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525B1 -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525B1
KR102503525B1 KR1020220053355A KR20220053355A KR102503525B1 KR 102503525 B1 KR102503525 B1 KR 102503525B1 KR 1020220053355 A KR1020220053355 A KR 1020220053355A KR 20220053355 A KR20220053355 A KR 20220053355A KR 102503525 B1 KR102503525 B1 KR 10250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witchboard
information
failur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수
Original Assignee
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수 filed Critical 강철수
Priority to KR102022005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03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nt heat transfer of samples, e.g. emittance 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배전반 내부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을 측정하여 해당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최소 1개 이상의 감시장치와 제1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각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은 각 감시장치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각 감시장치의 전기부품 별로 고장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상태를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감시장치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 또는 고장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감시장치와 연결되어 촬영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배전반의 내부 정보를 분석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배전반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을 관리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Switch boare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배전반 내부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전달할수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의 내부에는 전원 전달용 도체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나사 등을 이용하여 양측 도체를 서로 고정시키는데, 이러한 나사의 풀림 또는 도체의 산화 등에 의해 이상 고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 내에 과전류로부터 회로 또는 부하장치를 보호하고 사고에 대한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기 중 수 내지 수십 킬로볼트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 차단기는 상호 접속 및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부스 클립(Bus clip)에 의해 전기적 접속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전류용량을 고려하여 공급 측과 분배 측 상호 간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단자는 도전용 금속소재로 판형으로 형성된 부스바(Bus-Bar)가 적용되고 있다.
배전반 내에는 전력변환 및 전달, 계측 등을 위한 다수의 전력기기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중 대표적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선로에 배치되는 차단기(circuit breaker)는, 선로에 과전류, 과전압, 부족전압, 단락, 지락 등의 요소가 검출되는 경우 선로를 차단함으로써, 배전반 및 이와 연결된 부하나 각종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배전반 패널은 도어 등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이므로,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전에는 배전반 패널 내부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배전반 패널 내의 선로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선로와 연결된 차단기나 다른 기기들의 온도가 변동될 있다. 특히,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할수록 기기들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기기들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경우 기기들의 성능 저하나 작동 오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기기들의 과열로 인한 화재의 발생이 우려될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전에는 배전반 패널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다. 특히, 차단기와 같은 일부 기기의 과열은 차단기 후면의 접점 단자 등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차단기의 후면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004430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2374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10437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압 및 전류의 감지, 진동감지 등은 물론이고, 배전반 내에 있는 전기부품을 모니터링하며, 화재를 감지할수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전반 내부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외부와 공유할 수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전반 내부의 구성요소를 모니터링하여 머신러닝 기반의 고장진단 모니터링 방법을 가진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배전반 내부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을 측정하여 해당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최소 1개 이상의 감시장치와 제1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각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은 각 감시장치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각 감시장치의 전기부품 별로 고장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상태를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감시장치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 또는 고장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감시장치와 연결되어 촬영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배전반의 내부 정보를 분석하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배전반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을 관리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배전반 내에 전기부품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모듈과 상기 배전반 내에 상기 전기부품에 구비된 전기기기들의 스파크 발생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발생에 대한 진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모듈과 상기 배전반 내에 상기 전기부품에 구비된 각종 전기소자들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모듈과 상기 배전반 내에 전기부품에 구비된 각종 전기기기들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모듈과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또는 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전기부품를 촬영하여, 상기 전기부품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상기 전기부품의 표면온도 정보가 포함된 열화상 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모듈과 상기 배전반 내에 설치된 전기부품를 촬영하여 전기부품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을 획득하는 실화상 카메라모듈과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 또는 고장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모듈과 상기 화재감지모듈, 상기 진동감지모듈, 상기 전압감지모듈 상기 전류감지모듈, 상기 통신모듈,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저장모듈, 상기 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인공지능 방식에 기반하여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모듈을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웨이는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관리서버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 