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420Y1 -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420Y1
KR200377420Y1 KR20-2004-0031309U KR20040031309U KR200377420Y1 KR 200377420 Y1 KR200377420 Y1 KR 200377420Y1 KR 20040031309 U KR20040031309 U KR 20040031309U KR 200377420 Y1 KR200377420 Y1 KR 200377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oyancy
buoyancy body
pump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암기술
정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암기술, 정천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암기술
Priority to KR20-2004-0031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3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3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 E03B3/3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of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bstract

본 고안은 취수장에 설치되어 정수장에 원수를 공급시키기 위한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는 펌프(20), 부력체(30), 슬라이딩 바(40) 및 위치조절유니트(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펌프(20)는 취수장의 수중에 위치되어 정수장으로 연장되는 송수관(22)에 접속되어 취수장의 원수를 정수장으로 공급시킨다. 부력체(30)는 취수장의 수면상으로 부상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딩 바(40)는 일측이 펌프(20)에 결합되고, 부력체(30)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타측이 부력체(30)를 통해 부력체(30)의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위치조절유니트(50)는 부력체(30)상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바(40)와 접속되어 슬라이딩 바(40)를 부력체(3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켜 펌프(20)의 수중 위치를 조절한다.

Description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Buoyancy Automatic Water Intake Apparatus}
본 고안은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취수장에 설치되어 정수장에 원수를 공급시키기 위한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98105호 "취수장용 송수관의 밸브제어 장치"는 취수장내의 물이 혼탁할 경우 송수관의 밸브를 차단시키고 오염되지 않은 물만이 정수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취수장용 송수관의 밸브제어 장치는 송수관이 위치한 수질이 탁하여 송수관의 입구를 닫아 오염된 물이 정수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를 취수장의 수면으로 띄우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아래에 고정대에 의해 고정되고 일측면에 망체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며 송수관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서 감속모터와 축봉이 조립되면서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송수관의 입구에 위치하며 물 속의 탁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컨트롤 패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취수장에서 물을 취수할 때 취수장치를 이용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송수관에서 자연유하로 정수장으로 급수가 가능하게 하거나, 취수장이 정수장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 경우에는 펌프를 이용하여 원수를 공급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취수장용 송수관의 밸브제어 장치는 취수장내의 물이 혼탁할 경우 오염된 물이 정수장으로 이송되는 것을 막는데는 효과적이다.
한편 취수장의 수질변화는 각 지역 및 환경 조건에 따라 수심이 결정된다. 따라서 최적의 원수를 취수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 및 환경 조건에 따라 원수를 취수하는 위치를 조정해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위치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변화게 되므로 필요시 원수를 취수하는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취수장치는 위치가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취수장치의 위치 조정이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제안된 것으로, 취수장 내의 수심에 따라 질이 다른 원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취수장에 설치되어 정수장에 원수를 공급시키기 위한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장의 수중에 위치되어 상기 정수장으로 연장되는 송수관(22)에 접속되어 상기 취수장의 원수를 상기 정수장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펌프(20)와; 상기 취수장의 수면상으로 부상되도록 설치되는 부력체(30)와; 일측이 상기 펌프(20)에 결합되고, 상기 부력체(30)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타측이 상기 부력체(30)를 통해 상기 부력체(30)의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슬라이딩 바(40) 및; 상기 부력체(30)상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40)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40)를 상기 부력체(3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펌프(20)의 수중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유니트(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서 상기 위치조절유니트(50)는 상기 펌프(20) 및 위치조절유니트(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위치조절유니트(5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제어기(62) 및; 상기 원격제어기(62)와 무선으로 접속되어 상기 원격제어기(62)에서 송출된 원격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6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바(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조절유니트(50)는 상기 부력체(30)의 상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바(40)를 고정하는 커넥팅 브라켓(54) 및, 상기 부력체(30)상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팅 브라켓(54)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52, 5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취수장 내의 수심에 따라 질이 다른 원수를 펌프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깨끗한 수질의 원수를 선별하여 취수할 수 있는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는 펌프(20), 부력체(30), 슬라이딩 바(40) 및 위치조절유니트(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의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는 특별히 설계된 슬라이딩 바(40)와 위치조절유니트(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펌프(20)는 일반적으로 원수를 취수하여 정수장으로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용량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적용된다. 