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565B1 - 이방 도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방 도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65B1
KR102305565B1 KR1020190159439A KR20190159439A KR102305565B1 KR 102305565 B1 KR102305565 B1 KR 102305565B1 KR 1020190159439 A KR1020190159439 A KR 1020190159439A KR 20190159439 A KR20190159439 A KR 20190159439A KR 102305565 B1 KR102305565 B1 KR 10230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
connector
electrically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521A (ko
Inventor
김선기
김형규
박기한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5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유연하고 전기 저항이 낮으며 접합 강도가 우수한 이방 도전 커넥터가 개시된다. 상기 커넥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도전 시트가 연속적으로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전기도전 시트의 반대방향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장자리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기도전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폴리머 원단에 적어도 구리를 포함하는 도금에 의한 금속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이방 도전 커넥터{Anisotropic connector}
본 발명은 이방 도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하고 전기 저항이 낮으며 접합 강도가 우수한 이방 도전 커넥터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회로를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전극에 전기적,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데에는 이방 도전 커넥터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90440호는, 비도전성 탄성 고무층과 금속 포일이 제1방향으로 연속하여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대상물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금속 포일을 상기 대상물 간의 전기적 도전통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성 커넥터 단자를 개시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얇은 두께의 금속 포일을 전극으로 이용함으로써 미세 피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금속 포일의 전기적 특성에 기인하여 전기 도전성 파우더를 실리콘고무 등의 탄성체에 혼합하여 제조한 종래의 이방 도전성 커넥터에 비하여 낮은 전기 저항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다른 종래의 이방 도전성 커넥터로는 일본 후지 폴리머 인더스트리(Fuji Polymer Industries) 사의 제브라(Zebra; 상표명) 커넥터가 있다.
이와 같은 제브라 커넥터의 전기도전 부분에는 통상 가격이 저렴한 도전성 카본이나 가격이 비싼 은(Ag)이 도금된 구리파우더가 실리콘고무에 혼합되어 사용되는데 대략 전기저항이 1ohm 내지 10ohm으로 비교적 높고, 전기저항을 낮추기 위해 도전 파우더를 많이 넣으면 가격이 상승하고 딱딱해져서 누르는 힘이 많이 들고 일정 이상의 폭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미세 패턴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브라 커넥터의 전기도전 부분 및 전기비도전 부분의 경도는 Shore A 60 내지 80 정도이다.
또한, 이러한 제브라 커넥터는 전기도전 부분 및 전기비도전 부분의 모든 부위에 실리콘고무를 사용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잘 늘어나 결과적으로 사용 시 치수의 변형이 용이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에 의하면, 6㎛ 내지 15㎛ 정도의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이나 구리 재질의 금속 포일은 폭 방향으로 유연하지만 이방 도전성 커넥터 단자가 다수의 전기 절연패턴 및 전기 도전패턴을 갖기 위해서는 많은 층의 금속 포일을 적층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다층의 금속 포일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딱딱해져서 이방 도전성 커넥터 단자를 사용 시 누르는 힘이 많이 들고, 양산 시 다수의 적층된 금속 포일을 손상이 적게 절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도전패턴의 폭을 넓게 하기 위해 두꺼운 폭의 금속 포일을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딱딱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금속 포일의 상하면에 액상의 비도전성 탄성 고무를 캐스팅(casting) 또는 인쇄방법 등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 경화하고 이를 다수 적층하고 접착하여 금속 포일과 비도전성 탄성 고무층을 번갈아 형성하기 때문에 금속 포일의 상하면에 형성된 각각의 비도전성 탄성 고무층은 각각의 금속 포일에 의해 각각 격리되어 각각의 금속 포일과 각각의 비도전성 탄성 고무층과의 접착력이 극대화 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저항이 낮고 미세 피치의 구현이 용이한 이방 도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 등의 제조가 용이하고 대향하는 대상물과 전기적 접촉이 신뢰성 있게 잘 되는 이방 도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폭이나 높이 방향에서 누르는 힘이 적게 들고 부드러우면서 길이 방향으로는 잘 늘어나지 않는 이방 도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도전층과 전기비도전층의 접합 강도가 큰 이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도전 시트가 연속적으로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전기도전 시트의 반대방향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장자리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기전도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폴리머 원단에 적어도 구리를 포함하는 도금에 의한 금속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도전 시트가 연속적으로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전기도전 