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532B1 -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532B1
KR102503532B1 KR1020220053359A KR20220053359A KR102503532B1 KR 102503532 B1 KR102503532 B1 KR 102503532B1 KR 1020220053359 A KR1020220053359 A KR 1020220053359A KR 20220053359 A KR20220053359 A KR 20220053359A KR 102503532 B1 KR102503532 B1 KR 10250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unit
temperature
imag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수
Original Assignee
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수 filed Critical 강철수
Priority to KR102022005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방을 위한 문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전을 하기 위한 각종 전기설비들이 수용되는 배전반과 상기 배전반 내부의 분진 농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분진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분진감지부와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는 영상촬영장치와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나면 과열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전반 내부와 외부 온도 사이에 설정된 온도 차 이상이 발생하면, 온도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분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신호 출력 정보를 이상상태 판단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배전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전기설비들의 스파크 발생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발생에 대한 진동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진동의 세기를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달하는 진동감지부와 상기 영상촬영장치와 연결되어 촬영되는 상기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링부와 연동하여 배전반의 내부 정보를 분석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온도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전반 내부의 상기 전기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배전반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을 관리하고, 배전반의 배전 기록을 작성시키는 변전일지를 자동 생성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Switchboard monitoring amn management system having image photographing device}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영상촬영장치가 있고, 배전일지 자동생성 기능이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란 발전소로부터 공급받은 특고압 전력을 학교, 빌딩, 공장등과 같은 전력수요처로 다시 분배하는 계통의 핵심 설비이다.
이러한 배전반의 함체 내부에는, 계기용 변성기(MOF),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 단로기(DS), VCB, MCCB, 피뢰기(LA), 파워퓨즈(PF)등의 수배전에 필요한 각종 부속품이 내장되어 구현된다.
그런데,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이러한 여러 부속품은, 전기적, 기계적, 환경적, 제작시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열화 및 손상이 발생되며, 그로 인한 스파크 발생, 누유, 절연 파괴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전반의 셧- 다운에 의한 정전이나 화재 등의 사고등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국내의 화재 발생 현황을 보면 매년 3만 건 이상의 화재가 발생되는데, 그 중 약 1/3 이상이 전기에 의한 화재로 알려져 있을 만큼 전기화재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기화재 원인중 약 60%가 배전반 내에서 발생되는 부속품의 열화 및 손상에 따른 발화라고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화재의 대부분의 원인이 배전반에 의하여 발생되므로,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온도상승, 많은 분진 축적 등의 이벤트 상황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이벤트 상황에 의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하는 것이 중요한 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전반을 내장되는 부속품의 열화 및 손상은 배전반 셧다운은 물론이고,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부속품의 열화 및 손상과 같은 이벤트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배전반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관리자가 모니터링된 배전반의 이벤트 상황을 공유하고, 공유된 이벤트 상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추후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등과 같은 고전압이 필요한 건물을 관리하는 시설관리자들은 배전반의 전류, 전압, 순시값 등을 기록하는 변전일지의 작성을 매일 같이 해야 하므로, 관리자들에게 있어 무척 번거로운 일인데, 프로그램을 통한 자동 생성되는 변전일지를 편리하게 작성할수 있는 자동 생성 기능이 있는 배전반의 관리 등도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10676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2374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025937호
따라서, 본 발명은 배전반 내에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하여 상태를 감시하고, 화재감지부와 연결하여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력 계측 장치에 온습도 측정, 전력계측, 누설전류 감지기능을 갖도록 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전반과 터치 스크린을 LAN선으로 연결하여 변전일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원활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개방을 위한 문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전을 하기 위한 각종 전기설비들이 수용되는 배전반과 상기 배전반 내부의 분진 농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분진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분진감지부와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는 영상촬영장치와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나면 과열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전반 내부와 외부 온도 사이에 설정된 온도 차 이상이 발생하면, 온도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분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신호 출력 정보를 이상상태 판단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배전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전기설비들의 