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520B1 -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 Google Patents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520B1
KR102303520B1 KR1020210082920A KR20210082920A KR102303520B1 KR 102303520 B1 KR102303520 B1 KR 102303520B1 KR 1020210082920 A KR1020210082920 A KR 1020210082920A KR 20210082920 A KR20210082920 A KR 20210082920A KR 102303520 B1 KR102303520 B1 KR 10230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induction
discharge
cooking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주방산업(주) filed Critical 화신주방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8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유도바람에 의하여 송풍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있어서,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에 유도송풍을 위한 유도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풍송풍부 및 상기 유도풍송풍부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바람을 배기유도배출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리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유도풍송풍부에서 공급되어서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을 통하여 송풍되어 배기유도배출부에서 연소가스의 토출압력과 함께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을 통하여 송풍되는 유도바람에 의하여 연소가스가 명확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Fanless ventilation duct for cooking pots}
본 발명은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있어서,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에 유도송풍을 위한 유도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풍송풍부 및 상기 유도풍송풍부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바람을 배기유도배출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을 구비하여서, 조리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유도바람에 의하여 송풍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솥은 단체급식과 같이 대용량의 음식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조리용 솥은 조리할 음식물이 담아지는 솥부와, 상기 솥부의 하부 측 외면을 감싸며 가열 및 배기 통로를 형성하는 솥하우징과, 상기 솥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솥부의 바닥부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가스버너와, 상기 배기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솥하우징에 형성한 배기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한 조리용 솥은 조리과정에 배기부를 통하여 300~500℃의 고온 상태의 연소가스가 배출되고 이상과 같이 배출된 연소가스는 솥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상승되어 솥부의 상단부와 접한 후 공기 중으로 방출되게 되며, 이때, 방출된 연소가스는 조리용솥의 상단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뒤틀림 변형을 유발하고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조리용솥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천장에 구비되는 환기부 유도배출할 수 있게 한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는 조리용솥의 배기구에서 돌출형성되는 배기유도판과 상기 배기유도판과 접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수직으로 유동시켜 환기부를 유도하는 수직유도관 및 상기 수직유도관을 지지하는 스탠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는 조리용솥에 구비된 배기유도판에 수직유도관을 근접시켜서 상기 조리용솥의 배기구와 배기유도판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수직유도관을 통하여 유도하여서 연소가스가 환기부로 유도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는 연소가스의 배출이 연소가스의 토출압력과 대류유동에 의하여만 이루어져 연소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의 배출시 연소시 연소되지 않는 잔여가스가 발생하여 이를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서 별도의 전자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전기불꽃과 전전기와 같은 작은 스파크에도 화재발생의 위험이 있어 환풍팬을 이용한 직접적인 배출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9881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가 연소가스의 배출이 연소가스의 토출압력과 대류유동에 의하여만 이루어져 연소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잔여가스의 배출에 있어서 환풍팬을 직접적으로 사용시 발생하는 화재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있어서,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에 유도송풍을 위한 유도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풍송풍부 및 상기 유도풍송풍부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바람을 배기유도배출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풍송풍부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풍을 조리가스배출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배출송풍공급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에 유도송풍을 위한 유도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풍송풍부 및 상기 유도풍송풍부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바람을 배기유도배출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을 구비함으로써, 조리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유도풍송풍부에서 공급되어서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을 통하여 송풍되어 배기유도배출부에서 연소가스의 토출압력과 함께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을 통하여 송풍되는 유도바람에 의하여 연소가스가 명확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 일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유도배출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발명에 따라 자바라연결구를 갖는 배출각도조절관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발명에 따라 힌지결합을 갖는 배출각도조절관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풍송풍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의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연소배출송풍공급관에 링형의 송풍공급노즐관을 갖는 모습을 보인 투시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연소배출송풍공급관에 바형의 송풍공급노즐관을 갖는 모습을 보인 투시예시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리가스유도배출판으로 구성된 조리가스배출부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리가스유도배출판에 구비되는 조리배출송풍공급관 및 송풍공급노즐관의 모습을 보인 부분도.
도 14 및 15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로 구성된 조리가스배출부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6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 내부에 구비되는 조리배출송풍공급관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투시예시도.