또는 신호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시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에는 상기 감시장치의 상기 화재감지모듈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 불꽃 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전송되는 온도, 불꽃, 연기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들의 값이 기설정된 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경고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경고음이나 부저가 발생하는 경보부와 상기 관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전반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표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의 화재나 스파크가 발생하는 부분의 화재발생 여부를 미리 감지하고, 이를 제1 무선통신망,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공유하므로 안전한 배전반의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의 내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고장 발생 빈도가 높은 구성요소에 모니터링을 집중시켜 화재 또는 고장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장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및 관리서버로 각각 전송함으로써, 배전반의 구성요소에 대한 고장상태를 진단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배전반의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인공지능 모듈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중앙관제센터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6은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이상감시 및 불량예측을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의 네트워크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배전반의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인공지능모듈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중앙관제센터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5는 관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이상감시 및 불량예측을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배전반(D)의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전기부품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게이트웨이(200) 및 관리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전반(D)을 이루는 각 전기부품을 모니터링하는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제1 무선통신망(10)을 통해 게이트웨이(200)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무선통신망(10) 및 제2 무선통신망(20)을 이용하는데, 상기 무선통신은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을 비롯하여, 데이터(또는 신호) 통신되도록 구현할수 있고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기그(WiGig) 통신,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통신,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유/무선 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전반(D)을 모니터링하는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배전반(D) 내에 배치되어, 배전반(D) 내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을 측정하여 해당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배전반(D)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예컨대, 장치의 이름, 장치의 비밀번호, 장치의 일련번호, 장치의 종류, 장치의 제조회사,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장치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장치의 모델 및 장치의 버전, 장치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다른 장치들과 구별하기 위한 해당 장치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생산자 및 관리자(일 예로, 관리자 또는 운영자 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의 저장모듈(155)에 미리 저장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배전반(D)의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 예컨대, 화재감지모듈(110), 진동감지모듈(115), 전압감지모듈(120), 전류감지모듈(125), 통신모듈(130), 제어모듈(135), 열화상 카메라모듈(145) 및 실화상 카메라모듈(150) 등에 대한 식별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전반(D)을 구성하는 전기부품은 예컨대, 변압기, ACB(air circuit breaker),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B(molded circuit breaker) 등을 포함하는 차단기들, 단로기, 개폐기(일 예로, 가스절연개폐기(gas insulated switchgear , GIS), 피뢰기, 계기용 변성기, 전력퓨즈, 전력용 콘덴서, 배전반, 보호계전기, 콘서베이터(conservator), 회전기, 모선지지대, 변압기 보호장치, 충전기, 제어반, 클램프(clamp), 커넥터(connector), 케이블(cable) 및/또는 전력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수 있다.
배전반(D)을 구성하는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전기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부품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각각의 전기부품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부품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전기부품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측정하여 해당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들은, 크게 화재감지모듈(110), 진동감지모듈(115), 전압감지모듈(120), 전류감지모듈(125), 통신모듈(130), 제어모듈(135) 및 전원공급모듈(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45), 실화상 카메라모듈(150), 저장모듈(155) 및 표시모듈(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는 도 2를 참조하여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감시 대상에 해당하는 전기부품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화재감지모듈(110)은 배전반(D) 내에 최소 1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배전반(D) 내의 전기부품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화재감지모듈(110)은 전기부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111), 전기부품의 스파크를 감지하는 자외선 감지센서(112), 전기부품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113) 및/또는 전기부품의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 감지센서(11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도면에 미도시 되었지만, 실내 또는 실외에서 화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 연기 및/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기 위해서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센서신호로써 출력하는 센서들 예컨대, 파장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열화상 감지센서, CO 감지센서, CO2 감지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온도 감지센서(111)는 공기 중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 소자는 부특성 써미스터(NTC thermister), 정특성 써미스터(PTC thermistor) 및/또는 임계특성 써미스터(CRT)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 감지센서(111)는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온도센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열전대 센서, 바이메탈, IC 온도센서 및 비접촉식 센서인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장센서는 예컨대, 100nm 내지 1200nm의 불꽃(또는 화염)이 방사하는 파장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파장센서는 불꽃이 유발하는 파장대를 감지함으로써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는데 이용될수 있다.