시트의 반대방향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장자리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기전도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폴리머 원단에 적어도 구리를 포함하는 도금에 의한 금속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금속층도 상기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개구(aperture)를 구비하여, 상기 금속층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는 고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개구를 침투하여 상기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는 고무층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도전 시트가 연속적으로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전기도전 시트의 반대방향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장자리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기전도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폴리머 원단에 적어도 구리를 포함하는 도금에 의한 금속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금속층도 상기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개구(aperture)를 구비하여, 상기 금속층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는 고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개구를 침투하여 상기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는 고무층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층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개구(aperture)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원단의 형상은 직물, 편물, 부직물 또는 니팅물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탄성 고무층은 실리콘고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리 위에는 주석 도금층, 은 도금층, 니켈 도금층 또는 니켈 도금층과 금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도전 시트의 두께는 탄성 고무층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가장자리의 절단면에, 상기 원단의 절단 부분을 포함하여 접촉 금속층이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금은 무전해 도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 금속층 위에는 적어도 금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 금속층은 상기 탄성 고무층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방 도전 커넥터는 사각형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상의 고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금속층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얇고 부드러운 두께가 얇은 폴리머 원단에 적어도 구리를 포함한 무전해 도금한 전기도전 시트를 사용하여 전기 저항이 낮으며 미세 피치를 구현하기 쉽고 폭이나 높이 방향에서 누르는 힘이 적게 들며 부드럽고 길이 방향으로는 잘 늘어나지 않는 이방 도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챔버에 액상의 고무를 채워서 몸체를 제조하고, 전기도전 시트의 적층체는 칼날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되므로 이방 도전 커넥터의 제조가 용이하고, 전기도전 시트의 폴리머 원단의 절단면에 접촉 금속층이 형성되어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촉하는 절단면의 전기저항이 작고 절단면의 풀림이나 마모가 적어 대향하는 대상물과 신뢰성있는 전기접촉을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전도 시트의 액상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도전 시트의 개구로 유입되어 액상의 고무가 전기도전 시트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접착하여 경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기전도 시트를 사이에 두고 양쪽의 고무층이 서로 연결되어 접착하여 결과적으로 전기전도 시트와 고무층이 강하게 접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방 도전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이방 도전 커넥터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방 도전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방 도전 커넥터를 나타낸다.
이방 도전 커넥터(100)는,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110)과 전기도전 시트(120)가 연속적으로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데, 전기도전 시트(120)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이방 도전 커넥터(100)는 단일 몸체를 이룬다.
전기도전 시트(120)의 가장자리의 절단면(125)이 외부에 노출되는데, 이 실시 예에서는 모든 가장자리의 절단면(125)이 노출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반대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절단면(125)도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고무층(110)은, 잘 알려진 것처럼, 실리콘고무나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전기절연이다.
탄성 고무층(110)의 경도는 높이 방향에서 누르는 힘이 적게 들도록 Shore A 40 내지 65일 수 있고 고무층(110)은 기본적으로는 비발포이나 누르는 힘을 보다 낮게하기 위해서는 발포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110)이 탄성 지지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기도전 시트(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전기도전 시트(120)는 대향하는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도전 시트(120)는 시트(120)의 폭이 얇아도 낮은 전기저항을 가질 수 있어 미세 피치를 구현하기 쉽고, 전기도전 시트(120)의 베이스로 미세 구멍이 형성된 원단(Fabric)을 사용함으로써 폭 및 두께 방향으로 적은 외부의 힘에 의해 잘 눌리거나 변형되기 용이하다.
