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507B1 -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 Google Patents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07B1
KR102305507B1 KR1020200076117A KR20200076117A KR102305507B1 KR 102305507 B1 KR102305507 B1 KR 102305507B1 KR 1020200076117 A KR1020200076117 A KR 1020200076117A KR 20200076117 A KR20200076117 A KR 20200076117A KR 102305507 B1 KR102305507 B1 KR 10230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bus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김형팔
Original Assignee
김태영
김형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김형팔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20007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02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시동 상태에서 전동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켜 도어 압력 탱크에 에어를 저장하여 도어의 개폐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력의 손실을 보충하고, 도어 압력 탱크에 저장된 에어로 탑승자의 신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며, 에어와 소독수가 저장된 소독수 저장 용기의 소독수를 분사기로 탑승자의 신체로 분사하여 탑승자 신체를 방역하고, 소독수 저장 용기의 소독수를 진동자로 안개화시켜 버스 내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별도의 인력없이도 내부 방역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BUS WITH NON-MOTORIZED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DISINFECTION}
본 발명은 버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시동 상태에서 전동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켜 도어 압력 탱크에 압축공기를 저장하여 도어의 개폐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력의 손실을 보충하고 도어 압력 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로 탑승자의 신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며 소독수가 저장된 저장 용기의 소독수를 분사기로 탑승자의 신체로 분사하여 탑승자 신체를 방역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 용기의 소독수를 진동자로 안개화시켜 버스 내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별도의 인력없이도 내부 방역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도어는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계되는 데, 이와 같이 버스 도어의 자동 개폐를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5056호(2003.12.19. 공개)에는 버스용 도어의 개페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된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용 도어의 개페 장치는 엔진 구동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공기 압축기가 구동 되고 압축된 공기는 에어탱크(1)에 충진된다. 이때, 실린더(2)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저하되거나 과도한 압력이 되지 않도록 압축 보호 밸브(3)와, 도어 개폐스위치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압력 보호 밸브(3)로부터의 공기의 출입을 제어하여 도어(4)를 개폐하는 한 쌍의 개방 및 폐쇄용 마그네틱 밸브(5, 6)와 상기 개방 및 폐쇄용 마그네틱 밸브(5, 6)에 각각 연결되어 도어 실린더(2)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개방 및 폐쇄용 속도 조절 밸브(7, 8)를 포함하는 버스용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실린더(2)와 상기 개방 및 폐쇄용 속도 조절 밸브(7, 8)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 실린더(2) 내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에어탱크(1)에서 도어 실린더(2)로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비상시 도어(4)의 개방시 비상 도어 개폐스위치를 작동시켜 차단된 공기의 흐름을 전기적으로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1, 21)를 내장한 프로텍션 밸브(10, 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대부분의 버스는 에어실린더를 사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에어실린더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에어탱크와 에어컴프레셔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는 엔진과 연결되어 구동한다.