즉, 상기 파장센서는 화재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방식의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화재 발생 시에 방출되는 빛은 화염의 온도에 따라 각각 특성이 다른 파장을 가지는데,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 파장의 영역이 다른 세 가지로 대별되며, 화재감지모듈(110)은 이러한 광학적 반응 특성을 이용하여 해상도 높은 파장센서로 광원을 인식하여 화재를 식별해 낼 수 있다.
진동감지모듈(115)은 배전반(D)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전기부품에 구비된 각종 전기기기들의 스파크 발생 및/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발생에 대한 진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진동감지모듈(115)은 실내 및/또는 실외에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진동을 감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센서신호로써 출력하는 센서들 예컨대, 충격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압전센서 및/또는 압력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압감지모듈(120)은 배전반(D)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전기부품에 구비된 각종 전기소자들의 전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류감지모듈(125)은 배전반(D)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전기부품에 구비된 각종 전기기기들의 전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압감지모듈(120) 및/또는 전류감지모듈(125)은 하나로 통합되어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가에 인입되어 다수로 분배된 전력선(PL)에 각각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전력선(PL)에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압감지모듈(120) 및/또는 전류감지모듈(125)은 각 전력선(PL) 주위에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유도 현상 및/또는 전류자기 효과에 의해 각 전력선(PL)에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모듈로서, 예컨대, 클램프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류기(Current Transducer, CT) 및/또는 각 전력선(PL)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속에 비례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전류 신호로 환산하여 각 전력선(PL)에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Hall Sensor) 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통신모듈(130)은 제어모듈(135)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135)은 각 전기부품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듈로서, 특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감지모듈(110), 진동감지모듈(115), 전압감지모듈(120), 전류감지모듈(125), 통신모듈(130), 전원공급모듈(140), 열화상 카메라모듈(145), 실화상 카메라모듈(150), 저장모듈(155) 및/또는 표시모듈(16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135)은 화재감지모듈(110), 진동감지모듈(115), 전압감지모듈(120) 및/또는 전류감지모듈(125)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원격의 전기부품 관리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원공급모듈(140)은 각 모듈 즉, 화재감지모듈(110), 진동감지모듈(115), 전압감지모듈(120), 전류감지모듈(125), 통신모듈(130), 제어모듈(135), 열화상 카메라모듈(145), 실화상 카메라모듈(150), 저장모듈(155) 및/또는 표시모듈(16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로(Battery)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계속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전원(예, AC 220V)을 직류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모듈(135)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D) 내에 설치된 전기부품 을 촬영하여 전기부품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예컨대, 적외선 등)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부품에 대한 표면온도 정보가 포함된 열화상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은 실시간 및/또는 주기적으로 전기부품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부품를 촬영하여 전기부품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부품의 표면온도 정보가 포함된 열화상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은 배전반(D) 내에 설치된 전기부품를 촬영하여 전기부품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은 상기 측정된 전기부품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 정보(또는 열에너지값)를 온도보정함수를 통해 전기부품의 표면온도 정보(또는 온도값)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보정함수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55)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은 상기 변환된 전기부품의 표면온도 정보를 밝기보정함수를 통해 전기부품의 밝기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밝기보정함수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55)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은 상기 변환된 전기부품의 밝기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부품의 표면온도 정보가 포함된 열화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기부품의 표면온도 정보가 포함된 열화상 정보를 제어모듈(135)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을 통해 전기부품의 열에너지 정보, 표면온도 정보, 밝기 정보 및/또는 열화상 정보 등을 각각 측정, 변환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고 서술했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을 통해 전기부품의 열에너지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모듈(135)을 통해 전기부품의 표면온도 정보, 밝기 정보 및/또는 열화상 정보를 각각 변환 및/또는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모듈(135)은 열화상 카메라 모듈(145)로부터 전기부품에 대한 열화상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전기부품에 대한 열화상 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각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제어모듈(135)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D) 내에 내에 설치된 전기부품를 촬영하여 전기부품에 대한 실화상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실화상 카메라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실화상 카메라모듈(150)은 배전반(D) 내에 설치된 전기부품를 촬영하여 전기부품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화상 카메라모듈(125)은 상기 획득된 전기부품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을 하다마드변환, 이산 여현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이산 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등과 같이 공간축의 화상 신호를 주파수 축으로 변환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제어모듈(135)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주기적 및/또는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모듈(15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제어모듈(135)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 및/또는 고장상태를 화면(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모듈(160)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등을 들 수가 있다.