스파크 발생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발생에 대한 진동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진동의 세기를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달하는 진동감지부와 상기 영상촬영장치와 연결되어 촬영되는 상기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링부와 연동하여 배전반의 내부 정보를 분석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온도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전반 내부의 상기 전기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배전반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을 관리하고, 변전일지를 자동 생성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배전반 내부의 관리자를 통하여 사전에 지정된 감시영역의 감시영상을 수집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 감시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배전반 내의 상기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한 상기 감시영상을 획득하여 원시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원시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가공하여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신호처리된 영상 결과물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에 의하여 동작하며, 상기 감시영상과 상기 배전반 내의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인공지능 방식에 기반하여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 분석의 기준을 학습하는 데이터 학습부와 입력된 영상의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 분석부로 이루어지는 인공지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I/F부와 상기 영상촬영장치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영상객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영상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제어부의 관리자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신호 입력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경고음이나 부저가 발생하는 경보부와 상기 관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전반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표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전반 내에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하여 배전반 내부 상태를 감시하고, 화재감지부와 연동하여 배전반의 화재감지기능도 갖는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배전반 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생성하는 기능도 구비되어, 더욱 시설관리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영상촬영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인공지능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온도감지부의 블록도.
도 5는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이상감시 및 불량예측을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의 구성도.
도 6은 중앙관제센터의 블록도.
도 7은 화재감지부의 블록도.
도 8은 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변전일지 작성모듈을 통하여 생성된 변전일지.
도 10은 입력모듈의 구성도.
도 11은 작성모듈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영상촬영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인공지능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온도감지부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이상감시 및 불량예측을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6은 중앙관제센터의 블록도이고, 도 7은 화재감지부의 블록도이고, 도 8은 관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변전일지 작성모듈을 통하여 생성된 변전일지이고, 도 10은 입력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11은 작성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을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크게, 개방을 위한 문(1)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전을 하기 위한 설비(미도시)들이 수용되는 배전반(10)이 구비되며, 중앙관제센터(200)와 관리장치(300)로 구성된다.
주지하다시피, 배전반(10)은 발전소나 변전소, 건물 등에서 전류를 받아 전기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보내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전기 설비이다. 다른 말로는 고전압 스위치 기어라고 한다.
상기 배전반(10)은 내부에 변압기, ACB(Air Circuit Breaker: 기중차단기), 개폐기, 안전장치, 릴레이, 아크방지기, VCB, GIS, SF6, GCB등의 차단기가 내장된다.
따라서, 상기 배전반(10)에 내장된 상기 서술한 차단기, 변압기 등과 같은 전기설비는 널리 공지된 설비에 해당하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과 구체적인 도면에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전반(10)에는 배전반(10) 내부의 분진 농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분진신호를 발생하는 분진 감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분진 감지부는 배전반(10) 내부의 분진 농도가 사전에 미리 제어부(140) 등에서 설정된 분진 농도 이상이 될 때, 분진 경고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대로, 배전반(10) 내부에 도시된 영상촬영장치(100)를 비롯하여, 온도감지부(170), 모니터링부(180), 진동감지부(190), 화재감지부(25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後述)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과 이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촬영장치(100)의 블록도인데, 상기 영상촬영장치(100)는 배전반(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장치(100)의 구성은 카메라 모듈(110), 신호처리부(120), 이미지 센서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인공지능 방식에 기반하여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도록 하는 인공지능부(160)로 크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먼저, 카메라 모듈(110)은 상기 배전반(10) 내부의 관리자를 통하여 미리 지정된 영역의 영상을 수집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배전반(10) 내부의 영역을 인식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설치된 내부의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실화상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실화상 카메라 모듈이다.
