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887B1 - 무전력 유체 펌프 - Google Patents

무전력 유체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887B1
KR102308887B1 KR1020200119007A KR20200119007A KR102308887B1 KR 102308887 B1 KR102308887 B1 KR 102308887B1 KR 1020200119007 A KR1020200119007 A KR 1020200119007A KR 20200119007 A KR20200119007 A KR 20200119007A KR 102308887 B1 KR102308887 B1 KR 102308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ack
main body
rotational force
fluid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호
한원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3/00Pumps specially modified to deliver fixed or variable measured quant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 회전에 의해 감기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점차로 풀림에 따라 기계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유닛; 상기 태엽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내측 기어이 및 외측 기어이를 구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내측 기어이 및 외측 기어이를 구비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2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래크; 상기 래크 전진에 따른 피스톤의 가압에 의해 실린더 내의 유체를 일정 유량으로 토출하는 주입기; 및 상기 태엽유닛, 제1기어, 제2기어, 래크 및 주입기를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전력 유체 펌프{non electric fluid pump}
본 발명은 유체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태엽유닛이 제공하는 기계적 회전력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없는 상황에서도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동일 유량의 유체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에 관한 것이다.
미세 유체소자 등을 이용하는 혈액 검사, 균 검출, 환경 모니터링 등의 과정에서는 미량의 유체 주입 및 조작이 요구된다.
이에 유체 펌프를 이용하여 유체 주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유체 펌프는, 전력 공급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었던바, 전동 부품이 다수 장착됨에 따라 고가일 수밖에 없어 유체 주입이 요구되는 현장 각각에 이를 비치하는 것이 쉽지 않았으므로 전동식 유체 펌프가 갖춰지지 않은 현장에서는 미세유체기술 기반의 혈액 검사, 균 검출, 환경 모니터링 등에 곤란함을 겪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유체 펌프는, 전력 공급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었던바, 단전 등의 이유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었으므로 혈액 검사, 균 검출, 환경 모니터링 등에 곤란함을 겪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피스톤 및 실린더를 포함하되, 실린더로부터 이어지는 주입구 상에 챔버가 마련된 주입기가 제안된바 있다.
주입구 상에 챔버가 마련된 주입기는 피스톤을 가압에 의한 유체 토출이 비교적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유체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으나, 주입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체 토출량이 점차로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입구 상에 챔버가 마련된 주입기 외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066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각종의 무전력 유체 주입장치가 제안된바 있으나, 종래 무전력 유체 주입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치 아니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유체의 주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유체 토출량이 균일하지 못하였으므로 혈액 검사 등이 원활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태엽유닛이 제공하는 기계적 회전력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없는 상황에서도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동일 유량의 유체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06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태엽유닛이 제공하는 기계적 회전력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없는 상황에서도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동일 유량의 유체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브 회전에 의해 감기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점차로 풀림에 따라 기계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유닛; 상기 태엽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내측 기어이 및 외측 기어이를 구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내측 기어이 및 외측 기어이를 구비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2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래크; 상기 래크 전진에 따른 피스톤의 가압에 의해 실린더 내의 유체를 일정 유량으로 토출하는 주입기; 및 상기 태엽유닛, 제1기어, 제2기어, 래크 및 주입기를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를 제안한다.
상기 노브는 중심축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의 상기 외측 기어이와 치합하는 기어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어의 상기 내측 기어이는 상기 제2기어의 상기 외측 기어이와 치합한다.
상기 제2기어의 상기 내측 기어이는 상기 래크의 일 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이와 치합한다.
상기 제2기어는 상기 내측 기어이의 직경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지지블록 상의 복수 개 삽입홀 중 어느 하나에 중심축이 삽입 설치됨에 따라 위치가 가변된다.
