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742A -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742A
KR20130023742A KR1020110086710A KR20110086710A KR20130023742A KR 20130023742 A KR20130023742 A KR 20130023742A KR 1020110086710 A KR1020110086710 A KR 1020110086710A KR 20110086710 A KR20110086710 A KR 20110086710A KR 20130023742 A KR20130023742 A KR 2013002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ng
smoke
electric discharge
detection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경석
박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3742A/ko
Publication of KR2013002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안테나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 0.1㎒ 내지 10㎒의 전자파를 검출하여 전기 방전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연구 실험을 통해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각각의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을 검출하고, 그 각각의 전자파 파장이 속하는 0.1㎒ 내지 10㎒의 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하여 검출함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전기 방전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접촉식으로 별도의 절연구조가 필요 없어 구조를 최소화하여 수배전반에 적용하여 실시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구 실험을 통해서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자외선 파장 대역을 검출하고, 그 자외선 파장이 속하는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자외선 검출센서를 통하여 전기 방전을 검출함으로 더욱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An electrical discharge monitoring method and an integrated sensor module by det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 ultraviolet ray, temperature and smoke in closed-switchboards}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구 실험을 통해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각각의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을 검출하고, 그 각각의 전자파 파장이 속하는 0.1㎒ 내지 10㎒의 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하여 검출함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전기 방전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접촉식으로 별도의 절연구조가 필요 없어 구조를 최소화하여 수배전반에 적용하여 실시하기 용이한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소방방재청(2010.01.01 ~ 2011.06.30)의 자료에 의하면, 전기로 인한 화재 중에서 고전압 설비인 수배전반의 화재가 전체의 42%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수배전반의 화재 원인 중에서 전기 방전으로 인한 화재가 68%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 방전을 검출하고, 이를 경보하여 전기 방전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도록 전기 방전을 검출하는 방법이 중요한 기술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 내부에 발생하는 전기 방전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전압 검출방법과 전류 검출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전압 검출방법은 전기가 도통되는 전선과 직접 접촉하여 전기 방전을 검출하는 접촉식 방식이므로, 안전상 별도의 절연구조가 필요로 하여 수배전반과 같은 고전압 설비에 적용하여 실시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통상 전기 방전은 부하의 기동, 정지 및 비선형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전류를 포함하고 있어 전압 검출방법으로는 정상상태와 전기 방전상태의 명확한 구별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류 검출방법은 비접촉식 방식이므로 별도의 절연구조의 필요성은 없으나, 전기 방전으로 인한 고주파 전류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고주파 전류센서(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HFCT)가 사용되는데, 전기 방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주판 전류신호는 극히 미소하기 때문에 비접촉식 방식인 고주파 전류센서로는 검출이 다소 곤란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기 쉬워 검출값의 신뢰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부하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측정대상에 따라 적합한 고주파 전류센서를 교체하여 사용해야 함으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주파 전류센서는 너무 고가여서 현실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기에 다소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구 실험을 통해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각각의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을 검출하고, 그 각각의 전자파 파장이 속하는 0.1㎒ 내지 10㎒의 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하여 검출함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전기 방전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접촉식으로 별도의 절연구조가 필요 없어 구조를 최소화하여 수배전반에 적용하여 실시하기 용이한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구 실험을 통해서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자외선 파장 대역을 검출하고, 그 자외선 파장이 속하는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자외선 검출센서를 통하여 전기 방전을 검출함으로 더욱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은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안테나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 0.1㎒ 내지 10㎒의 전자파를 검출하여 전기 방전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자외선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자외선 검출센서를 통하여 파장 대역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검출하여 전기 방전의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은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주파수 대역 0.1㎒ 내지 10㎒의 전자파를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송신하는 안테나;와,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자외선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파장 대역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송신하는 자외선 검출센서;와, 상기 안테나와 자외선 검출센서에서 송신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안테나와 자외선 검출센서에서 송신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전기 방전을 감지하면, 경보하도록 하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송신하는 것으로 전기 방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수배전반 내부의 연기발생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송신하는 것으로 전기 방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연기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수신하는 수신정보를 제공받아 영상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여, 관리자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수신하는 수신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에 의하면, 연구 실험을 통해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각각의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을 검출하고, 그 각각의 전자파 파장이 속하는 0.1㎒ 내지 10㎒의 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하여 검출함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전기 방전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접촉식으로 별도의 절연구조가 필요 없어 구조를 최소화하여 수배전반에 적용하여 실시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구 실험을 통해서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자외선 파장 대역을 검출하고, 그 자외선 파장이 속하는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자외선 검출센서를 통하여 전기 방전을 검출함으로 더욱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의 개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은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안테나(10)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 0.1㎒ 내지 10㎒의 전자파를 검출하여 전기 방전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각각의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을 검출하기 위해서, 아래의 [모의실험 1]에서 직렬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과 아래의 [모의실험 2]에서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을 각각 검출하는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1] 직렬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 검출
먼저, 노후된 케이블이나 열화된 터미널에서 발생되는 직렬 전기 방전를 모의하기 위해 UL1699규정에 의거하여 제작된 아래의 [그림 1]과 같은 모의발생장치를 제작하였다.
