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258B1 - 빗물 펌핑시스템 - Google Patents

빗물 펌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258B1
KR102305258B1 KR1020210022231A KR20210022231A KR102305258B1 KR 102305258 B1 KR102305258 B1 KR 102305258B1 KR 1020210022231 A KR1020210022231 A KR 1020210022231A KR 20210022231 A KR20210022231 A KR 20210022231A KR 102305258 B1 KR102305258 B1 KR 10230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umping
control unit
main control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구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선우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선우
Priority to KR102021002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빗물 펌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펌핑수단으로 펌핑명령신호를 보내고, 펌핑정보를 수신받아 펌핑수단의 동작유무를 체크하는 주제어수단(3)과; 상기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우수저류조 내부 일측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펌핑명령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펌핑명령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펌핑수단(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빗물 펌핑시스템{Rainwater Pumping System}
본 발명은 빗물 펌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빗물 펌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산 좋고 물 좋은 나라로 알려져 있으며 수자원도 풍부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현재 우리나라는 물부족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 정도로 지구 전체의 평균 880mm에 비하여 많지만 우리는 매년 물 걱정을 하면서 살아간다. 이러한 이유는 말할 것도 없이 비가 여름철에 집중되기 때문이며, 그나마 울릉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는 여름철 3개월 동안의 강수량이 일 년 동안 내리는 양의 절반을 초과한다. 심지어 어떤 날에는 한 달 치의 강수량이 쏟아지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지층은 표토층이 얇아 자연담수능력이 열악한 조건에서도 1965년 이후 매년 용수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나 생활용수의 사용은 32배가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러 UN에서 정한 물부족 국가로 지정되어 있고, 앞으로 인구의 증가나 산업발전 및 농경에 소요되는 물의 양이 증가할 것을 감안하면 수자원 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임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물 부족 현상에 대비하여 공급을 늘리기 위해 여름철 집중적으로 내리는 비를 모아둘 수 있는 다목적댐건설이 필요하나 물 보존을 위한 댐 건설은 지역을 선정하는 데에 현실적 애로가 있어 매우 어렵고, 건설에 따르는 수자원 개발단가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공급 일변도의 수자원 개발정책을 추진하기가 어려운 상황에 있다.
한편, 앞으로 중수도(中水道,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ing System) 개념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할 필요성이 있고, 중수도 개념을 좀 더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도시 또는 지역별로 빗물재활용 시스템을 구축하여 소요 수자원량을 감소시키는 방법도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수도의 개념 또는 빗물재활용 방안을 도입한다 해도 회수나 이송을 위한 현재의 상, 하수관과는 별도의 배관설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막대한 비용을 감안하면 즉각적인 도입은 어려울 것으로 예견되며, 따라서 우리나라도 중수도나 빗물재활용 개념을 장기적 대책으로 설정하고 영업용 건물이라든지 제조공장, 일부 지역 등에 우선적으로 적용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일반 가정에까지 확산시키는 단계적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는 정책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2013년 05월 29일자 출원번호 제10-2013-0060760호(발명의 명칭 : 빗물을 집수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가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1를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 비점오염원이 높은 초기우수를 배제한 빗물을 유입관(115)을 통해 받아 침강시키는 집수조(120); 상기 집수조(120)에서 이물질이 침강된 빗물을 펌핑하여 저장하는 저류조(140); 상기 저류조(140)내의 빗물을 펌핑하여 잡용수용 필터부(150)를 통해 정화한 다음, 사용자가 원할 때 바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제1정수조(180); 상기 잡용수용 필터부(150)를 통해 정화한 용수를 다시 음용수용 필터부(160)를 통해 정화하여 사용자가 원할때 바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제2정수조(190); 상기 집수조(120), 저류조(140), 제1정수조(180) 및 제2정수조(19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00); 상기 유입관(115)의 입구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빗물이 들어오는 분기통(113)에 설치되는 탁도계(116); 및 상기 분기통(113)의 하부로 연장되어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탁도계(116)의 설정된 탁도에 따라 상기 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유입조절밸브(11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에서 펌프(P1)에 연결된 펌핑관이 집수조(또는 우수저류조)(120)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집수조(120) 내부로 침전물(흙 또는 쓰레기 등)이 한꺼번에 많이 유입될 경우 침전물에 의해 펌핑관이 잠길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전물에 의해 펌핑관이 잠길 경우 집수조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집수조(또는 우수저류조)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빗물 펌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은,