즉, 실화상 카메라 모듈인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배전반(10)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실내 및/또는 실외의 특정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학부(미도시)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미도시)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 소자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미지 센서부(13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을 통한 감시영상을 획득하여 원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부(120)로 전송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130)로부터 출력된 원시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가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1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부(140)는 상기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디지털 신호처리된 영상 결과물및 상기 카메라 모듈(11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통신부(150)도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110)을 통하여 촬영한 감시영상을 비롯하여, 배전반(10) 내의 정보로서 예를 들어, 과열 및 과 분진(粉塵) 농도의 상태를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로 전달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영상촬영장치(100)는 인공지능 방식에 기반하여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도록 인공지능부(160)가 첨부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도면을 첨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인공지능부(160)는 도 3을 보면, 데이터 학습부(161) 및 데이터 분석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61)는 딥-러닝 프레임 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같은 신경망 알고리즘,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와 같은 비전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61)는 오브젝트/패턴 인지, 오브젝트들의 유사도 검사 등의 다양한 영상 분석 기준들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61)는 영상 분석을 위하여 어떤 데이터를 이용할지에 관한 기준들을 학습(traning)하고 추론(inferencing)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61)는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영상 분석을 위한 기준을 학습해 나갈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62)는 제어부(140, 도 2 참조)의 요청에 응답하여 입력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62)는 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162)는 학습에 의해 설정된 기준들에 따라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는 데이터 분석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영상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에 따른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의 결과정보는 데이터 분석 모델을 업데이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온도감지부(170)에 대한 설명을 한다.
온도감지부(170)는 상기 배전반(10)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날 때, 과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감지부(170)는 배전반(10)의 내부 및 외부 온도 사이에 설정된 온도차 이상이 발생될 때, 온도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감지부(170)는, 배전반(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1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제1온도 센서(171)와, 배전반(10) 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2온도 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 센서(172)와, 제1온도 신호에 대응되는 배전반(10)의 내부 온도와 제2온도 신호에 대응되는 배전반(10)의 외부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비교부(173)와, 상기 온도비교부(173)에서 비교된 온도차가 설정된 온도차(T) 이상일 때 온도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 경고 신호발생부(174)를 포함한다.
배전반(10)의 내부 작동에 따라 배전반(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데, 정상적인 배전상황이라 할지라도 여름과 겨울에 배전반(10) 내부의 온도 상승폭이 다르다. 그러므로, 단순히 배전반(10) 내부의 온도만 측정함으로서 배전반(10)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설비가 이상 동작에 따라 과열되고 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배전반(10)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를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171)와 제2온도센서(172)를 채용하고, 상기 제1, 2온도센서(171)(172) 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배전반(10) 내부가 과열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여름과 겨울에 배전반(10) 내부의 과열 여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보면, 모니터링부(180)는 상기 온도감지부(170)와 상기 분진감지부의 출력정보를 이상상태 판단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이상상태 발생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180)는 온도감지부(170) 및 분진 감지부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관리장치(300)에 제공하도록 한다.
즉, 이상 상태 판단 기준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전반(10) 내부의 전체 온도, 장치별 온도, 분진의 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특정 장치의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간의 온도차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특정 장치의 이상 고온 상태가 기 설정 기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또는 기준치 이상의 분진량이 검출되면, 이상 상태 발생을 확인하고 이에 관련된 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통보하도록 한다.
이때, 이상 상태 판단 기준값은 전체 온도 기준값, 전체 온도 이상 판단 대기 시간, 장치별 온도 기준값, 장치별 온도 이상 판단 대기 시간, 분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온도값은 다시 이상감지 상황에 해당되는 경보 온도와, 경보 온도를 초과한 화재 온도로 구분하고, 분진농도 기준값은 전류 레벨로서 구분되는 경보 전류와 차단 전류로 세분화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경보 온도는 정상범위의 온도를 초과하는 고온이며, 상기 화재온도는 상기 경보 온도보다 높은 고온으로 화재가 발생 되었을 때의 온도에 해당된다. 따라서, 관리장치(300)가 모니터링부(180)로부터 이러한 통보를 경우, 경보부(320)에 전달하여 경보음을 울리도록 하는 것이다.