여기서,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은 원단의 신축성에 의해 일부 늘어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원단이 없는 경우보다는 잘 늘어나지 않으며 원단의 종류 및 고무층(110)의 재료 및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방 도전 커넥터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전기도전 시트(120)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폴리머 원단(121)을 베이스로 하는데, 원단(121)은 직물, 편물, 부직포 또는 니팅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또는 다른 폴리머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이 실시 예에서, 원단(121)은 경사(122)와 위사(123)가 서로 교차하여 직조됨으로써 형성되는데, 직조되는 경사(122)와 위사(123) 사이에는 불규칙한 크기의 미세 구멍이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미세 구멍은 바람직하게 제조 원가를 줄이면서 제조가 용이하게 원단이 직조 되면서 갖는 다수의 구멍을 의미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머 원단(121)의 두께는 유연성, 압축력, 피치및 제조 원가 등을 고려하여 0.01㎜ 내지 0.1㎜일 수 있다.
원단(121)은 바람직하게 전기절연일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전면에 금속층(124)이 침지(함침)에 의한 무전해 도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층(124)은 비교적 두께가 얇아 경사(122)와 위사(123)가 직조에 의해 형성되는 윤곽을 따라 형성되어 유사한 윤곽을 이룰 수 있다.
이하, 금속층(124)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롤로 된 원단(121)의 표면을 세정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적어도 구리를 포함한 전해액에 침지하여 무전해 도금을 하여 연속하여 구리 도금층을 형성한다.
구리 도금층의 두께는 대략 0.001㎜ 내지 0.004㎜이고 구리 도금층에 의해 전기저항이 작아진다.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유연성이 있는 폴리머 원단(121)에 무전해 도금할 경우 폴리머 원단과 구리 등의 금속의 밀착력이 중요한데, 무전해 구리 도금 전에 폴리머 원단(121)의 표면을 에칭한 후 니켈을 얇게 도금한 후 구리 도금을 하면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구리를 포함한 도금액에 폴리머 원단(121)을 침지하여 무전해 도금을 수행함으로써, 폴리머 원단(121)의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직조 사이의 미세 구멍으로 구리 도금액이 침투하여 서로 연결되어 구리 도금층의 밀착력이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폴리머 원단(110)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미세 구멍의 측면 모두에 구리 도금층이 형성된다.
구리 도금액에 폴리머 원단(121)을 침지하여 무전해 도금을 수행함으로써, 폴리머 원단(121)의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직조 사이의 미세 구멍으로 구리 도금액이 침투하여 도금되고 도금된 후에도 도금의 두께가 얇으므로 전기도전 시트(120)는 두께 방향으로 미세 구멍(aperture)이 다수 존재한다.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 전기도전 시트(120)는 금속층(124)이 형성되어도 두께 방향으로는 미세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두께 방향으로 액상의 고무액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은 롤-투-롤로 연속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만 수행하여 금속층(124)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리 도금층(124) 위에는 니켈 도금층 이외에 구리 도금층을 보호하기 위해 주석 도금층, 은 도금층, 또는 니켈도금층과 금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층(124)의 전기저항은 상면과 하면이 모두 0.1ohm/ㅁ 이하이고 두께 방향으로도 0.1ohm 이하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기도전 시트(120)를 이용하여 이방 도전 커넥터(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일정한 부피를 갖는 내부에 불소가 코팅된 챔버(Chamber) 내에 분리 지그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다수의 전기도전 시트(120)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하는데, 각각의 전기도전 시트(120)는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팽팽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커넥터(100)가 일정 이상의 기계적 강도 및 탄성 복원력을 갖기 위하여 전기도전 시트(120) 간의 이격 간격, 즉, 탄성 고무층(110)의 폭은 전기도전 시트(120)의 두께보다 넓을 수 있다.
전기도전 시트(120)의 배치는 수직이나 수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110)에 대응하는 전기비도전의 액상의 실리콘 고무를 챔버 내에 주입한다.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전기도전 시트(120) 사이로 액상의 실리콘 고무가 유입되어 챔버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열, 습기 또는 촉매 등에 의해 액상의 실리콘 고무가 경화되면 탄성 고무층(110)과 전기도전 시트(120)와 접착되어 단일의 몸체를 형성한다.