원격지에서 펌핑수단으로 펌핑명령신호를 보내고, 펌핑정보를 수신받아 펌핑수단의 동작유무를 체크하는 주제어수단(3)과; 상기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우수저류조 내부 일측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펌핑명령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펌핑명령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펌핑수단(5)을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수단(3)과 펌핑수단(5)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주제어수단(3)은, 주제어부(7)와; 상기 주제어부(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통신부(9)와; 상기 주제어부(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펌핑수단(5)의 동작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펌핑수단(5)의 동작유무를 체크하는 펌핑수단동작체크부(11)를 포함하며, 상기 펌핑수단(5)은,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가이드바(13)와; 상기 제1수직가이드바(1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가이드바(15)를 포함한 빗물 펌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수단(3)은,
시간운전모드버튼과 자동운전모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간운전모드버튼은 펌핑수단(5)을 시간운전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고, 자동운전모드버튼은 펌핑수단(5)을 자동운전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펌핑수단(5)은,
상기 제1수직가이드바(13) 일측 및 제2수직가이드바(15) 일측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부재(17)와;
상기 수평부재(17)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빗물의 부력에 의해 수평부재가 빗물에 떠있도록 도와 주는 제1부표부레(19)와;
상기 제1부표부레(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수평부재(17)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빗물의 부력에 의해 수평부재가 빗물에 떠있도록 도와 주는 제2부표부레(21)와;
상기 수평부재(17)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제어부(23)와;
상기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통신부(24)와;
상기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수평부재(17)의 상, 하 슬라이딩에 따라 움직이는 거치대(25)와;
상기 거치대(25) 끝단부에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측정센서(27)와;
상기 거치대(2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깨끗한 빗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깨끗한 빗물을 방류호스로 보내는 펌프(29)와;
상기 펌프(29)의 일측에 연결되어 펌프로부터 펌핑되어져 오는 깨끗한 빗물을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방류호스(31)와;
상기 거치대(25)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탁도측정센서(27) 일측 및 펌프(29) 일측에 전기적으로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탁도측정센서(27) 및 펌프(29)의 동작을 감지하는 보조동작감지부(33)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탁도측정센서(27)는,
광을 송신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광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5)은,
타이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이머는 시간운전모드버튼에서 설정된 시간을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함으로써,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펑핌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도 2의 주제어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b는 도 2의 펌핑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2의 빗물 펌핑시스템이 우수저류조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펑핌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는 도 2의 주제어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b는 도 2의 펌핑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의 빗물 펌핑시스템이 우수저류조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1)은,
원격지에서 펌핑수단으로 펌핑명령신호를 보내고, 펌핑정보를 수신받아 펌핑수단의 동작유무를 체크하는 주제어수단(3)과;
상기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우수저류조 내부 일측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펌핑명령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펌핑명령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펌핑수단(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제어수단(3)과 펌핑수단(5)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좀 더 설명하면,
상기 주제어수단(3)은,
주제어부(7)와;
상기 주제어부(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통신부(9)와;
상기 주제어부(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펌핑수단(5)의 동작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펌핑수단(5)의 동작유무를 체크하는 펌핑수단동작체크부(1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주제어수단(3)은 시간운전모드버튼(도시는 생략함)과 자동운전모드버튼(도시는 생략함)과 펌프 온/오프버튼(도시는 생략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시간운전모드버튼은 펌핑수단(5)을 시간운전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고, 자동운전모드버튼은 펌핑수단(5)을 자동운전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프 온/오프버튼은 펌프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핑수단(5)은,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가이드바(13)와;