진동감지부(190)는 전기설비가 내장된 배전반(1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배전반(10)의 내부에 구비된 각종 전기설비들의 스파크 발생 및/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발생에 대한 진동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링부(18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진동감지부(190)는 실내 및/또는 실외에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진동을 감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환경정보를 센싱(sensing)하여 대응되는 센서신호로써 출력하는 센서들 예컨대, 충격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압전센서 및/또는 압력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앞서 서술하였듯이, 상기 진동감지부(190)를 통한 진동의 세기는 상기 모니터링부(180)로 전달되며, 상기 모니터링부(180)는 이상상태의 판단기준을 하는데 있어서 참고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앞서 설명한 인공지능 모듈(160)을 이용하여 이상감시 및 불량예측을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1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은 제어부(140)를 비롯하여, 적외선센서 유닛(141)과 기준데이터 저장부(142), 접지단선 유무센서(143), 접지저항 센서(144), 인공지능 모듈(160), 통신부(150)를 통하여 클라우드(C)에 연결되어 있다.
적외선센서 유닛(141)은 적외선센서(미도시)들로 하여금 설치된 부스바(미도시)에서 열적 변화가 발생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적외선센서 유닛(141)을 작동시켜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3차원 이미지데이터로 인공지능 모듈(1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모듈(160)에는 3차원 이미지데이터들이 누적되어 저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접지단선 유무센서(143)와 연결되어 배전반(10)의 접지단선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부(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접지저항 센서(144)와 연결되어 배전반(10)의 접지 저항값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인공지능 모듈(160)은 상기 적외선 센서 유닛(141)에서 감지되어 주기적으로 수신되어 누적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배전반(1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작용을 한다.
이어, 인공지능 모듈(160)에서는 상기와 같이 누적되어 저장되는 3차원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해 직전에 저장되는 이미지데이터 프레임과 현재 저장되는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을 비교분석 후 변경영역과 변경상태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인공지능 모듈(160)은 배전반(10)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주기를 정상 동작시에 비해 단축시켜 모니터링 횟수를 증가시킨다.
상기 인공지능 모듈(160)에서는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변경영역과 변경상태를 지속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정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서서히 점차 영역을 넓혀 변화되고 있다면 즉, 여러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에 걸쳐 변경상태가 감지되고 있다면 해당 영역에서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인공지능 모듈(160)은 만일,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변경영역과 변경상태를 지속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정영역에서 짧은 순간만 변화가 감지되었다면 즉, 특정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에서만 변경상태가 감지되었다면 해당 영역에서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러한 판단결과 여러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에서 변경상태가 감지되고 있다면 가스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공지능모듈(160)의 판단은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명도와 채도를 비교분석하여 특정 영역에서 온도변화가 감지되는지, 아크가 발생하였는지, 혹은 가스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인공지능모듈(160)이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명도와 채도를 비교분석할 때 사용되는 딥 러닝 모델로는 CNN, RNN, GAN이 채용될 수 있으며, 비교분석 결과는 수치화된 값으로 도출한 후 도출된 수치들의 변경영역과 변경상태, 그리고 지속시간에 따라 온도, 아크, 가스 등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데이터저장부(142)는 상기와 같이 인공지능모듈(160)이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을 비교분석하여 배전반(10) 내에서 온도, 아크, 가스 등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으로, 기준데이터는 초기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지만 인공지능모듈(160)에 의해 학습되는 데이터가 기준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고, 클라우드(C)를 통해 외부에서 기준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C)는 배전반(10)과 인터넷망이나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되어 인공지능모듈(160)에 의해 비교분석되는 데이터가 전송되어 저장되는 수단으로서, 수많은 배전반들로부터 비교분석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각 배전반에 전송하여 각 배전반에 구비된 인공지능모듈(160)을 학습시킴으로써 인공지능모듈(160)의 분석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단선유무센서(143)는 배전반(10)에 설치되어 접지 단선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상기 접지단선유무센서(143)는 측정된 값을 제어부(140)에 전송되도록 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어부(140)가 접지단선 측정값 판단결과, 이상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지저항 센서(144)는 배전반(10) 내에 설치되어 접지저항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접지저항 