상기 래크는 상기 피스톤 일단이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실린더가 끼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된 탈착식 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어댑터는 상기 홈부의 폭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감긴 상태로부터 점차로 풀림에 따라 기계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유닛을 포함하는바, 태엽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이 제1기어 및 제2기어에 의해 래크에 전달되어 래크의 전진이 이루어짐에 따라 주입기의 피스톤이 가압되어 실린더 내의 유체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력 공급이 없는 상황에서도 유체 주입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는, 제2기어가 내측 기어이 부위의 직경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본체에 장착되는바, 제2기어의 교체에 의해 기어비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2기어 회전에 의한 래크의 직선운동이 원활할 수 있어 주입기를 통한 유체 주입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는, 본체의 어텝터가 홈부의 폭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본체에 장착되는바, 주입기의 실린더 직경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폭의 홈부를 갖는 어댑터를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본체에 다양한 규격의 주입기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주입기를 통한 유체 주입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에서 본체의 상판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에서 노브와 태엽유닛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에서 태엽유닛의 탈진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에서 주입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에서 제2기어의 위치 가변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에서 지지블록의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에서 주입기를 통한 유체 토출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를 통한 유체 주입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를 통한 유체 주입 다른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A)는, 태엽유닛(10); 제1기어(20); 제2기어(30); 래크(40); 주입기(50); 및 본체(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엽유닛(10)은 노브(14) 회전에 의해 감기는 스파이럴 스프링(11)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점차로 풀림에 따라 기계적인 회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태엽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기계적인 회전력에 의해 주입기(50)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노브(14)는 중심축(도면부호 미표시)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기어(20)의 외측 기어이(22)와 치합하는 기어이(14a)를 포함함으로써 노브(14) 회전에 의해 제1기어(2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태엽유닛(10)은 탈진기(13)를 포함함으로써 탈진기(13)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풀림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탈진기(13)는,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풀림에 의해 회전하는 배럴(12)과 이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기어(13e)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방탈부재(13a); 방탈부재(13a)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레버(13b); 및 레버(13b)의 회전력 전달에 의한 일정 각도 범위 이내의 회전과 회전 이후 헤어스프링(13d)의 탄성에 의한 복귀를 반복하는 밸런스휠(13c);을 포함함으로써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풀림에 의해 배럴(1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밸런스휠(13c)의 회전 및 복귀가 반복됨에 따라 방탈부재(13a)가 일정한 각도로 점진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파이럴 스프링(11)이 일정한 속도로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기어(20)는, 태엽유닛(10)이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내측 기어이(21) 및 외측 기어이(2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기어(20)에 의해 태엽유닛(10)으로부터 제2기어(30)로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기어(20)의 내측 기어이(2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기어(30)의 외측 기어이(32)와 치합함으로써 제1기어(20) 회전에 의해 제2기어(3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기어(30)는 제1기어(20)와 치합하여 제1기어(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내측 기어이(31) 및 외측 기어이(3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기어(30)에 의해 제1기어(20)로부터 래크(40)로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기어(30)의 내측 기어이(31)는 래크(40) 일 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이(40a)와 치합함으로써 제2기어(30) 회전에 의해 래크(40)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2기어(30)는 내측 기어이(31)의 직경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본체(60)에 장착됨으로써 내측 기어이(31)의 직경에 따라 기어비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어(30)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본체(60)에 장착되되, 본체(60)에 결합하는 지지블록(23) 상의 복수 개 삽입홀(23a) 중 어느 하나에 중심축이 삽입 설치됨에 따라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내측 기어이(31)의 직경이 감소하더라도 래크(40)의 기어이(40a)에 원활히 치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래크(40)는 제2기어(30)와 치합하여 제2기어(30)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운동한다.
따라서 래크(40) 전진에 의해 주입기(50)의 작동, 더욱 구체적으로 피스톤(51)의 가압이 이루어진다.
이때, 래크(40)는 일단에 형성되는 홈부(41)를 포함함으로써 홈부(41)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피스톤(51) 일단을 삽입함에 따라 래크(40)에 피스톤(51)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입기(50)는 래크(40) 전진에 따른 피스톤(51)의 가압에 의해 실린더(52) 내의 유체(100)를 일정 유량으로 토출한다.
따라서 주입기(50)에 의해 유체(100) 주입이 이루어진다.
한편, 주입기(50)는 크기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본체(60)에 적용됨으로써 유체 주입량을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60)는 태엽유닛(10), 제1기어(20), 제2기어(30), 래크(40) 및 주입기(50)를 지지한다.
따라서 본체(60)에 의해 태엽유닛(10), 제1기어(20), 제2기어(30), 래크(40) 및 주입기(50)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본체(60)는 홈부(61a)가 형성된 탈착식 어댑터(61)를 포함함으로써 홈부(61a)에 실린더(52) 일단을 삽입함에 따라 본체(60)에 실린더(52)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어댑터(61)는 홈부(61a) 크기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본체(60)에 적용됨으로써 본체(60)에 다양한 규격의 주입기(50)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60)는 래크(4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2)를 포함함으로써 가이드(62)에 의해 래크(40)의 직선운동이 안정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62)는 래크(40) 저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도면부호 미표시) 내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62)와 슬라이드홈의 물림에 의해 본체(60)로부터 래크(40)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A)를 통한 유체(100) 주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태엽유닛(10)은 스파이럴 스프링(11)을 포함하는바, 스파이럴 스프링(11)이 감긴 상태로부터 점차로 풀림에 따라 회전력이 제공된다.
이때, 스파이럴 스프링(11)은, 애초 풀린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4)를 회전시킴으로써 감기게 되며, 감긴 상태에서 자체의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풀리게 된다.