상기 제1수직가이드바(1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가이드바(15)와;
상기 제1수직가이드바(13) 일측 및 제2수직가이드바(15) 일측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부재(17)와;
상기 수평부재(17)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빗물의 부력에 의해 수평부재가 빗물에 떠있도록 도와 주는 제1부표부레(19)와;
상기 제1부표부레(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수평부재(17)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빗물의 부력에 의해 수평부재가 빗물에 떠있도록 도와 주는 제2부표부레(21)와;
상기 수평부재(17)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제어부(23)와;
상기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통신부(24)와;
상기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수평부재(17)의 상, 하 슬라이딩에 따라 움직이는 거치대(25)와;
상기 거치대(25) 끝단부에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측정센서(27)와;
상기 거치대(2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깨끗한 빗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깨끗한 빗물을 방류호스로 보내는 펌프(29)와;
상기 펌프(29)의 일측에 연결되어 펌프로부터 펌핑되어져 오는 깨끗한 빗물을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방류호스(31)와;
상기 거치대(25)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탁도측정센서(27) 일측 및 펌프(29) 일측에 전기적으로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탁도측정센서(27) 및 펌프(29)의 동작을 감지하는 보조동작감지부(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탁도측정센서(27)는 광송신부와 광수신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송신부와 광수신부의 간격은 사용자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한편, 상기 펌핑수단(5)은 타이머(도시는 생략함)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는 시간운전모드버튼에서 설정된 시간을 수신받는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1)의 설치과정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1)의 설치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원격지에 주제어부(7)와 주통신부(9)와 펌핑수단동작체크부(11)를 포함한 주제어수단(3)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제1수직가이드바(13)와 제2수직가이드바(15)와 수평부재(17)와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와 보조제어부(23)와 보조통신부(24)와 거치대(25)와 탁도측정센서(27)와 펌프(29)와 방류호스(31)와 보조동작감지부(33)를 포함한 펌핑수단(5)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탁도측정센서(27)는 광송신부와 광수신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송신부와 광수신부의 간격은 사용자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상기 우수저류조(12) 내부에 펌핑수단(5)을 설치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제1수직가이드바(13)를 설치한 후, 상기 제1수직가이드바(1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제2수직가이드바(1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가이드바(13) 일측 및 제2수직가이드바(15) 일측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평부재(17)를 설치한 후, 수평부재(17)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제1부표부레(19)를 설치하고, 제1부표부레(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수평부재(17)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제2부표부레(21)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17) 일측에 보조제어부(23)를 설치한 후, 보조제어부(23)에 보조통신부(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수평부재(17)의 상, 하 슬라이딩에 따라 움직이는 거치대(25)를 설치한 후, 거치대(25) 끝단부에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측정센서(27)를 설치한 후, 보조제어부(23)에 탁도측정센서(2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2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깨끗한 빗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깨끗한 빗물을 방류호스로 보내는 펌프(29)를 설치한 후, 보조제어부(23)에 펌프(29)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29)의 일측에 방류호스(31)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방류호스(31)는 펌프(29)로부터 펌핑되어져 오는 깨끗한 빗물을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25) 일측에 보조동작감지부(33)를 설치한 후, 보조동작감지부(33)를 탁도측정센서(27) 일측 및 펌프(29) 일측에 전기적으로 설치하고, 보조제어부(23)에 보조동작감지부(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보조제어부(23)에 타이머(도시는 생략함)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탁도측정센서(27)는 광송신부와 광수신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펌핑시스템(1)의 동작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우수저류조(12)로 빗물이 들어오면, 빗물의 부력이 높아지는 바, 높아지는 부력에 의해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는 상승한다.