센서(144)는 측정된 값을 제어부(140)에 전송되도록 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어부(140)가 접지저항 측정값 판단 결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접지저항 변화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중앙관제센터(20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영상촬영장치(100)와 연결되어 배전반(10) 내부에서 영상촬영장치(100)가 촬영한 촬영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링부(180)와 연동하여 배전반(10)의 내부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200)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I/F부(201)와 상기 영상촬영장치(100)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영상객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202)와 상기 메인 제어부(202)로부터 영상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03)와 상기 메인 제어부(202)의 관리자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신호 입력부(204) 및 상기 메인 제어부(202)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I/F부(201)는 영상촬영장치(100)와 감시 영상 등과 같은 정보를 송수신하여 이를 메인 제어부(202)로 넘긴다.
상기 메인 제어부(202)는 영상촬영장치(100)로부터 감시 영상을 제공받아서, 현재 실시간으로의 감시영상을 통한 이상상황을 인식하게 된다.
그 다음, 메인 제어부(202)는 이러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이상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촬영장치(100)의 동작을 예를 들어, 영상 확대 및 줌-인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3)는 이외에도,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와 외부 연계 기관의 등록정보 등을 등록한다. 상기 외부 연계 기관의 종류로는 긴급시 연락할 관공서가 이에 해당하며, 관할 경찰서 정보처리장치, 긴급구조기관 정보처리장치, 소방서 정보처리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배전반(10)의 화재 등과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서술한 외부 연계 기관에 통보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키 신호입력부(204)는 중앙관제센터(200)의 근무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 임의의 상태 예를 들어, 사용을 안할 경우 오프 상태로 설정하기도 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메인 제어부(202)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표시부(205)는 배전반(10)의 현재 상황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키 신호입력부(204)의 조작으로 입력한 내용이 화면(미도시)에 표시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술할 화재감지부(250)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재상황을 표시하여 주는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화재감지부(250)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상기 화재감지부(250)는 상기 온도감지부(170)와 연결되며, 배전반(10)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200)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화재감지부(250)는 배전반(1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의 전기설비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화재감지부(250)는 상기 온도 감지부(170)와 연동하는 온도 감지센서(251), 전기 설비의 스파크를 감지하는 자외선 감지센서(252), 전기설비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253) 및/또는 전기설비의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 감지센서(254)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화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 연기 및/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기 위해서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환경정보를 센싱(sensing)하여 대응되는 센서신호로써 출력하는 센서들로서, 예컨대, 파장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열화상 감지센서, CO 감지센서, CO2 감지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온도 감지센서(251)는 상기 온도 감지부(170)를 통해 고온을 감지할수 잇도룩 하기 위한 센서로서,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 소자는 부특성 써미스터(NTC thermister), 정특성 써미스터(PTC thermistor) 및/또는 임계특성 써미스터(CRT)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온도 감지센서(251)는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온도센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열전대 센서, 바이메탈, IC 온도센서 및 비접촉식 센서인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장센서는 예컨대, 100nm 내지 1,200nm의 불꽃(또는 화염)이 방사하는 파장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파장센서는 불꽃이 유발하는 파장대를 감지함으로써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장센서는 화재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방식의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에 방출되는 빛은 화염의 온도에 따라 각각 특성이 다른 파장을 가지는데,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 파장의 영역이 다른 세 가지로 대별되며, 화재감지모듈(250)은 이러한 광학적 반응 특성을 이용하여 해상도 높은 파장센서로 광원을 인식하여 화재를 식별해 낼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관리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관리장치(300)는 상기 배전반(10)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10)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며, 변전일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한다.