다만, 스파이럴 스프링(11)이 순각적으로 풀리게 되면 태엽유닛(10)을 통한 회전력 제공이 순간에 그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태엽유닛(10)은 탈진기(13)를 포함하는바, 탈진기(13)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풀림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태엽유닛(10)을 통한 회전력 제공이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될 수 있다.
즉, 탈진기(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풀림에 의해 회전하는 배럴(12)과 이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기어(13e)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방탈부재(13a); 방탈부재(13a)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레버(13b); 및 레버(13b)의 회전력 전달에 의한 일정 각도 범위 이내의 회전과 회전 이후 헤어스프링(13d)의 탄성에 의한 복귀를 반복하는 밸런스휠(13c);을 포함하는바,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풀림에 의해 배럴(1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밸런스휠(13c)의 회전 및 복귀가 반복됨에 따라 방탈부재(13a)가 일정한 각도로 점진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파이럴 스프링(11)이 일정한 속도로 풀리게 되므로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풀림에 의한 회전력 제공이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기어(20)의 외측 기어이(22)는 노브(14)의 중심축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기어이(14a)와 치합하는바, 스파이럴 스프링(11)이 풀림에 따라 회전하는 노브(14) 회전에 의해 제1기어(2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기어(2)의 내측 기어이(21)는 제2기어(30)의 외측 기어이(32)와 치합하는바, 제1기어(20) 기어 회전에 의해 제2기어(3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2기어(30)의 내측 기어이(31)는 래크(40) 일 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이(40a)와 치합하는바, 제2기어(30) 회전에 의해 래크(40)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래크(40) 전방에는 주입기(50)의 피스톤(51)이 배치되는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40)의 전진 과정에서 피스톤(51)의 가압이 이루어짐에 따라 피스톤(51)이 삽입된 실린더(52) 내의 유체(100)가 일정한 유량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태엽유닛(10)을 통한 회전력 전달을 통해 래크(40)를 전진시켜 유체(100)를 토출시킴으로써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는 않는 현장에서 미세유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혈액 검사, 균 검출, 환경 모니터링 등이 실시될 때 미량의 유체(100) 주입이 원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기어(30)는 내측 기어이(31)의 직경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본체(6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바, 내측 기어이(31)의 직경에 따라 기어비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래크(40)의 직선운동이 더욱 원활하여 주입기(50)를 통한 유체 주입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다만, 제2기어(30)의 내측 기어이(31) 직경이 감소하게 되면 래크(40)에 마련되는 기어이(40a)와의 치합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2기어(30)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본체(6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되, 본체(60)에 결합하는 지지블록(23) 상의 복수 개 삽입홀(23a) 중 어느 하나에 중심축이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는바, 이에 의해 제2기어(30)의 위치 가변, 더욱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기어이(31)의 직경이 감소할 때 제2기어(30)는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입기(50)의 선단에 더 인접하게 되므로 내측 기어이(31)의 직경이 감소하더라도 래크(40)에 마련되는 기어이(40a)와의 치합이 원활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23)에 형성되는 삽입홀(23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될 수 있는바, 삽입홀(23a)의 추가 형성에 의해 제2기어(30)의 위치 이동폭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주입기(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1)의 일단이 래크(40)의 홈부(41)에 삽입되고, 실린더(52)의 일단이 본체(60)에 마련되는 탈착식 어댑터(61)의 홈부(61a)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된다.
이때, 어댑터(61)는 홈부(61a) 크기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본체(60)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바, 어댑터(61)의 선택적 적용에 의해 본체(60)에 다양한 규격의 주입기(50)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주입기(50)를 통한 유체 주입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키트(200) 등에 단일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키트(200) 등에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다량의 유체 주입이 요구될 때 검사키트(200)에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유체 펌프(A)를 복수로 연결함으로써 유체(100) 주입이 배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태엽유닛 11 : 스파이럴 스프링
12 : 배럴 13 : 탈진기
13a : 방탈부재 13b : 레버
13c : 밸런스휠 13d : 헤어스프링
13e : 연결기어 14 : 노브
14a : 기어이 20 : 제1기어
21 : 내측 기어이 22 : 외측 기어이
23 : 지지블록 23 : 삽입홀
30 : 제2기어 31 : 내측 기어이
32 : 외측 기어이 40 : 래크
40a : 기어이 41 : 홈부
50 : 주입기 51 : 피스톤
52 : 실린더 60 : 본체
61 : 어댑터 61a :홈부
100 : 유체 200 : 검사키트
A : 무전력 유체 펌프

Claims (8)

  1. 노브 회전에 의해 감기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점차로 풀림에 따라 기계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유닛;
    상기 태엽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내측 기어이 및 외측 기어이를 구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내측 기어이 및 외측 기어이를 구비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2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래크;
    상기 래크의 전진에 따른 피스톤의 가압에 의해 실린더 내의 유체를 일정 유량으로 토출하는 주입기; 및
    상기 태엽유닛, 제1기어, 제2기어, 래크 및 주입기를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중심축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의 상기 외측 기어이와 치합하는 기어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의 상기 내측 기어이는 상기 제2기어의 상기 외측 기어이와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의 상기 내측 기어이는 상기 래크의 일 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이와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내측 기어이의 직경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지지블록 상의 복수 개 삽입홀 중 어느 하나에 중심축이 삽입 설치됨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상기 피스톤의 일단이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실린더가 끼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된 탈착식 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어댑터는 상기 홈부의 폭에 차등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유체 펌프.