[그림 1] 직렬 전기 방전 모의발생장치
Figure pat00001
여기서, 접촉부에 형성된 탄화 도전로(carbonized path)를 모의하기 위하여 아래의 [그림 2]와 같이 탄소봉과 구리전극(carbon rod-copper electrode)을 사용하였으며, 전력기기 간의 접속불량에 의한 절연열화를 실험하기 위하여 아래의 [그림 3]과 같이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을 제작하였다.
[그림 2] 탄소봉-구리전극(carbon rod-copper electrode)
Figure pat00002
[그림 3]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
Figure pat00003
상기한 모의발생장치를 통해서 이동전극(moving electrode)에 연결된 마이크로미터(micrometer)를 조절하여 고정전극(stationary electrode)과 이동전극 사이에서 전기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전자파의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여 직렬 전기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검출하였다.
[모의실험 2] 코로나 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파장 대역 검출
먼저, 통상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MOF 및 변압기의 부싱, VCB의 단락표지판, 지지애자 등의 전력기기에서 발생되는 코로나 방전을 모의하기 위해서, 아래의 [그림 4]와 같은 코로나 방전 모의발생장치를 구성하여, 최대 인가전압은 4.8㎸로 인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4] 크로나 방전 모의발생장치
Figure pat00004
여기서, 전극계(electrode system)는 침전극과 평판전극으로 구성되는데, 침전극 및 평판전극의 형태와 간격을 달리하여 절연의 상태(절연지와 공기) 및 침전극의 곡률반경에 따른 방사전자파의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기 위해서, 아래의 [그림 5]와 같이 0.2㎜의 곡률을 갖는 침전극과 60㎜의 폭을 갖는 평판전극을 구성하고, 아래의 [그림 6]과 같이 10㎛의 곡률을 갖는 침전극과 60㎜의 폭을 갖는 평판전극을 구성하고, 아래의 [그림 7]과 같이 50㎜와 60㎜의 폭을 갖는 각각의 평판전극을 구성하였다.
[그림 5] 침전극(곡률:0.2㎜)-평판전극(폭:60㎜)
Figure pat00005
[그림 6] 침전극(곡률:10㎛)-평판전극(폭:60㎜)
Figure pat00006
[그림 7] 평판전극(폭:50㎜)-평판전극(폭:60㎜)
Figure pat00007
상기와 같이 [모의실험 1]과 [모의실험 2]를 시험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 1]과 같은 전기 방전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검출하였다.
[그래프 1] 전기 방전시 발생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Figure pat00008
즉, 본 발명의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은 [모의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전기 방전시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는 0.1㎒ 내지 10㎒의 파장 대역의 전자파를 검출하여 전기 방전의 유무를 감지함으로,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접촉식 방법으로 전기 방전을 검출하여 별도의 절연장치가 필요 없어 수배전반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그래프 1]을 살펴보면 주파수 대역 0.1㎒ 내지 1㎒에서도 전기 방전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지만, 주파수 대역 0.1㎒ 내지 1㎒는 파장이 미세하고, 이러한 미세한 주파수는 검출하기가 다소 곤란하므로 바람직하게 0.1㎒ 내지 10㎒의 파장 대역의 주파수를 검출함이 좋다.