상기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의 상승에 의해, 수평부재(17)는 제1수직가이드바(13) 및 제2수직가이드바(15)를 타고 수직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17)가 상승한 후, 사용자가 주제어수단(3)에서 시간운전모드버튼(도시는 생략함)을 누르면,
주제어부(7)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간운전으로 전환하는 바,
사용자는 펌프 운전시간을 설정한 후, 펌프 온/오프버튼(도시는 생략함)에서 펌프 온을 누른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펌프 온을 누르면, 주제어부(7)는 주통신부(9)로 펌프 온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주통신부(9)는 보조통신부(24)로 펌프 온 신호 즉, 펌핑명령신호와 함께 펌프 운전시간을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조통신부(24)는 수신된 펌핑명령신호와 펌프 운전시간을 보조제어부(23)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조제어부(23)는 펌핑명령신호를 펌프(29)로 보내고, 펌프 운전시간을 타이머를 보낸다.
상기 펌프(29)는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을 함과 동시에 우수저류조(12)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물을 펌프(29)에 연결된 방류호스(31)로 보낸다. 이때, 상기 방류호스(31)는 외부로 빠르게 물을 방류한다.
상기와 같이 방류호스(31)가 우수저류조(12)에 저장된 빗물을 방류하면, 우수저류조(12)의 수위가 낮아지는 바,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빗물의 부력이 낮아지고, 낮아지는 부력에 의해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는 하강한다.
상기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의 하강에 의해, 수평부재(17)는 제1수직가이드바(13) 및 제2수직가이드바(15)를 타고 수직으로 하강한다. 이때,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 설치된 거치대(25)도 하강하고, 거치대(25) 하강에 따라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측정센서(27)도 하강한다.
한편, 상기 타이머는 펌프(29)의 운전시간을 체킹하고, 체킹 후, 펌프(20)의 운전 정지시간이면, 보조제어부(23)로 펌프(29)의 운전 정지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조제어부(23)는 펌프(29)로 운전 정지신호를 보낸다. 이때, 펌프(29)는 운전을 정지한다.
만약, 시간운전모드에서 펌프(29)가 운전하고 있는데, 펌프(29)의 운전을 정지하고자 할 경우 펌프 온/오프버튼에서 펌프 오프를 누른다.
상기와 같이 펌프 오프를 누르면, 펌프(29)의 운전은 정지한다.
제2실시예
우수저류조(12)로 빗물이 들어오면, 빗물의 부력이 높아지는 바, 높아지는 부력에 의해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는 상승한다.
상기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의 상승에 의해, 수평부재(17)는 제1수직가이드바(13) 및 제2수직가이드바(15)를 타고 수직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17)가 상승한 후, 사용자가 주제어수단(3)에서 자동운전모드버튼(도시는 생략함)을 누르면,
주제어부(7)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운전으로 전환하는 바,
상기 주제어부(7)는 주통신부(9)로 펌프 온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주통신부(9)는 보조통신부(24)로 펌프 온 신호 즉, 펌핑명령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조통신부(24)는 수신된 펌핑명령신호를 보조제어부(23)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조제어부(23)는 수신된 펌핑명령신호에 따라 광송신부와 광수신부를 포함한 탁도측정센서(27)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탁도측정센서(27)는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탁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탁도측정값을 보조제어부(23)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조제어부(23)는 기 설정된 탁도값과 측정된 탁도측정값을 비교한 후, 측정된 탁도측정값이 기 설정된 탁도값보다 낮을 경우(즉, 침전물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 펌프(2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펌프(29)는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을 함과 동시에 우수저류조(12)에 저장된 깨끗한 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깨끗한 물을 펌프(29)에 연결된 방류호스(31)로 보낸다. 이때, 상기 방류호스(31)는 외부로 빠르게 깨끗한 물을 방류한다.
상기와 같이 방류호스(31)가 우수저류조(12)에 저장된 깨끗한 빗물을 방류하면, 우수저류조(12)의 수위가 낮아지는 바,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빗물의 부력이 낮아지고, 낮아지는 부력에 의해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는 하강한다.