한편, 각종 집회에 출동하거나 장시간 경계 업무를 수행하는 경찰들은 수송 버스를 지정된 장소에 장시간 정차시켜 놓고 대기하거나 교대로 그 업무를 수행해오고 있다. 이렇게 시동을 끈채로 장시간 대기하는 경우, 대기자의 빈번한 출입으로 도어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도어 개폐 과정에서 공기 압력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정차하여 정지된 상태에서는 구동되지 않는 엔진 때문에 에어컴프레셔도 구동하지 않으므로 손실되는 만큼의 공기압력을 압력탱크에 보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엔진이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차례 도어를 여닫게 되면 결국에는 압력탱크 내부의 공기압력이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필요한 압력 이하로 떨어지므로 도어를 여닫을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엔진과 함께 에어컴프레셔를 구동시켜 손실된 공기압력을 보충한다면 도어의 개폐가 다시 가능하게 되긴 하지만, 이 경우 손실된 공기압력이 보충될 때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긴급한 개폐가 어렵다는 단점과, 엔진의 구동으로 인해 연료낭비 및 대기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의 창궐로 인하여 사람간의 전염이 확산되고 이에 따라 인류의 삶과 사회, 경제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런데 버스에 탑승하는 탑승자에 대하여 별도의 방역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방역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50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시동 상태에서 전동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켜 도어 압력 탱크에 압축공기를 저장하여 도어의 개폐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력의 손실을 보충하고 압축공기가 분사기를 통해 탑승자에게 분사하여 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으며, 분사기를 통해 소독수를 비말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여 탑승자 신체의 이물질 제거와 방역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독수를 저장하는 용기에 진동자를 설치해서 소독수를 안개화시킨 후, 버스 내부로 배출토록 하여 안개화된 소독수에 의해 버스 내부를 방역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버스 내부를 방역하기 위해 별도의 인력을 구성하지 않아도 되고 버스의 에어컨 덕트등과 같은 내부 깊숙한 부분까지 방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엔진과 연동하여 구동하여 공기를 발생하는 엔진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엔진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내의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에어 드라이어와; 상기 에어 드라이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분배하는 프로덕션 밸브와; 복수개가 병렬 설치되어 상기 프로덕션 밸브로부터 분배되는 공기를 저장하여 에어서스펜션, 에어브레이크 및 시트 에어서스펜션에 공급하는 복수의 에어탱크와; 1개가 단독으로 설치되어 상기 프로덕션 밸브로부터 분배되는 공기를 저장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용 에어실린더에 공급하는 도어용 에어탱크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공기를 발생하여 상기 도어용 에어탱크에 저장하는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와;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와 도어용 에어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필터와; 소독수가 저장되는 소독수 저장 용기; 및 상기 도어용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시키거나 압축공기와 함께, 상기 소독수 저장 용기의 소독수를 분사하여 방역을 수행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용 에어탱크는 상기 프로덕션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 1, 2체크 밸브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도어용 에어탱크는 상기 프로덕션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와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기준 압력으로 저장되도록 전단에 감압밸브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에어를 발생시키는 전동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전동 에어컴프레셔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틱 스위치; 및 상기 함체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냉각팬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전동 에어컴프레셔는 버스에 설치된 태양광 ESS 또는 도로에 설치된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수 저장 용기는 소독수가 각각 저장되는 2개의 공간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공간의 소독수가 다른 하나의 공간으로 수위차에 의해 배출되도록 이들 사이에 배출구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공간 저부에 진동자가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공간에 저장된 소독수를 상기 분사기로 공급하여 탑승자가 버스 내부로 입장시 방역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공간에서 상기 진동자가 소독수를 안개화시키면, 안개화된 소독수가 버스 내부로 배출되어 내부 방역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분사기에는 전환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전환 레버를 회동시킨 후, 손잡이를 움켜쥐면 소독수가 압축공기에 의해 비말 형태로 분출되고 회동된 전환레버를 재 위치로 회동하여 변경하면 압축공기만 분사되면서 탑승자의 신발이나 피복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분사기는 에어 스프레이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무시동 도어 개폐수단을 갖는 버스에 따르면, 무시동 상태에서 전동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켜 도어 압력 탱크에 압축공기를 저장하므로서 도어 개폐에 의해 손실되는 압축 공기를 보충할 수 있게 되고, 도어 압력 탱크와 연결된 분사기로 탑승자에게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고 분사기의 전환레버에 의해 소독수를 비말 형태로 분출되게 분사하여 탑승자의 피복등을 방역할 수 있게 되므로서 별도의 동력 없이 압축공기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독수만을 배출하여 할 수 있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독수 저장 용기에 설치된 진동자에 의해 안개화된 소독수를 버스 내부로 분출되게 하므로서 버스 실내는 물론, 에어컨 덕트 내부와 같이 인력으로 하지 못하는 구석진 곳까지도 완벽게 방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버스 실내를 방역하기 위해 별도의 인력을 충원하지 않아도 되므로 방역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용 도어의 개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중 소독수 저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중 스프레이 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중 소독수 저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100)는 엔진 에어컴프레셔(110)와, 오일 세퍼레이터(120)와, 에어 드라이어(130)와, 프로덕션 밸브(140)와, 에어탱크(150)와, 도어용 에어탱크(160)와,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170)와, 수분 필터(180)와, 소독수 저장 용기(190) 및 분사기(G)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엔진 에어컴프레셔(110)는 버스의 엔진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것으로서, 시동을 켜고 엔진이 구동할 때에 구동하면서 에어를 발생한다.