이 펌프(20)에는 정수장으로 연장되는 송수관(22)이 접속된다. 물론 송수관(22)의 접속구조는 일반적인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펌프(20)는 부력체(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딩 바(40)에 의해 고정되고, 그 위치가 설정된다. 슬라이딩 바(40)는 부력체(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슬라이딩 바(40)가 부력체(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은 이 분야의 다양한 기술을 통해 적용할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에서는 일반적인 연마봉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바(40)를 구성하였으며, 부력체(40)상에 홀을 내고, 그 홀상에 슬라이딩 바(40)가 위치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바(40)는 부력체(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위치조절유니트(5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펌프(20)는 실질적으로 위치조절유니트(50)에 그 위치가 고정되고, 조절되는 것이다. 위치조절유니트(50)는 후술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적용하여 슬라이딩 바(4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펌프(20)는 원수를 취수하기 위한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 도 3 참조)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다. 특히 본 고안은 제어부(60)에 원격제어기(62)와 무선수신부(64)를 설치하여 관리자가 원격지에서도 펌프(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원격제어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 따르면, 취수장의 수중에서 원수를 취수하는 펌프의 위치를 언제든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지역 및 환경조건에 따라 바뀌는 수질에 맞추어 깨끗한 수질의 원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구성과 작용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인 위치조절유니트 및 슬라이딩 바의 기술적 요소를 일반적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 적용한 형태이므로, 그 외 부력체, 펌프, 송수관, 제어부 등의 구성 및 그 작용효과는 일반적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도면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는 펌프(20), 부력체(30), 슬라이딩 바(40), 실린더(52), 커넥팅 브라켓(5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펌프(20)는 고정 브라켓(42)에 의해 슬라이딩 바(40)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바(40)는 펌프(40)와 수송관(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로 설치된다. 펌프(20)가 일측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바(40)는 부력체(30)의 상부에서 타측이 커넥팅 브라켓(54)으로 연결되고 고정된다. 이와 같은 커넥팅 브라켓(54)은 실린더(52)에 결합되어 양측의 슬라이딩 바(40)가 일정하게 상하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는 취수장(상수원)에서 원수를 취수할 때 용존산소량이 가장 많은 맑고 깨끗한 원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평균적으로 용존산소량이 가장 많은 지점은 평상시의 환경조건에서 수면으로부터 3m ~ 4m정도인데, 본 고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는 평상시에는 이와 같은 수면을 유지하고, 환경조건이 바뀌는 경우 실린더(52)를 작동시켜 슬라이딩 바(4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므로써 펌프(20)의 수중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는 펌프(20), 부력체(30), 슬라이딩 바(40), 모터형 윈치박스(52'), 커넥팅 브라켓(54), 제어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는 부력체(30)의 상부에 제어부(60)가 구성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전기의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위치조절유니트(50)의 액추에이터를 모터형 윈치박스(52')로 적용하고, 그를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전기의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는 부력체(30)에 바로 지지되는 실린더(52)를 액추에이터로 사용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부력체(30)상에서 제어부(60)의 주위로 설치되는 서포팅 컬럼(58)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되는 모터형 윈치박스(52')를 적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모터형 윈치박스(52')는 체인을 모터로 감고 풀어서 커넥팅 브라켓(54)을 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이때 커넥팅 브라켓(54)은 커넥팅 라인(56)에 의해 슬라이딩 바(40)와 연결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32는 부력체(30)의 주위에 설치되어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밸런스 부력체(32)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의 작용 및 효과는 전기의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10')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 의하면, 취수장의 수중에서 원수를 취수하는 펌프의 위치를 언제든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지역 및 환경조건에 따라 바뀌는 수질에 맞추어 깨끗한 수질의 원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10" :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20 : 펌프
22 : 송수관 30 : 부력체
32 : 밸런스 부력체 40 : 슬라이딩 바
42 : 고정 브라켓 50 : 위치조절유니트
52 : 실린더 52' : 모터형 윈치박스
54 : 커넥팅 브라켓 56 : 커넥팅 라인
58 : 서포팅 컬럼 60 : 제어부
62 : 원격제어기 64 : 무선수신부

