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588B1 -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588B1
KR102303588B1 KR1020210009849A KR20210009849A KR102303588B1 KR 102303588 B1 KR102303588 B1 KR 102303588B1 KR 1020210009849 A KR1020210009849 A KR 1020210009849A KR 20210009849 A KR20210009849 A KR 20210009849A KR 102303588 B1 KR102303588 B1 KR 10230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gear
switchboard
unit
informa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관
이현
Original Assignee
심재관
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관, 이현 filed Critical 심재관
Priority to KR102021000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은 수배전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지역별·시간별 화재발생현황,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현황을 포함하는 OPEN API에 의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점검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들에 의해 전력기기의 이상유무를 감지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예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 및 수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진 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배전반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른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 및 예상함으로써, 수배전반의 긴급점검 또는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수배전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Switchgear control system using bigdata}
본 발명은 수배전반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지역별·시간별 화재발생현황,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현황을 포함하는 OPEN API에 의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점검자에게 통보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전이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받는 것을 말하고, 배전이란, 각각의 수용가에 필요로 하는 만큼의 전력량으로 분배해 주는 것을 말한다. 수배전반이란, 전력기기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용 판넬로서, 발전설비로 생산된 전기를 수용가(아파트, 공장 등)까지 보내주는 전기설비에 관련되는 전력기기가 포함되어 있는 전기용 판넬을 말한다.
수배전반은 고압으로 발전소에서 전송되는 전기를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220V로 변환해 주기 때문에 수용가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시설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배전반은 소방 관계자들 사이에 화재 원인의 1순위로 꼽힐 정도로 화재에 취약하다. 따라서, 이러한 수배전반의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종 센서들을 활용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빅데이터란,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정부는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지역별·시간별 화재발생현황 및 지진발생현황 등의 정보를 OPEN API를 이용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부에 구비되는 전력기기의 오작동 또는 발열로 인한 수배전반의 이상징후 뿐만 아니라 지진 등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한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도 함께 감지하여 수배전반의 화재 또는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은 부스바, 차단기, 계기용 변성기(MPF), 계기용 변류기(CT), 계기용 변압기(PT) 등의 전력기기를 내부에 구비하되,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카메라를 포함하는 내부촬영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배전반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촬영부와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값(이하, "상태정보"라고 함) 및 상기 내부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 이미지 또는 영상(이하, "제1촬영정보"라고 함)을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상태정보, 제1촬영정보 및 OPEN API를 이용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이상여부, 점검필요여부 및 점검순위를 결정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센터; 및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센터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기 각각은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통신부 및 단말기와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공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중앙통신부; 상기 공공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위치정보, 상태정보, 제1촬영정보, 점검이력 및 사고이력을 시계열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빅데이터DB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상태정보, 제1촬영정보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이상징후를 예측하여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을 결정하는 상태예측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기 각각의 위치정보, 상기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기 중 메세지를 수신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결정하는 수신단말기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공데이터는, 전국의 지역별·시간별 화재발생현황,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현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예측부는 시계열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빅데이터DB부에 저장된 상기 제1촬영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배전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수배전반의 외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카메라를 포함하는 외부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영상(이하, "제2촬영정보"라 함)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빅데이터DB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제2촬영정보를 시계열적으로 구분하여 더 저장하고, 상기 상태예측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제2촬영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이상징후를 예측하여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긴급점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예측부는 시계열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빅데이터DB부에 저장된 상기 제1촬영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이상징후를 예측하고, 상기 빅데이터DB부에 저장된 상기 제2촬영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외부의 이상징후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출력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센서; 및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촬영부는 수배전반의 상부내부면을 따라서 일주하는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레일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제1레일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는 