상기 제1부표부레(19)와 제2부표부레(21)의 하강에 의해, 수평부재(17)는 제1수직가이드바(13) 및 제2수직가이드바(15)를 타고 수직으로 하강한다. 이때,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 설치된 거치대(25)도 하강하고, 거치대(25) 하강에 따라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측정센서(27)도 하강한다.
만약, 측정된 탁도측정값이 기 설정된 탁도값보다 높을 경우(즉, 침전물이 검출된 것으로 간주) 펌프(2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펌프(29)는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을 정지한다. 이때, 상기 펌프(29)의 운전 정지에 따라 방류호스(31)는 물을 방류하지 못한다.
한편, 자동운전모드에서 펌프(29)가 운전하고 있는데, 펌프(29)의 운전을 정지하고자 할 경우 펌프 온/오프버튼에서 펌프 오프를 누른다.
상기와 같이 펌프 오프를 누르면, 펌프(29)의 운전은 정지한다.
다른 한편, 상기 보조제어부(23)는 보조동작감지부(33)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보조동작감지부(33)는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탁도측정센서(27) 및 펌프(29)의 동작을 감지한 후, 감지된 동작감지값을 보조제어부(23)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조제어부(23)는 감지된 동작감지값을 보조통신부(24)로 보낸다.
상기 보조통신부(24)는 감지된 동작감지값을 주통신부(9)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주통신부(9)는 감지된 동작감지값을 주제어부(7)로 보낸다. 이때, 주제어부(7)는 감지된 동작감지값을 펌핑수단동작체크부(11)로 보낸다.
상기 펌핑수단동작체크부(11)는 주제어부(7)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펌핑수단(5)의 동작정보 즉, 탁도측정센서(27) 및 펌프(29)의 동작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펌핑수단(5)의 동작유무를 체크한다.
다시 말해, 상기 펌핑수단동작체크부(11)는 주제어부(7)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동작값과 수신된 동작값을 비교한 후, 수신된 동작값이 기 설정된 동작값보다 작으면(즉, 탁도측정센서(27) 또는 펌프(29)가 고장된 것으로 간주),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고장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의 고장신호를 확인 후, 탁도측정센서(27) 또는 펌프(29)의 고장을 수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빗물 펌핑시스템
3 : 주제어수단
5 : 펌핑수단
7 : 주제어부
9 : 주통신부
11 : 펌핑수단동작체크부
12 : 우수저류조
13 : 제1수직가이드바
15 : 제2수직가이드바
17 : 수평부재
19 : 제1부표부레
21 : 제2부표부레
23 : 보조제어부
24 : 보조통신부
25 : 거치대
27 : 탁도측정센서
29 : 펌프
31 : 방류호스
33 : 보조동작감지부

Claims (4)

  1. 원격지에서 펌핑수단으로 펌핑명령신호를 보내고, 펌핑정보를 수신받아 펌핑수단의 동작유무를 체크하는 주제어수단(3)과; 상기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우수저류조 내부 일측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제어수단(3)으로부터 펌핑명령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펌핑명령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빗물 중 깨끗한 빗물만을 빠르게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펌핑수단(5)을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수단(3)과 펌핑수단(5)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주제어수단(3)은, 주제어부(7)와; 상기 주제어부(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통신부(9)와; 상기 주제어부(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펌핑수단(5)의 동작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펌핑수단(5)의 동작유무를 체크하는 펌핑수단동작체크부(11)를 포함하며, 상기 펌핑수단(5)은,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가이드바(13)와; 상기 제1수직가이드바(1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우수저류조(12)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가이드바(15)를 포함한 빗물 펌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수단(3)은,
    시간운전모드버튼과 자동운전모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간운전모드버튼은 펌핑수단(5)을 시간운전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고, 자동운전모드버튼은 펌핑수단(5)을 자동운전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펌핑수단(5)은,
    상기 제1수직가이드바(13) 일측 및 제2수직가이드바(15) 일측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부재(17)와;
    상기 수평부재(17)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빗물의 부력에 의해 수평부재가 빗물에 떠있도록 도와 주는 제1부표부레(19)와;
    상기 제1부표부레(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수평부재(17)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빗물의 부력에 의해 수평부재가 빗물에 떠있도록 도와 주는 제2부표부레(21)와;