Claims (3)

  1. 취수장에 설치되어 정수장에 원수를 공급시키기 위한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장의 수중에 위치되어 상기 정수장으로 연장되는 송수관(22)에 접속되어 상기 취수장의 원수를 상기 정수장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펌프(20)와;
    상기 취수장의 수면상으로 부상되도록 설치되는 부력체(30)와;
    일측이 상기 펌프(20)에 결합되고, 상기 부력체(30)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타측이 상기 부력체(30)를 통해 상기 부력체(30)의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슬라이딩 바(40) 및;
    상기 부력체(30)상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40)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40)를 상기 부력체(3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펌프(20)의 수중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유니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유니트(50)는 상기 펌프(20) 및 위치조절유니트(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위치조절유니트(5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제어기(62) 및;
    상기 원격제어기(62)와 무선으로 접속되어 상기 원격제어기(62)에서 송출된 원격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조절유니트(50)는 상기 부력체(30)의 상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바(40)를 고정하는 커넥팅 브라켓(54) 및,
    상기 부력체(30)상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팅 브라켓(54)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52, 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KR20-2004-0031309U 2004-11-05 2004-11-05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KR200377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309U KR200377420Y1 (ko) 2004-11-05 2004-11-05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309U KR200377420Y1 (ko) 2004-11-05 2004-11-05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420Y1 true KR200377420Y1 (ko) 2005-03-11

Family

ID=4367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309U KR200377420Y1 (ko) 2004-11-05 2004-11-05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4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000A (ko) * 2013-09-30 2015-04-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전플랜트의 냉각수 취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전플랜트
KR101619176B1 (ko) * 2015-03-12 2016-05-10 주식회사 아이메디슨 고정형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KR102305258B1 (ko) * 2021-02-19 2021-09-27 유한회사 선우 빗물 펌핑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000A (ko) * 2013-09-30 2015-04-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전플랜트의 냉각수 취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전플랜트
KR102201247B1 (ko) * 2013-09-30 2021-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전플랜트의 냉각수 취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전플랜트
KR101619176B1 (ko) * 2015-03-12 2016-05-10 주식회사 아이메디슨 고정형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KR102305258B1 (ko) * 2021-02-19 2021-09-27 유한회사 선우 빗물 펌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0151A1 (en) Irrigation gate system
KR100799351B1 (ko) 수문용 권양장치
NO20054997L (no) Overflatestromningskontrollert ventil og silror
KR200377420Y1 (ko)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US10053829B2 (en) Flashboard riser system and method for water management
JP3110832U (ja) 水田用自動水位調整装置
CN113074120A (zh) 一种钢厂节能改造用循环水泵
FR2856160B1 (fr) Methode de controle automatique pour positionner l'extremite inferieure d'une structure filiforme, notamment une conduite petroliere, en mer
CN112024482A (zh) 一种温室棚顶清洗机清洁驱动系统及方法
KR200395119Y1 (ko) 관로 탐사차량의 높이조절장치
KR100361098B1 (ko) 플로트밸브의 부력조절장치
KR100957839B1 (ko) 차수봉 자동 승강장치
KR101049987B1 (ko) 제진기
CN11072681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供水检测装置
KR200198105Y1 (ko) 취수장용 송수관의 밸브제어 장치
KR101453362B1 (ko) 차집관거의 다기능 유량조절장치
CN210186610U (zh) 一种液压油滤芯清洗装置
CN212263959U (zh) 一种温室棚顶清洗机清洁驱动系统
KR20150124161A (ko)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CN2918563Y (zh) 感应式马桶排水阀
CN116658240A (zh) 一种隧道结晶处理设备
CN219401499U (zh) 一种氨水脱硝输送设备
JP2000009039A (ja) 水位追従式水中ポンプ
JP7096636B2 (ja) 排水栓及び排水栓を用いた圃場の水管理方法
CN213599354U (zh) 锅炉自动补水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