배전반(D)을 모니터링하는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성되어 외부(예컨대, 관리서버(300) 등)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동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AMI 네트워크 기반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수용가에 설치된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열량 등 각종 스마트 계량기의 사용량을 원격에서 검침하는 한편, 해당 정보를 상위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취합, 분석 및 가공한 후, 이를 다시 수용가에게 제공하는 양방항 통신 인프라를 의미한다.
또한, 배전반(D)에는 인공지능 방식에 기반하여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도록 인공지능 모듈(170)이 형성되는데 이하, 이를 도면을 첨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보면, 인공지능 모듈(170)은 데이터 학습부(171) 및 데이터 분석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학습부(171)는 딥-러닝 프레임 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같은 신경망 알고리즘,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와 같은 비전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학습부(171)는 오브젝트/패턴 인지, 오브젝트들의 유사도 검사 등의 다양한 영상 분석 기준들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71)는 영상 분석을 위하여 어떤 데이터를 이용할지에 관한 기준들을 학습하고 추론(inferencing)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학습부(171)는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영상 분석을 위한 기준을 학습해 나갈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72)는 제어모듈(135)의 요청에 응답하여 입력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72)는 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172)는 학습에 의해 설정된 기준들에 따라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는 데이터 분석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영상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에 따른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의 결과정보는 데이터 분석 모델을 업데이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게이트웨이(200)에 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와 관리서버(300)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게이트웨이(200)는 제1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무선 통신망(20)을 통해 관리서버(30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제1 무선통신망(10)을 통해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제2 무선통신망(20)을 통해 관리서버(3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웨이(200)는 제2 무선통신망(2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부터 전달된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무선통신망(20)은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과 같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이 바람직하다.
관리서버(300)는 제2 무선통신망(20)을 통해 게이트웨이(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무선통신망(20)을 통해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전달받은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를 통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전기부품 별로 고장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상태를 원격으로 실시간 및/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부품에 대하여 화재,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화재 정상값, 진동 정상값, 전압 정상값 및/또는 전류 정상값 중 적어도 하나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전기부품을 고장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화재 정상값, 진동 정상값, 전압 정상값 및/또는 전류 정상값 범위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화재 정상값, 진동 정상값, 전압 정상값 및/또는 전류 정상값 범위는 한 개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값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전기부품의 각각의 지점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화재 정상값, 진동 정상값, 전압 정상값 및/또는 전류 정상값 범위는 전기부품의 각각의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별도 데이터베이스(DB)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전송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부품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부품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부품 별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 및/또는 고장상태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부품 별로 전기부품의 고장 상태가 기 설정된 전기부품 이미지(예컨대, 2D 또는 3D 이미지 등)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부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0)는 전기부품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부품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부품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부품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부품 별로 전기부품의 온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부품 별로 전기부품의 온도 상태가 기 설정된 전기부품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부품 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부품의 온도 상태는 전기부품의 온도 크기, 온도상태등급,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명칭 또는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부품의 열화상 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부품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부품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부품의 위치별로 전기부품의 열화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부품 별로 전기부품의 열화상 상태가 기 설정된 전기부품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부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부품의 열화상 상태는 전기부품의 열화상 영상, 온도 크기, 온도상태등급, 명칭 및/또는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각 전기부품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부품에 대한 실화상 및/또는 열화상 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부품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부품 별로 전기부품에 대한 실화상 및/또는 열화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부품 별로 전기부품에 대한 실화상 및 열화상 정보를 매칭하여 해당하는 전기부품에 대한 실화상 상태 및/또는 열화상 상태를 전기부품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부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부품의 실화상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부품의 실화상 상태는 전기부품의 실화상 영상, 온도 크기, 온도상태등급, 적어도 하나의 전기부품에 대한 명칭 및/또는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를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제2 무선통신망(20)을 통해 게이트웨이(200)로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리서버(300)에는 상기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화재감지모듈(110)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111), 연기감지센서(113), 불꽃 감지센서(114) 를 통해 전송되는 온도, 불꽃, 연기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들의 값이 기설정된 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경고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방서의 서버(미도시)와도 연동하여, 소방서에 경보알람이 울리도록 하여 유사시 출동준비 태세를 갖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통신모듈(13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데이터 전송할 때, 게이트웨이(200)를 경유하여 전송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게이트웨이(2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관리서버(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관리서버(300)는 각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 및/또는 고장상태를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400)로 주기적 및/또는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 해당 전기부품의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 및/또는 고장상태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관리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400)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400)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제2 무선통신망(20)을 통해 제공해준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400)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400)은 제2 무선통신망(20)을 이용하여 관리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관리서버(3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해당 전기부품의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 관련 정보 및/또는 고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400)은 예컨대,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등 컴퓨터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도 4는 중앙관제센터(500)에 대한 블록도이다.