그리고, 오일 세퍼레이터(120)는 엔진 에어컴프레셔(1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오일을 분리하여 제거한다. 이때, 엔진 에어컴프레셔(11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송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 중의 오일이 포함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오일을 에어탱크(150) 및 도어용 에어탱크(160)로 공급하기 전에 제거한다.
또한, 에어 드라이어(130)는 오일 세퍼레이터(120)로부터 오일이 분리되어 공급되는 에어의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 프로덕션 밸브(140)는 에어 드라이어(130)로부터 수분 및 이물질이 제거되어 공급되는 에어를 분배한다. 이때, 프로덕션 밸브(140)는 압력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하면서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데, 각각의 에어탱크(150)로 에어를 일정하게 저장하고, 도어용 에어탱크(160)로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서스펜션(A), 에어브레이크(B), 시트 에어서스펜션(C) 및 도어용 에어실린더(D)로 에어를 원활하게 공급한다.
이어서, 에어탱크(150)는 복수개가 병렬 설치되어 프로덕션 밸브(140)로부터 분배되는 에어를 저장하여 에어서스펜션(A), 에어브레이크(B) 및 시트 에어서스펜션(C)에 공급한다.
그리고, 도어용 에어탱크(160)는 1개가 단독으로 설치되어 프로덕션 밸브(140)로부터 분배되는 에어를 저장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용 에어실린더(D)에 공급한다. 이때, 도어용 에어탱크(160)는 프로덕션 밸브(14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와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17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역류를 방지하여 전동 에어컴프레셔(173)의 작동시 도어용 에어탱크(160)로 공급되는 에어의 손실을 막기 위한 제 1, 2체크 밸브(CV1, CV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덕션 밸브(14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와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17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기준 압력으로 저장되도록 전단에 감압밸브(PV)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어용 에어실린더(D)의 작동은 운전석에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17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에어를 발생하여 도어용 에어탱크(160)에 저장한다.
그리고,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170)는 버스의 하부 또는 적재 공간 등에 설치되는 함체(171)와, 함체(171)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에어를 발생시키는 전동 에어컴프레셔(173)와, 전동 에어컴프레셔(173)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틱 스위치(175) 및 함체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냉각팬(177)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동 에어컴프레셔(173)는 버스에 별도로 설치된 태양광 ESS 또는 도로의 가로등 등에 설치된 분전반으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때, 태양광 ESS가 버스에 설치되는 경우 태양광 패널이 차체 지붕에 밀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투명 재질로 창문 유리창을 대체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동 에어컴프레셔(173)는 버스의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외부 전원을 연결한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분 필터(180)는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170)와 도어용 에어탱크(160)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17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수분을 제거한다.