제1레일을 따라서 상기 수배전반 내면을 따라 일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또한, 상기 외부촬영부는 상기 수배전반의 상부외부면을 따라서 일주하는 제2레일; 및 상기 제2레일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레일을 일방향 도는 타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카메라는 상기 제2레일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2카메라는 제2레일을 따라서 상기 수배전반 외면을 따라 일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촬영부는 상기 제1카메라가 상기 수배전반 내부를 촬영할 때 점등되어 상기 수배전반 내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촬영부는 상기 제2카메라가 상기 수배전반 외부를 촬영할 때 점등되어 상기 수배전반 외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관제시스템은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들에 의해 전력기기의 이상유무를 감지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예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 및 수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진 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배전반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른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 및 예상함으로써, 수배전반의 긴급점검 또는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수배전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촬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센터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촬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부촬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부촬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10)의 개념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10)은 부스바, 차단기, 계기용 변성기(MPF), 계기용 변류기(CT), 계기용 변압기(PT) 등의 전력기기를 내부에 구비하되,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100), 원격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10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통신이 가능한 관제센터(200) 및 상기 관제센터(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통신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관제센터(200)는 OPEN API를 활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공공데이터(400)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은 내부에 센서부(120), 내부촬영부(110),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 소화부(160) 및 배터리부(1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100)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배전반(100) 내에 구비되는 전력기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출력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Arc)를 검출하는 아크센서 및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촬영부(110)는 수배전반(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100)의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카메라(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카메라(111)는 디지털카메라로서 가시광선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뿐만 아니라 적외선 또는 열화상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111)가 가시광선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경우에는 내부촬영부(110)는 상기 제1카메라(111)가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를 촬영할 때 점등되어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조명(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촬영부(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촬영부(110)의 제1카메라(111)는 4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1카메라(111) 각각은 수배전반(100) 내부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촬영부(110)의 제1카메라(111)가 4개로 구성되고,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의 상부 모서리부분 각각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의 모습을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게 촬영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하게 수배전반(100) 내부의 전력기기들의 이상상태 및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내부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상기 수배전반(100)의 내부영상 또는 내부이미지(이하 "제1촬영정보(115)"라 함)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센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제센터(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각의 수배전반(100)의 상기 제1촬영정보(115)를 전송받아 이를 활용하여 각각의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의 이상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압센서가 측정한 전압값, 상기 전류센서가 측정한 전류값 및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값 및 상기 아크센서가 감지한 아크발생여부를 전달받아 미리 입력된 기준전압값, 기준전류값, 기준온도값과 비교하고, 아크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수배전반(100)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의 이상상태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전압센서가 측정한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기준전압값 또는 기준전류값보다 높은 상태가 미리 입력된 시간을 넘어서 유지되거나,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값이 기준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또는 상기 아크센서에 의해 수배전반(100) 내부에 아크가 발생한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상태를 이상상태라고 판단하고, 외부에서 상기 수배전반(100)의 전력기기로 들어오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값이 기준온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수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화재를 조기에 진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에는 소화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화부(16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 소화가스가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화부(160)는 내부에 소화가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배전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 소화가스가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 고루 퍼질 수 있도록 상기 수배전반(100)의 상부에서 소화가스가 분사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은 상기 센서부(120), 제어부(130) 및 소화부(160)가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수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제어부(130)에 의해 외부에서의 전력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되고, 상기 소화부(160)가 소화가스를 수배전반(100) 내부로 분사함에 따라 화재를 조기에 진화하여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수배전반(100)의 전력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센서부(120), 