도 9의 변전일지 생성사진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변전일지란 변전설비와 같은 전기시설의 전압, 전력, 전류값 등과 같은 전력을 받아 배전한 그날의 기록을 전한 서류를 말한다. 상기 변전일지에는 배전내역과 전압기의 상태, 사용한 자재 내역 등을 기록하는 것으로 상기 변전일지의 자동생성하는 방식에 대하여는 후술(後述)하기로 한다.
관리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10)는 영상촬영장치(100)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하여 배전반(10)의 내부를 수시로 모니터링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경보부(3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0)에 의하여 표시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부(320)에 의하여 안내되는 방식은 음성안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경고음이나 부저 등의 소리를 제공하는 것도 당연히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경보부(320)는 모니터링부(180)를 통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경고음이나 부저음을 발생시킬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330)는 관리장치(300)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것으로, 이를 테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10)와 상기 경보부(320)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시각과 청각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입력부(340)의 터치스크린(T)의 조작을 통한 연산의 제어 등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관리장치(300)의 입력부(340)는 상기 배전반(1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에 터치스크린(T)이 형성된다.
상기 입력부(340)는 상기 제어부(330)와 버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30)의 각종 연산결과 중에서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결과를 상기 입력부(34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34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T)이 구비되어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A : 도 10 참조)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330)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30)에서 각종 연산을 명령하여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3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T)를 이용하여 변전일지의 자동 생성을 이룰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나 관리자가 터치스크린(T)을 통한 입력 및 조작으로 변전일지를 자동 생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모듈(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모듈(341), 삭제모듈(342), 저장모듈(343), 변전일지 가져오기 모듈(344), 내보내기 모듈(345)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모듈(A)은 변전일지 작성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의 메뉴 상단에 파일메뉴, 사진메뉴, 변전일지 메뉴(도시는 생략)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모듈(A)은 새로운 변전일지를 생성시키는 생성 모듈(341)과 이미 생성된 변전일지를 삭제할수 있는 삭제 모듈(342)과 기 작성된 변전일지를 저장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 나중에 불러오기 기능을 통하여 불러오는 저장 모듈(343)과 이미 작성된 변전일지의 목록에서 변전일지를 가져오는 변전일지 가져오기 모듈(344) 및 오(誤)기재한 변전일지를 삭제하여 내보내는 내보내기 모듈(345)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모듈(A)을 이용하여 변전일지의 입력을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변전일지 작성모듈(B)의 구성이다.
상기 보고서 작성모듈(B)은 상기 관리모듈(A)의 변전일지 메뉴에서 변전일지 생성을 클릭하면, 작성일자, 장소, 작성자, 변전일지 내용칸이 구비된 구비된 변전일지를 생성한다. 또한, 작성한 글의 복사와 붙여넣기 기능도 가진다.
그리고, 전류값, 전압값, 순시 전력값 등을 자동 계산할수 있는 연산 알고리즘이 다운로드되어 있어 자동으로 계산되어, 기재되는 것이다.
도시된 대로, 보고서 작성모듈(B)은 수치 입력 모듈(351), 연산모듈(352) 및 생성모듈(353)을 이용하여 변전일지가 문서 형태로 생성된다(도 9 참조).