이어서, 소독수 저장 용기(190)는 버스 실내 또는 화물 적재 공간 등에 설치되어 소독수가 저장되는 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수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수가 각각 저장되는 2개의 공간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공간의 소독수가 다른 하나의 공간으로 수위차에 의해 배출되도록 이들 사이에 배출구(191)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공간 저부에 진동자(193)가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공간에 저장된 소독수를 분사기(G)로 공급하여 탑승자가 버스 내부로 입장시 방역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공간에서 진동자(193)가 소독수를 안개화시키면, 안개화된 소독수가 버스 내부로 배출되어 내부 방역을 수행한다. 이때, 안개화된 소독수는 덕트(미도시) 등을 통해 버스 내부와 연통되어 별도의 동력없이 안개화된 소독수가 버스 내부로 배출되어 내부 방역이 이루어지고, 진동자(193)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버튼(미도시)과, 분무량을 제어하는 노브(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독수를 자체 생산하기 위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소독수를 직접 생산할 수도 있는 데,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원은 운행시에는 자체 전원을 이용하고, 엔진을 끈 상태에서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사기(G)는 2웨이 방식으로 전환 레버(L)가 구비되어 전환 레버(L)를 일측으로 전환시켜 탑승자의 신발이나 옷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를 분사한 후 전환 레버(L)를 타측으로 전환시켜 탑승자 신체에 에어와 소독수를 동시에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한다. 이때, 분사기(G)는 스프레이 건인 것이 바람직하고, 코일 형태의 에어호스가 연결되어 길이 신장이 가능해서 원하는 위치에 방역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중 스프레이 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먼저, 버스의 엔진이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엔진 에어컴프레셔(110)에 의해 에어탱크(150)로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에어서스펜션(A), 에어브레이크(B), 시트 에어서스펜션(C) 및 도어용 에어실린더(D)로 에어를 공급하여 동작시킨다.
반대로, 차량의 엔진이 정지한 상태인 무시동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가 수차례 반복되는 경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170)를 동작시켜 에어를 도어용 에어탱크(160)에 저장해서 사용함으로써 무시동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력의 손실을 보충할 수 있어 무시동 상태에서도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여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탑승자의 소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분사기(G)의 전환 레버(L)를 일측으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움켜잡으면 도어용 에어탱크(160)의 에어가 분사기(G)를 통해 분사되고, 분사된 에어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신발이나 옷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 분사기(G)의 전환 레버(L)를 일측으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움켜잡으면 탑승자 신체에 에어와 소독수가 동시에 분사되면서 방역을 수행한다.
또한, 버스 내부의 방역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진동자(193)가 소독수를 안개화시키면, 내부 압력에 의해 안개화된 소독수, 즉 운무가 버스 내부로 배출되어 내부 방역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엔진 에어컴프레셔 120 : 오일 세퍼레이터
130 : 에어 드라이어 140 : 프로덕션 밸브
150 : 에어탱크 160 : 도어용 에어탱크
170 :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 180 : 수분 필터
190 : 소독수 저장 용기 G : 스프레이 건

Claims (8)

  1. 엔진과 연동하여 구동하여 에어를 발생하는 엔진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엔진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내의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수분을 제거하는 에어 드라이어와;
    상기 에어 드라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분배하는 프로덕션 밸브와;
    복수개가 병렬 설치되어 상기 프로덕션 밸브로부터 분배되는 에어를 저장하여 에어서스펜션, 에어브레이크 및 시트 에어서스펜션에 공급하는 복수의 에어탱크와;
    1개가 단독으로 설치되어 상기 프로덕션 밸브로부터 분배되는 에어를 저장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용 에어실린더에 공급하는 도어용 에어탱크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에어를 발생하여 상기 도어용 에어탱크에 저장하는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와;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와 도어용 에어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필터와;
    소독수가 저장되는 소독수 저장 용기; 및
    상기 도어용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시키거나 에어와 함께 상기 소독수 저장 용기의 소독수를 분사하여 방역을 수행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에어탱크는,
    상기 프로덕션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와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 1, 2체크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에어탱크는,
    상기 프로덕션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와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기준 압력으로 저장되도록 전단에 감압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에어 발생유니트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에어를 발생시키는 전동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전동 에어컴프레셔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틱 스위치; 및
    상기 함체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냉각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에어컴프레셔는,
    버스에 설치된 태양광 ESS 또는 도로에 설치된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 저장 용기는,
    소독수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 저장 용기는,
