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79B1 -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79B1
KR102504779B1 KR1020220011934A KR20220011934A KR102504779B1 KR 102504779 B1 KR102504779 B1 KR 102504779B1 KR 1020220011934 A KR1020220011934 A KR 1020220011934A KR 20220011934 A KR20220011934 A KR 20220011934A KR 102504779 B1 KR102504779 B1 KR 10250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us
state
mimic
bu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임영근
Original Assignee
(주)세풍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풍전기 filed Critical (주)세풍전기
Priority to KR102022001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H02B15/02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with mimic diagrams

Abstract

본 발명은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내부 전기회로 계통에 대한 상태를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배전반 내부 전기회로 계통의 주전원과 연결된 모선의 통전상태감지, 불꽃감지, 발열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며, 수배전반의 판넬 외부 전면에는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모선 및 모선과 연결되는 전기기기를 포함한 전기회로 계통이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되어 구현된다. 이때 이미지로 구현된 모선 상에는 수배전반의 전기회로 모선에 설치된 센서들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모선의 비통전상태, 불꽃발생여부, 이상 고온 발열상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여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서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모선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수배전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의 활선상태 또는 사선상태에 의한 비통전상태를 감지하는 통전감지센서(12),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 상의 불꽃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14),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에 발생하는 비정상발열상태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6)를 포함하는 센서부(10); 센서부(10)에서 전송되는 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전기회로 모선의 통전상태, 모선에서의 불꽃발생 여부, 모선의 비정상발열상태 여부를 포함하여 모선의 상태가 정상상태인지 또는 비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 및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체 전기회로 계통의 주전원에 대한 모선 및 모선과 연결된 전기회로의 구성이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되어 수배전반의 외부 전면에 구비되는 미믹(30)을 포함하는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Switchgear maintenance system using LED simulation busbar}
본 발명은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내부 전기회로 계통에 대한 상태를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배전반 내부 전기회로 계통의 주전원과 연결된 모선의 통전상태감지, 불꽃감지, 발열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며, 수배전반의 판넬 외부 전면에는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모선 및 모선과 연결되는 전기기기를 포함한 전기회로 계통이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되어 구현된다. 이때 이미지로 구현된 모선 상에는 수배전반의 전기회로 모선에 설치된 센서들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모선의 비통전상태, 불꽃발생여부, 이상 고온 발열상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여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서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모선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수배전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수전반과 배전반)은 발전설비로 생산된 전기를 수요자에게 보내주는 전기설비에 관련된 전기기기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용 판넬을 말한다.
수배전반의 경우, 절연열화에 의한 단락, 접촉불량에 의한 단락, 과부하 및 과전류, 트래킹 등을 원인으로 하여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상시적 점검이 필요하다.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설비는 주전원에 대한 모선(전기라인)을 따라 다양한 전기기기가 구비되는데, 모선에 발생하는 불꽃, 비정상적 발열 등은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어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점검 대상이다.
이러한 수배전반의 전기설비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활선 상태에서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판넬커버(보호망)를 열고 육안으로 점검을 해야한다.
그러나, 수배전반의 주전원에 대한 모선이 활선이 되어 있는 상태 즉, 통전 상태일 경우에는 이러한 점검 과정에 감전 등의 2차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판넬 외부에서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모선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수배전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2300611호(2021년09월09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배전반의 내부 전기회로 계통에 대한 상태를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배전반 내부 전기회로 계통의 주전원과 연결된 모선의 통전상태감지, 불꽃감지, 발열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며, 수배전반의 판넬 외부 전면에는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모선 및 모선과 연결되는 전기기기를 포함한 전기회로 계통이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되어 구현된다. 이때 이미지로 구현된 모선 상에는 수배전반의 전기회로 모선에 설치된 센서들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모선의 비통전상태, 불꽃발생여부, 이상 고온 발열상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여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서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모선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수배전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은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의 활선상태 또는 사선상태에 의한 비통전상태를 감지하는 통전감지센서(12),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 상의 불꽃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14),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에 발생하는 비정상발열상태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6)를 포함하는 센서부(10); 센서부(10)에서 전송되는 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전기회로 모선의 통전상태, 모선에서의 불꽃발생 여부, 모선의 비정상발열상태 여부를 포함하여 모선의 상태가 정상상태인지 또는 비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 및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체 전기회로 계통의 주전원에 대한 모선 및 모선과 연결된 전기회로의 구성이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되어 수배전반의 외부 전면에 구비되는 미믹(30)을 포함한다.