또한,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자외선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자외선 검출센서(20)를 통하여 파장 대역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검출하여 전기 방전의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이 더 포함되어 전기 방전 검출 값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통상 전기 방전시 아래의 [그래프 2]와 같이 200㎚ 내지 800㎚의 광 스펙트럼이 형성되는데, 자외선에 속하는 200㎚ 내지 395㎚의 파장 대역을 상기 자외선 검출센서(20)로 검출함으로, 전기 방전의 유무를 더욱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프 2] 전기 방전시 발생하는 광 스펙트럼
Figure pat00009
여기서, 가시광선에 속하는 대략 400㎚ 내지 800㎚의 파장 대역을 검출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파장 대역은 통상의 형광등, 백열등 등의 파장에 해당함으로, 장치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검출 값의 신뢰도가 낮아지므로 본 발명과 같이 자외선에 속하는 200㎚ 내지 395㎚의 파장 대역을 검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검출센서(20)로는 통상의 UV(ultraviolet)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100)은 안테나(10)와, 자외선 검출센서(20)와, 마이크로프로세서(30:MPU)와, 경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10)는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주파수 대역 0.1㎒ 내지 10㎒의 전자파를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송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10)나 후설될 상기 자외선 검출센서(20)에서 송신하는 검출정보의 신호는 미약하여 통상의 증폭기(1)를 통해서 후설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로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검출센서(20)는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자외선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파장 대역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송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10)에서 검출하는 주파수 대역이나, 상기 자외선 검출센서(20)에서 검출하는 자외선 파장 대역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에 상술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100)의 자외선 검출센서(20)로 UV센서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MPU)는 상기 안테나(10)와 자외선 검출센서(20)에서 송신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송신하는 검출정보를 통해서 전기 방전이 감지되면 후설될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수신하는 수신정보를 제공받아 영상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모니터(70)를 형성함으로, 관리자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수신하는 수신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부(4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안테나(10)와 자외선 검출센서(20)에서 송신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전기 방전을 감지하면, 경보하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상기 경보부(40)로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나 빛을 발생하는 경보등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로 송신하는 것으로, 전기 방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0)와, 수배전반 내부의 연기발생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로 송신하는 것으로, 전기 방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연기센서(60)를 더 포함하여 전기 방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더욱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100)은 다음과 같이 전기 방전을 검출한다.
먼저, 수배전반 내부에 본 발명의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100)을 설치한다.
그런 후,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방전시 발생하는 전자파 및 자외선을 각각 검출하는 안테나(10) 및 자외선 검출센서(20)의 검출를 통해서 전기 방전을 감지하게 되고, 이를 감지한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는 경보부(40)를 작동시켜 외부에 전기 방전 사실을 경보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여기서,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50) 및 연기센서(60)의 감지를 통하여 화재 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안정적으로 화재를 진화하여 대형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증폭기
10. 안테나 20. 자외선 검출센서
30. 마이크로프로세서 40. 경보부
50. 온도센서 60. 연기센서
70. 모니터
100.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Claims (5)

  1.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안테나(10)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 0.1㎒ 내지 10㎒의 전자파를 검출하여 전기 방전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자외선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자외선 검출센서(20)를 통하여 파장 대역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검출하여 전기 방전의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3.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주파수 대역 0.1㎒ 내지 10㎒의 전자파를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송신하는 안테나(10);
    수배전반 내부에 전기 방전 발생시 발생하는 자외선의 파장을 검출하는 것으로, 파장 대역 200㎚ 내지 395㎚의 자외선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송신하는 자외선 검출센서(20);