내부촬영부(110), 통신부(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전력기기로부터 제어부(130)로 들어오는 전력을 차단하고 배터리부(17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센서부(120), 내부촬영부(110) 및 통신부(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70)는 수배전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 발생 시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어부(130)에 전력을 일시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부(170)는 수배전반(100) 외부에 설치되어 수배전반(100) 내부의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또는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일정시간 제어부(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부(120)가 측정한 출력전압, 출력전류, 온도값 및 아크발생여부를 측정한 값(이하 "상태정보(121)"라 한다) 및 상기 제1촬영정보(115)를 통신부(140)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센터(200)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존재하는 관제센터(200)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네트워크망은 Iot(Internet of Things) 전용 프로토콜인 SIGFOX, LoRa, LTE-M, NB-IO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센터(200)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제센터(200)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통신부(140) 및 단말기(300)와 통신가능한 중앙통신부(210), 공공데이터(400) 및 상기 수배전반(100)의 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DB부(220), 상기 빅데이터DB부(220)에 저장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상기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를 예측하는 상태예측부(230) 및 수배전반(100) 긴급점검 메시지를 수신할 단말기(300)를 결정하는 수신단말기결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100) 각각의 통신부(140)가 전송하는 상태정보(121)와 제1촬영정보(115), 공공데이터(400) 및 상기 단말기(300)의 위치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OPEN API를 이용한 공공데이터(400)는 정부에서 운영하여 데이터포털을 통해 제공되는 지역별·시간별 화재발생현황,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현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DB부(220)는 상기 중앙통신부(210)가 수신 받은 상태정보(121), 공공데이터(400)를 시계열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의 위치정보, 점검이력 및 사고이력 또한 시계열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때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상태예측부(230)는 상기 빅데이터DB부(220)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들을 활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의 이상징후를 예측하고, 그에 따라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100)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100)을 결정하기 위하여 머신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전력사용량이 많아지고 습도가 낮은 경우 수배전반(100)은 화재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외부의 진동에 의해 수배전반(100)이 손상을 입은 경우에도 수배전반(100)의 화재가능성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예측부(230)는 공공데이터(400)로부터 수배전반(100) 각각이 위치하는 지역의 기온 및 습도와 지진발생현황을 제공받아 이를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120) 및 내부촬영부(110)가 측정한 상기 수배전반(100)의 상태정보(121) 및 제1촬영정보(115)를 조합하여 상기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를 미리 감지하여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100)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상태예측부(230)가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100)을 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먼저, 상태예측부(230)가 수배전반(100)의 정상상태를 학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상태예측부(230)가 여러가지 경우의 정상상태의 수배전반(100) 내부의 촬영모습과 온도값, 내부 전력기기의 출력전압, 출력전류, 당시 상기 수배전반(100)이 위치한 지역의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여부를 입력받고, 머신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입력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정상상태의 수배전반(100)의 상태를 학습하게 되고, 그 결과를 상기 빅데이터DB부(220)에 저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태예측부(230)는 수배전반(100)의 이상상태를 학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여러 경우의 이상상태 또는 화재가 발생한 수배전반(100)의 내부 촬영모습, 온도값 및 아크발생여부와, 내부 전력기기의 출력전압, 출력전류, 당시 상기 수배전반(100)이 위치한 지역의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여부를 입력 받고, 머신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입력 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이상상태의 수배전반(100)의 상태를 학습하게 되고, 그 결과를 상기 빅데이터DB부(22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상태예측부(230)가 학습하는 단계를 끝나게 되면, 상기 상태예측부(230)는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실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121) 제1촬영정보(115)와 상기 수배전반(100)의 위치정보, 점검이력, 사고이력 및 공공데이터(400)에서 수신한 상기 수배전반(100)의 위치한 지역의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현황을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빅데이터DB부(220)에 저장하게 된다. 이 때, 상태예측부(230)는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를 판단함에 있어 시계열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빅데이터DB부(220)에 저장된 상기 제1촬영정보(115)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100) 관제시스템은 머신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공공데이터(400)의 지역별·시간별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현황과 수배전반(100) 각각의 상태를 조합하여 단순히 수배전반(100)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센서들의 측정값에만 의존하지 않고 외부환경적 요인을 수배전반(100) 각각의 이상징후를 예측하는데 활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이상징후를 미리 예측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말기결정부(240)는 상기 상태예측부(230)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100)이 있는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상기 수신단말기결정부(240)가 작동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로 상기 수신단말기결정부(240)는 통신부(140)를 통해 수배전반(100)의 점검자들이 소지하는 단말기(300)의 현재위치를 수신 받는다.
두 번째로 수신 받은 상기 단말기(300)의 현재위치와 상기 상태예측부(230)가 판단한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1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100)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단말기(300)를 메시지수신단말기(310)로 결정한다.
세 번째로, 상기 메시지수신단말기(310)에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메시지에는 상기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100)의 위치정보, 상태정보(121) 및 제1촬영정보(115)와 그 지역의 기온, 습도 및 지진발생현황이 포함될 수 있다.