도 19 내지 21은 본 발명에 따라 유도바람토출공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조리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명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있어서, 배기유도배출부(10)와 유도풍송풍부(20) 및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 배기유도배출부(10)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기유도배출부(10)는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유도배출부(10)는 배기스탠드부(100)와 배기유입부(200) 및 배기유도덕트(3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기스탠드부(100)는 지면에 안착되어 배기유입부(200) 및 배기유도덕트(300)를 지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스탠드부(100)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지지발과 상기 지지발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기둥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스탠드부(100)의 지지발은 지면에 고정설치되게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기스탠드부(100)의 지지발에는 구름이동가능하게 구름바퀴가 구비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유입부(200)는 배기스탠드의 상부에서 조리용솥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유입부(200)는 호형을 이루는 조리용솥의 외면에 대응하여 돌출단부를 호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배기유입부(200)는 조리용솥의 회전과정에 간섭이 방지되게 조리솥 외면과의 사이에 회전공극을 형성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기유입부(200)는 연소가스의 유입이 공기의 상승유동에 의하여 유도유입되게 하부를 개구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유도덕트(300)는 배기유입부(200)의 조리용솥 반대 측 단부에서 연소가스를 상부로 상승 유동 배출시킬 수 있게 상부로 돌출형성한 것이다.
상기 배기유도덕트(300)의 상단에는 조리실의 천장에 구비되는 환기시설로 연소가스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배출각도조절관(3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각도조절관(310)은 배기유도덕트(300)의 단부와의 사이에 자바라연결구를 구비하여 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각도조절관(310)은 배기유도덕트(300)의 단부에 양측이 각도조절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 유도풍송풍부(20)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도풍송풍부(20)는 배기유도배출부(10)에 유도송풍을 위한 유도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유도풍송풍구는 상기 배기유입부(200)의 일측에 부착하거나 또는 별도의 위치에 송풍관으로 연결하여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풍송풍부(20)는 유도바람을 발생시키는 축류형팬과 상기 축류형팬을 구동하는 송풍모터(430), 상기 축류형팬을 수용하여 유도바람 송풍관로를 형성하는 송풍케이스(410), 상기 송풍케이스(41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관(44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도풍송풍부(20)는 유도바람을 발생시키는 원심류형팬과 상기 원심류형팬을 구동하는 송풍모터(430), 상기 원심류형팬을 수용하여 유도바람 송풍관로를 형성하는 송풍케이스(410), 상기 송풍케이스(41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관(44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출관(440)은 유도풍송풍부(20)로 세척수와 같은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일방향성 밸브형의 송풍체크밸브(450)와 송풍체크밸브(450) 전단에 체크밸브에 걸러진 오염수가 집수되는 송풍관집수구(460)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은 유도풍송풍부(20)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바람을 배기유도배출부(10)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은 배기유도덕트(300)의 양측 내면에서 유도바람을 상부를 향하여 토출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은 배기유도덕트(300)의 중앙에서도 유도바람을 상부를 향하여 토출할 수 있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은 상단에 배기유도덕트(300)의 내벽을 따라 연속되는 링형 또는 바형의 관체로 형성된 송풍공급노즐관(700)을 구비하고, 송풍공급노즐관(700)의 상부로 유도바람을 토출할 수 있게 유도바람토출공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바람토출공은 송풍공급노즐관(700)의 전체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체토출공(711)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바람토출공은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개별토출공(712)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배기유도배출부(10)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풍송풍부(20)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풍을 조리가스배출부(40)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배출송풍공급관(5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리가스배출부(40)와 조리배출송풍공급관(50)의 일 실시 예로는 조리가스배출부(40)를 중앙에 원형으로 이루어져 조리가스가 배출될 수 있게 조리가스배출공(510)을 갖는 판형의 조리가스유도배출판(500)으로 형성하여 실시하고, 상기 조리배출송풍공급관(50)은 조리가스배출공(510)의 내벽에서 유도바람을 상부를 향하여 토출할 수 있게 할 수 있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배출송풍공급관(50)은 조리가스유도배출관의 내벽을 따라 연속되는 링형의 관체로 형성된 송풍공급노즐관(700)을 구비하고, 송풍공급노즐관(700)의 상부로 유도바람을 토출할 수 있게 유도바람토출공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바람토출공은 조리배출공풍공급관의 전체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체토출공(71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바람토출공은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개별토출공(712)을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리가스배출부(40) 