중앙관제센터(500)는 상기 감시장치(100)의 열화상 카메라모듈(145)과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관리서버(300)와 연동하여 상기 배전반(D)의 내부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50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145)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I/F부(501)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145)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영상객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502)와 상기 메인 제어부(502)로부터 영상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03)와 상기 메인 제어부(502)의 관리자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신호 입력부(504) 및 상기 메인 제어부(502)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505)를 포함한다.
상기 I/F부(501)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45)과 감시 영상 등과 같은 정보를 송수신하여 이를 메인 제어부(502)로 넘긴다.
상기 메인 제어부(502)는 상기 카메라모듈(145)로부터 감시 영상을 제공받아서, 현재 실시간으로의 감시영상을 통한 이상상황을 인식하게 된다.
그 다음, 메인 제어부(502)는 이러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이상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해당하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의 동작을 예를 들어, 영상 확대 및 줌-인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3)는 이외에도,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145)과 외부 연계 기관의 등록정보 등을 등록한다. 상기 외부 연계 기관의 종류로는 긴급시 연락할 관공서가 이에 해당하며, 관할 경찰서 정보처리장치, 긴급구조기관 정보처리장치, 소방서 정보처리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관제센터(500)는 배전반(D)의 화재 등과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서술한 외부 연계 기관에 통보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키 신호입력부(504)는 중앙관제센터(500)의 근무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 임의의 상태 예를 들어, 사용을 안할 경우 오프 상태로 설정하기도 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메인 제어부(502)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표시부(505)는 배전반(D)의 현재 상황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키 신호입력부(504)의 조작으로 입력한 내용이 화면(미도시)에 표시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관리장치(600)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관리장치(600)는 배전반(D)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D)을 관리한다.
관리장치(600)의 디스플레이부(610)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45)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중앙관제센터(5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10)를 통하여 배전반(D)의 내부를 수시로 모니터링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경보부(6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10)에 의하여 표시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부(620)에 의하여 안내되는 방식은 음성안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경고음이나 부저 등의 소리를 제공하는 것도 당연히 포함된다. 또한, 관리서버(300)를 통해서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이를 전달받아 경고음이나 부저음을 발생시킨다.
제어부(630)는 관리장치(600)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것으로, 이를 테면, 상기 디스플레이부(610)와 상기 경보부(620)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시각과 청각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입력부(640)의 터치스크린(T)의 조작을 통한 문구(文句)의 입력 또는 연산의 제어 등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관리장치(600)의 입력부(640)는 상기 배전반(D)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에 터치스크린(T)이 형성된다.
상기 입력부(640)는 상기 제어부(630)와 버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30)의 각종 연산결과 중에서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결과를 상기 입력부(64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64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T)이 구비되어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미도시)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630)와 버스(미도시)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30)에서 각종 연산을 명령하여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63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배전반(D)의 제어와 영상처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6을 보면, 상기 배전반(D)이 인공지능 모듈(170)과 연결되어 이상감시 및 불량예측을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D)의 구성도이다.