또한, 미믹(30)에 포함된 모선 이미지 상에는 제어부(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하는 발광다이오드(32)가 구비되고, 미믹(30)의 모선 이미지 상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32)는 수배전반 내부 전기회로의 모선 상에 구비된 센서부(10)의 각 센서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수배전반 내부 모선 상의 특정 위치에 구비된 센서부(10)에서 비통전상태, 불꽃발생, 비정상발열상태를 포함한 모선의 비정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미믹(30) 상의 해당 위치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가 점등하여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 구비된 미믹(30)을 보고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모선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에는 통전감지센서(12), 불꽃감지센서(14), 및 열감지센서(16)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각 센서신호에 해당하는 발광색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현시점 이전에 각 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른 모선의 비정상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을 포함하고,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은 통전감지센서(12)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제1 모드, 불꽃감지센서(14)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불꽃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제2 모드, 열감지센서(16)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비정상발열상태를 표시하는 제3 모드를 포함하며, 모드별상태표시기능에서 관리자는 각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경우, 제어부(20)에서는 선택된 모드로 전환하여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센서신호를 데이터저장장치에서 호출하고,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가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발광색을 표시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광다이오드(32)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전반의 내부 활선 상태에서 위험하게 보호망을 열고 수배전반의 내부를 점검할 필요 없이 수배전반의 외부에서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모선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배전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수배전반의 판넬 외부에 구비되고 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미믹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수배전반의 판넬 외부에 구비되고 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미믹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통전감지센서(12), 불꽃감지센서(14), 열감지센서(16)를 포함하는 센서부(10), 제어부(20), 미믹(30), 관리자단말기(40), 모니터링단말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그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센서부(10)는 도 1을 참조하면, 통전감지센서(12), 불꽃감지센서(14), 열감지센서(16)를 포함하고, 각 센서들은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계통의 모선 즉, 주전원에 대한 전기회선 상의 다수 지점에 설치된다.
통전감지센서(12)는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의 활선상태 또는 사선상태에 의한 비통전상태를 포함한 모선의 통전상태를 감지한다.
불꽃감지센서(14)는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 상의 불꽃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열감지센서(16)는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에 발생하는 이상 고온을 포함한 비정상발열상태를 감지한다.
제어부(20)는 도 1을 참조하면, 센서부(10)에서 전송되는 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전기회로 모선의 사선 발생에 의한 비통전상태 발생 여부를 포함한 통전상태, 모선에서의 불꽃발생 여부, 모선의 이상 고온 등의 비정상발열상태 여부를 포함하여 모선의 상태가 정상상태인지 또는 비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0)에서는 모선의 상태가 비정상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아래에 서술된 미믹(30)에 포함된 발광다이오드(32)를 점등시켜 비정상상상태가 발생한 모선의 위치를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통신장치, 무선통신장치 센서부(10)에서 전송된 센서신호를 총괄하는 릴레이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아래에 서술된 미믹(30), 관리자단말기(40), 모니터링단말기(50)를 포함한 다수의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센서신호를 포함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장치는 온보드 형태로 구성되어 미믹, 관리자단말기 및 모니터링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센서신호를 포함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믹(3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체 전기회로의 주전원에 대한 모선 및 모선과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한 전기회로 계통의 구성이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되어 구현된 것으로 수배전반의 외부 전면에 구비된다.