단일의 몸체를 챔버로부터 분리한 후 몸체를 전기도전 시트(120)와 경화된 고무층(110)이 연속하여 반복되어 구성되도록 기설정된 크기로 절단하여 일정 크기의 이방 도전 커넥터(100)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넥터(100)는 사각형 형상이고 치수는, 일 예로, 폭 × 높이 × 길이가 2㎜ × 1.5㎜ × 10㎜일 수 있다.
이때, 액상의 고무가 전기도전 시트(120)의 다수의 미세 구멍으로 유입되어 전기도전 시트(12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서로 연결되게 결합함으로써 액상의 고무에 의해 형성되는 고무층(110)과 전기전도 시트(120)의 접합 강도가 증가한다.
즉, 전기도전 시트(120)의 두께방향으로는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액상의 고무가 구멍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후 경화되어 고상의 고무층(110)으로 될 수 있다.
액상의 고무는 경화 후 시트(120)와 접착력을 갖고 미세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점도와 점성을 갖는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전기도전 시트(120)에 액상의 고무를 캐스팅하고 경화하여 복합시트를 만든 후 이 복합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액상의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여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전기도전 시트(120)의 미세 구멍에는 액상의 고무가 스며든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층(124)의 두께가 매우 두껍거나 액상의 고무의 점도가 매우 높거나 또는 액상의 고무 대신에 고상의 고무를 고무층(110)으로 사용하여 고무층(110)이 미세 구멍을 통과하지 않고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방 도전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원하는 치수의 이방 도전 커넥터(100)를 제조하기 위해 몸체를 절단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전기도전 시트(120)의 절단 부분(절단면)은 최외각층에는 도금에 의한 금속층(124)이 형성되었으나 중간부분은 금속층(124)이 형성되지 않아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촉 시 전기저항이 비교적 크고 외부의 힘에 의해 올이 풀리거나 마모될 수 있어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저하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확대한 원안에 도시한 것처럼, 절단된 섬유, 즉 경사(122)나 위사(123)의 아주 작은 부분이라도 금속층(124)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이 부분이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촉하여 전기접촉저항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금속층(124)은 경사(122)나 위사(123)의 외부에만 도금에 의해 형성되고 원단(121)이 절단되면 절단면의 일부와 원단(121)의 경사(122)나 위사(123)가 겹치는 부분의 일부는 금속층(124)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 예와 같이 원단(121)의 외부로 노출된 절단된 경사(122)나 위사(123) 부분을 포함하여 가장자리의 절단면(125)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적어도 구리를 포함하는 접촉 도금층(130)을 형성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단(121)의 절단면(125) 모두에 접촉 도금층(130)을 추가로 형성하면 이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좋아져 외부의 힘에 의한 손상이 적고 전기저항이 낮아져 대향하는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신뢰성 있게 접촉할 수 있다. 즉, 접촉 도금층(130)은 외부로 노출된 금속층(124)과도 연결되고 금속층(124)이 형성되지 않은 절단된 원사의 중앙부분 및 경사(122)나 위사(123)의 겹친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접촉 도금층(130)을 탄성 고무층(110)보다 약간이라도 높이 돌출되게 형성하여 대상물과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촉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촉 도금층(130)은 적어도 구리를 포함하는 무전해 도금에 의해 이루어지고 외부 환경의 변화가 적게 최외각층은 금 도금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 도금층(130)은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일정크기로 절단된 이방 도전 커넥터(100)를 적어도 구리가 포함된 도금액에 넣어 벌크(bulk) 도금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접촉 도금층(130)을 추가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금속층(124)의 두께를 가능한 범위에서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문제점, 예들 들어 전기접촉저항을 낮추고 마모가 적게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금속층(124)은 탄성 고무층(110) 내부에서 탄성 고무층(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전기도전 시트(120)와 탄성 고무층(110)이 분리되지 않고 부드럽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방 도전 커넥터
110: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
120: 전기도전 시트
130: 접촉 도금층

Claims (14)

  1.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전기비도전 탄성 고무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도전 시트가 연속적으로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고무층은, 상기 전기도전 시트가 함침되도록 액상의 고무가 상기 전기도전 시트 사이로 유입되고 경화되고,
    상기 전기도전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폴리머 원단에 적어도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을 도금하여 형성된 금속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도전 시트의 반대방향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장자리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금속층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금속층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미세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금속층의 양측에 적층된 고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미세 구멍을 침투하여 상기 양측의 고무층이 서로 연결되고 결합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폴리머 원단의 형상은 직물, 편물, 부직물 또는 니팅물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탄성 고무층은 실리콘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