배전반(D)은 적외선센서 유닛(D-1)과 제어부(D-2), 인공지능 모듈(170), 기준데이터저장부(D-3), 경고모듈(D-4) 및 네트워크 망을 통해 클라우드(D-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D)은 배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D-2)와 연결되는 접지단선유무센서(D-6) 및 접지저항 센서(D-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 유닛(D-1)은 적외선센서(미도시)들로 하여금 설치된 부스바(미도시)에서 열적 변화가 발생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D-2)는 주기적으로 상기 적외선센서 유닛(D-1)을 작동시켜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3차원 이미지데이터로 인공지능 모듈(1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모듈(170)에는 3차원 이미지데이터들이 누적되어 저장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D-2)는 접지단선유무센서(D-6)와 연결되어 배전반(D)의 접지 단선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모듈(D-4)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D-2)는 접지저항 센서(D-7)와 연결되어 배전반(D)의 접지 저항값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모듈(D-4)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인공지능 모듈(170-1)은 상기 적외선 센서 유닛(D-1)에서 감지되어 주기적으로 수신되어 누적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배전반(D)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작용을 한다.
이어, 인공지능 모듈(170-1)에서는 상기와 같이 누적되어 저장되는 3차원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해 직전에 저장되는 이미지데이터 프레임과 현재 저장되는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을 비교분석 후 변경영역과 변경상태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인공지능 모듈(170-1)은 배전반(D)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주기를 정상 동작시에 비해 단축시켜 모니터링 횟수를 증가시킨다. 상기 인공지능 모듈(170-1)에서는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변경영역과 변경상태를 지속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정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서서히 점차 영역을 넓혀 변화되고 있다면 즉, 여러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에 걸쳐 변경상태가 감지되고 있다면 해당 영역에서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인공지능 모듈(170-1)은 만일,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변경영역과 변경상태를 지속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정영역에서 짧은 순간만 변화가 감지되었다면 즉, 특정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에서만 변경상태가 감지되었다면 해당 영역에서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러한 판단결과 여러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에서 변경상태가 감지되고 있다면 가스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공지능모듈(170-1)의 판단은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명도와 채도를 비교분석하여 특정 영역에서 온도변화가 감지되는지, 아크가 발생하였는지, 혹은 가스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인공지능모듈(170-1)이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명도와 채도를 비교분석할 때 사용되는 딥 러닝 모델로는 CNN, RNN, GAN이 채용될 수 있으며, 비교분석 결과는 수치화된 값으로 도출한 후 도출된 수치들의 변경영역과 변경상태, 그리고 지속시간에 따라 온도, 아크, 가스 등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데이터저장부(D -3)는 상기와 같이 인공지능모듈(170-1)이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을 비교분석하여 배전반(D) 내에서 온도, 아크, 가스 등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으로, 기준데이터는 초기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지만 인공지능모듈(170-1)에 의해 학습되는 데이터가 기준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고, 클라우드(D-5)를 통해 외부에서 기준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경고모듈(D-4)은 상기와 같이 인공지능모듈(170)에 의해 배전반(D) 내에서 온도, 아크, 가스 등의 감지값이 이상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D-2)의 제어에 의해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주변의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통신망(C)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 또는 관리센터에 전송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클라우드(D-5)는 배전반(D)과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어 인공지능모듈(170-1)에 의해 비교분석되는 데이터가 전송되어 저장되는 수단으로서, 수많은 배전반들로부터 비교분석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각 배전반에 전송하여 각 배전반에 구비된 인공지능모듈을 학습시킴으로써 인공지능모듈(170-1)의 분석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단선유무센서(D-6)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접지 단선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상기 접지단선유무센서(D-6)는 측정된 값을 제어부(D-2)에 전송되도록 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어부(D-2)가 접지단선 측정값 판단결과, 이상이 발생하면 경고모듈(D-4)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지저항 센서(D-7)는 배전반(D)에 설치되어 접지저항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접지저항 센서(D-7)는 측정된 값을 제어부(D-2)에 전송되도록 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어부(D-2)가 접지저항 측정값 판단 결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접지저항 변화가 발생하면 경고모듈(D-4)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무선통신망 20 : 제2 무선통신망
100 : 감시장치 110 : 화재감지모듈
111 : 온도감지센서 112 : 자외선 감지센서
113 : 연기감지센서 114 : 불꽃감지센서
115 : 진동감지모듈 120 : 전압감지모듈
125 : 전류감지모듈 130 : 통신모듈
135 : 제어모듈 140 : 전원공급모듈