다른 실시 예로는 조리가스배출부(40)를 배기유도배출부(10)의 단부와 연통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600)로 형성하고, 상기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600)의 하면에 조리가스가 유입될 수 있게 관통된 다수의 조리가스유입공(610)을 형성하여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600) 양측 내벽 또는 양측 내벽과 중앙에서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600)의 상부로 유도바람을 토출하게 하는 조리배출송풍공급관(50)을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리배출송풍공급관(50)은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600)의 내벽을 따라 연속되는 링형 또는 봉형의 관체로 형성된 송풍공급노즐관(700)을 구비하고, 송풍공급노즐관(700)의 상부로 유도바람을 토출할 수 있게 유도바람토출공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바람토출공은 송풍공급노즐관(700)의 전체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체토출공(71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바람토출공은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개별토출공(712)을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과 조리가스유도배출판(500) 및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600)의 송풍공급노즐관(700)은 그 단면이 유선형 형태로 구비하고, 이때 유도바람토출공을 형성은 송풍공급노즐관(700) 몸체가 내외측면에 틈새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리게 하여 형성된 틈새토출공(713)으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있어서,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유도배출부(10)와 배기유도배출부(10)에 유도송풍을 위한 유도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풍송풍부(20) 및 상기 유도풍송풍부(20)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바람을 배기유도배출부(10)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을 구비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조리과정에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유도풍송풍부(20)에서 공급되어서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을 통하여 송풍되어 배기유도배출부(10)에서 연소가스의 토출압력과 함께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을 통하여 송풍되는 유도바람에 의하여 연소가스가 명확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가스배출부(4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되면 조리가스배출부(40)로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되며, 이때 상기 유도풍송풍부(20)의 유도바람을 함께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가스배출부(40)를 중앙에 조리가스배출공(510)을 갖는 조리배출송풍공급관(50)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조리가스배출공(510) 내면에 조리배출송풍공급관(50)의 유도바람으로 하부 조리가스가 유도흡입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가스배출부(40)를 조리가스유입공(610)
을 갖는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600)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하부에서 올라오는 배기유도배출부(10)의 연소배출송풍공급관(30)의 유도바람을 활용하여 조리가스와 연소가스를 함께 상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1: 조리솥
10: 배기유도배출부 20: 유도풍송풍부
30: 연소배출송풍공급관 40: 조리가스배출부
50: 조리배출송풍공급관
100: 배기스탠드부 200: 배기유입부
300: 배기유도덕트 310: 배출각도조절관
410: 송풍케이스 420: 송풍팬
430: 송풍모터 440: 토출관
450: 송풍체크밸브 460: 송풍관집수구
500: 조리가스유도배출판 510: 조리가스배출공
600: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 610: 조리가스유입공
700: 송풍공급노즐관
711: 연결체토출공 712: 개별토출공
713: 틈새토출공

Claims (5)

  1.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있어서,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에 유도송풍을 위한 유도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풍송풍부 및 유도풍송풍부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바람을 배기유도배출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연소배출송풍공급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배기유도배출부는 지면에 안착되어 배기유입부 및 배기유도덕트를 지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스탠드부와 배기스탠드의 상부에서 조리용솥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게 구비되는 배기유입부 및 기유입부의 조리용솥 반대 측 단부에서 연소가스를 상부로 상승 유동 배출시킬 수 있게 상부로 돌출형성한 배기유도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유도풍송풍부는 유도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송풍모터,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여 유도바람 송풍관로를 형성하는 송풍케이스, 상기 송풍케이스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은 배기유도덕트의 양측 내면 또는 양측 내면과 중앙에서 유도바람을 상부를 향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소배출송풍공급관은 상단에 배기유도덕트의 내벽을 따라 연속되는 링형 또는 바형의 관체로 형성된 송풍공급노즐관을 구비하고, 송풍공급노즐관의 상부로 유도바람을 토출할 수 있게 유도바람토출공을 형성하여 구비하며;
    상기 유도바람토출공은 송풍공급노즐관의 전체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체토출공 또는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개별토출공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2.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에 있어서,
