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694B1 -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694B1
KR102306694B1 KR1020210057125A KR20210057125A KR102306694B1 KR 102306694 B1 KR102306694 B1 KR 102306694B1 KR 1020210057125 A KR1020210057125 A KR 1020210057125A KR 20210057125 A KR20210057125 A KR 20210057125A KR 102306694 B1 KR102306694 B1 KR 10230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fixed block
passage
ground improvement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모
배재동
Original Assignee
정광모
배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모, 배재동 filed Critical 정광모
Priority to KR102021005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롯드 본체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이용하여 방향 전환 구조가 동작하도록 하여 교반롯드의 하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되거나 교반롯드의 상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되고, 교반롯드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될 때에 교반롯드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지반개량용 재료와 흙의 혼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이동되면서 회전 동작되고 내부에 지반개량용 재료의 공급을 위한 개량재료 공급관과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이 마련되는 롯드 본체와, 상기 롯드 본체의 외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에 있어서 : 상기 롯드 본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롯드 본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축용 외주면이 형성된 고정 블록 몸체와, 상기 고정 블록 몸체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턱과,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압축공기용 통로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상면과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1개량재료 통로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하면과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개량재료 통로를 포함하는 고정 블록 ;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회전축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환 블록 몸체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과 상기 제2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연결용 통로와,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 개량재료 토출구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를 방사상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상부 개량재료 토출 통로, 상기 제1걸림턱과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자세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에 마련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방향 전환 블록 ;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턱에 걸려 상기 방향 전환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과 함께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결용 통로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 및 상기 제2개량재료 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블록이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턱에 걸려 상기 방향 전환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과 함께 제2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개량재료 상부 토출 통로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AGITATING APPARATUS FOR GROUND IMPROVEMENT}
본 발명은 교반롯드에 의하여 굴착을 수행할 때는 교반롯드의 하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를 토출하고 교반롯드를 인발할 때는 교반롯드의 상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를 토출할 수 있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지반 개량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지반 개량 장치는 개량재료인 몰탈을 교반롯드의 하단에서 토출시키나, 이러한 방식은 굴착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인발시에는 몰탈이 교반날개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관계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아 몰탈과 흙의 교반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육상이나 해상에서 지반 개량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교반롯드를 정회전하면서 굴착을 수행하고 이때 개량재료인 몰탈이나 물을 교반롯드 하부로 토출시키고, 굴착 완료 후 교반롯드를 역회전하면서 인발할 때에는 교반롯드 상부에서 몰탈을 토출시켜 교반날개가 몰탈을 흙과 혼합하여 지반 개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교반롯드의 하부와 교반롯드의 상부에서 개량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기술들이 알려진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546호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2012. 6.12. 등록),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3956171호 "지반개량공법 및 지반개량장치"(2007. 5.18.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들은 교반롯드를 하부를 향하여 굴착할 때 받는 상방향의 압력을 이용하여 몰탈이 하부로 유동하도록 방향 전환 밸브가 조작되어 몰탈이 교반롯드의 하부에서 토출되도록 하고, 교반롯드를 상부를 향하여 인발할 때 받는 하방향의 압력을 이용하여 몰탈이 상부로 유동하도록 방향 전환 밸브가 조작되어 몰탈이 교반롯드의 상부에서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교반롯드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 받는 상하 방향의 압력을 이용하여 방향 전환 밸브를 동작시키는 원리이나, 교반롯드의 상하 이동 거리가 비교적 짧다는 것을 감안할 때 방향 전환 밸브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들은 몰탈을 상하에서 토출할 수 있을 뿐이며 압축공기를 어떻게 분사할 것인지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546호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2012. 6.12. 등록)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3956171호 "지반개량공법 및 지반개량장치"(2007. 