    상기 수평부재(17)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제어부(23)와;
    상기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통신부(24)와;
    상기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수평부재(17)의 상, 하 슬라이딩에 따라 움직이는 거치대(25)와;
    상기 거치대(25) 끝단부에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측정센서(27)와;
    상기 거치대(2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부재(17)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수저류조(12) 내부에 저장된 깨끗한 빗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깨끗한 빗물을 방류호스로 보내는 펌프(29)와;
    상기 펌프(29)의 일측에 연결되어 펌프로부터 펌핑되어져 오는 깨끗한 빗물을 외부로 방류하여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방류호스(31)와;
    상기 거치대(25)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탁도측정센서(27) 일측 및 펌프(29) 일측에 전기적으로 설치되되, 보조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제어부(23)의 제어신호에 따라 탁도측정센서(27) 및 펌프(29)의 동작을 감지하는 보조동작감지부(33)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탁도측정센서(27)는,
    광을 송신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5)은,
    타이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이머는 시간운전모드버튼에서 설정된 시간을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펌핑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22231A 2021-02-19 2021-02-19 빗물 펌핑시스템 KR10230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31A KR102305258B1 (ko) 2021-02-19 2021-02-19 빗물 펌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31A KR102305258B1 (ko) 2021-02-19 2021-02-19 빗물 펌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258B1 true KR102305258B1 (ko) 2021-09-27

Family

ID=7792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231A KR102305258B1 (ko) 2021-02-19 2021-02-19 빗물 펌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2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20Y1 (ko) * 2004-11-05 2005-03-11 주식회사 새암기술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KR20150121311A (ko) * 2014-04-18 2015-10-2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다항목 수질 측정 장치
KR101619176B1 (ko) * 2015-03-12 2016-05-10 주식회사 아이메디슨 고정형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20Y1 (ko) * 2004-11-05 2005-03-11 주식회사 새암기술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KR20150121311A (ko) * 2014-04-18 2015-10-2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다항목 수질 측정 장치
KR101619176B1 (ko) * 2015-03-12 2016-05-10 주식회사 아이메디슨 고정형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64884U (zh) 一种简易排水管道堵塞的报警装置
JP2017145680A (ja) 初期雨水除去装置とこれを備えた雨水タンク装置、雨水タンク装置の通信ネットワーク、初期雨水除去方法
JP2009108534A (ja) 雨水貯留施設、および雨水貯留施設の監視・管理システム
KR102305258B1 (ko) 빗물 펌핑시스템
CN201137174Y (zh) 楼层节水系统
CN208486354U (zh) 泵房积水检测报警及废水利用装置
CN106930397A (zh) 一种可以在干旱期内持续处理初期雨水的生物滞留池
KR101313936B1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CN105735423A (zh) 一种消防给水排水系统
CN105064452A (zh) 雨水弃流收集存储与溢流、防倒流一体控制装置
CN106499043B (zh) 弃流池
KR101740555B1 (ko)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CN207109865U (zh) 一种多功能排水井盖结构
CN209162980U (zh) 雨水污水分流装置
CN211948651U (zh) 施工现场绿色施工水资源综合回收及利用系统
KR200295999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CN112957780A (zh) 滤池进水自控节水装置
CN203531044U (zh) 屋顶雨水的回收净化与分级再利用装置
CN209011284U (zh) 一种双弃流雨水分离装置
CN206616660U (zh) 一种雨水弃流装置
AU2007231812A1 (en) Rain water reclaiming system
JPH09151492A (ja) 湧水利用装置
CN215442258U (zh) 一种透水铺装道路蓄水结构
Sendanayake Potential for Domestic Rooftop Rainwater Harvesting in the District of Colombo, Sri Lanka
CN110180255A (zh) 一种废水回收利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