    조리용솥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부로 유도 배출할 수 있게 구비되는 배기유도배출부와 배기유도배출부에 유도송풍을 위한 유도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유도풍송풍부 및 유도풍송풍부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바람을 배기유도배출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연소배출송풍공급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풍송풍부를 통하여 발생된 유도풍을 조리가스배출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배출송풍공급관을 구비하며;
    조리가스배출부를 중앙에 원형으로 이루어져 조리가스가 배출될 수 있게 조리가스배출공을 갖는 판형의 조리가스유도배출판으로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조리배출송풍공급관은 조리가스배출공의 내벽에서 유도바람을 상부로 향하여 토출하게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조리배출송풍공급관은 조리가스유도배출관의 내벽을 따라 연속되는 링형의 관체로 형성된 송풍공급노즐관을 구비하고, 송풍공급노즐관의 상부로 유도바람을 토출할 수 있게 유도바람토출공을 형성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바람토출공은 송풍공급노즐관의 전체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체토출공 또는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개별토출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도배출부의 전면에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조리가스배출부를 구비하고,
    조리가스배출부를 배기유도배출부의 단부와 연통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로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조리가스유도배출관체의 하면에 조리가스가 유입될 수 있게 다수의 조리가스유입공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은 유도풍송풍부로 세척수와 같은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일방향성 밸브형의 송풍체크밸브와 송풍체크밸브 전단에 체크밸브에 걸러진 오염수가 집수되는 송풍관집수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20210082920A 2021-06-25 2021-06-25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230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920A KR102303520B1 (ko) 2021-06-25 2021-06-25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920A KR102303520B1 (ko) 2021-06-25 2021-06-25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520B1 true KR102303520B1 (ko) 2021-09-17

Family

ID=7792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920A KR102303520B1 (ko) 2021-06-25 2021-06-25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397B1 (ko) * 2023-03-31 2024-04-08 장기풍 조리흄 제거 기능을 구비한 조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879A (ja) * 1997-03-06 1998-09-14 Toho Gas Co Ltd 汎用調理釜
JP2003130339A (ja) * 2001-10-25 2003-05-08 Fuji Enterprise:Kk 排気ガスの冷却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加熱装置
JP2004141191A (ja) * 2002-10-21 2004-05-20 Kiriyama Kogyo Kk 業務用調理装置
KR101298811B1 (ko) 2013-01-23 2013-08-22 화신주방산업(주) 배기열 차열구조를 갖는 조리용 솥
KR101946760B1 (ko) * 2018-08-14 2019-02-1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879A (ja) * 1997-03-06 1998-09-14 Toho Gas Co Ltd 汎用調理釜
JP2003130339A (ja) * 2001-10-25 2003-05-08 Fuji Enterprise:Kk 排気ガスの冷却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加熱装置
JP2004141191A (ja) * 2002-10-21 2004-05-20 Kiriyama Kogyo Kk 業務用調理装置
KR101298811B1 (ko) 2013-01-23 2013-08-22 화신주방산업(주) 배기열 차열구조를 갖는 조리용 솥
KR101946760B1 (ko) * 2018-08-14 2019-02-11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397B1 (ko) * 2023-03-31 2024-04-08 장기풍 조리흄 제거 기능을 구비한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015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KR100326963B1 (ko) 적외선 가스 브로일러를 구비한 전기 조리 오븐
EP2196737B1 (en) Suction Hood
CN101255982A (zh) 具有加热器的灯
US10458657B2 (en) Burner grate, gas cooking hob, gas stove top and gas stove
KR102303520B1 (ko) 날개없는 팬을 갖는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CN207501202U (zh) 风幕式燃气灶
KR102402756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CA2475035A1 (en) Combination radiant/convection gas cooking appliance
AU2009326529A1 (en) Suction hood
CN107300173A (zh) 上进风燃烧器和燃气灶具
CN110545703A (zh) 一种上投辐射式烧烤盘
KR101670628B1 (ko) 급속 가열 및 화력 조절이 가능한 구이 화덕
KR102303590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JP4366236B2 (ja) 電磁誘導調理器具における換気補助装置
CN107923628A (zh) 组合式炊具
KR102403712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CN206320825U (zh) 一种大锅灶
KR20100133276A (ko) 주방용 후드
CN108253502A (zh) 一种带油烟净化装置的组合锅具
KR101354327B1 (ko) Pcb 및 트랜스의 냉각 구조를 갖는 스팀 오븐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KR20040110855A (ko) 가정용 주방레인지후드
CN100375850C (zh) 离心式风扇的喇叭口结构
KR100698293B1 (ko) 복사 가열식 가스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