5.1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롯드 본체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이용하여 방향 전환 구조가 동작하도록 하여 교반롯드의 하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되거나 교반롯드의 상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되고, 교반롯드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될 때에 교반롯드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지반개량용 재료와 흙의 혼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 이동되면서 회전 동작되고 내부에 지반개량용 재료의 공급을 위한 개량재료 공급관과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이 마련되는 롯드 본체와, 상기 롯드 본체의 외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에 있어서 : 상기 롯드 본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롯드 본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축용 외주면이 형성된 고정 블록 몸체와, 상기 고정 블록 몸체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턱과,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압축공기용 통로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상면과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1개량재료 통로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하면과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개량재료 통로를 포함하는 고정 블록 ;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회전축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환 블록 몸체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과 상기 제2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연결용 통로와,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 개량재료 토출구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를 방사상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상부 개량재료 토출 통로, 상기 제1걸림턱과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자세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에 마련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방향 전환 블록 ;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 몸체는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의 상하방향 각각에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안내링이 형성되며, 상기 전환 블록 몸체는 제1분할 몸체와 제2분할 몸체가 서로 볼트 결합되어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분할 몸체와 상기 제2분할 몸체 각각은 반원통 형태의 반원통부와 상기 반원통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된 볼트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원통부는 상기 상하방향 각각에 형성된 돌출 안내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 결합판의 일부가 상기 제2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블록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턱에 걸려 상기 방향 전환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과 함께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결용 통로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 및 상기 제2개량재료 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블록이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턱에 걸려 상기 방향 전환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과 함께 제2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개량재료 상부 토출 통로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전환 블록 몸체에 수직하게 세워진 판 형태인 수직 저항판과, 상기 수직 저항판을 지지하는 리브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 몸체는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의 상하방향 각각에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안내링이 형성되며, 상기 전환 블록 몸체는 제1분할 몸체와 제2분할 몸체가 서로 볼트 결합되어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분할 몸체와 상기 제2분할 몸체 각각은 반원통 형태의 반원통부와 상기 반원통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된 볼트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원통부는 상기 상하방향 각각에 형성된 돌출 안내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 결합판의 일부가 상기 제2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롯드 본체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이용하여 방향 전환 구조가 동작하도록 하여 교반롯드의 하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되거나 교반롯드의 상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되고, 교반롯드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서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될 때에 교반롯드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지반개량용 재료와 흙의 혼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교반롯드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방향 전환 구조의 정면 개념도,
도 4는 도 3의 고정 블록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기준 단면 개념도,
도 6은 도 3의 방향 전환 블록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제1분할 몸체를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제2분할 몸체를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9는 도 3의 방향 전환 구조가 정회전할 때의 평면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B-B 기준 단면 개념도,
도 11은 도 3의 방향 전환 구조가 역회전할 때의 평면 개념도,
도 12는 도 11의 C-C 기준 단면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교반롯드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방향 전환 구조의 정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의 고정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기준 단면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3의 방향 전환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제1분할 몸체를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제2분할 몸체를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3의 방향 전환 구조가 정회전할 때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0은 도 9의 B-B 기준 단면 개념도이며, 도 11은 도 3의 방향 전환 구조가 역회전할 때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C-C 기준 단면 개념도이다.
본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1)는, 상단이 오거(2)에 결합되어 오거(2)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오거(2)에 의하여 회전 동작하는 오거 롯드(3)를 포함한다.
오거 롯드(3)는, 하부에 배치된 교반롯드(3a)와, 교반롯드(3a)의 상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롯드(3b)를 포함한다.
오거 롯드(3)의 내부에는 몰탈 등의 지반개량용 재료의 공급을 위한 개량재료 공급관(101)과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102)이 마련된다.
따라서 오거 롯드(3)의 상부에서 유입된 지반개량용 재료와 압축공기는 개량재료 공급관(101)과 압축공기 공급관(102)을 따라 오거 롯드(3)의 하단부에서 토출될 수 있다.
