기물 매립지 사면부를 이용한 침출수 배수시설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567A (ko)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379B2 (ja) 雨水浸透桝用フィルタ、及び雨水浸透桝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100941705B1 (ko) 집수정
KR100638843B1 (ko)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200167090Y1 (ko)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20060016586A (ko)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KR101283922B1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KR20110016363A (ko)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KR100638844B1 (ko) 매립장의 누수방지용 배수장치
KR0173306B1 (ko) 연약지반상의 폐기물매립시설 및 그 조성방법
KR101276025B1 (ko) 플라스틱을 이용한 일체형 악취방지장치
KR200235300Y1 (ko) 에어돔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
KR20090106716A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0750980B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20110005094U (ko) 집수정
KR102253356B1 (ko) 폐기물 매립장의 우수 및 침출수 제거방법
KR10234797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376490B1 (ko) 우수방지 및 매립가스포집능이 우수한 폐기물 매립장용 우수막및 이를 이용한 매립공법
KR100418692B1 (ko) 폐기물의 침출수 배수장치
KR200407746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CN218233688U (zh) 一种灰渣回填露天矿坑的渗滤液收集系统
KR100450602B1 (ko)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KR100281757B1 (ko)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누출방지를 위한 제방 우수배재부재 및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