네 번째로, 상기 수신단말기결정부(240)는 상기 중앙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메시지수신단말기(310)로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중앙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고 내부에 GPS를 탑재하여 상기 관제센터(200)로 현재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별도의 휴대가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수신단말기(310)를 소지한 점검자가 상기 관제센터(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점검자는 상기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100)을 방문하여 필요한 조치 및 점검을 수행하게 되고, 그 결과는 당시 관제센터(200)로 전송되어 빅데이터DB부(220)에 저장되게 된다. 점검 시에는 일시적으로 점검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130)의 전력을 차단하여 점검을 하고 있는 수배전반(100)의 상태정보(121) 및 제1촬영정보(115)를 관제센터(200)로 전송하지 않도록 하게 함으로써, 수배전반(100)의 점검 동안에는 상기 상태예측부(230)에 의하여 이상징후를 감지되지 않게 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촬영부(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촬영부(150)는 수배전반(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100)의 외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카메라(15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카메라(151)는 디지털카메라로서 가시광선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뿐만 아니라 적외선 또는 열화상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151)가 가시광선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경우에는 외부촬영부(150)는 상기 제2카메라(151)가 상기 수배전반(100) 외부를 촬영할 때 점등되어 상기 수배전반(100) 외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조명(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카메라(151)는 총 4개로 구성되며, 상기 수배전반(100)의 상부 4개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 수배전반(100)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전력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외부촬영부(1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외부촬영부(150)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영상(이하, "제2촬영정보(155)"라 함)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센터(200)로 전송하고, 상기 빅데이터DB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의 제2촬영정보(155)를 시계열적으로 구분하여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태예측부(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의 제2촬영정보(155)를 포함하여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의 이상징후를 예측하여 상기 수배전반(100) 각각의 긴급점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태예측부(230)의 머신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시계열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빅데이터DB부(220)에 저장된 상기 제1촬영정보(115)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의 이상징후를 예측하고, 상기 빅데이터DB부(220)에 저장된 상기 제2촬영정보(155)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100)의 외부의 이상징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신단말기결정부(240)는 상기 메시지수신단말기(310)에 송신할 메시지를 생성함에 있어 상기 메시지에는 상기 제2촬영정보(155)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100) 각각의 이상징후 및 긴급점검필요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수배전반(100)의 내부요인뿐만 아니라 외부촬영부(150)에 의해 수집되는 제2촬영정보(155)를 활용하여 외부요인도 함께 고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수배전반(100)의 이상징후 및 긴급점검필요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외부에 설치되는 수배전반(100)의 경우에는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상기 외부촬영부(150)에 의해 외부충격이 발생한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관제센터(200)로 전송하여 점검자들의 단말기(300)로 통보함으로써 점검자들이 보다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작동방식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부촬영부(1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부촬영부(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배전반(100)의 내부촬영부(110)에는 상기 수배전반(100) 상부내부면을 따라서 일주하는 제1레일(113)이 마련되고, 상기 제1레일(113)은 상기 제1레일(113)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모터(114)의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 제1레일(113)의 타측에는 제1카메라(11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114)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111)는 제1레일(113)을 따라서 상기 수배전반(100) 내면을 따라 일주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114)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상기 내부촬영부(110)는 미리 입력된 값이 따라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상기 제1모터(114)가 구동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상기 수배전반(100)의 내부를 촬영하고, 상기 수배전반(100)의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 즉, 상기 제1촬영정보(115)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센터(200)로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배전반(100)의 외부촬영부(150)에는 상부외부면을 따라서 일주하는 제2레일(153)이 마련되고, 상기 제2레일(153)은 제2레일(153)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모터(154)의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 제2레일(153)의 타측에는 제2카메라(15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모터(154)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2카메라(151)는 제2레일(153)을 따라서 상기 수배전반(100) 외면을 따라 일주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154)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외부촬영부(150)는 미리 입력된 값이 따라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상기 제2모터(154)가 구동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상기 수배전반(100)의 외부를 촬영하고, 상기 수배전반(100)의 외부를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 즉, 상기 제2촬영정보(155)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센터(200)로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촬영부(110)의 제1카메라(111)와 외부촬영부(150)의 제2카메라(151)는 모두 하나만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레일(113) 또는 제2레일(15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배전반(1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하나의 제1카메라(111) 및 제2카메라(151)를 사용하여도 사각지대 없이 여러 방향에서 상기 수배전반(100)의 내부와 외부를 촬영한 제1촬영정보(115)와 제2촬영정보(155)를 관세센터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방식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수배전반 110 : 내부촬영부
120 : 센서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외부촬영부
160 : 소화부 170 : 배터리부
200 : 관제센터 210 : 중앙통신부
220 : 빅데이터DB부 230 : 상태예측부
240 : 수신단말기결정부 300 : 단말기
310 : 메시지수신단말기 400 : 공공데이터

Claims (10)

  1. 부스바, 차단기, 계기용 변성기(MPF), 계기용 변류기(CT), 계기용 변압기(PT) 등의 전력기기를 내부에 구비하되,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카메라를 포함하는 내부촬영부;