145 : 열화상카메라모듈 150 : 실화상 카메라모듈
155 : 저장모듈 160 : 표시모듈
170, 170-1 : 인공지능 모듈 171 : 데이터 학습부
172 : 데이터 분석부 T : 터치스크린
200 : 게이트웨이 300 : 관리서버
400 : 관리자 단말 500 : 중앙관제센터
600 : 관리장치 D : 배전반
D-1 : 적외선 센서 유닛 D-2 : 제어부
D-3 : 기준데이터 저장부 D-4 : 경고모듈
D-5 : 클리우드 D-6 : 접지단선 유무센서
D-7 : 접지저항 센서

Claims (5)

  1. 배전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내부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을 측정하여 해당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최소 1개 이상의 감시장치;
    제1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각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은 각 감시장치의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각 감시장치의 전기부품 별로 고장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상태를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관리서버;
    상기 감시장치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고장관련정보 또는 고장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감시장치와 연결되어 촬영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배전반의 내부 정보를 분석하는 중앙관제센터;
    상기 배전반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을 관리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배전반 내에 전기부품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모듈;
    상기 배전반 내에 상기 전기부품에 구비된 전기기기들의 스파크 발생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발생에 대한 진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모듈;
    상기 배전반 내에 상기 전기부품에 구비된 각종 전기소자들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모듈;
    상기 배전반 내에 전기부품에 구비된 각종 전기기기들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모듈;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또는 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전기부품를 촬영하여, 상기 전기부품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상기 전기부품의 표면온도 정보가 포함된 열화상 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배전반 내에 설치된 전기부품를 촬영하여 전기부품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을 획득하는 실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전기부품에 대한 화재, 진동,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 또는 고장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모듈;
    상기 화재감지모듈, 상기 진동감지모듈, 상기 전압감지모듈 상기 전류감지모듈, 상기 통신모듈,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저장모듈, 상기 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인공지능 방식에 기반하여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누적되어 저장되는 3차원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해 직전에 저장되는 이미지데이터 프레임과 현재 저장되는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을 비교분석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배전반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주기를 정상 동작시에 비해 단축시켜 모니터링 횟수를 증가시키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의 변경영역이 커지고, 여러 이미지데이터 프레임들에 걸쳐 변경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영역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이미지데이터 프레임의 명도와 채도를 비교분석하며, 상기 명도와 채도를 비교분석하는 딥 러닝 모델은 CNN, RNN, GAN 중 어느 하나의 모델이며, 비교분석 결과는 수치화된 값으로 도출한 후 도출된 수치들의 변경영역과 변경상태, 그리고 지속시간에 따라 온도, 아크, 가스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웨이는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관리서버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 또는 신호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시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상기 감시장치의 화재감지모듈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 불꽃 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전송되는 온도, 불꽃, 연기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들의 값이 기설정된 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경고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열화상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경고음이나 부저가 발생하는 경보부;
    상기 관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전반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표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20053355A 2022-04-29 2022-04-29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0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355A KR102503525B1 (ko) 2022-04-29 2022-04-29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355A KR102503525B1 (ko) 2022-04-29 2022-04-29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525B1 true KR102503525B1 (ko) 2023-02-24

Family

ID=8533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355A KR102503525B1 (ko) 2022-04-29 2022-04-29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5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5124A (zh) * 2023-07-07 2023-08-04 欧米勒电气有限公司 一种数字智能化开关柜综合监控系统