수치 입력 모듈(351)은 사용자가 각각 전압 및 전류값, 전기사용량 등을 입력하는 것이며, 연산모듈(352)은 일일 전기사용량의 계산, 유효전력의 계산, 가로등 전기사용량, 변압기 전류 계산 등을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계산되어 그 값이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치 입력 모듈(351)은 소프트웨어인 수치계산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생성모듈(353)은 메뉴를 통하여 변전일의 생성을 클릭하면, 변전일자 작성일자, 장소, 작성자, 내용이 구비된 변전일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가 입력된 변전일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전일지 작성모듈(B)은 관리자별, 기간별로 구분되어 작성되고, 작성한 변전일지를 pdf 등과 같은 파일 형태로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작성된 변전일지를 컴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출력(프린트) 역시 가능하며, 현재까지 작성되어진 변전일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변전일지 작성모듈(B)에 저장되어 있는 변전일지들을 모두 모니터링하는 것도 역시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도어 10 : 배전반
100 : 영상촬영장치
110 : 카메라 모듈 120 : 신호처리부
130 : 이미지 센서부 140 : 제어부
141 : 적외선 센서 유닛 142 : 기준데이터 저장부
143 : 접지단선유무센서 144 : 접지저항 센서
150 : 통신부 C : 클라우드
160 : 인공지능부 161 : 데이터 학습부 162 : 데이터 분석부 170 : 온도감지부 171 : 제1온도센서 172 : 제2온도센서 173 : 온도비교부 174 : 온도경고신호 발생부 180 : 모니터링부 190 : 진동감지부
200 : 중앙관제센터 201 : I/F부 202 : 메인 제어부 203 : 데이터베이스
204 : 키신호입력부 205 : 표시부
250 : 화재감지부 251 : 온도감지센서
252 : 자외선 감지센서 253 : 연기감지센서
254 : 불꽃감지센서 300 : 관리장치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경보부 330 : 제어부 340 : 입력부
T : 터치스크린 A : 입력모듈
341 : 생성모듈 342 : 삭제모듈
343 : 저장모듈 344 : 변전일기가져오기 모듈
345 : 내보내기 모듈 B : 작성모듈

Claims (4)

  1. 개방을 위한 문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전을 하기 위한 각종 전기설비들이 수용되는 배전반;
    상기 배전반 내부의 분진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분진 농도 이상이 될 때, 분진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분진감지부;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는 영상촬영장치;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나면 과열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전반 내부와 외부 온도 사이에 설정된 온도 차 이상이 발생하면, 온도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분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신호 출력 정보를 이상상태 판단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배전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전기설비들의 스파크 발생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발생에 대한 진동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진동의 세기를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달하는 진동감지부;
    상기 영상촬영장치와 연결되어 촬영되는 상기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링부와 연동하여 배전반의 내부 정보를 분석하는 중앙관제센터;
    상기 온도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전반 내부의 상기 전기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부;
    상기 배전반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을 관리하고, 변전일지를 자동 생성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한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배전반 내부의 관리자를 통하여 사전에 지정된 감시영역의 감시영상을 수집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 감시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배전반 내의 상기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한 상기 감시영상을 획득하여 원시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원시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가공하여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신호처리된 영상 결과물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며, 상기 감시영상과 상기 배전반 내의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인공지능 방식에 기반하여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 분석의 기준을 학습하는 데이터 학습부와 입력된 영상의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 분석부로 이루어지는 인공지능부를 포함하고,
    모니터링부는 온도감지부 및 분진 감지부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전반 내부의 전체 온도, 장치별 온도, 분진의 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배전반 내부 장치의 이상 상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간의 온도차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배전반 내부 장치의 이상 고온 상태가 기 설정 기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또는 기준치 이상의 분진량이 검출되는 경우에 관리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배전반 내부 장치의 이상 상태 판단 기준값은 전체 온도 기준값, 전체 온도 이상 판단 대기 시간, 장치별 온도 기준값, 장치별 온도 이상 판단 대기 시간, 분진으로 구성되고, 배전반 내부 장치의 온도값은 이상감지 상황에 해당되는 경보 온도와, 상기 경보 온도를 초과한 화재 온도로 구분하고, 분진농도 기준값은 전류 레벨로서 구분되는 경보 전류와 차단 전류로 세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I/F부;