즉 연장롯드(3b)의 내부에 개량재료 공급관과 압축공기 공급관이 마련되며, 교반롯드(3a)의 내부에도 개량재료 공급관(101)과 압축공기 공급관(102)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1)는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며,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연장롯드(3b)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교반롯드(3a)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반롯드(3a)는 상하로 연장되는 관 형태의 롯드 본체(100)와, 롯드 본체(100)의 외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교반날개(110)를 포함한다.
롯드 본체(100)의 내부에는 하나의 개량재료 공급관(101)과 한 쌍의 압축공기 공급관(102)이 마련된다.
하나의 개량재료 공급관(101)과 한 쌍의 압축공기 공급관(102)은 롯드 본체(10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되며, 따라서 롯드 본체(100)의 상단부로 개량재료와 압축공기가 유입되며, 롯드 본체(100)의 하단부에서 개량재료가 토출되며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롯드 본체(100) 하단부의 형태는 일반적인 기술이며 매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롯드 본체(100)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방향 전환 구조(200)가 마련된다.
방향 전환 구조(200)는 고정 블록(210)과 방향 전환 블록(22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블록(210)은, 롯드 본체(100)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고정 결합되어 롯드 본체(100)와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다. 즉 고정 블록(210)은 롯드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이다. 고정 블록(210)과 롯드 본체(100)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고정 블록(2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 블록(210)은 고정 블록 몸체(211)와 제1걸림턱(212)를 포함한다.
고정 블록 몸체(211)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축용 외주면(211a)이 형성된다.
회전축용 외주면(211a)의 상하 각각에는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안내링(2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 안내링(211b)은 후술하는 방향 전환 블록(220)의 상하방향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 안내링(211b)에는, 고정 블록 몸체(211)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걸림턱(2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걸림턱(212)은 정회전용 제1걸림턱(212-1)과 역회전용 걸림턱(212-2)으로 구분될 수 있지만, 제1걸림턱(212)의 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고정 블록 몸체(211)의 내부에는 한 쌍의 압축공기용 통로(211c)와, 제1개량재료 통로(211d-1)와 제2개량재료 통로(211d-2)가 형성된다.
압축공기용 통로(211c)는 고정 블록 몸체(211)의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이 상부에 위치한 압축공기 공급관(102)과 연결되며 그 하단이 하부에 위치한 압축공기 공급관(102)과 연결된다.
제1개량재료 통로(211d-1)는 일단이 고정 블록 몸체(211)의 상면과 연통되며 타단이 회전축용 외주면(211a)과 연통된다.
즉 제1개량재료 통로(211d-1)의 일단은 고정 블록 몸체(211)의 상부에 위치한 개량재료 공급관(101)과 연결된다.
제2개량재료 통로(211d-2)는 일단이 고정 블록 몸체(211)의 하면과 연통되며 타단이 회전축용 외주면(211a)과 연통된다.
즉 제2개량재료 통로(211d-2)의 일단은 고정 블록 몸체(211)의 하부에 위치한 개량재료 공급관(101)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고정 블록(210)에 방향 전환 블록(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방향 전환 블록(220)을 설명한다.
방향 전환 블록(220)은 전환 블록 몸체(221)와, 수직 저항판(222)과, 리브(223)를 포함한다.
전환 블록 몸체(221)는, 고정 블록 몸체(211)의 회전축용 외주면(2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례에서 전환 블록 몸체(221)는 반원통 형태의 제1분할 몸체(221-1)와 반원통 형태의 제2분할 몸체(221-2)가 서로 볼트 결합되어 원통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제1,2분할 몸체(221-1, 221-2) 각각은 반원통 형태의 반원통부(221a)와 반원통부(221a)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된 볼트 결합판(2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1분할 몸체(221-1)의 볼트 결합판(221b)과 제2분할 몸체(221-2)의 볼트 결합판(221b)이 서로 볼트 체결(미도시)되어 한 쌍의 반원통부(221a)가 원통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반원통부(221a)는 상하방향 각각에 형성된 돌출 안내링(211b) 사이에 배치된다.