    상기 안테나(10)와 자외선 검출센서(20)에서 송신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MPU);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안테나(10)와 자외선 검출센서(20)에서 송신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전기 방전을 감지하면, 경보하도록 하는 경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로 송신하는 것으로, 전기 방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0)와,
    수배전반 내부의 연기발생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로 송신하는 것으로, 전기 방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연기센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수신하는 수신정보를 제공받아 영상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모니터(70)를 더 포함하여, 관리자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수신하는 수신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KR1020110086710A 2011-08-29 2011-08-29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KR20130023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710A KR20130023742A (ko) 2011-08-29 2011-08-29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710A KR20130023742A (ko) 2011-08-29 2011-08-29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742A true KR20130023742A (ko) 2013-03-08

Family

ID=4817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710A KR20130023742A (ko) 2011-08-29 2011-08-29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37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8814A (zh) * 2016-07-25 2018-02-02 香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型低压母线槽
KR101956196B1 (ko) 2017-11-28 2019-03-08 한빛이디에스(주) 저사양 센서 노드 기반 IoT 망 연계 및 데이터 무선 정보화가 가능한 복합형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03532B1 (ko) 2022-04-29 2023-02-24 강철수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KR102503525B1 (ko) 2022-04-29 2023-02-24 강철수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8814A (zh) * 2016-07-25 2018-02-02 香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型低压母线槽
KR101956196B1 (ko) 2017-11-28 2019-03-08 한빛이디에스(주) 저사양 센서 노드 기반 IoT 망 연계 및 데이터 무선 정보화가 가능한 복합형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03532B1 (ko) 2022-04-29 2023-02-24 강철수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KR102503525B1 (ko) 2022-04-29 2023-02-24 강철수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10413A2 (pt) anticorpos anti-dll4, isolados, polinucleotìdeo, vetor, célular hospedeira,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 anticorpo anti-dll4,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 imunoconjugado anti-dll4, método para a detecção de dll4, metodo para diagnosticar um distúrbio, composições, método para tratar um tumor, cáncer e/ou disturbio da proliferação celular e método para melhorar a eficácia de um agente anti-angiogênico
KR101213091B1 (ko) 전자파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의 접속불량 및 단선여부를 감시진단하는 수배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CN205067687U (zh) 一种断路器灭弧特性检测与评估装置
KR101232750B1 (ko) 비접촉 복합센서에 의한 아크 및 코로나방전을 감시진단하는 열화진단 시스템을 구비한 수배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CN203504160U (zh) 弧光保护系统
CN204044296U (zh) 一种局部放电检测系统
Kumpulainen et al. Pre-emptive arc fault detection techniques in switchgear and controlgear
CN104655992A (zh) Gis局放检测设备及方法
JP2017529818A (ja) 光起電力システムにおけるアーク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アークの検出装置
KR20130023742A (ko)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KR20080108845A (ko) Swnt-uhf 융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부분 방전을 검출하는 방법
KR20130055077A (ko)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부분방전 감시 장치
CN103777112B (zh) 试验仪器接地检测报警装置
KR101070822B1 (ko) 수배전반의 이상 검출 장치
CN201170797Y (zh) 高压开关柜触点电晕及拉弧检测装置
KR101954273B1 (ko) 스마트 분전반 시스템
KR101358092B1 (ko) 수배전반의 아크 진단을 위한 uv 검출 방법
KR101308003B1 (ko) 웨이블릿 기반 아크 판별방법
CN108226614A (zh) 一种高压输电声光验电装置
CN103852698A (zh) 一种断路器真空灭弧室的绝缘强度测试装置
Park et al. Frequency spectrum analysis of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y electric discharges
Wan et al. The application of UHF detection & positioning method into the process of partial discharge detection of switch cabinet
KR101232739B1 (ko) 전자파와 자외선검출에 의한 아크 및 코로나방전 감시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Hussain Methods for arc-flash prediction in medium voltage and low voltage switchgear
Lopez-Roldan et al. Development of a pocket ultrahigh frequency partial-discharge detector to warn switchyard personnel of imminent failure of a nearby high-voltage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