KR102573157B1 (ko) * 2023-03-24 2023-08-31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 안전 운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00722B1 (ko) * 2023-04-26 2023-11-10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Ai 기반 과열 방지 및 원격감시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CN117576852A (zh) * 2023-11-22 2024-02-20 北京北元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LoRa通信的电气火灾监控系统
KR102648377B1 (ko) * 2023-09-12 2024-03-15 (주)프롬 네트워크 케이블 품질 모니터링이 가능한 ai 통합배선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54584B1 (ko) 2023-07-10 2024-04-05 (주)빅트론 터널용 전기실의 무인 관리 시스템
KR102659818B1 (ko) * 2024-02-13 2024-04-2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IoT 기반 열화진단 기능과 블랙박스 영상 저장기능을 갖춘 배전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375A (ko) 2010-03-16 2011-09-22 박중제 듀얼 시퀀스 모니터링에 의한 개보수 및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
KR20130023742A (ko) 2011-08-29 2013-03-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KR101423559B1 (ko) * 2013-12-03 2014-08-04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수배전반용 지능형 열화감시영상시스템
KR20170044309A (ko) 2015-10-15 2017-04-25 박지영 배전반 또는 부스덕트의 부스바 온도 모니터링용 무전원 송수신 시스템
KR101762534B1 (ko) * 2016-02-23 2017-07-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36185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의 영상 기계학습을 위한 영상 취득 장치
KR20210065034A (ko) * 2019-11-26 2021-06-03 김석주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375A (ko) 2010-03-16 2011-09-22 박중제 듀얼 시퀀스 모니터링에 의한 개보수 및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
KR20130023742A (ko) 2011-08-29 2013-03-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배전반에서 전자파, 자외선, 온도 및 연기 검출에 의한 전기방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합형 센서모듈
KR101423559B1 (ko) * 2013-12-03 2014-08-04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수배전반용 지능형 열화감시영상시스템
KR20170044309A (ko) 2015-10-15 2017-04-25 박지영 배전반 또는 부스덕트의 부스바 온도 모니터링용 무전원 송수신 시스템
KR101762534B1 (ko) * 2016-02-23 2017-07-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36185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의 영상 기계학습을 위한 영상 취득 장치
KR20210065034A (ko) * 2019-11-26 2021-06-03 김석주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157B1 (ko) * 2023-03-24 2023-08-31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 안전 운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00722B1 (ko) * 2023-04-26 2023-11-10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Ai 기반 과열 방지 및 원격감시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CN116545124A (zh) * 2023-07-07 2023-08-04 欧米勒电气有限公司 一种数字智能化开关柜综合监控系统
CN116545124B (zh) * 2023-07-07 2023-09-08 欧米勒电气有限公司 一种数字智能化开关柜综合监控系统
KR102654584B1 (ko) 2023-07-10 2024-04-05 (주)빅트론 터널용 전기실의 무인 관리 시스템
KR102648377B1 (ko) * 2023-09-12 2024-03-15 (주)프롬 네트워크 케이블 품질 모니터링이 가능한 ai 통합배선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7576852A (zh) * 2023-11-22 2024-02-20 北京北元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LoRa通信的电气火灾监控系统
KR102659818B1 (ko) * 2024-02-13 2024-04-2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IoT 기반 열화진단 기능과 블랙박스 영상 저장기능을 갖춘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525B1 (ko)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62534B1 (ko)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316714C (zh) 变电站系统
KR101423559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열화감시영상시스템
KR101194021B1 (ko) 다면적 온도감지를 이용한 배전반
KR10122432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BRPI0514913B1 (pt) sistema para controlar e monitorar remotamente um sistema elétrico e método para controle e monitorar o mesmo
KR101604110B1 (ko) 비접촉 반도체형 통합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31174B1 (ko) 화재발생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037320A (zh) 一种低压配电线路的监测系统
KR102472880B1 (ko) 전력설비의 전력손실 및 화재 진단 시스템
KR20200081088A (ko) 배전반 감시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1713076B1 (ko) 전력설비 보호계전기의 보호요소 계측값 및 동작상태 표시 시스템
JP2020092569A (ja) 異常電流予兆検出システムおよび異常電流予兆検出方法
US114420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an energy supply network
KR20100063549A (ko) 전력기기 온도 감시용 측정 장치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KR102219806B1 (ko) 스마트 배전반의 상황 인식 방법 및 그 스마트 배전반
KR20190036063A (ko) 열화상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 계전기
KR102503532B1 (ko) 영상촬영장치가 있는 배전반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KR20150078385A (ko) 분전반
CN108663970B (zh) 一种电力操作安全监控系统
KR20210094809A (ko) 케이블 진단 시스템
KR102513647B1 (ko) 위상차 없는 센서유닛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전기안전 원격 점검 및 제어장치
Yan et al. A real-time IR-fusion switchgear contact monitoring system (SC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