    상기 수배전반 외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수배전반의 외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카메라를 포함하는 외부촬영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배전반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촬영부와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값(이하, "상태정보"라고 함), 상기 내부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 이미지 또는 영상(이하, "제1촬영정보"라고 함) 및 상기 외부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정보 및 영상(이하, "제2촬영정보"라 함)을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상태정보, 제1촬영정보, 제2촬영정보 및 OPEN API를 이용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이상여부, 점검필요여부 및 점검순위를 결정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센터; 및,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센터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기 각각은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통신부 및 단말기와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공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중앙통신부;
    상기 공공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위치정보, 상태정보, 제1촬영정보, 제2촬영정보, 점검이력 및 사고이력을 시계열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빅데이터DB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상태정보, 제1촬영정보, 제2촬영정보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이상징후를 예측하여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을 결정하는 상태예측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기 각각의 위치정보, 상기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기 중 메세지를 수신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결정하는 수신단말기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공데이터는 전국의 지역별·시간별 화재발생현황, 기온과 습도 및 지진발생현황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촬영부는,
    상기 수배전반의 상부외부면을 따라서 일주하는 제2레일;
    상기 제2레일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레일을 일방향 도는 타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카메라가 상기 수배전반 외부를 촬영할 때 점등되어 상기 수배전반 외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예측부는 공공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 각각이 위치하는 지역의 기온 및 습도와 지진발생현황을 제공받아 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 및 내부촬영부가 측정한 상기 수배전반의 상태정보, 제1촬영정보 및 제2촬영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미리 감지하여 긴급점검이 필요한 수배전반을 결정하고,
    상기 제2카메라는 상기 제2레일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2카메라는 제2레일을 따라서 상기 수배전반 외면을 따라 일주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예측부는,
    시계열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빅데이터DB부에 저장된 상기 제1촬영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예측부는,
    시계열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빅데이터DB부에 저장된 상기 제1촬영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이상징후를 예측하고, 상기 빅데이터DB부에 저장된 상기 제2촬영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외부의 이상징후를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출력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센서; 및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촬영부는,
    상기 수배전반의 상부내부면을 따라서 일주하는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레일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제1레일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는 제1레일을 따라서 상기 수배전반 내면을 따라 일주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촬영부는 상기 제1카메라가 상기 수배전반 내부를 촬영할 때 점등되어 상기 수배전반 내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조명을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10. 삭제
KR1020210009849A 2021-01-25 2021-01-25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KR10230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849A KR102303588B1 (ko) 2021-01-25 2021-01-25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849A KR102303588B1 (ko) 2021-01-25 2021-01-25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588B1 true KR102303588B1 (ko) 2021-09-17

Family

ID=7792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849A KR102303588B1 (ko) 2021-01-25 2021-01-25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5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563A (ko) * 2011-06-15 2012-12-26 정성학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4854B1 (ko) * 2020-02-11 2020-09-10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JP2020156131A (ja) * 2019-03-18 2020-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設備点検装置
KR20200132456A (ko) * 2019-05-17 2020-11-25 대경산전(주)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563A (ko) * 2011-06-15 2012-12-26 정성학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56131A (ja) * 2019-03-18 2020-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設備点検装置
KR20200132456A (ko) * 2019-05-17 2020-11-25 대경산전(주)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54854B1 (ko) * 2020-02-11 2020-09-10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585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방법
AU2016214188B2 (en) Wireless control 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mergency luminaire
KR10204579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KR101968918B1 (ko)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CN104566838B (zh) 空调器的故障检测方法和装置
KR102503525B1 (ko)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0754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화재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IoT기반 수배전반 화재예방시스템
KR102382151B1 (ko)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KR20170047979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 시스템
US10498129B2 (en) Electrical device with failure monitoring function, electrical system and terminal device
CN105279878A (zh) 无线视频防盗自动报警系统及其方法
KR101951700B1 (ko) 전력설비 및 발전설비의 과열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CN112421778A (zh) 基于变电信息综合处理系统的联动方法及联动系统
KR20120080875A (ko) 가로등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2303588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
KR102503532B1 (ko)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KR20190102704A (ko) 비접촉식 적외선을 이용한 산업용 장비의 온도 감시 장치
CN109195293B (zh) 一种在线应急灯具监控方法及在线应急灯具监控系统
TWI524621B (zh) 電源管理系統及其控制方法
CN113543418A (zh) 一种核环境智能应急灯
JPWO2021111652A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マルチ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150031204A (ko) 교통 신호 제어기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서버
KR101773980B1 (ko) 건축물의 전기화재 감식용 소방블랙박스
CN210837202U (zh) 一种核电厂的安全系统
KR102504779B1 (ko)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