전환 블록 몸체(221)는 그 내주면이 고정 블록 몸체(211)의 회전축용 외주면(211a)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고정 블록 몸체(211)의 회전축용 외주면(211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전환 블록 몸체(221)의 내주면, 구체적으로는 제1분할 몸체(221-1)의 반원통부(221a)의 내주면에 연결용 통로(221c)가 형성된다.
연결용 통로(221c)는, 제1개량재료 통로(211d-1)의 타단과 제2개량재료 통로(211d-2)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전환 블록 몸체(221)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전환 블록 몸체(221)에는 전환 블록 몸체(221)를 방사상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부 개량재료 토출 통로(221d)가 형성된다.
상부 개량재료 토출 통로(221d)는 전환 블록 몸체(2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 개량재료 토출구(221d-1)와 제1개량재료 통로(211d-1)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환 블록 몸체(221)에는, 제1걸림턱(212)과의 간섭에 의하여 전환 블록 몸체(221)의 자세가 변경되도록 제2걸림턱(221b-1)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제2걸림턱(221b-1)은, 볼트 결합판(221b)이 반원통부(221a)보다 상하로 더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볼트 결합판(221b)의 상하로 더 연장된 부위가 제2걸림턱(221b-1)으로 기능하도록 하였다.
즉 볼트 결합판(221b)의 일부가 제2걸림턱(221b-1)을 형성한다.
전환 블록 몸체(221)에 수직 저항판(222)이 마련되며, 수직 저항판(222)을 지지하기 위하여 리브(223)가 마련딘다.
수직 저항판(222)은 수직하게 세워진 판 형태로서, 별도의 외력이 없다면 전환 블록 몸체(221)가 회전되지 않도록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수직 저항판(222)에 의하여 전환 블록 몸체(221)는 특별한 외력이 없는 경우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전환 블록 몸체(221)는 제1걸림턱(212)과 제2걸림턱(221b-1)이 서로 간섭되는 경우에만 고정 블록(210)과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환 블록 몸체(221)가 고정 블록(210)에 대하여 신속하게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직 저항판(222)은 상부 개량재료 토출구(221d-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개량재료 토출구(221d-1)로부터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되는 경우 이를 교반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동을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수직 저항판(222)과 리브(223)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교반롯드(3a)를 정회전하면서 굴착을 수행할 때의 방향 전환 구조(200)의 상태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와 같이 교반롯드(3a)가 제1방향으로 회전(정회전, 시계방향 회전)하면, 고정 블록(210)도 함께 제1방향으로 회전(정회전)한다.
이때 고정 블록(210)의 제1걸림턱(212)이 방향 전환 블록(220)의 제2걸림턱(221b-1)에 걸리면 방향 전환 블록(220)이 고정 블록(210)과 함께 제1방향으로 회전(정회전)한다.
즉 방향 전환 블록(220)이 고정 블록(210)에 대하여 특정 자세를 가지며 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 자세에서 도 10과 같이 방향 전환 블록(220)의 연결용 통로(221c)는 제1개량재료 통로(211d-1) 및 제2개량재료 통로(211d-2)와 연결되어, 몰탈 등의 지반개량용 재료가 제1개량재료 통로(211d-1)로 유입되어 연결용 통로(221c)를 거쳐 제2개량재료 통로(211d-2)를 통하여 하부의 개량재료 공급관(101)로 유출된다.
이에 의하여 교반롯드(3a)의 하단부에서 몰탈 등의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이때 고정 블록(210)의 압축공기용 통로(211c)는 롯드 본체(100)의 압축공기 공급관(102)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교반롯드(3a)의 하단부에서 몰탈 등의 지반개량용 재료가 압축공기와 함께 토출되어 굴착시에 몰탈의 혼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교반롯드(3a)를 역회전하면서 인발을 수행할 때의 방향 전환 구조(200)의 상태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과 같이 교반롯드(3a)가 제2방향으로 회전(역회전, 반시계방향 회전)하면, 고정 블록(210)도 함께 제2방향으로 회전(역회전)한다.