또한, 미믹(3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하는 발광다이오드(32)가 구비되며, 발광다이오드(32)는 미믹(30)에 포함된 모선 이미지 상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미믹(30)의 모선 이미지 상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32)는 수배전반 내부 전기회로의 모선 상에 구비된 센서부(10)의 각 센서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미믹(30)에 포함된 발광다이오드(32)의 위치는 실제 수배전반 내부 전기회로의 모선 상에 구비된 센서부(10)의 각 센서들의 위치와 미믹(30)의 모선 이미지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수배전반 내부 전기회로 모선 상의 특정 위치에 구비된 센서부(10)에서 비통전상태, 불꽃발생, 이상 고온 등의 비정상발열상태를 포함한 모선의 비정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미믹(30) 상의 해당 위치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가 점등하여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 구비된 미믹(30)을 보고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모선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수배전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0)에는 통전감지센서(12), 불꽃감지센서(14), 및 열감지센서(16)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각 센서신호에 해당하는 발광색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현시점 이전에 각 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른 모선의 비정상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이 포함된다.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은 현시점 이전에 일정한 기간 동안 모선 상에 일시적인 비통전상태나 불꽃 또는 이상 고온상태가 발생하였으나 현시점에는 비통전상태나 불꽃 또는 이상 고온상태가 해소되어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점등 상태에 있지 않을 경우, 관리자가 현시점 이전에 발생한 모선의 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리셋기능에 의해 제어부의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는 시점을 현시점으로 조절하여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을 현시점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현시점은 관리자가 제어부(20)에서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을 선택하여 작동할 때를 말하며, 현시점 이전의 일정한 기간 즉 데이터저장장치에 일자별 또는 시간별로 저장된 센서부의 각 센서신호를 호출하는 시간적 구간을 말하며, 이 기간은 관리자가 제어부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은 통전감지센서(12)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제1 모드, 불꽃감지센서(14)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불꽃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제2 모드, 열감지센서(16)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비정상발열상태를 표시하는 제3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의 제1 모드와 제2 모드 및 제3 모드는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의 발광색으로 구별되고, 하나의 발광다이오드(32)에서 각 모드에 따라 다른 발광색으로 점등을 하게 된다.
모드별상태표시기능에서 관리자는 각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경우, 제어부(20)에서는 선택된 모드로 전환하여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센서신호를 데이터저장장치에서 호출하고,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가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발광색을 표시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광다이오드(32)로 전송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관리자가 제1 모드를 선택할 경우, 제어부(20)에서는 통전감지센서(12)에서 전송하여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가 흰색으로 점등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2 모드 선택시 제어부(20)에서는 불꽃감지센서(14)에서 전송하여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가 빨간색으로 점등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3 모드 선택시 제어부(20)에서는 열감지센서(16)에서 전송하여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가 노란색으로 점등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모선 상의 불꽃발생과 비정상상태 발열은 수배전반 전기회로 계통상에 위치한 기기와 전체 시스템에 막대한 손상을 입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에서는 불꽃감지센서(14)와 열감지센서(16)에서 전송하여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센서신호가 비정상상태 신호라고 판단할 경우에는 모드별상태표시기능과 관계없이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고, 해당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미믹(30)의 발광다이오드(32)로 전송하여 발광다이오드(32)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킴으로서 관리자가 위험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단말기(40)는 도 1을 참조하면, 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테블릿PC가 포함되며, 제어부(20)로부터 수배전반에 설치된 모선의 상태에 관한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아 표시한다.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40)를 통해 수배전반의 내부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며, 수배전반 전기회로 모선 상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에는 수배전반의 전기회로 모선 상에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해당 상태를 관리자단말기(40)로 알림 전송을 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모니터링단말기(50)는 도 1을 참조하면, 수배전반이 설치된 현장에 구비되는 중앙센터 단말기에 해당하며, 제어부(20)에서 전송하는 센서부(10)의 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배전반 내부 모선의 상태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모니터링단말기(50)는 관리서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20)로부터 수신한 센서부(10)의 센서신호와 제어부에서 출력한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과거에 발생한 모선의 비정상상태에 대한 이력과 비정상상태에 대한 대응 조치 이력, 유지 보수 이력을 호출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센서부 12 - 통전감지센서
14 - 불꽃감지센서 16 - 열감지센서
20 - 제어부 30 - 미믹
32 - 발광다이오드 40 - 관리자단말기
50 - 모니터링단말기

Claims (3)

  1.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의 활선상태 또는 사선상태에 의한 비통전상태를 감지하는 통전감지센서(12),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상의 불꽃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14),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기회로 모선 상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모선에 발생하는 비정상발열상태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6)
    를 포함하는 센서부(10);
    센서부(10)에서 전송되는 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전기회로 모선의 통전상태,모선에서의 불꽃발생 여부, 모선의 비정상발열상태 여부를 포함하여 모선의 상태가정상상태인지 또는 비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 및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체 전기회로 계통의 주전원에 대한 모선 및 모선과 연결된 전기회로의 구성이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되어 수배전반의 외부 전면에구비되는 미믹(30)