    상기 영상촬영장치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영상객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영상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메인 제어부를 통한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신호 입력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경고음이나 부저가 발생하는 경보부;
    상기 관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전반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표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KR1020220053359A 2022-04-29 2022-04-29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KR102503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359A KR102503532B1 (ko) 2022-04-29 2022-04-29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359A KR102503532B1 (ko) 2022-04-29 2022-04-29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532B1 true KR102503532B1 (ko) 2023-02-24

Family

ID=8533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359A KR102503532B1 (ko) 2022-04-29 2022-04-29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5374A (zh) * 2023-03-23 2023-06-30 深圳市欧亚特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智能型配电柜及其控制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937A (ko) 2008-08-28 2010-03-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전반 온도 모니터링 장치
KR20100073712A (ko) * 2008-12-23 2010-07-01 (주)이오닉스테크놀러지 열화 진단시스템
KR20130023742A (ko) 2011-08-29 2013-03-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KR101762534B1 (ko) * 2016-02-23 2017-07-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06769A (ko) 2017-03-21 2018-10-01 주식회사 에스지케이 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KR20190036185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의 영상 기계학습을 위한 영상 취득 장치
KR20210065034A (ko) * 2019-11-26 2021-06-03 김석주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KR20210135671A (ko) * 2020-05-06 2021-11-16 바다기술 주식회사 화재감지 및 소방기능을 가지는 배전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937A (ko) 2008-08-28 2010-03-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전반 온도 모니터링 장치
KR20100073712A (ko) * 2008-12-23 2010-07-01 (주)이오닉스테크놀러지 열화 진단시스템
KR20130023742A (ko) 2011-08-29 2013-03-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KR101762534B1 (ko) * 2016-02-23 2017-07-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06769A (ko) 2017-03-21 2018-10-01 주식회사 에스지케이 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KR20190036185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의 영상 기계학습을 위한 영상 취득 장치
KR20210065034A (ko) * 2019-11-26 2021-06-03 김석주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KR20210135671A (ko) * 2020-05-06 2021-11-16 바다기술 주식회사 화재감지 및 소방기능을 가지는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5374A (zh) * 2023-03-23 2023-06-30 深圳市欧亚特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智能型配电柜及其控制方法
CN116365374B (zh) * 2023-03-23 2023-10-27 深圳市欧亚特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智能型配电柜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07823B (zh) 一种变电站多维智能远程巡检系统
KR102503525B1 (ko)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23559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열화감시영상시스템
CN112288984A (zh) 基于视频融合的三维可视化无人值守变电站智能联动系统
US11729597B2 (en) Digital twin disaster management system customized for underground public areas
KR102303585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방법
CN112421778A (zh) 基于变电信息综合处理系统的联动方法及联动系统
KR102410754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화재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IoT기반 수배전반 화재예방시스템
KR102503532B1 (ko)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CN111815000A (zh) 一种电力场景的重现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96938B1 (ko) 결상 감지 기능을 갖는 감전보호 감시장치가 적용된 수배전반
CN113542690A (zh) 一种建筑施工安全监控系统及方法
CN112994230A (zh) 一种智能变电站辅助系统用环境监控系统及其使用方法
CN112671104A (zh) 面向复杂场景的变电站多维度场景管控平台
KR20220071880A (ko) 지하공동구 맞춤형 디지털트윈 재난 관리 시스템
CN112562246A (zh) 电气设备火灾监测系统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CN115567690A (zh) 一种自动识别现场作业危险点的智慧监控系统
CN108663970B (zh) 一种电力操作安全监控系统
KR101002428B1 (ko) 영상을 이용한 원방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344927A (zh) 一种基于rfid技术实现工厂自动巡检的方法及系统
CN113705835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配电运维系统
CN114928164A (zh) 一种主子站协同互动的变电站运维系统
CN112383137A (zh) 基于机器视觉和热成像技术的变压器台区监控系统及方法
CN105629857A (zh) 一种用于监控飞行训练设备环境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