이때 고정 블록(210)의 제1걸림턱(212)이 방향 전환 블록(220)의 제2걸림턱(221b-1)에 걸리면 방향 전환 블록(220)이 고정 블록(210)과 함께 제2방향으로 회전(역회전)한다.
이때의 방향 전환 블록(220)의 고정 블록(210)에 대한 자세는 도 9와 상이하다.
이 자세에서 도 12와 같이 방향 전환 블록(220)의 상부 개량재료 토출 통로(221d)가 제1개량재료 통로(211d-1)에 연결되어, 몰탈 등의 지반개량용 재료가 제1개량재료 통로(211d-1)로 유입되어 상부 개량재료 토출 통로(221d)를 거쳐 상부 개량재료 토출구(221d-1)로 토출된다.
이에 의하여 교반롯드(3a)의 상단부에서 몰탈 등의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이때 고정 블록(210)의 압축공기용 통로(211c)는 롯드 본체(100)의 압축공기 공급관(102)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교반롯드(3a)의 상단부에서 몰탈 등의 지반개량용 재료가 토출되며 교반롯드(3a)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인발시의 몰탈의 혼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만일 수직 저항판(222)이 없다면 제1걸림턱(212)이 제2걸림턱(221b-1)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방향 전환 블록(220)은 고정 블록(2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어, 도 9의 상태에서 도 11의 상태로 신속하게 전환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즉 수직 저항판(222)에 의하여 방향 전환 블록(220)은 고정 블록(210)에 대하여 도 9의 상태에서 도 11의 상태로 신속하게 그 자세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배관이나 밸브가 필요없으며, 교반롯드 제작시 고정 블록과 방향 전환 블록만 추가하면 육/해상의 연약지반 개량작업이나 연속벽 물막이 작업 등에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단축 또는 2축, 3축, 4축 등 모든 작업에 사용이 가능 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2 : 오거
3 : 오거 롯드
3a : 교반롯드 3b : 연장롯드
100 : 롯드 본체
101 : 개량재료 공급관 102 : 압축공기 공급관
110 : 교반날개
200 : 방향 전환 구조
210 : 고정 블록
211 : 고정 블록 몸체 211a : 회전축용 외주면
211b : 돌출 안내링 211c : 압축공기용 통로
211d-1 : 제1개량재료 통로 211d-2 : 제2개량재료 통로
212 : 제1걸림턱
220 : 방향 전환 블록
221 : 전환 블록 몸체 221-1, 221-2 : 제1분할 몸체
221a : 반원통부 221b : 볼트 결합판
221b-1 : 제2걸림턱
221c : 연결용 통로 221d : 상부 개량재료 토출 통로
221d-1 : 상부 개량재료 토출구
222 : 수직 저항판
223 : 리브

Claims (3)

  1. 상하 이동되면서 회전 동작되고 내부에 지반개량용 재료의 공급을 위한 개량재료 공급관과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이 마련되는 롯드 본체와, 상기 롯드 본체의 외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에 있어서 :
    상기 롯드 본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롯드 본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축용 외주면이 형성된 고정 블록 몸체와, 상기 고정 블록 몸체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턱과,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압축공기용 통로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상면과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1개량재료 통로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하면과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개량재료 통로를 포함하는 고정 블록 ;
    상기 고정 블록 몸체의 회전축용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환 블록 몸체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과 상기 제2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연결용 통로와,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 개량재료 토출구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를 방사상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상부 개량재료 토출 통로, 상기 제1걸림턱과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전환 블록 몸체의 자세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환 블록 몸체에 마련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방향 전환 블록 ;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 몸체는 상기 회전축용 외주면의 상하방향 각각에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안내링이 형성되며, 상기 전환 블록 몸체는 제1분할 몸체와 제2분할 몸체가 서로 볼트 결합되어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분할 몸체와 상기 제2분할 몸체 각각은 반원통 형태의 반원통부와 상기 반원통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된 볼트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원통부는 상기 