KR1020200119007A 2020-09-16 2020-09-16 무전력 유체 펌프 KR102308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007A KR102308887B1 (ko) 2020-09-16 2020-09-16 무전력 유체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007A KR102308887B1 (ko) 2020-09-16 2020-09-16 무전력 유체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887B1 true KR102308887B1 (ko) 2021-10-05

Family

ID=7807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007A KR102308887B1 (ko) 2020-09-16 2020-09-16 무전력 유체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41426A (zh) * 2022-09-08 2023-06-09 南京卓益控制技术有限公司 液压系统的油压电控机构及变量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95U (ja) * 1991-08-21 1993-03-09 有輔 山縣 玩具用ゼンマイ駆動装置の制御機構
KR100910664B1 (ko) 2009-04-16 2009-08-05 (주)비엠코리아 의료용 유체주입기 및 이의 홀더
KR20150048832A (ko) * 2012-08-29 2015-05-07 유니트랙트 시린지 피티와이 엘티디 약물 전달 펌프를 위한 가변 속도 제어식 전달 구동 기구
JP2016526993A (ja) * 2013-07-17 2016-09-08 サノフイ 駆動機構
KR20180043694A (ko) * 2016-10-20 2018-04-30 손문호 무선 충전 주사액 자동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95U (ja) * 1991-08-21 1993-03-09 有輔 山縣 玩具用ゼンマイ駆動装置の制御機構
KR100910664B1 (ko) 2009-04-16 2009-08-05 (주)비엠코리아 의료용 유체주입기 및 이의 홀더
KR20150048832A (ko) * 2012-08-29 2015-05-07 유니트랙트 시린지 피티와이 엘티디 약물 전달 펌프를 위한 가변 속도 제어식 전달 구동 기구
JP2016526993A (ja) * 2013-07-17 2016-09-08 サノフイ 駆動機構
KR20180043694A (ko) * 2016-10-20 2018-04-30 손문호 무선 충전 주사액 자동 주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41426A (zh) * 2022-09-08 2023-06-09 南京卓益控制技术有限公司 液压系统的油压电控机构及变量泵
CN116241426B (zh) * 2022-09-08 2023-10-13 南京卓益控制技术有限公司 液压系统的油压电控机构及变量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887B1 (ko) 무전력 유체 펌프
TWI606868B (zh)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and liquid coating device using the same
US3798982A (en) Pump actuator including rotatable cams
WO1996026754A3 (en) Incrementing mechanism in particular for use with a membral syringe
CN107407278B (zh) 转子以及泵装置
RU2012128566A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талкива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выталкивания небольших доз
JP2017119480A5 (ja) 気体噴射装置および気体噴射システム
CN104010736A (zh) 配料和混合设备的驱动装置
US5695122A (en) Gear-type rotary sprinkler
CN109238011A (zh) 一种瞄具校准方法和装置
US4023708A (en) Safety device for water supply line of a washing machine
CN116727494B (zh) 一种螺纹钢的校直装置及其校直方法
KR200393386Y1 (ko) 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 약품 투입기
WO2014019278A1 (zh) 便携可编程自动给药装置
CN201679981U (zh) 步进自动控制阀门
JP6227026B2 (ja) 潤滑油供給装置
KR20160053792A (ko) 도포액 펌프 유닛 및 도포 장치
JP2014105827A (ja) 角度調整部材、変位および角度調整部材、回転駆動機構、流体吐出装置ならびにパターン形成装置
EP2350578A1 (en) A rotary metering device and system
KR101593373B1 (ko) 압축공기 정밀제어밸브
CN219781145U (zh) 喷灌设备
KR102609812B1 (ko) 윤활유 주입기
RU74428U1 (ru) Насос шестеренный (варианты)
CN219412886U (zh) 一种清洗机泵头
CN214440156U (zh) 一种高稳定性调压水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