  4. 청구항 1에서,
    상기 구리 위에는 주석 도금층, 은 도금층, 니켈 도금층 또는 니켈 도금층과 금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기도전 시트의 두께는 탄성 고무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
  6. 청구항 1에서,
    상기 한 쌍의 가장자리의 절단면에, 상기 원단의 절단 부분을 포함하여 접촉 금속층이 도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
  7. 삭제
  8. 청구항 6에서,
    상기 접촉 금속층 위에는 적어도 금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
  9. 청구항 6에서,
    상기 접촉 금속층은 상기 탄성 고무층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일정한 부피를 갖는 챔버(Chamber) 내에 분리 지그를 이용하여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폴리머 원단에 적어도 구리를 포함하는 도금에 의한 금속층이 형성된 다수의 전기도전 시트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각 전기도전 시트의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팽팽하게 하는 단계;
    전기비도전의 액상의 고무를 상기 전기도전 시트를 함침할 수 있게 상기 챔버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액상의 고무가 상기 전기도전 시트 사이로 유입된 후 경화되어 단일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일 몸체를 챔버로부터 분리한 후 전기도전 시트와 경화된 고무층이 연속하여 반복되어 구성되도록 기설정된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액상의 고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금속층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를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도전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190159439A 2019-12-03 2019-12-03 이방 도전 커넥터 KR10230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439A KR102305565B1 (ko) 2019-12-03 2019-12-03 이방 도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439A KR102305565B1 (ko) 2019-12-03 2019-12-03 이방 도전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521A KR20210069521A (ko) 2021-06-11
KR102305565B1 true KR102305565B1 (ko) 2021-09-27

Family

ID=7637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439A KR102305565B1 (ko) 2019-12-03 2019-12-03 이방 도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152B1 (ko) * 2021-07-01 2024-01-1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접속용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40Y1 (ko) * 2005-04-14 2005-07-22 조인셋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커넥터 단자
JP2011113891A (ja) * 2009-11-27 2011-06-09 Sagami Shokai:Kk 多接点コネクターとしての導電接続材
KR102043098B1 (ko) * 2018-05-04 2019-11-11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도전성 원사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2126B1 (en) * 1997-09-08 2001-04-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Woven mesh interconn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40Y1 (ko) * 2005-04-14 2005-07-22 조인셋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커넥터 단자
JP2011113891A (ja) * 2009-11-27 2011-06-09 Sagami Shokai:Kk 多接点コネクターとしての導電接続材
KR102043098B1 (ko) * 2018-05-04 2019-11-11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도전성 원사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521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5700A (en) Interconnectors
US5121297A (en) Flexible printed circuits
KR100993253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US10026565B2 (en) Switch contact element and its preparation method
KR101022037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CN216531943U (zh) 层叠体
KR102305565B1 (ko) 이방 도전 커넥터
KR200390440Y1 (ko) 이방 도전성 커넥터 단자
CN111034371A (zh) 柔性印刷电路板
JPH0737433A (ja) 導電性エラスチック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243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8203583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903661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KR101665715B1 (ko) 필름형 전기적 접속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0340277A (ja) インター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24991B2 (ko)
KR20170135627A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JP6904740B2 (ja) 電気コネク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45025A (ja) 異方導電性コネクタ
JPS62501458A (ja) 積層弾性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96415B2 (ja) 導電性エラスチック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214043448U (zh) 一种无溢胶的橡胶和金属复合型电触点
JPH0417282A (ja) 異方導電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0013024A (ja) 多層板の製造方法、及び多層板製造用平板
CN216873414U (zh) 一种柔性加热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