상하방향 각각에 형성된 돌출 안내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 결합판의 일부가 상기 제2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블록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턱에 걸려 상기 방향 전환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과 함께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결용 통로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 및 상기 제2개량재료 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블록이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턱에 걸려 상기 방향 전환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과 함께 제2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개량재료 상부 토출 통로가 상기 제1개량재료 통로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블록 몸체에 수직하게 세워진 판 형태인 수직 저항판과, 상기 수직 저항판을 지지하는 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3. 삭제
KR1020210057125A 2021-05-03 2021-05-03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KR10230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25A KR102306694B1 (ko) 2021-05-03 2021-05-03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25A KR102306694B1 (ko) 2021-05-03 2021-05-03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694B1 true KR102306694B1 (ko) 2021-09-28

Family

ID=7792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125A KR102306694B1 (ko) 2021-05-03 2021-05-03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6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566A (ja) * 1995-09-19 1997-03-25 Takenaka Doboku Co Ltd 地盤改良装置
JPH11124844A (ja) * 1997-10-20 1999-05-11 Onoda Chemico Co Ltd 撹拌ヘッドの薬液吐出口切換装置
JP3956171B2 (ja) 1998-06-03 2007-08-08 小野田ケミコ株式会社 地盤改良工法および地盤改良装置
KR101157546B1 (ko) 2010-11-09 2012-06-18 박성우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JP2020070593A (ja) * 2018-10-30 2020-05-07 株式会社不動テトラ 地盤改良装置及び地盤改良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566A (ja) * 1995-09-19 1997-03-25 Takenaka Doboku Co Ltd 地盤改良装置
JPH11124844A (ja) * 1997-10-20 1999-05-11 Onoda Chemico Co Ltd 撹拌ヘッドの薬液吐出口切換装置
JP3956171B2 (ja) 1998-06-03 2007-08-08 小野田ケミコ株式会社 地盤改良工法および地盤改良装置
KR101157546B1 (ko) 2010-11-09 2012-06-18 박성우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JP2020070593A (ja) * 2018-10-30 2020-05-07 株式会社不動テトラ 地盤改良装置及び地盤改良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4638C (en) Method and trench wall cutting device for making a trench wall in the soil
KR101922032B1 (ko) 지반굴착장치를 이용한 연약지반개량 dcm 장치 및 공법
KR20200108679A (ko) 확장날개가 구비된 연약지반용 굴착교반로드
KR102306694B1 (ko)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CN104746513A (zh) 五轴smw工法桩机一种实施方法
KR102367382B1 (ko)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를 이용한 지반 개량 공법
KR101883328B1 (ko) 지반굴착장치의 투웨이 로타리 싱글 스위벨
JP4461410B2 (ja) トンネル掘削機
JP6854305B2 (ja) 地盤改良装置
JP2008063870A (ja) 掘削ヘッドおよび地盤改良装置
JP2007204983A (ja) 土壌掘削工具用スィベルおよび土壌改良工法
JPH03290585A (ja) 方向制御形クラスタダウンホールドリル掘さく機
JP6710166B2 (ja) 回転ノズル及び該回転ノズルを用いる地盤改良装置並びに地盤改良方法
JP3072411B2 (ja) 地盤改良装置
JP6477624B2 (ja) 機械攪拌地盤改良装置
JP7356530B2 (ja) 高圧噴射撹拌混合装置
JPH0448895B2 (ko)
JP2016156208A (ja) 地盤改良装置
KR200436407Y1 (ko) 심층혼합처리장치를 위한 로드
CN220133901U (zh) 可上下切换喷浆的钻头
KR101514123B1 (ko) 할로우 바 앵커 파일의 시공 시스템 및 이을 이용한 건물 내부나 협소한 장소에서의 기초 말뚝 시공 방법
JP3665306B2 (ja) 地盤改良装置
KR100625645B1 (ko)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KR200319569Y1 (ko)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JPH1060878A (ja) 深層混合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