    을 포함하며,
    제어부(20)에는 통전감지센서(12), 불꽃감지센서(14), 및 열감지센서(16)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각 센서신호에 해당하는 발광색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현시점 이전에 각 센서의 센서신호에 따른 모선의 비정상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별상태표시기능
    을 포함하고,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은 통전감지센서(12)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제1 모드, 불꽃감지센서(14)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불꽃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제2 모드, 열감지센서(16)에서 전송한 센서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여 미믹(3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를 발광시켜 모선의 비정상발열상태를 표시하는 제3 모드
    를 포함하며,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은
    현시점 이전에 일정한 기간 동안 모선 상에 일시적인 비통전상태나 불꽃 또는 이상 고온상태가 발생하였으나 현시점에서는 비통전상태나 불꽃 또는 이상 고온상태가 해소되어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점등상태에 있지 않을 경우에도 현시점 이전에 발생한 모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
    제어부의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센서신호를 호출하는 시점을 현시점으로 조절하여 모드별상태표시기능을 현시점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리셋기능을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센서부의 센서신호와 제어부에서 출력한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과거에 발생한 모선의 비정상상태에 대한 이력과 비정상상태에 대한 대응 조치 이력, 유지 보수 이력을 호출하여 조회할 수 있는 모니터링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는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미믹(30)에 포함된 모선 이미지 상에는 제어부(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하는 발광다이오드(32)가 구비되고, 미믹(30)의 모선 이미지 상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32)는 수배전반 내부 전기회로의 모선 상에 구비된 센서부(10)의 각 센서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수배전반 내부 모선 상의 특정 위치에 구비된 센서부(10)에서 비통전상태, 불꽃발생, 비정상발열상태를 포함한 모선의 비정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미믹(30) 상의 해당 위치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가 점등하여 관리자가 수배전반의 외부에 구비된 미믹(30)을 보고 비정상상태가 발생한 모선 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
    을 포함하는,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3. 삭제
KR1020220011934A 2022-01-27 2022-01-27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KR102504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934A KR102504779B1 (ko) 2022-01-27 2022-01-27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934A KR102504779B1 (ko) 2022-01-27 2022-01-27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779B1 true KR102504779B1 (ko) 2023-02-28

Family

ID=8532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934A KR102504779B1 (ko) 2022-01-27 2022-01-27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7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624A (ja) * 1999-08-25 2001-03-16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の表示装置
KR20120050653A (ko) * 2010-11-11 2012-05-2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모듈형 통합 전력 감시 장치
KR101507921B1 (ko) * 2014-08-01 2015-06-25 진성전기(주) 하이테크 수배전반
KR20150144488A (ko) * 2014-06-17 2015-12-28 이천규 전력계통 모의고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090B1 (ko) * 2019-08-26 2020-08-24 (주)서전기전 전력설비 내 발생하는 아크 및 핫스팟온도의 검출 및 위치표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624A (ja) * 1999-08-25 2001-03-16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の表示装置
KR20120050653A (ko) * 2010-11-11 2012-05-2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모듈형 통합 전력 감시 장치
KR20150144488A (ko) * 2014-06-17 2015-12-28 이천규 전력계통 모의고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1507921B1 (ko) * 2014-08-01 2015-06-25 진성전기(주) 하이테크 수배전반
KR102147090B1 (ko) * 2019-08-26 2020-08-24 (주)서전기전 전력설비 내 발생하는 아크 및 핫스팟온도의 검출 및 위치표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5283A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GB2552447B (en) Faul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nnectivity faults
KR101880864B1 (ko) 배전반 화재 관리시스템
KR101280446B1 (ko) 과열보호 음성경보장치가 내장된 분전반/저압배전반
US9324527B2 (en) Arc monitor
KR101264344B1 (ko) 배전반 내부 이상상태 감시용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
KR102303585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방법
US103888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rapid shutdown of electrical devices
KR102504779B1 (ko) Led 모의 모선을 이용한 수배전반 유지관리 시스템
CN104155012A (zh) 一种可以现场显示电缆头温升情况的监测系统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KR20200014118A (ko)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CN202210333U (zh) 火灾监控系统的光纤温度传感系统
WO2023180751A1 (en) Smart socket device and system
JP6762550B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マルチ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WO2021111652A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マルチ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6836233B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2439182B1 (ko) 전기화재 초기 소화장치가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2336205B1 (ko) 랙 화재 방지장치를 이용한 이상온도 감지방법
US11436905B2 (en) Socket fire alarm system
JP6836234B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180012069A (ko) 지능형 분전함
WO2021111649A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マルチ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7016461B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2303588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배전반관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