    소독수가 각각 저장되는 2개의 공간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공간의 소독수가 다른 하나의 공간으로 수위차에 의해 배출되도록 이들 사이에 배출구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공간 저부에 진동자가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공간에 저장된 소독수를 상기 분사기로 공급하여 탑승자가 버스 내부로 입장시 방역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공간에서 상기 진동자가 소독수를 안개화시키면, 안개화된 소독수가 버스 내부로 배출되어 내부 방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전환 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전환 레버를 일측으로 전환시켜 탑승자의 신발이나 옷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압축 공기를 분사한 후 상기 전환 레버를 타측으로 전환시켜 탑승자 신체에 에어와 소독수를 동시에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하는 스프레이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KR1020200076117A 2020-06-23 2020-06-23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KR10230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17A KR102305507B1 (ko) 2020-06-23 2020-06-23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17A KR102305507B1 (ko) 2020-06-23 2020-06-23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507B1 true KR102305507B1 (ko) 2021-09-27

Family

ID=7792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117A KR102305507B1 (ko) 2020-06-23 2020-06-23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50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000A (ko) * 1997-09-20 1999-04-06 전주범 에어백 시스템
KR200151153Y1 (ko) * 1996-12-20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비상용 에어 콤프레샤
KR100257312B1 (ko) * 1996-09-11 2000-06-01 정몽규 차량용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축 공기 보조장치
KR20030095056A (ko) 2002-06-1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도어의 개폐 장치
KR100816770B1 (ko) * 2007-05-16 2008-03-25 이용구 차량의 교류전원 겸용 냉방시스템
KR20100097968A (ko) * 2009-02-27 2010-09-06 신민호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20140070862A (ko) * 2012-11-28 2014-06-1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먼지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KR101784475B1 (ko) * 2017-05-17 2017-10-11 김태영 차량 난방 시스템
KR20190026388A (ko) * 2017-09-05 2019-03-13 박종현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장치 및 그를 갖는 차량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312B1 (ko) * 1996-09-11 2000-06-01 정몽규 차량용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축 공기 보조장치
KR200151153Y1 (ko) * 1996-12-20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비상용 에어 콤프레샤
KR19990026000A (ko) * 1997-09-20 1999-04-06 전주범 에어백 시스템
KR20030095056A (ko) 2002-06-1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도어의 개폐 장치
KR100816770B1 (ko) * 2007-05-16 2008-03-25 이용구 차량의 교류전원 겸용 냉방시스템
KR20100097968A (ko) * 2009-02-27 2010-09-06 신민호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20140070862A (ko) * 2012-11-28 2014-06-1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먼지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KR101784475B1 (ko) * 2017-05-17 2017-10-11 김태영 차량 난방 시스템
KR20190026388A (ko) * 2017-09-05 2019-03-13 박종현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장치 및 그를 갖는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1898C (zh) 粉尘减少装置
US5497914A (en) Car care self-service device
US2008028362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liminating microbial growth and preventing odors in vehicle hvac systems and passenger cabin and truck environments
US2012026436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ir in a vehicle interior
US20070125520A1 (en)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8018283A1 (fr) Système générateur d'ions embarqué
KR102305507B1 (ko)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WO200802516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liminating and preventing vehicle odors
CN202088844U (zh) 一种汽车芳香空调装置
US20210260229A1 (en) Sanitizing System for Vehicle
CN212654319U (zh) 一种特种车辆消洗中心
KR101756381B1 (ko) 차량용 산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5067B1 (ko) 자동세차기의 방향제 분사장치
CN112263704A (zh) 消毒杀菌风道
JPH08104232A (ja) 列車トイレ消臭装置
JP7477318B2 (ja) 塵芥収集車
GB2131541A (en) Ventilation system,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 interiors, with an integrated filter for the separation of harmful substances
JP2010058641A (ja) 車両用表示装置
CN110722956A (zh) 一种空调自清洗系统及方法
KR101515884B1 (ko) 차량용 향기 발산장치
JPH10250360A (ja) 乗物内部の空気で運ばれる汚染物質を減少させる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乗物
CN117048298A (zh) 用于对车辆内部进行消毒的设备和方法
KR20090023813A (ko) 자동차 내장형 세척시스템
EP1354736B1 (en) Motor vehicle with means for changing the air inside the cabin
JP2010100220A (ja) 車室内用静電霧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